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도신경인지장애 노인의 노래 회상 활동 사례 연구

        고예주(Ye Ju Ko)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6

        본 연구는 우울감이 동반된 경도신경인지장애 노인의 노래 회상 활동이 긍정 정서 경험과 미래자원 규명과 활용을 중심으로어떤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실시한 사례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도신경인지장애 노인 3명이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7회기 개인세션 형태로 노래 회상, 긍정적 정서 경험 및 정서 표현, 긍정적 자기표현을 통한 가사 만들기로 구성하여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참여자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노인 우울척도(GDS)를 사전, 사후, 종결 후로 나누어 검사 후 분석하였으며 전체 대화 및 회상 내용자료를 바탕으로 정서 변화 과정과 의미, 규명한 심리적 미래 자원과 그 의미들을 혼합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우울감이 동반된 사전과 달리 기쁨과 감사, 즐거움, 자신감 등의 긍정 정서를 지속적으로 표현하였으며 부정정서 표현및 우울 점수 역시 사전 대비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위로 받았던 노래와 의미 있던 기억들을 연결하여구체적으로 회상하고 심리적 지지 자원을 발견 후 규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현재 모습을 수용하고 긍정적 가사로 표현한음악적 산물 역시 긍정적 심리 자원으로 활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노래 회상에서 경험되는 긍정 정서가 현재는물론 앞으로의 삶을 초점한 미래 지향적인 심리 자원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what kind of changes the song recall activity, centering on the identification of future support resources an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brought to older adults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with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three older adults with mild Neurocognitive Disorder. The music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7 sessions with song recall,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expressions, and creating lyrics through positive self-expression activities.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was conducted before, after, and upon completion of the session. Moreover, based on the recorded conversation and recalled memories, the process of emotional changes and identified futur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their meanings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continuously expressed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appreciation, and confidence unlike the previous state of depression. Second, the participants recalled in detail by linking the songs with meaningful memories that provided them comfort and were able to identify, discovering the psychological support resources. Third, it was also confirmed that musical products with positive lyrics created by embracing the present self were also used as positive psychological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ositive emotions experienced in song recall can be used as a future-oriented psychological resource.

      • KCI등재

        성인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고예주(Ko, Yeju),이주영(Lee, Juyoung)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마음챙김과 자기침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변인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고, SPSS PROCESS macro 3.4.1을 이용하여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치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각각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침묵의 개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각각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의 개별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각각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침묵의 직렬 다중매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불안애착과 회피애착 각각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마음챙김과 자기침묵의 경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을 함양하기 위해 불안애착 및 회피애착 수준을 고려하고 마음챙김과 자기침묵에 초점을 맞춰 개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the self-silencing among college students. A sample of 350 college students were collec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3.4.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silencing specific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mindfulness and the self-silencing had serial multiple mediation effects on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n other word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not only directly affects interpersonal competence, but also indirectly through mindfulness and the self-silencing. The findings shows tha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should be considered with focusing on mindfulness and the self-silencing to foster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국내 경험회피 연구동향 : 주요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고예주(Ye Ju Ko)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19 상담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국내 경험회피 연구 동향을 분석한 논문이다. KCI에 등재된 국내 주요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 논문 41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주제, 통계분석, 측정도구, 연구변인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주요 상담 및 심리학 관련 학술지의 경험회피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꾸준히 게재되었고 2014년부터 증가하다 2018년에는 감소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경험회피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주제는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경험회피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측정도구는 AAQ(수용-행동 질문지)로 나타났다. 경험회피의 연구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 6편, 조절변인 4편, 종속변인 2편, 매개변인 22편으로 매개변인이 주를 이루었다.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규명한 연구에서 종속변인은 정서, 관계, 정신병리, 중독, 외상, 진로의 범주로 구분될 수 있었으며 이 중 정서관련 변인을 종속변인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South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41 papers publish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accredited journ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topics, scales, and variables.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ies of experiential avoidance published in the main counseling and psychology journals have been conducted annually from 2007 to 2018.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much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and most of the studies were designed with quantitative researches. Furthermore, the research of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as mostly selected and studied amongst others. The most frequently used scales measuring experiential avoidance was AAQ. Meanwhile, there were 6 studies using experiential avoida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4 studies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22 studies as a mediating variable. When experiential avoidance is used as a mediating variable, dependent variables can be divided into emotion-related, relation-related, psychopathology-related, addiction-related, trauma-related, career-related, other related variables. Emotion-related dependent variables have been the most frequent variable when experiential avoidance was the mediating variable.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ention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