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방천에 서식하는 열목어의 개체군 특성 및 물리적 서식환경과의 상관관계

        고민섭,최준길,이황구,Ko, Min Seop,Choi, Jun Kil,Lee, Hwang Goo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홍천군 명개리 열목어 서식지인 계방천의 어류 군집과 열목어 개체군 특성 및 서식지 주변 토지이용에 따른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8년 7월, 9월, 10월 총 3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6과 13종 882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금강모치, 아우점종은 참갈겨니로 확인되었다. 채집된 어류 중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열목어와 가는돌고기가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 제259호인 어름치가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종은 총 10종으로 76.92%의 매우 높은 고유종 빈도로 나타났다. 계방천에서 열목어 추가조사를 포함하여 3회 조사 동안 총 99개체의 열목어가 채집되었다. 열목어 개체군의 생육상태와 생식능력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전장-체중 상관관계 분석 및 비만도 지수(k)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열목어의 회귀계수 b값은 3.1272, 비만도 지수(k)는 0.0006으로 분석되어 조사지역의 열목어 개체군은 비교적 안정적인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비교적 낮은 값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장빈도분포 분석 결과 당년생 60~130mm, 1년생 140~200 mm, 2년생 이상의 개체는 200 mm로 추정되었다. QHEI는 130.0 (±2.0)~159.0 (±1.0)의 범위인 '양호~최적' 등급으로 분석되었다. HSI를 분석한 결과 최적의 수심은 0.45~0.55 m와 1.0 m 이상, 최적의 유속은 0.55~0.65m s<sup>-1</sup>, 하상은 Boulder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별 인근 토지이용 비율을 분석한 결과 산림지역 66.26~96.31%, 농업지역 0.00~23.79%, 도시지역 0.00~4.19%, 기타지역 3.69~8.87%로 분석되어 대부분의 지점에서 산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농업지역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지점별 출현한 열목어 개체수와 다양한 항목 간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QHEI와 산림지역과는 양의 상관성(p<0.05), 농업지역과 도시지역과는 음의 상관성(p<0.05, p<0.01)으로 분석되어 서식지 주변의 토지이용 유형 및 변화 정도에 따라 열목어 개체군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열목어 개체군 보호 및 관리를 위해는 서식지 주변 토지이용에 따른 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ecological data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anchurian trout habita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growth status of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CA) between the B. lenok tsinlingensis population and the use of the land around Gyebangcheon stream. Sampling was conducted twice in July, September, and October 2018. During the July and September surveys, 882 individuals belonging to 13 species from six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d the sub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 The total number of B. lenok tsinlingensis collected was 99. The results of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the B. lenok tsinlingensis population were analyzed with a regression coefficient b value of 3.1272 and a condition factor (k) value of 0.0006. Therefore, the growth condition of B. lenok tsinlingensis was regarded as fairly good. The QHEI(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value in the B. lenok tsinlingensis habitat was 119.5(±0.5)-153.5(±0.5), indicating optimal-suboptimal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HIS (Habitat suitability index)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mal habitat for B. lenok tsinlingensis was 0.45-0.55m and >1 m in water depth, 0.55-0.65 m s<sup>-1</sup> in water velocity, and boulder in the substrate. The ratio of the land use in this study site was analyzed as 66.26-96.31% for forest and grassland areas, 0.00-23.79% for agricultural areas, 0.00-4.19% for urbanized areas, and 3.69-8.87% for others. Correlation analysis of the number of B. lenok tsinlingensis and various factor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QHEI and forest and grassland areas, agricultural areas, and urbanized areas.

      • 제4분과 : 야생동물 ; 북한산국립공원 송추계곡의 어류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분포특성

        왕주현 ( Ju Hyoun Wang ),허진욱 ( Jin Uk Hur ),고민섭 ( Min Seop Ko ),정성훈 ( Sung Hun Jung ),이승현 ( Seung Hyun Lee ),최준길 ( Jun Kil Choi ),이황구 ( Hwang Goo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북한산국립공원은 국내 대표적인 도심형 국립공원으로 수려한 자연경관과 문화자원을 온전히 보전하고 쾌적한 탐방 서비스제공을 위하여 1983년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북한산국립공원 중 특히 송추계곡은 연간 약 30만명이 찾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휴양지로 이용되고 있다. 현재 송추계곡은 국립공원 지정 이전인 1963년 서울 교외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서울 근교의 유원지로 개발되어 음식점, 수영장 등 편의시설의 무분별한 증가와 불법무질서행위가 반복적으로 발생되어 계곡 내 인위적 교란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로 인한 생물서식처 위협, 상업시설 난립으로 인한 경관의 훼손, 불법행위 예방단속으로 인한 주민과의 갈등 심화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야기되어 왔다. 이에국립공원에서는 송추계곡 주변 환경을 개선, 불법 영업 행위의 근절, 재해위험지구의 정비 등 송추이주사업을 통하여 국립공원의 지속가능성 확대와 21세기 국가 생태경쟁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2001년 이주사업 조사 연구 시행, 2011년이주단지조성 사업시행계획 결정 고시 등 사업을 추진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송추이주사업으로 인한 수생태계 회복의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사업 전 송추계곡의 상류-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어류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송추이주사업 이전의 수생태계 현황 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또한 송추계곡의 어류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 연구는 별도로 이루어진 적이 없으며, 단지 북한산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을 통하여 조사된 바 있다. 특히 송추이전사업과 같은 커다란 환경변화는 송추계곡이 유원지로 개발된 이후 전무하므로, 사업 전·후의 생태계 변화자료는 큰 의미를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본 조사는 2012년 11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총 3회에걸쳐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의 선정은 이주사업에 따른 영향이 없는 상류의 대조구간(St. 1)과 이주구간(St. 2, 3) 및 이주구간 하류부(St. 4)의 총 4개지점을 선정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3과 4종 505개체가 출현하였다. 한국고유종으로는 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1종이 확인되었으며, 환경부지정 법적보호종과 생태계교란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우점종 및 아우점종은 버들치(Rhynch ocypris oxycephalus)가 478개체(94. 7%)로 우점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가 17개체(3. 4%)로 아우점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5강 9목 33과 77종 3, 805개체가 출현하였다. 날도래목이 24종(31. 71%)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하루살이목과 파리목이 각각 15종(19. 48%), 강도래목이 8종(10. 39%), 잠자리목과 비곤충류가 7종(9. 09%), 딱정벌래목이 1종(1. 3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청정하천의 지표로 알려져 있는 EPT분류군이 총 47종(61. 04%)의 점유율을 보여 전형적인 계류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구성을 나타내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파리목이 1, 926개체(50. 6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강도래목 516개체(16. 16%), 날도래목 590개체(15. 51%), 하루살이목 519개체(13. 6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 어류 군집분석 결과 St. 1~3까지는 산간계류의 특성상 버들치 1종만 출현하여 군집분석이 불가능하였으며, 하류인 St. 4의 우점도지수는 0. 93, 다양도지수는 0. 66, 풍부도지수는 0. 61, 균등도지수는 0. 48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결과 대조지점인 St. 1은 우점도지수 0. 52(±0. 16), 다양도지수 1. 95(±0. 44), 균등도지수 0. 81(±0. 04), 풍부도지수 2. 25(±0. 85)로 비교적 안정된 군집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하류지점인 St. 4는 우점도지수 0. 76(±0. 07), 다양도지수 1. 37(±0. 37), 균등도지수 0. 51(±0. 12), 풍부도지수 2. 40(±0. 81)으로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군집구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간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한 버들치의 전장-체중 상관관계 분석 결과, 성장도지수는 1차조사(11월)시 2. 91로 회귀계수 b값의 기준값인 3. 0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2차조사(4월)와 3차조사(8월)시에는 각각 3. 11과 3. 00으로 기준값 보다 높거나 유사한 값으로 나타났다. 비만도지수는Slope(기울기)가 1차조사(11월)시 -0. 0038, 3차조사(8월)시-0. 0006으로 음의 값으로 분석되어 생육상태가 다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조사(4월)에서는 0. 0033으로 양의 값으로 분석되어 생육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섭식기능군을 분석한결과 St. 1은 다른 조사지점들에 비해 Shredders가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중·하류인 St. 2, 3, 4로 내려갈수록 출현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Collector-gatherer와 Collector-filterer는 상류인 St. 1에서 St. 2, 3, 4로 내려갈수록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식기능군을 분석한 결과 상류인 St. 1에서 하류인 St. 4로 내려갈수록 Clingers와 Burrowers의 비율이 증가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구간의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한 KSI지수 산출결과 1차조사(11월)시 B등급인 St. 3을 제외한 St. 1, 2, 4 모두 수질등급이 A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탐방객의 이용이 적은 11월에 수질등급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