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강은하 ( Eunha K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입체적인 시각에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따른 하위 잠재집단의 존재 여부를 밝히고 나아가 잠재집단별 특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2021년 실시한 12차년도 ‘한국미디어패널조사’의 데이터 중 4년제 대학생 502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성요인으로는 기술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 변화에 따라 더욱 주목받고 있는 인지적 영역, 사회적 영역이 포함되었다. 또한 PC 활용, 스마트기기 활용, 비판적 정보판단, 개인정보의식, SNS 참여 등의 측정 변인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하위요인으로 사용되었다. 그 결과 대학생은 네 가지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는데, 잠재집단의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요인의 수준은 모두 상이하였다. 이에 따른 특징을 반영하여 각 잠재집단을 ‘고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집단’, ‘기계적 디지털 리터러시 집단’, ‘주체적 디지털 리터러시 집단’, ‘저수준 디지털 리터러시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도출된 잠재집단을 성별, 학년, 계열, 지역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을 제외한 학년, 계열, 지역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하나의 단일한 영역에 대한 역량이 아닌 다수 영역을 포괄하는 역량이며, 따라서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각 잠재집단의 디지털 리터러시 하위요인 수준 및 학습자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ypes of digital liter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er utilized Latent Profile Analysis and analyzed the answers of 502 university students in the ‘Korean Media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KISDI) in 2021. This study considers the technical dimensions of digital literacy and the cognitive and socio-cultural dimensions, which have gained increasing significance due to societal changes. Furtherm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following variables as sub-factors of digital literacy: PC utilization, smart device utilization, critical information assessment, privacy awareness, and engagement in social media. As a result, university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profiles with different levels of digital literacy sub-facto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groups, they were labeled as the ‘High-Level Digital Literacy Group,’ ‘Mechanical Digital Literacy Group,’ ‘Proactive Digital Literacy Group,’ and ‘Low-Level Digital Literacy Group.’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differences in grade, major,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profiles. This study suggests that a customized program that considers each profile’s level of digital literacy sub-factor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is necessary to improve undergraduate students’ digital literacy. Additionally, the researcher outlined the study’s limitations and discuss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SCOPUS
      • KCI등재

        GIS 자료와 CFD 모델을 이용한 수원시 지표 바람 특성 연구

        강건 ( Geon Kang ),김민지 ( Min-ji Kim ),강정은 ( Jung-eun Kang ),양민준 ( Minjune Yang ),최석환 ( Seok-hwan Choi ),강은하 ( Eunha Kang ),김재진 ( Jae-ji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6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수원시 전역을 대상으로 바람길을 조사하였다. 최근 10년간 수원 종관기상관측소(ASOS 119)에서 측정한 평균 풍속을 이용하여 16방위의 유입 풍향에 대한 수치 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원시는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위치하고, 수원시 서부와 남부에는 장애물이 적은 농경지와 호수 평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수원시 중부에는 낮은 산과 언덕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고, 넓은 도로들과 하천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서풍(주풍)과 동풍(평균 풍속이 강한 풍향) 경우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16방위 풍향 빈도수를 가중치로 사용하여 평균한 풍속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원시의 상세 바람 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수원 북부 지역은 높은 산악 지형에 의해 복잡한 흐름이 형성되었고, 풍상측(풍하측) 산사면에서 강한(약한) 바람과 상승(하강)기류가 모의되었다. (2) 풍하측 산사면에서는 골짜기를 따라 바람길이 형성되어 주거지역으로 비교적 강한 기류가 유입되었다. (3) 강풍 지역이 수원 서부와 남부의 장애물이 없는 넓은 지역에서 모의되었다. (4) 도심지에서는 건물에 의한 마찰과 흐름 차단으로 인해 풍속이 감소하고 복잡한 흐름장이 형성되었다. 도심지 주거 지역의 바람길은 넓은 도로와 하천, 호수, 저수지 등 장애물이 적은 지역을 따라 형성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wind corridors for the entire Suwon-city area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 We conducted numerical simulations for 16 inflow wind directions using the average wind speeds measured at the Suwon 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SOS) for recent ten years. We analyzed the westerly (dominant wind direction) and easterly cases (not dominant but strong wind speed) in detail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 wind speed distribution averaged using the frequencies of 16 wind directions as weighting fact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d corridors in Suwon city can be summarized as; (1) In the northern part of Suwon, complicated flows were formed by the high mountainous terrain, and strong (weak) winds and updrafts (downdrafts) were simulated on the windward (leeward) mountain slope. (2) On the leeward mountain slope, a wind corridor was formed along a valley, and relatively strong airflow flowed into the residential area. (3) The strong winds were simulated in a wide and flat area in the west and south part of Suwon city. (4) Due to the friction and flow blocking by buildings, wind speeds decreased, and airflows became complicated in the downtown area. (5) Wind corridors in residential areas were formed along wide roads and areas with few obstacles, such as rivers, lakes, and reservoir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GIS 자료와 지상측정 기상 · 미세먼지 자료에 기반한 수원시 지역의 도시대기환경 특성 연구

        왕장운 ( Jang-woon Wang ),한상철 ( Sang-cheol Han ),문다솜 ( Da-som Mun ),양민준 ( Minjune Yang ),최석환 ( Seok-hwan Choi ),강은하 ( Eunha Kang ),김재진 ( Jae-jin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7 No.6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수원시 내에서 측정한 기상과 미세먼지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연별 기상과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 경향을 분석하였고, 수원시 미세먼지 농도(PM<sub>10</sub>, PM<sub>2.5</sub>)와 기상 인자(풍속, 기온), 도시공간정보(건물부피비, 도로면적비)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도시대기측정소의 도시공간 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과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의 건물 고도 정보와 세분류 토지피복자료의 도로 정보를 이용하였고, 도시대기측정소를 중심으로 2 km×2 km 영역의 건물 부피와 도로면적을 계산하였다. 기상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원시는 주로 서풍과 서북서풍이 우세하게 나타났고, 평균풍속은 봄철에 높았다. 미세먼지 농도는 여름철(7월~9월)에 낮았고 봄철과 겨울철에 비교적 높았다. 연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2020년에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낮았다. 측정 미세먼지 농도는 풍속과 기온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기온과 PM<sub>2.5</sub> 농도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6개 도시대기측정소의 PM<sub>10</sub>, PM<sub>2.5</sub> 평균 농도와 도시매개수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 PM<sub>10</sub> 농도는 도로 배출이나 건물에 의한 지상 풍속 감소의 영향보다는 외부로부터의 유입 영향을 더 크게 받았고, PM<sub>2.5</sub> 농도는 국지적 배출이나 건물에 의한 풍속 감소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분석된다. We analyzed the monthly and annual trends of the meteorological factors (wind speeds and directions and air temperatures) measured at an automated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SOS) and fine particle (PM<sub>10</sub> and PM<sub>2.5</sub>)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AQMSs) in Suwon.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were related to the meteorological factors as well as urban morphological parameters (fractions of building volume and road area). We calculated the total volume of buildings and the total area of the roads in the area of 2 km × 2 km centered at each AQMS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analysis of the meteorological factors showed that the dominant wind directions at the ASOS were westerly and northwesterly and that the average wind speed was strong in Spring. The measured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were low in Summer and early Autumn (July to September) and high in Spring and Winter. In 2020, the annual mean fine particle concentration was lowest at most AQMSs.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and weakly correlated with the measured wind speeds and air temperatures (the correlation between PM<sub>2.5</sub> concentrations and air temperatures was relatively strong). In Suwon city, at least for 6 AQMSs except for the RAQMS 131116 and AQMS 131118, the PM<sub>10</sub> concentrations were affected mainly by the transport from outside rather than primary emission from mobile sources or wind speed decrease caused by buildings and, in the case of PM<sub>2.5</sub>, vise ver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