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해 도서 일부 지역의 밭농사

        고광민 ( Kwang Min Koh ) 쌀.삶.문명연구원 2009 쌀삶문명 연구 Vol.3 No.-

        이 글은 전남 신안군 가거도·갈도, 충남 보령시 고대도, 인천 옹진군 문갑도·소청도·대연평도·소연평도에서의 현지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밭농사 기술의 지역적 다양성을 보여주고, 그 다양성의 배경에 존재하는 환경적 요인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 것이다. 기존의 농법과 농기구에 대한 연구는 대개 육지의 논농사가 중심이 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는 한반도의 농업환경이 지닌 지역적 다양성이 오히려 사상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도서지역의 밭농사에서 구사되는 농법과 농기구에 주목함으로써 오히려 작고 좁지만 남북으로 길게 누운 한반도가 지닌 농업환경의 다양성이 드러날 수 있었다. 그 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이 되었던 서해 도서 지역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경기구(耕起具)는 토양특성 및 경사도 등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는데, 쟁기(호리, 겨리) 외에 따비(외날, 쌍날)가 다수 나타나지만, 돌멩이가 많은 곳에서는 호미, 경사도가 심한 곳에서는 가래가 사용되었다. 둘째, 겨울작물인 보리는 어느 곳에서나 고랑에 조파(條播)되었는데, 이는 겨울철의 한해(寒害) 방지와 관련이 있고, 밑거름으로 어비(魚肥)가 사용되는 경우는 소 사육이 불가능한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여름작물로 고구마와 잡곡 중 전자가 우세한 곳은 해수(海水) 피해가 심한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중 최북단인 소연평도에서는 온돌 묘상(苗床)에서 모종을 키운 후 이식(移植)한다. 잡곡은 대개 두둑에 점파(點播)하지만 수수와 메밀은 고랑에 조파되었는데, 전자는 두둑 위에 콩을 점파하고 그 사이의 고랑에 혼작(混作)되는 경우이며, 후자는 파종시기가 장마 종료 이후라는 점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e regional diversities of dry field agricultural methods in a few islands of the West Sea and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 behind the diversities. Precedent researches on agricultural methods were generally under a bias toward the inland paddy fields and had tendencies to represent the regional varieties as a whole unity. On the contrary, dry field data collected in the West Sea islands illuminate the regional diversities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stretches narrowly but lengthways north and south.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rieties of plowing tools in the West Sea islands are prescribed by the soil properties and the gradient of the fields. Plows were drown by one ox in some islands, but by two in another island, and also ddabi(digging plows) was used in the other islands. But homi(weeding hoe) was used for plowing in rough islands having lots of gravels, gare(rope-attached shovel) in steep inclined islands. Second, barley, winter crop of dry field double cropping, was seeded in furrow, so as to prevent the damage from cold weather. Cowhouse manure was generally used for Basal application of fertilizer, but in some islands where cannot breed cattle, fish manure was substituted. Third, sweet potatoes and various minor grains were seeded for summer crops, the former was preferred in the island frequently damaged by sea water. In Soyeonpyeong-do, the coldest islands in the fieldwork area, sweet potato was transplanted from ondol(Korean under floor heating system) seedbed. Minor grains are generally planted on ridge by spot-seeding, but sorghum and buck wheat are in furrow by line-seeding. sorghum was mixed crop planted between the soy been planted ridge, buck wheat was planted after the rainy season, so they have no need to be seeded on the ridge.

      • KCI등재

        나룻배와 나루터 이삭줍기 紀行

        高光敏(Kwang-Min Koh)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6 島嶼文化 Vol.28 No.-

          이 글은 한반도의 수많은 부속도서 중에서 智島와 그 부속도서의 사라진 나룻배에 관한 견문과 전남 다도해 지역의 나룻배에 대한 소견을 紀行文으로 밝힌 것이다.<br/>   智島를 중심으로 한 나룻배 圈域에는 13개의 나룻배가 있었다. 그리고 그만큼 나가시(‘나루질 값이’의 준말임) 圈域이 있었다. 나룻배의 往復은 나루터와 나루터 사이 직선거리의 차이에서 말미암아 於義島와 智島, 智島와 鎭島의 나룻배는 定期往復, 그 나머지 나가시 圈域의 나룻배는 隨時往復을 하였다. 定期往復은 직선거리가 멀어 소리나 연기 등으로 意思傳達이 불가능한 곳에서 하였고, 隋時往復은 직선거리가 멀지 않아 소리나 연기 등으로 意思傳達이 가능한 곳에서 하였다.<br/>   나룻배는 돛이 있고 없음이 반드시 나루터와 나루터 사이 직선거리의 차이에서만 드러나는 것은 아니었다. 智島 外楊里의 나루터와 海際面 糠山洞의 나루터의 직선거리는 1,500m이지만 돛이 없는 너벅선(돛이 없는 나룻배)이었고, 沙玉島 塔仙나루터와 智島 古沙里나루터의 직선거리는 1,300m이지만 돛이 2개인 나룻배이었다. 沙玉島 → 智島의 나루터는 外洋에 있어 바람의 영향이 크게 미쳤기에 직선거리는 짧지만 돛이 2개인 나룻배를 부렸고, 智島 → 糠山洞의 나루터는 內灣에 있어 바람의 영향을 덜 받았기에 직선거리는 멀지만 너벅선을 부렸던 것이다.<br/>   나가시 圈域에 家戶 수가 많아 나가시를 받은 것만으로 생계를 꾸리기가 비교적 넉넉한 지역에서의 나룻배는 사공의 개인소유가 많았고, 나가시 圈域의 가호 수가 많지 않아 나가시를 받은 것만으로 생계를 꾸리기가 비교적 어려운 지역의 나룻배는 섬사람들의 공동소유인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나가시 圈域은 하나의 섬, 또는 여러 개의 섬이 하나의 권역을 이루거나, 하나의 섬이 여러 개의 圈域을 이루기도 한다. 智島의 경우 하나의 섬이 네 개의 圈域으로 갈리는 수도 있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사공에게 논이나 밭의 補助田을 제공하는 수도 있었다. 나룻배의 정박지(碇泊地)는 해당된 나가시 圈域 안에 있었다. 나가시의 명칭은 ‘지방세(또는 지방), 나가시, 석수, 보구’가 있었다. 지방, 또는 지방세는 地方稅에서, 석수는 石數, 나가시는 나룻배 값에서 비롯하였던 것이다. This writing is the travel journal to show the view of row boats at Cheonam Dadohae region.<br/> Also, this writing shows the knowledge about row boats which disappeared around Jido and the island around Jido, one of many islands located off the Korean peninsula. There were thirteen rowboats around the special area for rowboats based at Jido. There were special regions named Nakashi (Nakashi is an abbreviation for the passenger’s fare).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a straight trip, the return journey between Oido and Jido and also between Jido and Jindo was regular and the return journies between the remaining Nakashis were irregular. The normal return journey took place for areas with a large distance so it was impossible to communicate with noise or smoke. Irregular return journeys took place for areas with short distances so it’s possible to communicate by noise or smoke.<br/> Some rowboats were fitted with sails but others were not fitted with sails. The inclusion of sails had no relationship to the distance between bays. Even though the direct distance between bays such as Gangsandong,Haejaemyun and Waeyangni, Jido was 1500 meters. The boats that operated between these locations were named Nobok boats, which was the name<br/> given to row boats without sails. While there were two row boats fitted with sails operating despite the direct distance being 1,300 meters between Tapson Bay, Saok Island and Gosari Bay at Jido. Because of the shape of bays between Saok Island and Jido, the wind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is route, so even though the distance was shorter, row boats fitted with twin sails were operated.<br/> Even though the distance was longer between Jido and Gangsandong bays, Nobok boats were in operation because those bays were protected from wind. Some Nakashis had many houses located within their vicinity, so these areas were reasonably affluent so as a result some rowboats were owner-operated. Other Nakashis didn’t have as many houses so it was more difficult for them to make a living. As a result, in those areas, the entire population of an island shared their rowboat(s). Nakashi consisted of one island or several islands. Sometimes one island consisted of several Nakashi. In case of Jido, there were four Nakashis. In some regions rice fields and fields were offered to rowboat operators. Rowboats were berthed at a Nakashi, and there were several names for Nakashi, such as Jibangsae (or Jibang), Soksu and Bogu. The name for Jibang originated from local tax.<br/> Soksu originated from the counter for grains of rice (in Korean, one sack of rice is counted as ’han som'). Nakashi originated from the name of the passenger’s fare for the rowboats.<br/> <br/>

      • 영동과 영서, 강릉 구정리와 인제 방동리의 생업문화의 대비

        이혜연 ( Hye Yeon Lee ),고광민 ( Kwang Min Koh ) 쌀.삶.문명연구원 2011 쌀삶문명 연구 Vol.4 No.-

        이 글은 한반도 영동(嶺東)과 영서(嶺西) 두 지역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두 지역의 전통적인 생업문화를 대비적 관점에서 구명(究明)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밭농사, 호리쟁기와 겨리쟁기, 그에 따른 농우(農牛), 그리고 산야의 이용에서 두 지역은 서로 극명하게 대조를 보이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그 요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밭농사에 있어 영동지역은 1년 2작의 지대인데, 보편적인 윤작구조(輪作構造)는 감자 - 보리 - 조(또는 콩)를 단작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영서지역은 1년 1작의 지대인데, 보편적인 윤작구조는 조와 팥 - 옥수수와 콩을 혼작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두 지역은 단작과 혼작이라는 데서 극명하게 대조를 이루고 있었다. 둘째, 밭을 일구는 쟁기에 있어 영동지역은 호리쟁기, 그리고 영서지역은 겨리쟁기였다. 따라서 영동과 영서 두 지역은 쟁기의 구조는 물론, 그 쟁기를 끄는 농우의 수도 서로 달랐다. 영동지역의 호리쟁기는 한 마리의 농우로만 밭을 일구었지만, 영서지역의 겨리쟁기는 두 마리의 농우가 아니고서는 밭을 일구어낼 수 없었다. 그러므로 두 지역에서는 한 마리의 농우의 탄생과정도 극명하게 대조를 보였다. 셋째, 영동지역 사람들은 산야에서 땔감과 재목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 주된 목적이었고, 화전을 일구는 일은 전승하지 않았다. 한편 영서지역의 사람들은 산야에서 화전을 일구는 것이 주된 목적이었다. 이렇게 두 지역은 산야의 주된 이용목적에서 뚜렷하게 대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 글은 두 지역의 전통적인 생업문화의 차이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을 뿐, 그 문화적 배경까지는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This article aims to contrast the subsistence cultures of the two regions, Yeongdong(嶺東) and Yongseo(嶺西), divided by the most largest mountain range in Korean Peninsula. Grounded on the fieldwork data, it clarifies the main difference in significant aspects of their ways of livelihoods-dry field farming, plow, draft ox and utilization of mountains and hills. The main points are as follows. First, in Yeongdong, double crop(two crops per year) was general ways of dry field farming, but in Yeongseo, they usually had single crop(one crop per year). The former had mono-crop system in individual field, rotating potato, barley and millet(or soybean). But the latter adapted the mixed crop system, mix-planting millet and small red bean, or corn and soy bean. Second, in Yeongdong, Plows were generally drown by single ox, but Yeongseo regions were dominated by two-ox plow. Not only the number of draft ox, but also the structure of plows differed between two regions. As a logical consequence, even the birth process of draft ox reflected the regional specificities. Third, in Yeongdong, mountains and hills were mainly utilized for securing fire woods and lumber woods. But in Yeongseo, They widely developed the mountains and hills for slash-and-burn farming. So the places in subsistence culture of semidomesticated lands had a marked contrast between the two regions. But this article shows only the positive differences of traditional subsistence culture of the two regions. The elucidation of cultural backgrounds of the difference remains untouched for future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