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라산 지역에서 고도별 박새류의 번식 생태

        강택중(Taek-Joong Kang),이정연(Jeong-Yeon Yi),김영호(Young-Ho Kim),한상현(Sang-Hyun Han),김태규(Tae-Kyu Kim),양병국(Byeong-Gug Yang),김명진(Myung-Jin Kim),오홍식(Hong-Shik Oh)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에 설치한 인공소상에서 번식하는 박새류(Titmouse)의 고도별(관음사: 600m, 어리목: 900m, 영실: 1300m) 번식생태를 밝히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박새류가 번식하는 4월부터 7월까지의 지역별 평균기온은 관음사 16.30±5.07℃, 어리목 14.50±5.40℃, 영실 13.21±5.28℃로 고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연도별로는 2009년 14.99±5.27℃, 2010년 14.53±5.57℃, 2011년 14.64±5.40℃로 차이가 없었다. 각 조사구에 설치한 48개의 인공소상 중 번식에 이용한 인공소상은 2009년 27.67±3.28개(57.7%), 2010년 29.00±4.04개(60.4%), 2011년 28.67±2.96개(59.7%)였고, 고도별로는 관음사 26.00±1.73개(54.2%), 어리목 34.33±0.88개(71.5%), 영실 25.00±2.52개(52.1%)였다. 번식하는 종에 따른 이용률은 곤줄박이 10.67±1.28개(22.2%), 박새 11.33±1.17개(23.6%)로 나타나, 연도별, 고도별 및 종에 따른 이용률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 산란일은 고도가 높을수록 늦어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준일로부터 경과한 날 수로 변환하여 비교한 평균 산란일 분포는 곤줄박이의 경우, 관음사 40.60±3.48일, 어리목 45.90±2.75일, 영실 55.00±2.34일, 박새는 관음사 45.28±4.19일, 어리목 45.61±3.10일, 영실 55.78±3.26일로 모두 차이가 있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한 연도별 평균 산란일분포는 번식하는 종과 조사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결과적으로 박새류의 번식 생태의 차이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산란시기가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도에 따른 기온의 차이에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altitude (Gwaneumsa: 600m, Eorimok: 900m, Yeongsil: 1300m) on the breeding ecology of the titmouse, which breeds in artificial nests installed in the Halla Mt. National Park from March 2009 to August 2011.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he regional average temperatures during the breeding season between April and July were 16.30±5.07℃ in Gwaneumsa, 14.50±5.40℃ in Eorimok, and 13.21±5.28℃ in Yeongsil.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erms of years, where the average temperature was 14.99±5.27℃ in 2009, 14.53±5.57℃ in 2010, and 14.64±5.40℃ in 2011. Among the 48 artificial nests at the various survey locations, the ones that were used for breeding were 27.67±3.28 (57.7%) artificial nests in 2009, 29.00±4.04 (60.4%) in 2010, and 28.67±2.96 (59.7%) in 2011. In terms of altitude, 26.00±1.73 (54.2%) artificial nests were in Gwaneumsa, 34.33±0.88 (71.5%) were in Eorimok, and 25.00±2.52 (52.1%) were in Yeongsil. The utilization rates based on species that bred were 10.67±1.28 (22.2%) artificial nests for Parus varius and 11.33±1.17 (23.6%) for Parus major and no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rates in terms of years, altitudes or species were observed. In addition, the first date of egg-laying timing occurred later at higher altitudes than the average date of egg-laying distributions when the number of days elapsed from a standard date was used, where the number of days was 40.60±3.48, 45.90±2.75, and 55.00±2.34 in Gwaneumsa, Eorimok and Yeongsil, respectively, for Parus varius, and 45.28±4.19, 45.61±3.10 and 55.78±3.26 in Gwaneumsa, Eorimok and Yeongsil, respectively, for Parus major,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using the same method, the distribution of the average date of egg-laying based on years was different in terms of species and survey regions; thus, no consistent trend was observed. Litter sizes were not found to be different in terms of altitudes or years. The resulting differences in the breeding ecology of the titmouse showed that the higher the altitude, the later the time the eggs were laid, which can be attributabl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s based on altitudes. As such, in order to identify the year-based differences that were observed in some survey regions and species and also the breeding ecological aspects of forest bird species, long-term monitoring was deemed necessary.

      • KCI등재후보

        제주도 한라산에 설치한 인공소상을 이용하는 조류 현황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연구

        오홍식(Hong-Shik Oh),한상현(Sang-Hyun Han),강소연(So-Yeon Kang),강택중(Taek-Joong Kang),김병수(Byoung-Soo Kim),이정연(Jeong-Yeon Yi),김태규(Tae-kyu Kim),박수곤(Su-Gon Park),김태욱(Tae-Wook Kim),장민호(Min-Ho Chang)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한라산내 고도가 다른 3개의 지역에 인공소상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는 조류들을 분자유전학적 기법으로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설치된 인공소상 중 56.7%에서 조류 둥지가 관찰되었다. 둥지를 방문한 새나 부화한 유조에서 분리 또는 탈락된 깃털 및 부화에 실패한 알의 배아, 부화가 끝난 알의 껍질, 죽은 사체 등을 수집하여 DNA 분석에 이용하였다. 결정된 미토콘드리아 DNA(mtDNA) cytochrome oxydase I(COI) 유전자 서열 중 45 개의 서열이 조류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전자서열에 대한 BLAST 검색 결과, 박새(Parus major), 북방쇠박새(Poecile montanus), 까치(Pica pica), 큰부리까마귀(Corvus macrorhynchos), 벙어리뻐꾸기(Cuculus saturatus) 등이 최대 유사종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박새와 북방쇠박새 등과 유사 서열은 둥지를 직접 제작하여 이용한 조류로 사료되며, 까치, 큰부리까마귀, 벙어리뻐꾸기 등은 인공소상을 방문하였거나, 둥지제작과정에서 깃털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조사 지역 세 곳 모두에서 박새와 북방쇠박새 COI-유사종이 확인되었으며, 까치는 저지대인 관음사, 큰부리까마귀와 벙어리뻐꾸기는 고지대인 영실에서만 확인되었다. 야외 인공소상 이용조류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수행한 본 연구결과들은 향후 정확하게 동정된 시료의 유전자 서열 DB가 구축되고, 생태학적 조사결과와 조합된다면 지역별 조류상 및 생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avian species found nesting in wood boxes artificially settled at three different altitude localities in Mount Halla by a molecular genetic approach. The bird nests were found in 56.7% of the wood boxes settled. DNA samples used for sequence analysis were isolated from the eggshells, embryos, and feathers. The embryos actually failed in development. The feathers were released from the invited unknown birds or those estimated to be brought by the hosts. Forty-five sequences for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oxydase I (COI) gene were confirmed to be those of birds. BLAST results showed that these COI sequences were the most similar to those previously reported for Great tit (Parus major), Willow tit (Poecile montanus), Black-billed magpie (Pica pica), Jungle crow (Corvus macrorhynchos), and Oriental cuckoo (Cuculus saturatus). Among those, Great tit- or Willow tit COI-similar species were assumed to be the hosts of the bird nests, but others could be the invited species or material species whose feathers were used for nesting. In alllocalities, Great tit- and Willow tit COI-similar species were found, whereas Black-billed magpie was observed only in the lowest locality, Kwanseumsa, and Jungle crow and Oriental cuckoo in Eorimok and Youngsil.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useful information may be supplied to understand avian faun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hen combining field investigation and genetic analysis after construction of a molecular database capable of providing more reliable similarity search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