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 마누라’의 의미

        강진호(Jinho Kang) 한국분석철학회 2010 철학적 분석 Vol.0 No.21

        정대현 교수는 2009년 《철학적 분석》 겨울호에 실린 논문에서 우리말 표현 ‘우리 마누라’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 매우 흥미있는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나는 본 논문에서 그의 분석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적 분석을 발전시킨다. 나는 먼저 ‘우리 마누라’의 기본적 사용법이 정 교수의 주장과 달리 지칭적 사용이 아니라 속성적 사용임을 논증한다. 이어서 나는 표현 ‘우리 마누라’가 속성적으로 사용될 때 정확히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이 표현을 이루고 있는 두 단어 ‘우리’와 ‘마누라’, 그리고 두 단어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나는 ‘우리 마누라’가 〈화자 가족의 구성원인 화자의 아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제안한다. 나는 이러한 분석이 왜 정 교수의 분석보다 더 만족스러운지 설명한다. In an article recently published in this journal (Winter 2009), Daihyun Chung provides a highly interesting analysis of how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Korean expression 'uri manura[our wife]'. I discuss its main problem and develop an alternative analysis. I first argue that, pace Chung, the basic use of 'uri manura' must be an attributive use rather than a referential one. I then consider exactly how we should understand the meaning of 'uri manura' in its attributive use. Based on my investigations of the meanings of two words 'uri' and 'manure', as well as of the relation between them, I suggest that 'uri manura' means speaker's wife who is one of the speaker's family members. I explain why this analysis is superior to Chung's.

      • KCI등재

        검열과 개작과 정본 - 이태준 소설의 검열과 개작 -

        강진호 ( Kang Jinho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4 No.-

        자신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것은 작품뿐이라는 점에서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개작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개작을 통해서 후행 텍스트는 선행 텍스트보다 질적으로 우월한 형태가 되고, 작가들은 그것을 정본으로 읽어주기를 희망한다. 그런데 ‘검열’에 따른 개작은 그와는 달리 후행 텍스트가 원본보다 질적으로 떨어진다는 데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검열은 국가나 국가기구가 원하는 조건에 작품을 부합시키는 행위이다. 검열이라는 환경에서 작가들은 작품을 제대로 발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정 방향으로 쓸 수밖에 없다. 이태준은 검열에 대해 두 가지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하나는 작품의 내용에 대한 개작이고, 둘은 문체와 구성 등의 미적인 개작이다. 전자는 검열을 의식하고 작품의 내용을 당국이 허용하는 범위로 제한한 것이고, 후자는 검열이 미치지 않는 미적인 측면에서 작품을 고친 것이다. 검열에 따른 개작은 당국의 요구에 작품을 부합시키는 행위라는 점에서 일종의 공유된 정체성(shared identity)의 수용이고, 미적인 탐구는 그 바탕 위에서 작가만의 고유한 특성을 발전시킨 것이다. 검열로 인해 식민지시대 우리 문학은 사회 비판도 혁명도 존재하지 않는 인간의 근원적 욕망이 거세되고 대신 기교와 수사만이 발달한 공간이 되었다. 일제강점기 문학에서 리얼리즘이 상대적으로 위축되고 심미적 특성이 두드러지는 것은 이 검열과 무관하지 않다. 이태준의 문학적 정체성은 초기작의 경우 신문과 잡지에 발표된 원문에 있고, 중기 이후는 단편집에 수록된 개작본에 있으며, 해방 후의 작품은 원본에 있다. 이태준 문학 전집을 새롭게 구성한다면, 마땅히 검열에 따른 왜곡과 은폐가 없는 이들 작품이 정본으로 선정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natural for a writer to adapt his work in that it is only the work that can prove his existence. Through the adaptation, trailing text becomes a qualitatively superior form to the preceding text, and writers hope to read it in the original form. However,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adaptation under "Censorship" in that the subsequent text is qualitatively inferior to the original. Censorship refers to the act of conforming the work into the desired conditions of a state or organization. In the environment of censorship, not only could the writers properly present their works, but they were forced to write in certain directions. In the reality of censorship, Lee Tae-joon responded in two ways. One is an adaptation of the contents of the work, and the two are aesthetic adaptations such as style and composition. The former was conscious of censorship and limited the contents of the work to the extent permitted by the authorities, while the latter was modified in terms of aesthetics because the censorship by the authorities did not reach the point of expression. Since such adapted works are delivered to readers, we cannot conclude that all the works we encounter have guaranteed the authenticity of the artist. The adaptation of censorship is an acceptance of shared identity in that it is an act of meeting the needs of the authorities, and aesthetic inquiry is the development of the artist's unique characteristics on the basis of that. Due to the Japanese censorship,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came a place where the fundamental desires of human beings with no social criticism or revolution were removed, and aesthetically, sophisticated techniques and investigations were developed. It is not irrelevant to censorship that realism in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relatively contracted while aesthetic characteristics stood out instead. Therefore, it is urgently needed to consider such facts when considering the author's authenticity and the authenticity of the work. Lee Tae-joon's literary identity lies in the original text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in his early works, in adaptations included in the short stories after the middle period, and in the original works after liberation. If Lee Tae-joon's entire collection is newly composed, these works should be the original version.

      • KCI등재

        전기 비트겐슈타인, 논리, 형이상학

        강진호(Jinho Kang)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20

        비트겐슈타인은 『논고』 이전 원고인 「논리노트」에서 형이상학이 논리와 더불어 철학을 이루는 두 분야 중 하나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잘 알려진 것처럼 그는 『논고』에서 형이상학을 무의미한 것으로 부정하고 있다. 나는 형이상학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이러한 입장 변화가 논리의 본성에 대한 그의 견해에서 일어난 중대한 변화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논증한다. 논리의 본성에 대한 「논리노트」와 「무어노트」의 견해를 따를 경우 논리는 형이상학적 함축을 갖고 있는 반면, 『원논고』와 『논고』의 견해를 따를 경우 논리는 어떠한 형이상학적 함축도 갖지 못하며 더 나아가 형이상학의 가능성 자체가 붕괴되어 버리는 것이다. 나는 『논고』 초반부에 나오는 이른바 ‘존재론적’ 진술들이 이해가능한 진술들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시함으로써 나의 논증을 더 강화시킨다. In a pre-Tractatus manuscript, "Notes on Logic", Wittgenstein remarks that metaphysics and logic form the two parts of philosophy. As is well known, however, he denounces metaphysics as nonsensical in the Tractatus. I argue that this change in Wittgenstein's view on metaphysics results from an important change in his view on the nature of logic. While Wittgenstein's conception of logic in "Notes on Logic" and "Moore Notes" leads to the consequence that logic has metaphysical implications, his conception in the Prototractatus and the Tractatus not only disallows any such implications but also eliminates the very possibility of metaphysics. I give a further support for my argument by questioning the intelligiblity of the so-called 'ontological' remarks in the early part of the Tractatus.

      • KCI등재

        다원주의, 표상주의, 토대주의 : 프라이스의 주체 자연주의에 대한 비판

        강진호(Jinho Kang) 한국분석철학회 2011 철학적 분석 Vol.0 No.24

        필자는 본 논문에서 프라이스의 주제 자연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것이 갖고 있는 중요한 난점을 드러낸다. 프라이스의 주체 자연주의에 의하면 과학적 자연주의의 방법론적 논제를 일차적으로 인식 주제인 우리 자신에게 적용하고 이와 더불어 표상주의 의미론 대신 기능적 다원주의 의미론을 받아들임으로써 현대 형이상학의 이른바 "배치 문제들"은 모두 해소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라이스가 표상주의 의미론을 거부하면서도 여전히 과학 언어 틀에 어떤 특권적 역할을 부여하는 언어적 토대주의를 받아들이고 있음을 보인다. 이어서 프라이스가 언어적 토대주의를 받아들임으로써 약한 형태의 존재론적 토대주의에 개입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후자의 핵심 내용을 수반 논제로 정식화한다. 그러나 수반 논제를 받아들이는 한 배치 문제들이 완전히 해소될 수 없으며, 더 나아가 수반 논제가 궁극적으로 프라이스의 기능적 다원주의와 양립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다른 한편으로 프라이스가 수반 논제를 거부 할 경우 과학적 자연주의의 방법론적 논제마저도 거부해야 하고, 이 경우 그의 주체 자연주의는 맥도웰 식의 자유로운 자연주의로 환원될 수밖에 없음을 논증한다. 필자의 논증이 모두 옳다면, 결국 프라이스의 주체 자연주의는 수반 논제를 받아들일 수도 거부할 수도 없는 딜레마에 빠진다. I give a critical examination of Price's "subject naturalism" and argue that it faces a serious problem. Price accepts the methodological thesis of scientific naturalism, but nevertheless holds that we may dissolve all "placement problems" in contemporary metaphysics once we apply the methodological thesis primarily to ourselves and also adopt the semantics of functional pluralism while rejecting representational semantics. I first show that Price endorses a version of linguistic foundationalism, according to which the linguistic framework of natural science has a certain privileged role. I then point out that he is thereby committed to a weak form of ontological foundationalism, whose central point can be formulated in terms of what I call the "Supervenience Thesis". I argue, however, that this thesis not only reintroduces placement problems but also ultimately conflicts with Price's functionalism pluralism. On the other hand, I argue that the rejection of the Supervenience Thesis should lead Price to reject the methodological thesis of scientific naturalism as well, which would then make his subject naturalism indistinguishable from McDowell's liberal naturalism. If my arguments are all successful, Price's subject naturalism falls into a dilemma in that it can nither embrace nor reject the Supervenience Thesis.

      • KCI등재

        맥락주의와 ‘공유된 내용’의 문제

        강진호(Jinho Kang) 한국분석철학회 2013 철학적 분석 Vol.0 No.27

        최근 언어철학계에서는 진리조건의 맥락의존성을 설명하는 것과 관련하여 지표주의, 최소주의, 맥락주의 간의 논쟁이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다. 나는 자연언어 표현의 규약적 의미가 열린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해당 표현의 외연 조건을 본질적으로 미결정한다고 제안하고, 이 점을 고려할 때 지표주의보다 맥락주의가 진리조건의 맥락의 존성에 대해 더 적절한 설명을 제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최소주의를 옹호하는 카펠렌과 르포어는 맥락주의와 마찬가지로 화용론적 진리조건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의사소통의 성공을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는 화자와 청자가 맥락과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최소한의 ‘공유된 내용’ 또한 존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는 이에 대해 몇몇 맥락주의자들이 제안한 것처럼 화자가 발화한 문장의 진리조건과 청자가 이해한 문장의 진리조건이 유사하기만 하다면 의사소통의 성공이 보장될 수 있다고 답변한다. 카펠렌과 르포어는 이러한 유사성 견해가 진리조건의 동일성과 유사성을 구분하는 우리의 간접 보고 관행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나는 진리조건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불투명하다고 제안하고, 이러한 제안을 바탕으로 유사성 견해 하에서도 우리의 간접 보고 관행을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있음을 논증한다. In recent discussions in philosophy of language, three approaches have emerged to explain the context-sensitivity of truth-conditions: Indexicalism, Minimalism, and Contextualism. I argue that Contextualism provides a better account than Indexicalism by proposing that the conventional meanings of natural language expressions essentially underdetermine extension conditions because of their open texture. While agreeing with Contextualists that there are pragmatic context-sensitive truth-conditions, Cappelen and Lepore argue that we must also suppose the existence of minimal ‘shared content’ in order to explain the success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hearer. Along with some contextualists, however, I argue that the communicative success requires only the similarity between the truth-condition of the sentence uttered by the speaker and that of the sentence understood by the hearer. Cappelen and Lepore challenge the similarity view by arguing that it cannot properly explain our practice of indirect reports where we apparently distinguish between identity and similarity of truth-conditions. I propose that our knowledge of truth-conditions is not transparent, and I develop a contextualist answer to Cappelen and Lepore’s challenge based on this proposal.

      • KCI등재

        그림이론?

        강진호(Jinho Kang)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19

        이른바 언어에 대한 ‘그림이론’은 『논고』의 중심 이론으로 널리 받아들여져 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통념에 도전하면서 다음 두 논제를 주장한다. 첫 번째, ‘그림 이론’이라고 불릴만한 것은 『논고』에 종재하지 않는다. 『논고』에서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문장과 그림간의 단순한 비유일 뿐이며 이 비유는 아무런 실질적 내용을 갖고 있지 않다. 두 번째, 의미에 대한 『논고』에서의 진정한 설명은 추론적인 것으로, 이 설명에 따르면 문장의 의미는 그 문장이 다른 문장들과 맺고 있는 추론적 관계들에 의해 결정된다. 본 논문은 비트겐슈타인의 『논고』 이전 원고들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이른바 논리의 자율성에 의해 야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가 궁극적으로 ‘집합이론’이라고 부르고 있는 추론적 의미론을 채택하였음을 보임으로써 위의 두 논제를 옹호한다. The so-called 'picture theory' of language has been widely assumed to be the central doctrine of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 challenge this assumption by arguing for the following two theses: First, there is nothing in the Tractatus that can be properly called the 'picture theory'. What is in it is a mere analogy between the sentence and the picture, an analogy that turns out to be devoid of content upon closer scrutiny. Secondly. the real account of language in the Tractatus is an inferential one, according to which the meaning of a sentence is determined by inferential relations it has to other sentences. I establish my argument while examining Wittgenstein's pre-Tractatus manuscripts and showing that he ultimately adopted in his early period what he called the "class-theory", an inferential account of language, which provided a real solution to the problem caused by the requirement of autonomy of logic.

      • KCI등재

        회고와 성찰, 문학과 역사의 조형력 -학병세대와 전후 1950, 60년대 문학-

        강진호(Kang, JinHo)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40 No.-

        어느 시대나 사람들은 자기 시대가 급변하는 시대라고 생각한다. 1921년생이 겪은 변화는 한 사람이 계절의 변화를 체감하듯이 급격하고 절대적인 것이었다. 3.1운동이 무력으로 진압된 직후 피식민지 국민으로 태어난 1921년생 장용학, 김수영, 김종삼, 조병화, 이병주, 김광식, 류주현 등의 작가들은 만주사변(31)과 뒤이은 태평양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을 겪으며 성장했고, 장년기에는 8.15해방과 한국전쟁을 온몸으로 감당하였다. 4.19를 계기로 본격화된 김수영의 소시민성에 대한 비판은 1960년대 문학이 도달한 의식의 극점을 보여준다. 김수영의 비판은 자기 자신은 물론이고 자신이 몸 담고 있는 사회 현실과 국가와 역사를 향한다. 「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에서처럼, 붙잡혀간 소설가(남정현)를 위해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거나 수많은 젊은이를 죽음으로 내몬 월남전 파병을 반대하지 못하고 기껏 음식투정이나 하는 자신을 질책하는 목소리는 전후의 환멸과 절망을 뚫고 솟아난 신생의 외침이다. 1921년생 작가들이 일군 문학사의 지형은 이 언저리에 놓여 있다. 전후 1950년에서 1960년대에 걸쳐 있는 이들의 문학은 전쟁과 분단, 민족문제, 시민사회 건설, 자본주의적 근대화 등에 대한 탐구로 나타났다. 1960년대 문학은 1950년대의 즉자적 체험을 돌아보고 성찰하는 데서 출발한다. 전쟁이 끝난 지 10여 년이 경과하면서 개인적 상처에서 벗어나 전쟁을 객관화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었고, 4.19혁명은 자유의식의 고취와 시민사회 형성의 제반 여건을 제공해서 과거를 회상·성찰토록 하였다. 성찰은 크게 두 방향에서 이루어지는데, 하나는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성찰이고, 다른 하나는 자기 내면의 성찰이다. 김광식과 조병화, 류주현과 이병주는 전자를 대표하고, 김수영과 김종삼은 후자를 대변한다. 김광식은 학병을 피해 도망했던 시절을 돌아보고 전쟁이 끝난 이후 산업화가 본격화되면서 야기된 현실의 소외와 무력감을 주목하였고, 조병화는 일상생활에서 느끼고 경험하는 고독과 소외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런 성찰과 증언을 통해 1921년생 작가들은 감정 과잉과 추상의 세계에서 벗어나 구체적 현실에 착목하는 큰 걸음을 내디뎠다. 이들이 뿌린 씨는 이후 현실과 교섭·응전하는 주체를 만들고 우리 문학을 리얼리즘의 큰길로 이끌었다. In any era, people think that their era is an era of rapid change. The changes experienced by those born in 1921 were radical and absolute, just as a person felt the change of seasons. Writers such as Yong-hak Jang, Suyoung Kim, Jongsam Kim, Byeonghwa Cho, Byungju Lee, Gwangsik Kim and Joohyun Ryu, were born in 1921 as citizens of the colony immediate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was suppressed by force, wrote the Manchurian Incident, a bridgehead for the invasion of the continent, and the Pacific War and World War II that followed. In their adulthood, they endured the 8.15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with their whole body. The critique of Kim Suyoung"s petit bourgeois, which began in earnest after 4.19 Revolution day as a momentum, shows the culmination of the consciousness that literature reached in the 1960s. Kim Suyoung"s criticisms are directed not only to himself, but also to the social reality, the country, and the history in which he is involved. The topography of literary history, which was founded by writers born in 1921, lies around here. Their literature spanning the 1950s and 1960s after the war, appeared as an exploration of war and division, national issues, civil society construction, and capitalist modernization. Literature in the 1960s started from looking back on and reflecting on this immediate experience. More than a decade after the war, they had time to get away from personal wounds and objectify the war, and the April 19 Revolution day provided various conditions for free consciousness and civil society formation to recall and reflect on the past. Reflection mainly takes place in two directions: one is reflection on the past and present, and the other is self-reflection. Gwangsik Kim and Byeonghwa Cho, Joohyun Ryu and Byungju Lee represent the former, while Suyoung Kim and Jongsam Kim represent the latter. Gwangsik Kim looked back on the days when he fled from a student soldier and paid attention to the alienation and helplessness of reality caused by industrialization after the war ended, while Byeonghwa Cho dealt with the problems of solitude and alienation felt and experienced in everyday life. Through these reflections and testimonies, writers born in 1921 took a big step away from the world of emotional excess and abstractness and focused on concrete reality. The seeds they sowed later created a subject that negotiated and responded to reality and led our literature to the main path of real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