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인적자원개발정책 방향 탐색

        강현주 ( Kang Hyounju ),현영섭 ( Hyun Youngsup ),신현석 ( Shin Hyunseok ),장은하 ( Chang Eunha ),최지수 ( Choi Jisoo ),권대봉 ( Kwon Daeb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최근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지역 청년 실업악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학적 변화 등의 외부적 동력과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지역균형발전 강화라는 정책 환경 변화는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지역인재육성에 대한 지역인적자원개발(RHRD)정책 운용을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 RHRD정책 지원이 축소되고 그간 RHRD 관련 연구는 실증적 분석보다는 정책 필요성, 거버넌스 구축 등을 다루는 문헌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RHRD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하여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향후 RHRD 정책 방향 및 과제를 개발하고 우선순위를 실증적으로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RHRD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1,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분석 결과, 중앙정부 수준에서 RHRD 정책 방안은 총 17개가 도출되었고 그 중 'RHRD 계획 수행에 필요한 예산 확보'를 포함한 최우선 순위 5개, '지역인재의 수도권 유출 억제 정책 마련'을 포함한 차순위군 2개가 확인되었다. 지방정부 수준에서 RHRD 정책 방안은 총 19개가 도출되었다. 그 중 '지역인재양성을 위한 예산 확보방안 마련'을 포함한 최우선 순위 7개, 'RHRD 활성화를 위한 자치단체별 전담 공무원 인력 양성 및 배치'를 포함한 차순위군 2개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인재육성을 위한 RHRD 정책 활성화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external driving force caused by the transfer of power has prompted new demands for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RHRD) policy. Since the early 2010s, the budget of RHRD policies has rarely been supported and the related-studies simultaneously have been on the wane. However, responding to the recent demands of RHRD policy, the empirical study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RHRD and suggest the new direction of RHRD policies for regional human resource cultivation needs to be conducted. With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d develop RHRD policy tasks in the new government.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we asked RHRD experts to revitalize RHRD policies from two perspectives, the local and the central government, by utilizing an expert Delphi technique and needs analysis. As the result of analysis, 17 policy task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19 policy tasks from the local government were drawn, respectively. The top priority commonly addressed was confirmed as the security of budget to implement RHRD policies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t the end,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of RHRD policies and limitations.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통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향 및 과제 탐색

        강현주 ( Kang Hyounju ),조대연 ( Cho Daeye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는 인적자원개발 정책방향 및 정책과제를 탐색하고 관련 세부과제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는 인적자원개발 방향은 무엇인가? 2)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는 인적자원개발 세부 과제는 무엇인가? 연구수행을 위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2016년 1월 이후부터 2017년 5월까지 수행된 4차 산업혁명 관련 인적자원개발 및 교육 정책에 관한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작성된 설문지(인적자원개발 정책방향 7개, 세부 정책과제 106개)를 활용하여 관련 전문가 21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했다. 분석결과, 내용타당도와 허쉬코비츠 임계함수 HH분면에 위치한 항목 모두를 충족하는 최우선 정책방향은 ‘시대요구에 부응하는 인재양성’이었다. 최우선 정책과제는 46개가 도출 되었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하고 긴급한 정책은 ‘신산업의 수요에 맞는 교육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육내용과 교과를 개편하고 산학협력을 통한 인력양성’과 ‘기존 일자리에서 새로운 일자리로 전환 등 경력개발과 관리에 초점을 두는 교육서비스의 체계 마련’이었다. 이는 미래 대비 고등교육 인재양성과 근로자들의 재교육을 통한 인력 활용이 4차 산업혁명 대응 인적자원개발정책의 가장 중요한 과제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연구 초기 단계에서 한정되어 있는 자료와 논의를 바탕으로 인적자원개발정책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적자원개발 정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가장 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new policy plot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by utilizing a delphi method. Since last January in 2016 when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was first discussed at the Davos Forum,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has overtly emerged as a critical global issue. However, it is unclear i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would bring to a positive or negative outcome, or it has already come or not. The unclear definitions, outcomes, and boundaries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may require more thorough preparations at the national level, including establishing new manpower training systems, HRD strategies, restructuring educational system, and sharing a vision for the upcoming future. With the perceived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a delphi study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 policy directions and 106 policy tasks were drawn. Among several tasks, the investment in nurturing young talents in higher education and manpower utilization toward employed workers through re-education programs suited for the era of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were presented as the top priorities. Although the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scussed based on the limited existing literature in the early stage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it is very meaningful to provide a guideline of HRD policy directions and tasks for preparing for the upcoming new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청소년을 위한 미래 직업탐색 및 직업체험 선호도 조사

        강현주 ( Hyounju Kang ),이효섭 ( Hyoseop Lee ),김정원 ( Jungwon Kim ),조대연 ( Daeyeon Ch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1 중등교육연구 Vol.6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유망 산업군별 직업 선정 및 주요 수요자(학생, 부모, 교사) 대상 직업체험 선호도 조사를 통해 청소년들의 미래 직업 탐색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FGI 등을 토대로 4단계의 과정을 거쳐 8개 산업군에서 35개의 미래 유망직업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학생, 교사,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직업 체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체험 선호도 측면에서 세 집단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관심을 나타낸 직업은 정보통신산업 분야의 보안/정보보호 전문가, 빅데이터 전문가, 사물인터넷 전문가와 IT제품·부품 및 소재 산업 분야의 3D 프린팅 전문가였다. 그 밖에 나머지 상위 10위권 내에 있는 직업 체험 관심도는 집단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들 간의 미래 직업 체험 선호도 불일치 결과는 향후 질적 연구 등을 통해 심층적인 원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래 유망 직업을 탐색하고, 수요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진로체험 선호도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청소년들의 진로교육 지도를 위한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hoose the most in-demand jobs in the promising industr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xplore the stakeholders’ preferences of job experience on the future jobs, theryby providing a career guidance for adolescents. We finalized the 35 most in-demand future jobs in the eight industries as a result of four step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an expert focus group interview. Also,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preferences of job experiences of the stakeholders such a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in the metropolitan areas regarding the selected future job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top 4 jobs in-demand by all the three groups were specialist for information security, big data professional, IOT developer, and 3D printer professional. Other than the four jobs, all groups revealed various preferences in their top 10 preferred job experiences. The causes of the discrepancy in the results need to be explored in the future study.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that it specified the top 35 in-demand jobs for the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w growth industry beyond the linear lists of future jobs, and draw the survey results driven by the stakeholders of job experience.

      • KCI등재

        산학관 협력을 통한 대학의 지역인재양성 방안: 전라북도 J대학교 산학관 커플링 사례를 중심으로

        장은하 ( Chang Eunha ),강현주 ( Kang Hyounju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산학관 협력을 통해 지역인재양성 및 활용에 성과를 거두고 있는 J대학교의 성공요인 및 도전과제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인재양성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최근 경제 저성장과 불황으로 인해 일자리 창출과 경제활성화가 우리사회의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면서 지역의 고용 활성화를 위해 지역 대학, 산업체, 지방정부 간의 파트너십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지역 대학에서 배출한 인재를 직접 지역 산업체에 취업시키는 ‘고용연계 중심’의 산학관 협력 사례를 다루는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따라 성공적인 산학관 협력 사례로 평가되는 전라북도 J대학교의 산학관 커플링사업 식품사업경영단 사례연구를 통해 성공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산학관의 명확하고 균형있는 산학관 역할, 지역 산업수요맞춤 교육과정 개발 및 취업과의 연계, 사업에 참여하는 교수들의 역량 및 충실한 역할 수행 등이 식품경영사업단 커플링사업의 성공에 기여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인재양성을 위한 산학관 주체들의 역할과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successful case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collaboration for finding a way to promote youth employment in local cities. By conducting the case of J university, we aim to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ostering regional human resources. Recently, due to the prolonged economic recession and under-employment, the partnership among local university, industry and local government has been critically considered as a regional youth employment strateg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cases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cooperation that values on job-connectedness, especially led by local universities, whereas the number of the cooperation-related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D centered cases, or regional innovation in the cases. As a result of the study, we draw successful factors to be a great case, including a clear and balanced role of each stakeholder, curricula to meet the demand for education in the regional industries, faculty’s great support, the director’s leadership, good operation with a small number of student groups, and a close relationship among the stakeholders. The results of the study gave deep insights into the national policy makers, organizational leaders, and university associates along with the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국내 직업진로체험기관의 이용경험자 만족도 조사 연구

        김정원 ( Kim¸ Jungwon ),강현주 ( Kang¸ Hyounju ),이효섭 ( Lee¸ Hyoseop ),조대연 ( Cho¸ Dae-ye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진로체험기관과 프로그램 운영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직업진로체험기관 운영의 발전적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문헌분석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최종 17개의 문항을 도출하였고, 수도권지역 학생, 학부모, 교사 총 1,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시설 안전성, 정보 접근성, 평가관리 등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진로탐색 지원이나 직업진로상담 제공등과 같은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교사 대상 분석 결과, 체험기관 운영 및 프로그램에 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설 안전성, 체험기관 소개, 프로그램 안내 및 예약관련 정보 접근성, 다양한 직종 제공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부모의 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이용경험자 집단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들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낸 항목들은 다양한 직종의 체험 프로그램 제공, 수준별 내용구성, 정보 접근성 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직업진로체험기관 및 프로그램 운영의 발전을 위해 프로그램 다양화, 강사 관리 중요성, 유기적인 네트워크 구축 등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향후 직업진로체험기관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s and experience programs through survey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vocational career experience facilities and program operation. For the satisfaction survey, the final 17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advice. Based on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312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first, students were generally highly satisfied with the operation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such as facility safety,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evaluation manage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 and the program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eacher’s group, the highest satisfaction was shown in facility safety, introduction of experience facilities, access to information related to program information and reservations, and provision of various occupations. Third, parent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institutions and programs was the lowest among the other groups. The items that pare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were in the order of providing experience programs for various occupations, content composition by level, access to information, and safety of fac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suggestions and limi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areer experience institutions and program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대학 내 현지 학생과 아시아 유학생의 다문화 팀 활동 경험에 대한 탐색: 이슈와 대응 전략

        한수정 ( Soo Jeoung Han ),( Jia Wang ),강현주 ( Hyounju K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다문화 팀 활동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문화적 다양성이 팀원들의 학습 경험을 촉진 시키거나 혹은 방해한다는 사실에 주목해왔다. 이에 반해 문화적으로 다양한 팀원들이 학습 활동을 할 때 생기는 문제점과 이 상황에서 학생들이 어떠한 전략을 취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대학에서 문화적으로 다른 배경을 가진 다문화 팀 활동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주요 이슈와 이를 위해 사용하는 대응 전략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현지 학생들의 경험을 배제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에게만 초점을 맞추었다면, 본 연구는 미국 고등교육 현장에서 현지 학생들과 아시아 유학생 모두의 경험을 함께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그들이 경험하는 주요 이슈는 주로 개인적,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팀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슈들에 대해 대처하기 위한 7가지 전략(책임감, 공동목표설정, 언어능력 향상, 서로에 대한 존중, 서로의 문화에 대해 이해하기, 인간관계 구축, 서로에게 배우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적 환경에서 활동하는데 필요한 역량 개발 및 고등교육에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함의점을 시사한다. Previous literature on teams shows that cultural diversity can either enhance or hinder team learning experiences. Limited research has identified strategies used to address critical issues when working in a culturally diverse team setting. This study explored critical issues experienced by culturally diverse teams and identified strategies used to address these critical issues. We interviewed both Asian international students and U.S. local students in the U.S. because most studies focused only on international students, neglecting U.S. students’ experience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The critical issues were caused largely by personal and cultural differences. We also discovered seven strategies (taking responsibility, setting a shared goal, improving language skills, showing respect, building cultural knowledge to break stereotype, building relationships, and learning from others) to cope with the teamwork challenges. Finding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designing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to work in a diverse cultural setting and shed light on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