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수준과 인구고령화 지표 (1995 - 2020) - 장래연령 접근

        계봉오 통계청 2022 통계연구 Vol.27 No.2

        This research attempts to develop an alternative index of population aging by combining characteristics approach and prospective age perspective. As fertility and mortality declined persistently, population aging in Korea has proceeded rapidly and raised societal concerns. Most discussions focus on changes in age structure, leading to catastrophic views dominating discourses. In this study, I attempt to develop an alternative index of population aging that accounts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inequality. I found the followings. First, educational differentials in mortality tend to increase but 2020 was an exception because of rise in mortality among highly educated old women. Second, age when remaining life expectancy equals 15 years(RLE15x) tended to increase and educational differentials in mortality persisted. Third, while the life course ratio based on chronological age increased, the prospective age life course ratio tended to decrease. This shows that the share of old age in life course did not increase when we account for improvement in health. Both life course ratios are higher for the better educated than the less educated. Finally, proportion old and the share of the less educated among the old was lower in prospective age approach than chronological age approach. The results show that population aging proceeds slower than most discussions assume and trends differ by educational attainment. 이 연구는 특성중심 접근(characteristics approach)과 장래연령(prospective age) 접근을 결합하여 대안적인 인구고령화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출산율 하락과 기대수명의 상승이 지속됨에 따라 인구고령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회적 우려 또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논의는 연령구조의 변화와 이에 따른 부정적인 파급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는 인구고령화가 사회경제적 발전 및 불평등의 변화와 함께 진행되는 현상이라는 문제의식을 발전시키고 이를 반영한 인구고령화 지표의 변화 추이를 검토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육수준에 따른 사망력 차이는 증가하는 추세인데 2020년에는 고학력 여성 노인의 사망력 증가로 인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고령층의 사망력이 높은 패턴이 관찰되었다. 둘째, 기대수명이 15년인 연령(RLE15x)은 증가하는 추세이며,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 또한 유지되고 있다. 셋째, 연대기적 연령을 사용한 생애과정비는 증가하는 추세지만 장래연령 생애과정비는 정체 혹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는 기대여명의 향상 즉 건강수준의 향상을 고려할 때 노년기가 전체 생애과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한편 두 가지 생애과정비 모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장래연령을 기준으로 사용하면 연대기적 연령을 기준으로 할 때보다 노인 비중은 낮고 노인 중 저학력자의 비중은 다소 높게 나타난다. 연구결과는 건강수준의 향상을 고려하면 인구고령화의 수준이 일반적인 논의보다 천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인구고령화의 추세가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한국여성의 결혼, 출산 및 경제활동 참가 형태에 대한 연구 : 다중상태 생명표(Multi-state life table) 적용

        계봉오,김영미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4 사회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고령화연구 패널조사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여성의 결혼, 출산 및 고용의 결합분포를 살펴본다. 기존연구들은 대부분 결혼 및 출산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거나 혹은 반대의 인과관계, 즉 경제활동 참가가 결혼 및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해왔다. 그렇지만, 가족 형성 (결혼 및 출산)과 경제활동 참가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호적인 (reciprocal) 관계를 이룬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호적인 관계에 주목하여, 다중상태 생명표(multi-state life tables)를 적용하여 결혼, 출산, 고용의 결합분포가 출생코호트별, 사회계층별로 어떤 패턴을 보이는지를 살펴본다.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자형 고용패턴은 1940년 이후 출생자들에서 나타난다. 이는 M자형 경제활동 참가형태가 한국사회의 산업화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고용패턴의 경우 사회계층별 차이가 출생 코호트별 차이보다 두드러지는 반면, 가족형성의 경우 출생 코호트별 차이가 사회계층별 차이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계층별 고용률은 결혼 및 출산 이후 역전된다. 즉, 결혼 및 출산 이전에는 계층적 지위가 높은 여성들이 보다 높은 경제활동 참가율을 나타내지만 결혼 및 출산 이후에는 계층적 지위가 낮은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는 계층적 지위가 높은 여성들이 결혼 이전에 보다 풍부한 인적 자본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가하지만, 결혼 및 출산 이후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구소득, 자녀교육에의 시간투자 등을 이유로 노동시장에서 이탈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저출산에 대한 문화적 접근 -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

        계봉오,김영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저출산은 다양한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을 갖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원인들과 이들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출산은 거시적 조건 및 미시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다양한 저출산의 원인 중에서 문화적 요인의 중요한 요소인 성평등주의와 여성의 선호실현에 주목한다. 성평등주의의 발전은 거시적 차원에서의 문화적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여성의 선호실현은 미시적 차원의 문화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연구는 성평등주의적 관점에서 여성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요인과 미시적 요인, 그리고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주요 연구 결과 첫째, ISSP 2012 자료를 활용하여 21개 국가의 20-45세 여성들의 출산 결과의 대리변수로 가구 내 18세 이하 거주 자녀 수에 대한 혼합효과 선형(mixded-effects linear)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미시적 수준에서 출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특히 여성의 취업 상태, 교육 수준, 성역할 태도의 영향력은 국가 간 변이가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취업 상태에 있을수록, 고학력일수록, 성평등주의적 태도를 가지고 있을수록 거시적 환경의 성평등주의 정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들 여성들은 노동시장, 가족복지, 문화적 측면에서 성평등주의가 높은 수준으로 제도화되어 있는 국가들에서 뚜렷하게 긍정적인 출산결과를 보이고 있다. 둘째, “한국 출산력 조사(1991-2015)”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사회에서 성평등주의적 태도와 출생아 수 및 출산 의도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지난 20여 년 동안에는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한국 사회에서 성평등주의적 제도가 자리 잡지 못했으며 이것이 저출산의 중요한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단, 성평등주의와 출산의 관계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도 있는데, 이는 성평등주의적 태도의 확산이 향후 한국의 출산력 반등을 위해서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3. 결론 및 시사점 Myrsklya et al.(2009)의 연구는 한국, 일본이 HDI와 출산율 관계의 역전을 보이고 있지 않은 예외적인 국가들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를 일-가족 양립과 젠더 평등의 미제도화의 결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일-가족 양립 그리고 젠더 평등의 제도들을 통해 인적 개발의 도전을 대응하는 데 실패한 것이야말로 부유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지속적으로 HDI-출산율의 부정적 관계를 보이고 있는 이유이다(743)”라는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여기에 이 연구는 젠더 평등의 미제도화의 결과 이들 국가들에서 가장 출산에 부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는 집단이 고학력, 진보적, 취업 여성들일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여성집단은 사회전체적인 수준에서의 성평등주의적 재조직화가 일어나기 전에는 쉽게 출산 결정을 바꾸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함의한다. 1. Background and purpose Low fertility is a consequence of various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processes. This suggests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complex relationships among them to address the challenges from low fertility. In particular, we need consider both macro and micro mechanisms simultaneously. This study focuses on gender egalitarianism and women`s preference realization. Women`s preference realization is related with micro-level cultural dimension while evolution of gender egalitarianism is related with micro-level cultural dimension. We are examining how these two factors affect fertilit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galitarianism. 2. Main findings First, we apply mixed-effects linear regression model by using the 2012 ISSP data to compare how micro and macro leve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fertility in 21 countries. We find that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and micro-level variables such as employment status, education and gender attitude varies greatly by countries. Interestingly, the relationship is sensitive to macro-level gender equality. Employed, highly educated, and liberal women show high fertility when gender equity is well institutionalized in terms of labor market, family welfare, and cultural dimension. Seco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Korean Fertility Surveys(1991-2015)” show the foll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equality and fertility did not change substantially over time. This suggests that gender egalitarianism is not yet fully institutionalized in Korea and this is an important source of lowest-low fertility in Korea. This suggest that diffusion of gender egalitarian attitude is an important condition for fertility rebound in Korea. 3. Discussion Myrsklya et al.(2009) showed that Korea and Japan are exceptional case in which fertility did not rebound recently. This was interpreted as a consequence that work-family balance and gender egalitarianism were not fully institutionalized. They argued that the affluent East Asian countries failed to institutionalize work-family balance and gender egalitarianism and was not a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challenges from low fertility. We showed that highly educated, liberal and employed women are the group with low fertility in these countries. This group may not change their reproductive behaviors unless gender egalitarian environments are fully developed. This pose a great challenge for population policy in Korea.

      • KCI등재

        유배우 출산율 변화, 2005~2020: 혼인지속 기간 접근

        계봉오,유삼현,최슬기 한국인구학회 2022 한국인구학 Vol.45 No.4

        이 연구는 한국의 유배우 출산율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혼외출산이 매우 드문 우리 사회에서 유배우 출산율 분석은 한국의 출산율 변화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기존 연구들은 2010년대 중반까지 한국의 출산율 변화가 주로 혼인율의 하락에 기인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2015년 이후 진행 중인 합계출산율 하락세는 새로운 추세변화를 동반한 것일 수 있다. 이 연구는 연령에 기반한 유배우 합계출산율(Total Marital Fertility Rate)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혼인)기간에 기반한 접근법(duration-based approach)을 토대로 유배우 합계출산율(Duration-based Total Marital Fertility Rate, TMFRd)을 산출하고 이 지표의 변화추이를 제시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연령별 유배우 출산율의 합인 유배우 합계출산율은 비정상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TMFRd는 합리적인 수준의 추정치를 제시한다. 이는 혼인지속 기간 접근이 상정하는 합성코호트(synthetic cohort)가 연령 기반 유배우 합계출산율보다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둘째, TMFRd는 2005~2015년 기간 동안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다가 2015년 이후 급격하게 하락하고 있다. 이는 이전과 다르게 유배우 출산율 하락이 2015년 이후 한국 출산율의 하락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극단적인 저출산 현상이 혼인율 하락뿐만 아니라 유배우 출산율 하락의 결과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결혼의향 변화에 대한 다상태 생명표 분석

        계봉오,황인찬 한국조사연구학회 2023 조사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2-8차 자료를 활용해서 미혼여성의 결혼의향 변화를 다상태 생명표 기법을 활용해서 분석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결혼의향의 결정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과 달리 이 연구는 결혼의향의 생애과정을 통한 변화와 결혼의향 변화의 시기 및 집단 간 차이에 초점을 맞췄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결혼의향은 연령이 올라가면서 점차 부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부정적인 결혼의향의 유지율은 연령이 올라가면서 증가하는 반면 긍정적이거나 유보적인 결혼의향은 부정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긍정적인 결혼의향을 가진 미혼여성의 초혼이행이 그렇지 않은 여성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인 결혼의향은 최근 들어 강화되고 있으며 이는 초혼이행 하락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수준과 직업이 결혼의향 및 초혼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교육수준에 따른 결혼의향과 초혼이행률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관리직/전문직 여성들의 결혼의향 및 초혼이행률은 다른 여성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닌 여성들의 결혼의향과 초혼이행률이 성평등주의적 태도를 지닌 여성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결혼의향의 생애과정을 통한 변화가 시기, 계층, 가치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결론에서 이러한 차이의 함의를 논의한다.

      • KCI등재

        Occupational Prestige in South Korea: Stability and Variations

        계봉오,설동훈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22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51 No.4

        This study examined stability and variations in occupational prestige in South Korea. We investigated both the differentiation and incorporation processes of occupational prestige evaluation using the Korean Social Stratification Survey 2022 and obtained several findings. First, prestige rank correlations for the 15 common occupations obtained from five surveys conducted between 1990 and 2021 were extremely high, showing strong stability in occupational prestige ranks. Second, prestige score rating differed by individuals’ socioeconomic status (SES) and social network. High-SES people tend to rate occupational prestige higher than low-SES individuals but this differential disappeared after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and people evaluated an occupation more highly if they knew a person in that occupation personally. Third, the effects of SES and social network on prestige score evaluation depended on occupational prestige ranks. While the difference in prestige ratings between college graduates and non-college graduates was greater for high-ranked occupations than low-ranked ones, the positive effect of having a friend in an occupation on prestige rating was greater for low-ranked occupations than high-ranked ones, suggesting that social network had a buffering effect on occupational prestige evaluation. This study showed that occupational prestige in South Korea was characterized by both between-group variations and temporal stability.

      • 육아휴직 사용과 둘째자녀 출산이행의 관계

        계봉오,정지윤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 Vol.2017 No.9

        이 연구는 유배우 여성의 육아휴직 사용과 둘째자녀 출산이행의 관계를 성평등주의적 제도의 진전과 출산율의 관계라는 관점에서 분석한다. 최근의 출산율 반등과 관련된 논의들은 성평등주의적 제도의 진전이 출산율 반등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이론화하고 있는데, 육아휴직 사용과 자녀출산과의 관계는 이러한 이론적 관점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이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1-6차 자료를 사용하고 콕스 생존분석 모형을 적용하여 둘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임금근로자는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없는 임금근로자보다 둘째 자녀 출산 이행률(transition rate)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하지 않은 여성과 육아휴직을 사용한 여성들의 출산 이행률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도의 가용성 여부가 출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함의한다. 단, 육아휴직 사용가능성 및 사용여부에 따른 둘째 자녀 출산 이행률의 차이는 개인 및 가구 수준의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는 육아휴직과 관련된 출산 행위의 차이가 부분적으로는 여성 개인의 다른 특성에 의해서 설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분석결과는 육아휴직 제도와 둘째 출산의 관계에 대한 충분한 증거를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의 직업위세 평가의 변화: 1990-2016

        계봉오,황선재 통계청 2017 통계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한국의 직업위세 평가가 1990년 이후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본다. 현대사회에서 직업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직업위세 평가는 한 사회의 계층구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기존의 사회학적 연구들은 직업위세 평가의 시공간적 안정성에 초점을 맞췄는데, 이 연구는 지난 한국사회의 직업위세 평가의 변 화 및 교육수준에 따른 직업위세 평가의 차이를 살펴본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첫째 , 한국사회에서 직업위세 분포의 변이는 지난 30여 년 동안 줄어들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동안 직업위세 순위 자체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둘째, 개별 직업의 위세에 대한 평가는 교육수준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만, 이 차이는 실질적으로는 그리 크지 않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부분적으로 직업위세 평가의 안정성을 강조한 기존의 사회학적 연구결과들과 일치한다. 마지막으로 단순노무직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긍정적으로 변화했지만, 교육수준에 따 른 차별적 평가는오히려 부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했다. 단순노무직 종사자 중 외국인노동자들의 비중이 증가했다는 점과 교육수준이 사회경제적 지위의 중요한 지표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변화는 외국인노동자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계층/계급에 따 른 외국인노동자들에 대한 차별적 인식이 강화되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occupational prestige has changed in Korea since 1990. Occupation is a key indicator to determine socioeconomic status in contemporary societies, and evaluation of occupational prestige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understand inequality structure. While previous sociological studies focused on stability of occupational prestige across time and space, we examine how this changed during the past decades in Korea and educational differentials in evaluating each occupational prestige.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variation in occupational prestige shrank while the relative standing remained stable. Second, while educa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valuation of occupational prestige, the size of difference is not substantial. This result is partly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Finally, while evaluation of simple laborer became positive over time, differential evaluation by education became rather stronger. Given that the share of foreign workers among simple laborers increased and education is a key indicator of socioeconomic status, this suggests that high status people became somewhat more discriminative while attitude toward them improved in general.

      • KCI등재

        Son Preference and Fertility Transition in South Korea

        계봉오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3

        I examine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fertility changed during the Korean fertility transition. Son preference is supposed to weaken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delay fertility transition because strong son preference may lead to additional births among sonless couples. Data analyses using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do not support this simple expectation.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ransition to next parity became rather stronger across birth cohorts. Consequently, son preference did not deter fertility transi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to next parity does not vary upon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son preference was prevalent in South Korea regardless of educational expansio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he timing of transition to next parity varied by educational level after the fertility transition although there was no such differential before the transition. This means that educ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iming of fertility but not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the probabilities of having an additional child. I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Korean fertility tran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