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황체기 결함이 있는 불임환자에서 클로미펜 투여 여부에 따른 자궁내막 내의 Prolactin의 발현 양상의 비교 연구

        고승희,황정혜,심의섭,고재환,김용봉,장세진,Goh, Seung-Hee,Hwang, Jung-Hye,Sim, Ey-Sub,Koh, Jae-Whoan,Kim, Yong-Bong,Jang, Se-Jin 대한생식의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0 No.1

        Objective : Clomiphene citrate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drugs in the treatment of infertility, but the pregnancy rate achieved with clomiphene citrat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vulation rate due to its antiestrogenic effect on the endometrium. Endometrial prolactin is considered to be a marker and an inducer of predecidualization that is characteristic of secretory endometr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clomiphene citrate and unsatisfactory endometrial differentiation to secretory endometrium by examining the endometrial expression of prolactin in clomiphene citratetreated infertile women with luteal phase defect. Methods : The endometrial samples from infertile women with luteal phase defect (n=27) were examined. Five cases during secretory phase and six cases during proliferative phase were obtained by biopsy. Sixteen cases were obtained by biopsy during secretory phase after clomiphene citrate treatment.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prolactin, all obtained endometrial tissues wer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endometrial expression of prolactin were evaluated between proliferative phase and secretory phase, and between clomiphene citrate treated group and no treatment group during secretory phase. Results: The staining of endometrial prolactin was significantly more intense in the glandular epithelial cells and stromal cells in the secretory endometrium than in the proliferative endometrium. The glandular expression of prolactin in the secretory endometriu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lomiphene citrate-treated group and no treatment group (p=0.719), but the staining of prolactin in the stromal cells was significantly less intense in the clomiphene citrate-treated group than no treatment group (p=0.019). Conclusion: In this investigation, we demonstrated that the endometrial stromal expression of prolactin in the secretory pha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lomiphene citrate-treated group campared with no treatment group in infertile women with luteal phase defect. And our finding suggests that clomiphene citrate may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endometrial predecidualization in infertile women.

      • 法隆寺 金堂 金銅釋迦三尊佛像의 光背 紋樣 硏究

        고승희,Seunghee Koh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09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

        일본의 중요문화재 중 호류지에는 7세기에 조성한 금동불상과 목불상들이 완벽에 가까운 상(像)으로 전래되고 있다. 그런데 이 불상들은 우리나라 삼국시대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호류지 (法隆寺)가 창건된 아스카시대(飛鳥時代)의 불교미술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불교미술 연구에도 반드시 필요한 과제가 될 것이라고 생각 한다. 본 논고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을 갖추고 있는 호류지(法隆寺)의 유물 중에서 최고의 가치성을 지녔다고 해도 손색이 없는 금당 금동석 가삼존불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금동석가삼존상의 여러 가지 도상 특징 중에서 광배(光背)에 시문(施紋)된 아름다운 문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백제시대 불상의 광배 문양과의 연관성을 비교 연구하여, 호류지(法隆寺) 금동석 가삼존상 광배 문양의 미술사적 의의를 논해 보고자 한다. 본 논고에서는 호류지(法隆寺) 금당 금동석가삼존불상의 광배에 시문된 문양을 통하여 우리나라 삼국시대, 특히 백제의 불상이 일본 아스카(飛鳥)시대의 불상 양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검토해본 결과, 첫 째, 일본서기에 기록된 문헌상으로도 백제의 불상 조각을 받아들여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광배 뒷면에 있는 명문을 통하여 백제 출신이라고 추정할 수도 있는 도리불사가 조성하였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국 동서위 시기와 우리나라 고구려, 백제의 주형거신광과 일 광삼존불의 형식을 살펴서 호류지 석가삼존불상과의 영향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광배에 시문된 연화문, 당초문, 연화당초문, 연주문, 화염 문 등의 문양을 분석해 더 확실한 친연성을 볼 수 있었다. 이런 몇 가지 고찰에 의해 호류지(法隆寺)가 창건된 아스카시대(飛 鳥時代)의 불교미술을 살펴봄으로써 이 시기에 중국 동서위시대, 특히 우리나라의 삼국·백제 불상의 6세기 후반기-7세기 초기양식과 거의 흡사하다는 점과 삼국의 불상 전파 관계도 확인 할 수 있었다. Japanese are proud that the grounds of Horyuji the world's oldest surviving wooden structures, conveying images of Japan as it existed more than 1,300 years ago, during the Asuka Period (A.D.mid 6th‐beginning of 8th c.). In fact, Horyuji contains over 2,300 important cultural and historical structures and articles, including nearly 190 that have been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or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In December of 1993, Horyuji, as a unique storehouse of world Buddhist culture, became the first treasure of any kind in Japan to be selected by UNESCO as part of the World Heritage. I focused on Gilt Bronzed triptych Buddhist statue at Kondo because this status h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nections of Buddhist art between Korea and Japan. Especially I have gone deep into the study of various pattern of Halo at Gilt Bronzed triptych Buddhist statue in comparison with halo pattern of Paekche Kingdom, Korea. Consequently, I could track the path of interchange between China, Korea and Japanese Buddhist sculpture during 3~7th C.through this halo pattern

      • KCI등재
      • 회계학이론의 유형과 구성논리의 기본 틀

        고승희 ( Seung Hee Koh )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15 인터넷비지니스연구 Vol.16 No.1

        회계이론의 대상은 회계실무이다. 그것은 측정 및 전달이라고 부르는 회계기능이 작용하는 실무행위이다. 따라서 회계이론의 대상은 회계실무이지만, 회계실무의 대상은 거래이다. 이들 대상개념을 조작하는 개념으로서의 측정과 전달이라는 직능개념을 비롯하여 측정과 전달의 규칙에 관한 논리구조가 형성된다. 그래서 대상개념과 조작개념을 조합하여 회계이론을 구성하는 개념으로서 공준이나 주체 등의 이론개념이 도출된다. 이론이라 함은 일련의 개념에 따라 구성되는 원리의 체계이다. 회계이론에서는 대상개념, 조작개념 및 이론개념이라는 3가지의 개념이 이론의 구성개념이 된다. 어떠한 내용의 이론개념에 입각하여, 또 어떠한 대상개념을 중심개념으로 하고, 어떠한 조작개념에 중점을 두어 이론을 구축하는가에 따라 여러 가지 학설을 탄생하게 된다. 회계패러다임이 형성되는 것이다. 회계이론은 이론의 역할, 관점, 방법 및 대상 등을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유형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회계이론의 유형은 실증이론과 규범이론, 정태론과 동태론, 회계구조론과 회계기능론, 경제지향이론과 정보지향이론 등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회계이론의 구성은 기능론, 공준론, 원칙론, 회계주체론, 회계책임론 등으로 분류 된다. 또한 회계이론의 출발은 개념체계의 확립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provide a basic considerable framework for the approach to the accounting theory. My approach to theory of accountancy is ecletic in nature, not only drawing on the paradigm of the basic levels, but also drawing on several other methodological framework.. An approach is made to take explicit the logic used, starting with the basic objectives of accounting theory. Central in most of this study is theories relating to the implicit relevance of the measurement of accounting events, several transactions and most of informations for decision-making. The theories relating to the thought of accountancy are also significant because of relationships to the measurement of accounting informations and other resource theoretical concepts. This paper has the integration on many new ideas in the theory of accountancy as its basic objective of this approach to theoretic thought of accounting. The significances in this approach to accounting theory are (1) a more explicit use of a accounting framework to evaluate the theory as positive and normative theory; (2) a greater emphasis on the basic objectives of accounting theory as static accounting theory and dynamic accounting theory; (3) an increased reference to theoretical thought; (4) critical studies of recent economic information theory as economic based theory and information based theory in priori theory : (5) an attempt to each topic among several subjects of structural theory and functional theory. In this study, the accounting theories are composed of as follows: (1) accounting functional theory (2) accounting postulate theory (3) accounting principle theory (4) accounting subject theory (5) accounting responsible theory

      • 회계학이론 정립을 위한 공리구조의 진화론적 접근

        고승희 ( Seung Hee Koh )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13 인터넷비지니스연구 Vol.14 No.1

        회계공준에 관한 개괄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하여 그 기본적인 성격과 특성 및 진화론적인 전개과정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 특히 여기에서는「회계공리는 기업회계에 있어서의 이론형성의 기초가 됨은 물론, 회계원칙의 정립에 필요한 기본적인 반석의 역할을 한다. 」는 전제 하에 논리전개가 시도된 것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회계이론의 체계적인 파악을 위하여 회계공리가 어떠한 논리적 의의와 구조를 지니고 있는가 하는 곳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회계원칙(기준)과의 관련성을 구명하려고 하였다. 그래서 얻은 결론으로서는 회계공리는 회계원칙이나 회계시준의 형성을 위한 초석이 되는 것임에 틀림없다는 사실이었다. 그에 근거를 두고 필자는 회계원칙이나 회계기준의 기초가 되는 회계공리로서는 제도적 공리(계산구조적 공리)와 요청적 공리(목적설정적 공리)의 이대유형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전자에 속하는 것으로는 구체적으로 ① 기업실체의 공리 ② 회계기간의 공리 ③ 화폐적 측정의 공리 ④ 계정체계의 공리가 있으며, 후자는 ⑤ 유용성 공리와 ⑥ 적정성 공리, ⑦투명성 공리 등을 갖고 있음을 보았다. 이들 모두의 공리적 개념은 회계원칙과 회계기준을 정립하는 기초로서 작용한다는 논리구조를 인식하였다. 물론, 이것들이 반론을 제기함이 없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역시의 문의 여지가 있다고 하겠으나, 필자의 견해로서는 회계원칙이나 회계기준이 정립되기 위하여 최소한 이들 일곱 가지의 공리구조만은 기본적인 전제로서 수용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This paper is to be composed of approaching to the axiomatic structures for formulation of accounting theory. Since W. A. Paton had attempted to formulate "accounting postulates" in his Accounting Theory(1922), many accounting scholar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axiomatic problems for formulating the basic theory of accountancy. A lot of accounting researchers have used different terms such as underlying concepts, basic accounting conventions, basic assumptions, accounting postulates, and accounting axioms etc. Although there is considerable divergence of opinion as to axioms of accountancy, a evolutional distinction may be drawn between accounting axioms prior to 1950 and those since 1950, particularly in the 1960s. In general, accounting axioms prior to 1950 were mainly intended to throw light on the technical limitations or some conventional assumptions of accounting. In othe words, most of them were meaningful ot understand some basic constructions of the prevailing practices, but were not intended to be used to construct a new theory of accountancy. On the other hand, accounting axioms formulated after 1950 have had the purpose of reconstructing accounting theory so as to narrow the ares of difference and inconsistency between accounting practices and to meet the needs of all interested roups such as stockholders, creditors, government, employees, and othes with bonafide interests. For the purpose of accounting functions and objectives have been given much recognition in constructing accounting axioms.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ccounting have also been critically analyzed so that a new accounting theory might be applicable to the changing economic society. As above, there are diversified opinions among accounting researchers as to the natur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accounting axioms, they should be derived by inductive method and classified into categories if they are to be fundamental in the formulation of accounting principles and standards through deductive reasoning so that accounting may perform its proper function as a means for directing rational economic activities. Following are the proposed classifications of accounting axioms: 1. Structural axioms (type A) (1) economic entity (2) Going concern (3) Accounting period (4) Monetary valuation 2. Objective axioms (Type B) (1) Usefulness (2) Fairness (3) Transparency The type A axioms are derived inductively through the analysis of accounting conventions and methods, rather than thorough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social, economic and legal systems. The type A axioms are meaningful and indispensable to formulate the accounting principles and standards, since they provide accounting principles and standards with "structural" or "technical" foundations. And the type B axioms are meaningful and indispensable to formulate accounting principles and standards, since they provide accounting principles and standards with "objectives", "guidance" or "motivation". Accounting axioms cannot play an adequate role as a meaningful foundation of accounting principles and standards unless they involve the above type A and B of axioms. Since traditional accounting axioms (type A) were mainly derived from the generalization of accounting principles and standards in order to throw light on the technical limitations or some conventional concepts of accounting, it is obvious that they were meaningful to explain or support the so-called general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 KCI등재

        조선 후반기 불화 연화문양 도상 연구

        고승희 ( Seung Hee Koh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4 강좌미술사 Vol.43 No.-

        이 논문은 조선 후반기 불화 불의에 시문된 蓮花紋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蓮花紋은 4 세기 중반 이후 등장하는 고분벽화의 연화문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고려시대 이후 본격적인 불화조성과 더불어 불의의 장엄요소 중 가장 으뜸으로 여겨지게 되었고 예술성 또한 높은 경지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도 이와 궤를 같이 하여 불·보살상의 불의에 표현되는 여러 가지 문양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문양은 연화문으로, 특히 조선시대 후반기에 이르면 시문위치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장식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후반기 불화 중 특히 예불화의 핵심인 괘불화를 중심으로 불의에 장엄된 연화문양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를 논하기에 앞서 먼저 연화문의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 다음으로 조선 후반기 불화 불의 연화문의 시문 위치에 따른 연화문의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는 조선시대 후반기 불화 불의에 표현된 연화문의 시기별 양식변천에 대해 파악해보았다. 불화의 아름다움은 구도나 형태, 색채와 선, 그리고 문양의 조화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가운데 다른 요소들은 구체적인 설명이 어려운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면이 농후하다고 하겠으나, 문양은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결과로서 불화를 보다 아름답게 장엄해주고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고 있기 때문에 불화 조성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핵심요소로 중요시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불의 문양 가운데 연화문은 1 기(17 세기)에는 3 중판의 연화문이었다가 2 기(18 세기)에는 이를 정리하여 2 중 연화문이 되고, 3 기(19 세기)에는 세련된 8 엽 단판연화문으로 변천하고 있어서 시기별로 연화문이 어느 정도 변화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시기별 화사집단에 따라 연화문이 변화하고 불화양식 또한 변화를 보여 불의 문양의 변화는 불화양식 변화를 가늠 할 수있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조선 후반기 불의의 연화문양은 조선 후반기 불화의 양식특징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조선 후반기 불화의 편년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lotus design patterned on Buddha ‘s robe in Buddhist paintings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origin of lotus pattern can be found in lotus patterns in mural paintings that began to appear in the mid 4th century, and it became regarded as the supreme of solemnity elements of Buddha ‘s robe with the active crea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Koryo Dynasty, and its artistry also reached a high level. In the same context, lotus pattern was most central among various patterns expressed on Buddha ‘s robe in Buddhist and Bodhisattva images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and particular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attern was u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patterning. Thus, this study examined solemn lotus patterns on Buddha ‘s robe, centering on Buddhist banner paintings, which are the core of Buddhist ritual paintings, among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efore the discussion, the meaning of lotus pattern was explored first, and then the types of lotus pattern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patterning on Buddha ‘s robe in Buddhist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and lastly, the development of the style of lotus pattern expressed on Buddha ‘s robe in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nalyzed according to period. The beauty of Buddhist paintings is determined by the harmony of composition, form, color, line, and pattern. Most of these elements are rather abstract and subjective, so hardly explainable, but pattern is a somewhat tangible and visible element and it solemnifies Buddhist paintings in a beautiful way and explains them concretely. For this reason, pattern is an indispensable element in creating Buddhist paintings. Lotus pattern on Buddha ‘s robe evolved from the three-layered lotus pattern in the 1st period (17th century) to two-layered lotus pattern in the 2nd period (18th century) and to more sophisticated eight-leaf single-petal lotus pattern in the 3rd period (19th century). This development shows how much lotus pattern changed through different periods. Along with this, it was found that lotus pattern changed and the style of Buddhist paintings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group of monk painters in each period. This suggests that changes in the pattern of Buddha ‘s robe provide a crucial base for estimating the evolvement of Buddhist painting style. In this way, lotus pattern on Buddha ‘s robe us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expressing adequatel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rovides an important criterion for setting the chronology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南楊州 奉先寺 三身佛掛佛圖 圖像 硏究

        고승희 ( Seung Hee Koh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임진왜란 이후 불교는 법화사상이 크게 유행하여 석가불이 중점적으로 많이 조성되었으나, 17세기 이후에는 화엄사상이 주축이 되면서 비로자나불중심의 삼신불 도상이 많이 조성되는 변화가생긴다. 이러한 삼신불은 대승불교와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9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며, 조선 17-18세기에 이르면 후불도와 괘불도로서의 불화가 크게 유행하게 된다. 이 중 괘불도는 전형적인 군집도 형식과 독존도 형식으로 분류되는데, 봉선사 괘불도는 수타사 괘불도 이후의 전형적인 군집도 형식의 불화로 『화엄경』중심의 ``毘盧舍那三身佛``의 화엄설법장면을 표현한 그림으로서 서울·경기지역 삼신불괘불도 도상을 선도한다는데 학술적·자료적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남양주 봉선사 삼신불괘불도는 19세기 이후 삼신불괘불도의 도상적 시원이 되고 있음은 물론,불·보살과 군상들의 배치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매우 특이한 형식으로 새로운 2단 구도를 창출해내고 있다. 또 화기 중의 내용으로 보아 尙宮 이씨가 왕비(寧嬪 김씨)의 영가천도를 위해 조성한 왕실발원불화이면서도 기존의 괘불도와 차별화된 도상과 형식을 갖고 있다. 채색은 황토색과 난색 계열의 색채와 호분이 많이 가미된 중간색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전반적으로 따뜻하고 부드러우면서도편안한 느낌을 주며, 담채기법의 적용과 거친 듯 유연한 필선의 구사 등의 표현기법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불교회화사적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이처럼 봉선사 삼신불괘불도는 기존의 괘불도와 차별화된 독창성을 발휘하고 있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Although Sakyamuni statutes were the main trend based on the Lotus ideolog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year of Imjin (1592), Trykaya especially Vairocana came to be popular after the 17th century with the introduction of Hwaeom. Such Trykaya are closely related to Mahayana Buddhism and became very popular from the 9th century. By the 17th to 18th century, Buddhist paintings such as Rear paintings and Banner paintings became very popular. Among them, Banner paintings can be classified as group type and single statue type.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s a typical Buddhist painting following that in Suta-sa Temple. It shows Hwaeom sermon scenes of Vairocana Trykaya in the Avatamska Sutra and is meaningful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y and materials in that it leads the iconography of Trikaya banner paintings in Seoul and Gyeonggi. Trikaya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n Namyangju is the origin of the iconography of Trikaya banner paintings after the 19th century and it creates a new two-ayer placing Buddha, Bodhisattva and people in unique positions. From the commentary of the painting,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is the Buddhist painting sponsored by royal family that Sanggung(尙宮) Lee prayed for the spirit of Queen 〔Youngbin(寧賓) Kim〕to go to heaven. It has different iconography and forms from existing Banner paintings. It uses warm colors including the earth color and mid-one colors with frequent use of aleuron, giving warm, gentle and comfortable feelings. It is very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 as it shows rough but flexible brush touch and thin coloring technique. As such, Trikaya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s very uniqu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Banner paintings. It is judged to be meaningful and worthwhile this painting because of such uniqueness.

      • KCI등재

        가사(袈裟)의 수용과 전개에 대한 연구

        고승희 ( Koh Seung 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21 강좌미술사 Vol.56 No.-

        본 연구는 가사(袈裟)의 수용과 전개에 대한 논문이다. 우리나라 가사의 전통은 불교 전래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삼국시대 이후 고려와 조선시대의 가사는 불교회화와 조각, 기타 유물 등 불교미술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불교가 가장 융성했던 고려시대에는 특히 다양한 주제로 그려진 불화를 통해 잘 살펴볼 수 있는데 고려불화에 보이는 불·보살상의 법의(法衣) 표현은 우리나라 전통 가사의 맥을 파악하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가사를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Ⅱ장에서는 불전(佛傳)과 율장의 가사 연원과 분소의(糞掃衣)와 할절의(割截衣)의 발생과정을 살펴보았고, Ⅲ장에서는 인도와 중국 불교미술에 표현된 가사의 형식을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우리나라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불화에 표현된 불·보살상 가사의 구성과 형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 가사의 의미를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가사의 기원은 분소의와 할절의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래된 가사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른 영향으로 기후에 맞게 변화되었으며, 우리나라 또한 중국에서 변화된 가사가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우리나라 삼국시대 가사 유물은 통도사의 <석가여래 가사>와 <자장율사 가사> 등을 통해 기본적인 구성을 어느 정도 유추해 볼 수 있었으며, 쌍영총 등의 고분벽화에 표현된 승려 복식의 모습을 통해 편단우견의 조(條)가 없는 가사를 착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고려시대는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과 불교회화에 표현된 불상과 지장보살상, 진영도 등을 통해 법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해볼 수 있었다. 불상이 래영도인 경우 통천의와 할절의의 표현이 비교적 대등하게 표현되었고, 설법도인 경우 래영도와 달리 할절의를 표현한 도상이 빈도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 가사의 전개에 대한 면모를 모두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시대적인 변화에 따른 요청과 수용, 가사의 정립은 점차 실용성과 특수성으로 완성되어짐을 어느 정도는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thesis on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Kaṣāya (袈裟), monk’s costumes. It can be said that the tradition of Kaṣāya in Korea began with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and after the 'Three Kingdoms' era, the Kaṣāya of Goryeo era and Joseon era can be found in Buddhist art works such as Buddhist paintings, sculptures, and other relics. During the Goryeo era, when Buddhism was most prosperous, it can be seen especially through Buddhist paintings painted on various themes, and the expression of the monk's robe (法衣) of the Buddha statue-Bodhisattva statue shown in Goryeo Buddhist paintings has a meaning as a very important data for grasping the veins of Korean traditional Kaṣāya. Accordingly, before examining Kaṣāya in Korea, in Chapter Ⅱ, the origin of Kaṣāya in Buddhist Buildings (佛傳) and Vinaya Piṭaka,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Bunsoui costume (糞掃衣) and Haljeolui costume (割截衣) were examined. In Chapter II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rm of Kaṣāya expressed in Buddhist art in India and China. In Chapter IV, the composition and form of Buddha statue Kaṣāya - Bodhisattva statue Kaṣāya expressed in Buddhist paintings during the Three Kingdoms' era and Goryeo period in Korea were examined, and through this,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Kaṣāya in Korea was examined. As a result, first, Kaṣāya's origins began with Bunso Costume (Clothes made from shit wipes in the toilet) and Haljeol Costume (Clothes made by dividing and splitting fabric), and based on this, Kaṣāya, which was introduced from India to China, has been changed to suit the climate due to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d Kaṣāya was transmitted from China as well in Korea. Second, the relics of Kaṣāya from the Three Kingdoms' era in Korea were able to infer the basic composition of the Tongdosa temple's < Sakyamuni Kaṣāya > and < Jajangyulsa Kaṣāya > to some extent, and through the appearance of monks’ costumes expressed on tomb murals such as Ssangyeongchong Tomb, it can be seen that the shape of Buddhist statue clothes revealing the right shoulder of the Kaṣāya without Jo (條) was worn. Third, in the Goryeo era, through < Huirangjosa wooden statue > at Haeinsa temple and Buddha statue, Ksitigarbha statue, Jinyeongdo, etc. expressed in Buddhist paintings, the composition of monk's robe could be specifically grasped. In the case of the Buddha statue as a standing figure statue, The expressions of Tongcheon costume (whole piece cloth costume) and Haljeol costume (split cloth costume) were expressed relatively equally, and in the case of a seated statue, unlike a standing figure statue, it was confirmed that the iconography expressing the Haljeol costume showed a high frequency. Although there was a limit to grasping all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Kaṣāya through the above studies, to some extent, it could be seen that the request and acceptance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the establishment of Kaṣāya are gradually completed with practicality and specificity.

      • KCI우수등재

        호텔 하우스키핑 여성 객실 청소 업무종사원의 직업정체성 인식과 대응

        고승희(Seung-Hee Koh),김형곤(Hyoung-Gon Kim) 한국관광학회 2024 관광학연구 Vol.48 No.2

        이 연구는 중⋅고령 여성들이 호텔 객실 청소 직종에 종사하면서 겪는 노동 경험에 대한 인식과 대응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며, 그들이 새로운 직업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면밀하게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서울 특급호텔에서 2년 이상 재직한 객실 청소 업무종사원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내러티브 방법론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연구자는 이 방법론이 호텔 여성 객실 청소 업무종사원들의 직업정체성, 사회문화적 위치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객실 청소업무종사원들의 직업정체성이 ‘호텔 노동시장으로의 진입 배경’, ‘청소 노동에 대한 부정적 현실 인식’, ‘부정적 현실의 변화를 위한 대응 전략’, ‘긍정적 호텔리어 정체성 구축’, 네 단계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호텔 노동시장에 자발적으로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직업이 혐오 노동으로 간주 되면서 겪는 비난과 폄하로 인해 부정적인 경험을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들은 이러한 부정적 경험에 대응하여 심리적⋅행동적 전략을 능동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직업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유지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호텔 여성 객실 청소 업무종사원들이 정체성 작업을 통해 사회적 위치를 어떻게 유지하는지 보여주며, 직무와 정체성의 연결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객실 청소 업무종사원을 위한 인적 자원 관리 전략에 관한 학문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elderly women, working as hotel room attendants, perceive and respond to their work experience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job identity.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hotel room attendants employed at a luxury hotel in Seoul for over two yea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narrative methodolog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 positive job among room attendants was constructed through four stages: ‘background of entry into the hotel labor market’, ‘negative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dirty work’, ‘response strategy to negative reality’ and ‘construction of a positive hotelier identity’. Although the participants entered the hotel labor market by conscious choice, they had to confront negative prejudice related to the concept of dirty work and experienced constraints in their profession. In response to this, they adopted diverse coping strategies to modify their psychological attitudes, which led to a favorable transformation in their job identity.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how hotel housekeeping female room attendants maintain their occupation through a series of identity works in managing their job-related tasks and social relationships.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adop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for female room attendants.

      • KCI등재

        한국경영사학회 30년사(1986〜2016)

        고승희(Seung-Hee Koh) 韓國經營史學會 2017 經營史學 Vol.82 No.-

        한국경영사학회는 1986년 12월 9일에 창립되었다. 금년(2016)은 창립30주년에 해당한다. 그 중에서 창립기는 1986년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의 9년 6개월간이다. 그 기간 동안 한국경영사학회가 지나온 행적은 학회창립의 전사시대와 태동기의 지나온 발자취 뿐만 아니라, 창립기의 학술연구활동과 학회지의 발간 등, 경영사학 연구의 기반을 다지 기 위한 노력의 성과이다. 창립기의 리더는 3분이다. 초대와 2대회장인 김병하 교수, 3대회장인 황명수 교수, 그리고 제3대 회장인 김광수 교수이다. 본 학회의 창립기는 우 리나라 경영사학연구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특징을 갖는다 This paper is approached to the track of founding period of Korea Business History Society.. The Society was founded at December 9, 1986 in Taegu city. The organizing leader of this association was ByungHa Kim, professor of Keimyung University. And next leader as 3rd chairman was MyungSoo Hwang, professor of Dankook University. In this period, the 3rd leader as 4th chairman was KwangSoo Kim, professor of Soongsil University. They had contributed their efforts to 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ociety. The Society has reached the 30th anniversary of its establishment at this year. The trace of its founding period was based on the term for 9 years from 1986 to 1994. In this term, the results of academic research and activities of the Society is composed of as follows: 1) The history of the preceding age of its establishment, 2) The quickening period for organization of the Society, 3) The foundation and academic researching activities, 4) The starting term of the Society as all national academic association , 5) The publishment of academic magazines and research movements. As results, the feature of its founding period from 1986 to 1994 is to be organized environment of academic activities,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Society. So, we believe that the Society has presented a milestones on the academic wayside of business historians in our country after its foundation of 198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