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lex maiestatis in the Early Principate

        Ko Kyung-Joo(고경주)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0 서양고대사연구 Vol.27 No.-

        소위 마이에스타스 법은 원수정기 프린켑스에게 실제 음모자 내지 잠재적 음모자를 처리할 수 있는 편리한 법적 방편을 제공해 주었다. 사실, 프린켑스의 유용한 권력안보 도구로서의 마이에스타스 법은 원수정 시기에 들어와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었다. 공화정 시기에도 마이에스타스 범죄를 다루려는 여러 차례의 법률적 시도들이 있었고, 마이에스타스 범죄의 정치적 무기화는 원수정 시기만의 독특한 현상인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원수정 체제 하에서는 프린켑스의 마이에스타스에 대한 집중된 보호와 관련, 마이에스타스 범죄의 무기화가 한층 활발히 이루어졌다. 프린켑스에게로의 보호 집중은 ‘감소된 마이에스타스’에 의해 상처받는 범위를 프린켑스 본인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을 포함하는 것으로까지 확장시킴으로써, 황실구성원과의 간통 같은 성적인 문제가 간통금지법 위반이자 마이에스타스 법 위반으로서 해석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냈다. 그처럼 프린켑스의 마이에스타스가 확장되어갔던 상황 하에서는 미처 범법 행위라고 생각할 수도 없는 것들이 범죄인양 기소되는 일까지 벌어질 수 있었다. 게다가, 원수정 시기에 들어와 문필상의 중상이 새로운 마이에스타스 침해 유형으로서 마이에스타스 법에 의해 다루어짐으로써, 마이에스타스 법은 권력안보를 위한 도구로서의 효용성을 높여갔다. 프린켑스의 마이에스타스가 관련될 경우 규정된 처벌을 넘어서는 응징을 제안해가며 프린켑스를 기쁘게 하려던 원로원의 굴종 역시 법리적인 차원이 아니라 정치적인 차원에서 마이에스타스 법이 무기화되는 데 한 몫을 담당하였다.

      • KCI등재

        로마 제정 초기의 웅변술 쇠퇴 담론

        고경주 ( Ko Kyung-joo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6 No.-

        서기 1세기와 2세기 초반 로마의 여러 저술가들은 소위 웅변술의 쇠퇴를 의식하면서 그와 같은 쇠퇴를 불러일으켰던 원인들에 대하여 논하였다. 그 시대의 로마인들이 제시하였던 원인들은 다양하였지만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유형을 정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유형의 원인론으로서는 정점에 도달한 것은 필연적으로 쇠락할 수밖에 없다는 자연의 법칙을 웅변술 쇠퇴의 문제와 관계시키는 설명을 들 수 있다. 벨레이우스 파테르쿨루스의 설명이 바로 그러한 유형에 속한 것이고 노 세네카가 지적하는 웅변술 쇠퇴 원인 세 가지 중의 하나 역시 필연적 쇠퇴론을 담고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윤리적인 타락과 교육의 문제로부터 웅변술 쇠퇴의 원인을 구하는 것이다. 이것은 제정 초기 웅변술 쇠퇴론 중 가장 많은 저자들에게서 거론되는 원인론으로서, 노 세네카가 사치풍조의 만연을 주요 원인으로서 비판하거나 위-롱기누스가 부와 쾌락에의 추구로 인해 웅변술이 위축당했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페트로니우스가 그려내는 세상 역시 탐욕이라는 윤리적인 문제로 인해 전반적인 문화적 쇠퇴를 겪고 있으며 그 중웅변술 쇠퇴는 당시의 타락한 교육 관행과 연결되고 있다. 웅변술과 관련된 교육의 문제는 특히 퀸틸리아누스에게서 핵심적으로 취급되었던 것으로서 당대의 교육을 웅변의 쇠퇴 이유로서 비판하고 있는 타키투스의 멧살라는 분명 퀸틸리아누스를 의식한 산물이다. 세 번째 유형은 정치적 상황변화와 웅변술 쇠퇴를 관련시키는 것인데, 이 시기 쇠퇴 담론의 대세를 이루는 것은 아니었다. 노 세네카에게서 모호한 형태로나마 사회, 정치적 변화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긴 하지만, 본격적인 정치적 원인론이라 할 만한 것은 위-롱기누스의 그리스어 저술을 제외한다면 타키투스 작품 속 마테르누스의 주장 속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이상에서 보듯, 웅변술 쇠퇴 담론의 대세를 이루는 것은 윤리적, 교육적 설명이지만, 어느 쪽이 문제에 대한 적절한 답변을 제시하고 있는가라는 차원에서 평가하자면 정치적 설명이 좀 더 문제의 주된 원인을 인식하고 있노라 할 수 있다. 황제의 의사가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니게 된 제정기에 웅변술은 정치적 결과들에 영향을 주는 도구로서의 중요성을 온전히 유지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일인지배 하에서 연설의 전반적인 기회는 공화정 시기에 비해 제한된 상태였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화정 시기뿐만 아니라 제정기에도 유지되었던 상황은, 로마의 엘리트에게 연설이란 것이 여전히 대중을 끌어들이고 명예 획득을 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남아있었다는 점이다. Many writers of the early Roman Empire showed concern for a real or alleged decline of oratory. Broadly speaking, there were three kinds of explanations. One was the explanation based on morals, another was considerations in terms of political change, and the other was the theory of growth followed by inevitable decline. Discussions on the decline of oratory appeared in the preface to the first book of Seneca's Controversiae, the opening scene of Petronius' Satyricon and the literary digression of Velleius' work. Quintilian, too, paid his attention to the problem. Although Quintilian's De Causis Corruptae Eloquentiae is not extant, we can catch a glimpse of his views on the subject from scattered passages in the Institutio Oratoria. At any rate, the most extensive discussion of the subject is Tacitus' Dialogus. Most of the authors found the causes in degraded morality or debased education, rather than in the influence of political institutions. Tacitus, more than any other writer on oratory, grasped the historical sense and was conscious of the change brought about by the establishment of the imperial system. To view the change in oratory in terms of political changes was more to the point than to blame defective education or the growth of luxury. Tacitus' approach applies best to the history of oratory which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political conditions. Oratory in the early Principate was deprived of inspiration coming from reality, since the forum was no longer the center of public life. However, oratory was still popular and retained immense cultural prestig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위인 아그리콜라와 폭군 도미티아누스

        고경주(Ko, Kyung-Joo) 한국서양고전학회 2014 西洋古典學硏究 Vol.53 No.1

        서기 97-98년 경, 타키투스는 자신의 장인이었던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의 생애를 다룬 첫 저작『아그리콜라』를 저술, 출판하였다.『아그리콜라』는 전기, 민족지, 지리지, 역사 등 다양한 장르의 특성들을 포함하면서 타키투스만의 독특한 전기 작품 세계를 형성해 낸다. 타키투스는『아그리콜라』에서 주인공 아그리콜라가 근면과 활력을 동반한 절제와 복종으로써 폭군 치하에서도 파멸에 이르지 않은 채 명성을 얻고 위대한 인물이 될 수 있었음을 주장한다. 시종일관 아그리콜라를 폭군 치세의 선인이라는 이미지로서 부각시키려고 하는 타키투스는 그에 그치지 않고 또 하나의 이미지를 자신의 장인에게 더해준다. 작품의 후반부에서 도미티아누스와 아그리콜라 간의 관계, 특히 황제 측의 악의와 시기를 강조함으로써 아그리콜라에게 희생자의 이미지를 보태 주고 있는 것이다. 타키투스는 한편으로는 도미티아누스의 무자비하고 음흉한 성정조차도 아그리콜라의 절제와 신중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었다면서 로마의 엘리트 계층이 제정, 특히 폭정 하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에 대한 답을 아그리콜라에게서 찾지만, 다른 한편으론 노골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도미티아누스의 악의를 굳이 지적하면서까지 그 악의의 부정적 영향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타키투스는 아그리콜라의 절제와 복종을 찬양하는 가운데 왜 굳이 폭군의 희생자라는 모습까지 애써 끼워 넣은 것인가? 이 문제에 답해보려는 시도는 무엇보다『아그리콜라』가 저술, 출판된 97-98년 시기의 정치,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해 보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 특히, 도미티아누스 암살 직후 폭군에 협조한 자들에 대한 응징의 목소리가 비등했던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 있다. 폭군에게 부역한 이들을 공격하려는 분위기는 타키투스에게서 불편한 감정을 유발했을 것이다. 타키투스는 도미티아누스 치하에서 경력 상의 단절이나 박해를 경험한 쪽이라기보다는 성공적인 관직생활을 영위한 편이었기 때문이다. 타키투스로서는 폭정의 시대에 취한 아그리콜라 같은 이들의 행보에 대해 설명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다. 그러한 설명은 불특정 다수를 향한 것일 수도 있겠지만『아그리콜라』속의 몇몇 대목들은 타키투스의 시도가 특정 집단 내지 부류를 특별히 의식한 것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타키투스는 소위 스토아적 저항 집단이라 불리는 폭정의 희생자들이 선택한 행동방식을 비판하면서 폭군 하에서도 국가에 봉사할 수 있는 최선의 사례가 있음을 애써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그 최선의 사례에 대한 타키투스의 주장이 완전히 내면화된 것이었는가에 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아그리콜라』에서는 그러한 덕성 발휘가 가능하다는 인상을 주고 있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군에 대한 복종의 해악은 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비로운 지배자 하에서도 역시 자유의 상실과 윤리적 타락이라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될 수 없다는 인식은 『아그리콜라』서언에서 이미 은연중에 드러난다. 타키투스는 폭군 도미티아누스의 시대가 끝난 뒤 원수정 체제와 자유가 양립할 수 있는 복된 시대가 찾아왔다고 말하지만, 그에게 행복한 새 시대는 단지 상대적인 의미에서 선할 뿐이다. Before the appearance of his major historical works, Tacitus wrote three short essays: the Agricola, the Germania, and the Dialogus. The first is a biography of his father-in-law, Gnaeus Iulius Agricola. But it is no ordinary biography, for within its brief compass it contains quite different matters. The Agricola is a blend of biography, history, ethnography, geography, and eulogy. The Agricola is also programmatic of all that follows, for in it are expressed Tacitus" fundamental views about the nature of autocracy and the precarious middle course that a senator who wishes to serve the state must take, avoiding servility and danger. In the Agricola his father-in-law provides an idealized model which Tacitus supports: a man who keeps his head low, carries out the tasks the emperor assigns him, and benefits the larger community of Romans. Agricola is depicted as a hero with all the standard attributes of the prudent and successful general. His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is moderatio. Applauding Agricola"s way, Tacitus criticizes the behavior of the martyrs. According to Tacitus, they gave up their lives to win fame, without regard for the interests of their fellow citizens. Defending Agricola and criticizing the so-called Stoic opposition, Tacitus also lends dignity and value to the lives of many members of the political class who survived Domitian. Tacitus himself is clearly one figure whose reputation could be helped. In spite of his moderatio, Agricola"s conquests stirred fear and jealousy in the emperor Domitian. Tacitus makes his effort to paint Agricola as one of the fallen victims of the tyrant. Through innuendo, reports of rumors, and selective communication of facts, Tacitus creates the impression of Domitian"s hostility toward Agricola. In the Agricola the rule of Domitian is representative of a time hostile to virtues. As a matter of fact, any emperor had an interest in ensuring that he was more prominent than everyone else, and that glory, especially for military achievements, was laid at his door. It was inherent to the principate that an emperor required the excessive share of glory. Tacitus regards the entire principate as a period that is potentially hostile to virtues. The accession of a bad emperor activates that hostility. Tacitus asserts that Nerva had united two irreconcilable elements, liberty and the principate. It is possible but unlikely that he actually believed this.

      • KCI등재
      • KCI등재

        디오니시오스의 로마기원론 : 제정 초 그리스 지식인의 로마제국관

        고경주 ( Ko Kyung-joo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0 No.-

        로마의 민족기원에 관한 표준적인 전승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확고히 자리 잡게 되었던 트로이 기원설이다. 하지만 그 표준적인 신화가 로마 제국 내 모든 이들의 동의를 얻은 것은 아니었다. 일부 그리스 지식인들은 그와 다른 이설을 제기하였다. 그 이설들 중에서 특히 주목해 볼만한 것은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대표적인 그리스 지식인들 중 한 사람으로서 『로마고대사』를 저술하였던 할리카르나소스의 디오니시오스가 제기하고 있는 설이다. 디오니시오스가 재구성한 설에 의하면 트로이인들은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그리스인 다르다노스로부터 유래한 종족이었다. 그러한 설은 다르다노스의 출신지를 이탈리아라고 여기는 베르길리우스의 언급과는 명백히 어긋나는 것이다. 디오니시오스의 그리스 기원설은 아우구스투스 시기에 정전화(正典化) 된 트로이 기원설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반(反)로마적, 반(反)아우구스투스적인 정서의 잔존물이 아닐까라는 첫인상을 준다. 하지만 그러한 인상과는 달리, 디오니시오스의 그리스 기원설은 오히려 로마 제국의 지배에 대한 그리스 세계 엘리트의 동화와 동참 의식을 엿볼 수 있는 사례이다. 디오니시오스가 로마인의 민족적 기원과 로마 창건자 로물루스에 관해 다루고 있는 부분은 『로마고대사』의 제1권과 제2권에 해당된다. 디오니시오스는 『로마고대사』 서술을 통해서 로마인이 혈통적인 면에서 그리스인 임을 보여줄 것이고 로마의 위대성을 낳게 한 관습과 제도들을 다루겠다는 두 가지 목표를 제시한다. 그 두 가지 중 그리스인과 로마인의 생물학적 혈연관계 확립이라는 과제는 제1권을 통해서 집중적으로 수행된다. 로마의 위대성을 낳게 한 관습과 제도들을 다루겠다는 과제는 『로마고대사』 전체를 관통하여 나타난다. 그렇지만 디오니시오스가 보기에는 로마 창건시기인 로물루스 치세야말로 향후 역사 발전의 향방을 결정짓는 로마의 행동 패턴이 그 모습을 드러낸 시대이다. 제1권에서 로마인이 생물학적으로 그리스인임을 밝혔다면, 제2권의 로물루스 시대에서는 로마의 관습과 제도가 그리스적인 토대 위에서 성립되었음을 설명한다. 로마인이 혈통으로뿐만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그리스 계통이라는 관념을 설파하려는 것이다. 같은 핏줄이라는 일차적이고 협소한 의미에서의 그리스인임을 넘어 로물루스 이래로 그리스적 가치에 기반 한 로마사회야말로 진정한 그리스 세계임을 천명하는 셈이다. 위와 같이 로마인의 그리스 기원설과 로마시 창건에 관해 다루고 있는 디오니시오스는 로마를 향해 아첨하는 단순한 변론자로만 생각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로마인들이 바르바로이가 아니라 그리스인이라는 생각이 든, 로물루스가 그리스적 선례들을 개선하고 능가하였다는 평가이든 간에 그 판단의 근저에는 그리스적 정체성이 자리하고 있다. 로마인이 혈통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바르바로이가 아니라는 주장은 그리스인과 바르바로이라는 이분법적 세계관의 타파가 아니라 로마인들을 그와 같은 그리스인들의 세계관 속에 재단해 넣는 작업인 것이다. 그리스인들에게는 로마에 대한 오해가 아니라 진정한 이해를 촉진하고 로마인들에게는 선조들과 같은 덕성의 발휘를 촉구하는 가운데 디오니시오스는 비굴한 아첨자도, 냉정한 관찰자로서의 이방인도 아닌 아우구스투스 제국의 일원으로서의 동화와 참여를 희망한다. The canonical tradition on Rome’s origin had been firmly established by the age of Augustus. According to the orthodox tale, the Romans derived from Trojan refugees under the leadership of Aeneas. The wandering Trojans headed west and eventually reached the land of Italy after bearing various hardships. The descendants of Aeneas made the founding of Rome effective via Lavinium and Alba Longa. That legend was enshrined in Virgil's Aeneid. In the epic, Greek influence on Roman ancestry was eliminated by providing Italian origins for Dardanus, the common ancestor of Trojans and Latini. The enthusiasm of Augustus for the Trojan legend is well known. One could cite, for example, Augustus’ testified interest in the Aeneid, the Aeneas panel on the Ara Pacis, or his own claim to Trojan descent in the Forum Augustum. Caesar tried to transform Aeneas from a symbol of ethnic identity to the progenitor of the Julii, and Augustus cemented the transformation through state monuments and literary productions of contemporary writers. However, the Trojan legend did not inspire all of the ancients. Dionysius of Halicarnassus in Augustan Rome, for example, believed that the Trojans were Greek. According to Dionysius’ Romaike Archaiologia Rome was a Greek city from its very beginnings. This is what Dionysius is concerned to prove throughout his first book of the Romaike Archaiologia. Every element which went into making up the early population of Rome was of Greek extraction. Italy was peopled with successive bands of Greek immigrants-Aborigines, Pelasgians, Arcadians, the followers of Heracles and the Trojans of Aeneas. The insistence on the Greek origin of Rome is not confined to the existence of a blood relationship between Greeks and Romans. In addition to establishing the shared kinship, Dionysius seeks to prove that many Roman social and political institutions are derived from Greek practices. Rome's Greekness is evident in Dionysius' account of the founding of Rome's constitution in the second book. The pattern of Roman behavior in Romaike Archaiologia goes back to one paradigm : Romulus' constitution. Dionysius' Romulus not only adopted Greek models but also improved them. Dionysius’ definition of Roman identity, as stated above, is at variance with the dominant ideology expounded by Augustan propaganda and Virgil’s Aeneid. This discrepancy is not an indicator of an opposition to Augustus' political program. Although his work may be far removed from simple flattery, it cannot be denied that he was favorably disposed toward Rome. Dionysius’ Romaike Archaiologia provides a strategy to make Roman power acceptable to the Greeks. But while acknowledging the impact of Roman power, any form of dominance needs to be justified in Greek terms in order to be acceptable. Dionysius uses the Greek-Barbarian dichotomy repeatedly and fits the Romans into the dichotomy.

      • KCI등재
      • KCI등재

        서기 1세기에서 3세기 초 속주총독의 사법권 하에서 로마시민의 상소권

        고경주 ( Ko Kyung-joo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7 서양고대사연구 Vol.50 No.-

        기원전 3세기 후반 최초의 로마 속주가 성립된 이래 비시민 속주민들은, 군사적 명령권으로부터 발원한 속주총독의 사법권이 적절하고 정당하게 발휘되지 않는 경우, 그로부터 보호받을 만한 법적 수단을 지니지 못하였다. 그에 비해 로마시민의 경우엔 속주총독의 부당한 사법권 행사에 대해 상소권을 주장할 수 있었다. 특히 공화정 시기와 달리 제정 하에서는 속주 총독의 사법권이 황제권의 개입으로 인한 제약을 경험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황제의 개입이 속주총독의 사법적 자율성을 약화시켰다 할지라도 속주에서의 자의적 사법행정을 극적으로 감소시켰던 것은 아니었다. 황제는 속주총독들에게 불만사항을 청취하고 조사를 행하라고 하지만 재판의 진행은 여전히 총독의 재량 하에 있었고 로마시민의 상소권은 이론이 아닌 현실의 세계에서는 자의적 재판을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보증이 되지 못했다. 서기 3세기 초반은 카라칼라의 조처로 로마시민권이 제국의 모든 자유민들에게 부여됨으로써 시민권의 가치에 종언을 고한 시기였지만, 이미 그 이전에도 점증하는 제국 내 시민의 수는 평범한 로마시민의 지위를 위태롭게 하고 있었다. 법률 사료들을 통해서 볼 때, 오현제 시대와 세베루스 황가 시기의 황제들은 로마시민들 중 특히 상층민을 보호하는데 관심을 기울였다. 결국 속주총독이 상소권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느냐 그렇지 않느냐의 문제에는 로마시민권이라는 요소뿐만 아니라 상층민 혹은 하층민으로서의 상황이 중요한 결정의 요소로서 작용할 수밖에 없었다. Although governors’ power over Roman citizens was less absolute than in dealing with individuals who were not Roman citizens, the right of appeal was not always available to Roman citizens in the provinces. Roman citizenship couldn’t be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right. In practice, it was on the discretion of the governors that the efficacy of appeal depended. Not only citizenship but also other factors led a governor to decide whether to allow an appeal or not. One of the factors was the status of the persons involved.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oman citizens, the legal sources appeared to be more sensitive about status distinction, that is, the distinction between honestiores and humiliores.

      • KCI등재
      • KCI등재

        소 플리니우스와 프린켑스 정치 인식

        고경주(Ko, Kyung-Joo) 한국서양고전학회 2013 西洋古典學硏究 Vol.50 No.-

        소 플리니우스의『찬가』를 관통하는 트라야누스 치세의 이미지는 공화정으로의 회귀 내지 ‘회복된 자유’라는 것으로 표현된다. 특히, 플리니우스에게 공화정의 이미지는 원로원 권위의 회복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플리니우스가 주장하는 회복된 자유라는 것은, 권리로서의 자유가 아닌 황제의 절제 덕분에 누리게 되는 자유일 수밖에 없다. 플리니우스는 프린켑스 체제와 자유가 트라야누스 치세에 공존하게 되는 상황을 그리고 있지만, 사실 그 둘 사이에 실질적인 조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는 황제가 실질적으로 권력을 행사하는 방식이 모든 차이를 만들어내는 원천이 되는 것이고, 그런 만큼 원로원 의원들의 바람이란 황제를 약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황제의 덕성을 기대하는 것이었다. 플리니우스가 그 덕성의 고양을 위해 찬사라는 방식을 사용했다고 한다면, ??찬가??는 황제의 정치선전에 대한 단순 반영을 넘어 이상적 황제란 어떠해야 하는가를 보여주는 한 저명한 원로원 인사의 견해 표명인 것이다. 트라야누스에 대한 찬사를 통해 이상적인 황제의 상을 제시하려는『찬가』에서 플리니우스가 다루는 덕목들은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다. 하지만 여러 덕성들 가운데서도 절제와 겸손은 플리니우스가 힘주어 주장하는 트라야누스 덕성의 요체이자 이상적 황제가 갖추어야 할 기본이다. 그리고 절제와 겸양을 보여 주는 사례들의 핵심적 부분이 트라야누스와 원로원과의 관계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플리니우스에게서 도미티아누스는 트라야누스라는 이상적 프린켑스의 대극에 자리하고 있고, 그의 치세는 전제정치로서 프린켑스 정치와 대비되고 있다. 그 대비에서 역시 초점은 황제와 원로원과의 관계에 있다. 플리니우스가『찬가』속에서 도미티아누스와 그의 치세를 최대한 암울하게 표현해내고 그 치세를 경험한 자신을 피해자의 한 사람으로 규정하는 것은, ??찬가??가 이상적 황제의 이미지를 그려내고 설득하려는 계획의 산물임과 동시에, 과거의 이미지를 자기변명에 적합한 쪽으로 주조하려는 노력의 결과임을 보여 준다. 그리고 플리니우스는 수동적 변명을 넘어 트라야누스는 말할 것도 없고 자신에 대해서 역시 이상적 원로원으로서의 긍정적인 상을 구축해내려 한다. 이상과 같이 황제와 자신을 규정하려한 플리니우스는, 동시대인이자 친구였던 타키투스와는 달리, 일인지배체제의 필연적 타락이라는 문제를 통감하지 않는 낙관적 태도를 견지하고 있으며 올바른 프린켑스가 자리하고 있는 상황에서라면 프린켑스 체제에 전적으로 만족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On 1 September 100 CE, Pliny the Younger delivered the oration we know as the Panegyricus. This was a gratiarum actio, a vote of thanks, offered up to the emperor Trajan. Throughout the speech one encounters explicit indications that the reign of Trajan represents an apparent return to the Republic(libertas reddita). But Pliny inadvertently admits that it is a very precarious freedom. “Iubes esse liberos, erimus ; iubes quae sentimus promere in medium, proferemus”(Pan.66, 4). Under Trajan, libertas was still defined by inequalities of power. Therefore, there was no real reconciliation between libertas and the Principate based on mutual concessions. Under the circumstances, senators" desire was not to undermine the emperor, but to expect the moderation from the absolute power, while pressing for more involvement in the governing process. Pliny’s words of praise for Trajan are often put in terms of reestablishing the power and prestige enjoyed by the senate under the Republic. It is a sort of manifesto of the senate"s ideal of a constitutional ruler. And in it he subtly blends fact and wishful thinking. Modestia and moderatio form the bedrock of Pliny’s prescription. Trajan"s superlative qualities are sharply offset by the negative example of previous emperors, especially Domitian. Pliny draws the contrast between the dominatio of the past and the principatus of the present. Pliny’s Domitian is a rhetorical construction and a product of the persuasive agenda of his speech. In addition to expressing his hopes for optimus princeps by means of contrast with Domitian, Pliny designs to place his own career in the most positive light, above all through the assertion or implication of detachment from Domitian and adherence to Trajan. Pliny asserts that he was in danger himself under Domitian, though his political career had flourished under the bad emperor. Pliny wanted to associate himself closely with a good emperor, while his contemporary Tacitus chose to underline his fundamental independence from the autocratic regime of any emperor. He does not have an inner conflict between the recognition that the principate is the inevitable prerequisite of the pax Romana, on the one hand, and the awareness that absolute power is apt to corrupt, on the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