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다양한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

        강정균 ( Jeong-gyune Kang ),유찬석 ( Chan-seok Ryu ),김성헌 ( Seong-heon Kim ),강예성 ( Ye-seong Kang ),타파스쿠마 ( Tapash Kumar Sarkar ),강동 ( Dong-hyeon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본 연구는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오이, 토마토, 고추, 수박 모종의 수분함량을 비파괴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단계적으로 수분 스트레스를 받은 오이(n=45), 토마토(n=45), 고추(n=45), 수박(n=45) 모종을 초분광 영상시스템으로 촬영하여 모종 영역의 반사율을 추출하였고, 매 촬영 후 모종의 생체중과 건물중을 측정하여 수분함량을 계산하였다. 모종의 반사율과 계측된 수분함량을 변수로 하여 PLSR분석을 이용하여 수분 추정모델을 구축하였다. 각 모종의 수분 추정모델을 작성한 결과 토마토의 경우 정확도(R²)가 0.74, 정밀도(RMSE 및 RE)가 각각 2.77%, 3.09%로 나타났고, 고추의 경우 수분추정모델의 정확도가 0.68, 정밀도가 각각 1.43%, 1.61%으로 나타났으며, 오이의 경우 정확도가 0.73, 정밀도가 각각 1.45%, 1.58%, 수박의 수분 추정모델의 정확도가 0.66, 정밀도가 각각 1.06%, 1.14%로 나타났다. 위 모종을 박과(오이, 수박) 및 가지과(고추, 토마토)로 구분하여 추정모델을 작성할 경우, 박과 수분 추정모델의 정확도가 0.64, 정밀도가 각각 1.49%, 1.16%로 나타났으며, 가지과의 경우 정확도가 0.67, 정밀도가 각각 2.53%, 2.84%로 나타났다. 생물 분류체계에 관계없이 모든 모종을 이용하여 수분 추정모델을 작성할 경우 모델의 정확도가 0.56, 정밀도가 각각 2.54%, 2.81%로 나타났다. 각 모종의 수분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추, 수박, 오이 모종의 트레이(50공) 셀보다 토마토 모종의 트레이(60공) 셀크기가 작아 수분 스트레스를 더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Jang et al., 2014). 각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모델의 결과, 각 모종별로 작성한 수분 추정모델들보다 가지과, 박과, 모든 모종으로 작성한 수분 추정모델들이 정확도는 감소하였지만 정밀도는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분광 영상을 이용하여 모종별, 과별, 모든 모종의 수분함량 추정가능성을 시사하였고, 모델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샘플 수 및 개채별 수분함량의 변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SCOPUSKCI등재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강정현(Jeong Hyeon Kang),정경임(Kyung Im Jung),박미화(Mi Hwa Park),오근혜(Geun Hye Oh),김미향(Mihya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5

        본 연구에서는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고, 조골세포에 대한 분화와 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MC3T3-E1 세포의 증식률과 ALP의 활성 및 골 석회화 정도를 측정하고 OPN과 Runx2 및 osterix 단백질 발현 정도를 분석하였다.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gallic acid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3.04 ㎎ GAE/g으로 나타났다.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1,000 ㎍/mL 농도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최대 92.41%로 나타났으며, SOD 활성은 1,000 ㎍/mL에서 54.26%로 나타났다(P<0.05).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이 MC3T3-E1 조골세포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분석법으로 확인한 결과, 100 ㎍/mL로 처리 시 123.13%로 나타나 높은 조골세포 성장률을 보였다. MC3T3-E1 조골세포에서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ALP 활성은 추출물 10 및 50 ㎍/mL 농도에서 각각 118.93%, 115.21%로 무첨가군에 비해 증가하였다(P<0.05). Alizarin Red 염색법에 의한 석회화 형성도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불등풀가사리 추출물 처리에 의해 calcium spot이 많이 형성되었으며, 석회화 정도를 수치화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석회화 형성능을 보였는데, 시료 50 ㎍/mL 농도에서 133.86%로 최대 활성을 보였다. MC3T3-E1 조골세포에서의 OPN과 Runx2 및 osterix 단백질 발현량은 불등풀가사리 추출물 50 ㎍/mL 농도에서 분화 대조구보다 각각 1.26배, 2.13배, 2.87배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조골세포 증식, ALP 활성, 골 석회화 형성 및 조골세포 분화 인자의 단백질 수준을 조절하여 그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소재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Osteoporosis is a disease characterized by decreased bone strength, decreased bone mass, and bone deterioratio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Gloiopeltis furcata ethanol extract (GFE) on antioxidant activity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s. Antioxidant activities of GFE were examined by evaluat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Results showed that GFE contains 3.04 ㎎ gallic acid equivalents/mL. GFE exhibited significantly strong scavenging activity in the DPPH assay, and 54.26% SOD activity was exhibited at 1,000 ㎎/mL concentration. Furthermore, GF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iability and proliferation of the MC3T3-E1 osteoblastic cells. Exposure to GFE promote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mineralized nodules in MC3T3-E1 cells. Moreover, a dose-depende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proteins associated with osteoblast growth and differentiation, such as Runx2, ALP, and osterix, was observed in the GFE-treated cell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FE encompasses both antioxidant potential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properties. Thus, we conclude that GFE can potentially be applied as an alternate therapy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 풍속계를 이용한 온실내 순환팬 풍속구배 분석

        강정균 ( Jeong Gyun Kang ),박효제 ( Hyo Je Park ),김동억 ( Dong Eok Kim ),홍순중 ( Soon Joong Hong ),강태환,강동 ( Dong Hyeon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본 연구는 스마트온실의 내부순환팬 성능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순환팬 작동에 따른 풍속 도달거리를 측정 및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기순환팬의 풍속 도달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풍속센서(HD103T.0)를 수직, 수평으로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풍속측정을 위해 프로파일로 센서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고, 풍속센서의 수직방향 측정은 Yu. 등(2007)의 온풍 시험과 같이 지면에서부터 0.6m 간격으로 설치하여 총 5개를 설치하였다. 수평방향 측정은 수직으로 설치한 중앙센서를 기준으로 좌우 2개씩 1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풍속센서의 데이터는 데이터로거(GP10)를 통해 측정 및 기록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순환팬은 직경 250mm(LD-SF250), 270mm(SN-14-2), 300mm(SW-SF300), 340mm(SN-14-1), 350mm(LD-SF350) 팬을 사용하였고, 전동리프트에 고정시켰으며, 리프트는 순환팬이 수직, 수평방향의 중앙센서의 정면에 위치하도록 상하좌우를 맞추었다. 시험방법은 순환팬이 안정화되도록 30분동안 작동시킨 후 시험을 시작하였다. 최초 측정은 중앙센서에서 1m 거리부터 측정하였으며 이후 1m 간격으로 리프트를 이동시키며 최대 17m까지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데이터로거를 통해 각 위치마다 2분 동안 5초 간격으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순환팬 230mm, 250, 300, 340, 350, 팬의 최초풍속은 2.71m/s, 3.27, 4.35, 5.31, 5.50으로 조사되었다. Kim(1997)의 연구에 따르면 작물의 생육을 위한 적정 기류속도는 0.3 ~ 0.5m/s이라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각 팬의 풍속 도달거리로는 230mm가 6 ~ 15m, 250mm가 9 ~ 16m 구간으로 나타났다. 직경 300 ~ 350mm 팬은 최대 측정거리까지 0.2m/s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으며, 각각 11m, 12, 14 부터 풍속 0.5m/s 미만으로 떨어졌다. 본 시험결과를 통해 순환팬의 풍속 도달거리 시험 및 순환팬 설치 기준에 대한 지표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시험에서는 17m 이상 거리에서 풍속을 측정하여 각 팬의 풍속 0.2m/s 미만 도달거리까지 측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크런치 운동 시 성별에 따른 부수적인 청각적 격려 적용이 정상인의 복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단면 예비 연구

        이지 ( Ji-hyeon Lee ),김형동 ( Hyeong-dong Kim ),김창용 ( Chang-yong Kim ),강정현 ( Jeong-hyeon Kang ) 대한물리의학회 2017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verbal encouragement according to the gender on the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during performance of crunch exercise in healthy subjects. METHODS: A Total of 32 healthy subjects (15 male and 17 female) were randomly allocated to two conditions, crunch exercise with Ki-hap and verbal encouragement with same gender (CKVS) and crunch exercise with Ki-hap and verbal encouragement with different gender (CKVD). The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over three trials in each condition, a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each subject by one examiner in three trials. The activation of rect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internal oblique, and transverse abdominis muscles were evaluated using electromyography (EMG) during performance of crunch exercise with Ki-hap and verbal encouragement with same gender or different gender,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activation of all abdominal muscles in those of the CKVS compared with the CKVD (p>.05).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ratio of muscle activation at global muscle to that at local muscle between two conditions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application of the supplementary verbal encouragement by gender does not affect to activate the abdominal muscles of subject to perform a movement, at the same time, it would suggest positive evidence for improving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 온실 보온자재의 보온성능 평가방법 조사

        박효제 ( Hyo Je Park ),강정균 ( Jeong Gyun Kang ),김동억 ( Dong Eok Kim ),홍순중 ( Soon Joong Hong ),강동 ( Dong Hyeon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온실 보온자재의 보온성능검증은 KS K 0560 “천의 보온성 측정 규정”을 따르고 있으나, 2000년 이후의 국내 온실 보온자재 보온성능 관련 연구는 Hot Box를 이용하여 열관류율을 측정 후 보온성능을 평가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표준화된 관류열전달계수 측정시스템 및 측정 기준의 부재로 최근 개발되어 상용화된 피복재와 보온재에 대한 관류열전달 특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통일된 정량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이현우 등,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실 보온재의 보온성 성능평가 규정과 최근 수행된 국내연구 결과를 조사하여 온실 보온재의 보온성능 분석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외 보온자재의 보온성능 평가 표준은 KS K 0466, KS K 0560, ASTM D 1518, ASTM C 236-89 등이 있다. KS K 0466, KS K 0560, ASTM D 1518 규정은 사람의 체온을 기준으로 한 가열시험판 위에 올려놓은 보온재를 통과하여 방출되는 발열량을 소비 전력량으로 측정하여 보온성능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ASTM C 236-89 규정은 건축물의 주거환경인 내부와 외부 조건을 조성 후 내부환경과 외부환경 사이에 시편을 설치한 후 내부환경에 난방하여 일정 온도까지 열을 공급 후 난방기를 끄고 내부, 외부온도가 같아질 때까지 시험을 진행한다. 이후 내부, 외부 보온재의 표면 온도 차이가 가장 클 때 값과 난방기에 공급된 열량을 이용하여 보온재의 보온성능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2000년 이후 온실 보온재 보온성능 분석 관련 논문은 약 9편 정도 있었으며, 모든 연구에서 ASTM C 236-89의 기준에 따라 Feuilloley and Issanchou(1996)가 사용한 Hot Box를 응용한 것으로 이 중 3편의 논문은 수직 열관류율 측정 장비를 제작하여 보온성 성능분석 시험하였고, 나머지 6편은 각각 다른 시험 조건으로 열관류율을 측정 후 보온성능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온실 보온자재에 대한 보온성능 검증은 사람체온을 기준으로 한 KS K 0560가 아닌 온실 외부환경을 기반으로 응용한 ASTM C 236-89의 결과가 필요하며 이에 따른 장비 및 시험방법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온실 보온자재의 사용기간에 따른 보온성능 평가방법 개발

        박효제 ( Hyo Je Park ),강정균 ( Jeong Gyun Kang ),김동억 ( Dong Eok Kim ),홍순중 ( Soon Joong Hong ),강태환 ( Tae Hwan Kang ),강동 ( Dong Hyeon K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1

        스마트 온실 난방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개발된 다겹보온커튼을 이용하여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윤 등(2013)은 투광성 보온커튼을 이용한 난방에너지 절감 연구를 수행하였고, 유 등(2013)은 다겹보온커튼과 에어로겔 보온커튼의 총괄 열전달 계수 분석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다겹보온자재에 대한 보온성능 검증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몇 개 기관에서 보온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고 있으나, 현재 수행 중인 방법은 미사용 다겹보온자재를 이용하여 보온성능을 검증하고 있어 태양광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보온자재의 부식으로 인한 보온성 저하에 대한 검증은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윤 등(2019)에 의하면 온실 보온 관련 연구는 다겹보온자재의 내부 재료 조합형태별 보온성과 그 개선 효과에만 집중되어 있으며 오래사용된 보온자재의 보온성 변화 및 교체 기간 등의 설정을 위해 접근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 보온자재를 40W 자외선 형광등을 이용하여 168시간(1주), 336시간(2주), 504시간(3주), 672시간(4주) 동안 자외선에 노출 시키는 촉진 내후성 시험과 1년에 5개월을 보온자재를 이용하여 보온한다는 가정하에 권취방식으로 150번 왕복 개폐를 1년으로 가정하여 6년(900번 왕복) 개폐 후 시험하였다. 보온성능 비교는 내후성 시험 후 보온율 측정, 내구성 촉진시험 후 보온율 측정, 내후성 시험을 수행하고 내구성 촉진시험을 한 후 보온율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보온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내구성 촉진시험만 수행한 결과에서는 보온율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내후성 시험만 수행한 결과에서 0.85%의 보온율이 낮아졌다. 내후성 시험과 내구성 촉진시험을 동시에 하는 시험에서는 내후성 시험결과보다 약 1.1% 낮아지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시험장치에 대해 수정 보완한다면 보온자재 사용기간에 따른 보온성능 평가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