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요양시설 외부 관계자원을 중심으로

        강은나 ( Kang Eun-na ),이민홍 ( Lee Minh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2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어떠한 형태로 유형 화되는지 규명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탐색적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주로 노인요양시설 외부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연구 대상은 노인요양 시설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중 인지건강 수준이 중증으로 설문에 응답하기 어려운 노인과 요양시설에 입소한지 6개월 미만인 노인은 제외하였으며, 시설거주노인 230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을 사용하였으며, 잠재집단을 통해 도출 된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별 특성은 X<sub>2/sub> 분석, t-test, ANOVA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자녀의존형(68.3%), 고립형(13.9%), 제한적 다연결형(17.8%) 등의 세 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자녀의존형은 자녀수와 자녀연락 빈도수는 평균 이상이지만, 종교참여나 친구와의 교류는 거의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립형은 자녀, 친구, 친척과의 연락도 거의 없고, 종교행사참여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제한적 다연결형은 자녀, 친척, 친구 등과의 연락이 유지되고, 종교 행사참여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거주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건강특성 등은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없이 매우 동질적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설거주노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유형에 관한 학문적 및 실천적 함의와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rive social network types, connected with outside the facilities, among older adults who reside in nursing homes and to prob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ocial network at the exploratory level. Data were obtained from 230 older residents in 30 nursing homes located at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Eligibility criteria of this study required that the participants had cognitive abilities to respond to the questions and had lived in nursing facilities at least 6 months. A series of statistical methods such as latent class analysis, chi-square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social network types of nursing home resid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nursing home residents had three distinct network types: child dependent type (68.3%), non-kin relation type (13.9%), and limited diverse type (17.8%). The older adults with kin and family intensive type showe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were above the means, but they rarely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friends. Those with non-kin relation type rarely involved in interaction with children, friends and kin, and they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The elderly with limited diverse type had frequent contacts with children, friends and kin, and also were more likely to go to religious activiti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type and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r health stat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ications for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은퇴 전후 생활만족도의 다중 변화궤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잠재집단성장모형을 중심으로

        강은나 ( Eun Na K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은퇴생활의 이질성과 다양성을 전제로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전과 후의 생활만족도 변화양상에 있어 복수의 변화궤적을 확인하고, 각 궤적의 형태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노후보장패널 1차~3차 자료(2005~2009)를 활용하여 만 50세에서 만 69세인 중·고령자 중 1차 시점과 2차 시점 사이에 완전은퇴 또는 부분 은퇴한 24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생활만족도의 다중궤적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집단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을 실시하였으며, 하위 변화유형별 궤적집단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 전후 생활만족의 변화양상은 세 개의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유형은 은퇴와 관계없이 은퇴 전과 후 모두 높은 수준의 생활만족도를 보이는 ‘고수준 유지형(47.7%)’, 두 번째는 은퇴 전에는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지만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감소하는 ‘고수준 감소형(42.8%)’, 그리고 은퇴 전 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았으며, 은퇴 이후에도 만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저수준 감소형(9.5%)’으로 구분되었다. 즉, 은퇴로 인한 삶의 질이 감소하는 위험집단은 약 50%에 이르며, 이 중 약 10%는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은퇴 전후 생활만족도 변화유형을 예측하는 요인을 응답자의 개인특성, 경제적 상태, 그리고 은퇴전 직장특성으로 구분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다. 그 결과 은퇴 전보다 은퇴 후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고수준 감소형’보다 ‘고수준 유지형’에 속한 승산이 높았다. 그리고 교육수준이 중졸이하이고, 은퇴 이후 건강수준이 좋아지기 보다는 유지되고, 가구소득이 낮고, 은퇴전 종사상 지위가 임시·일용직인 중·고령자일수록 ‘고수준 유지형’보다는 ‘저수준 감소형’에 속할 승산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자들이 은퇴 전환과정을 성공적으로 보내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retirees and to examine what factors differentiate different trajectory classes. This study used three waves of longitudinal data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and data collected every two years(2005, 2007, and 2009). Subjects were respondents aged 50-69 who identified to be retired between wave 1 and wave 2. Finally, this study used 243 respondents for final data analysis. Life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seven items. The latent class growth model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distinct trajectory classes: high stable class(47.7%), high at the early stage but decreased class(42.8%), and low at the early stage and then decreased class(9.5%). This study founded that approximately 50% of the retirees experienced the decline of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and about 10% of the sample was the most vulnerable group. This study analyzed what factors make different among the distinct trajectory groups. As a results, retirees who experienced the improvement in health change were more likely to be in ‘high stable class’ compared to ‘hight at the early stage but decreased class’. In addition, retirees who were less educated, maintained the same health status rather than the improvement, worked as a temporary or a day laborer, and had less household income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low at the early stage and then decreased class’ relative to ‘high stable clas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distinct three trajectorie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retirees and finds out factors differentiating between trajectory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further study.

      •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치매정책 현황과 과제

        강은나 ( Kang Eun-n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보건복지포럼 Vol.312 No.-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노인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 노인을 돌보는 가족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제도 도입 당시에는 신체적 기능 저하에 대응하기 위한 돌봄 제도로 설계되었으나 치매 증상이 있는 노인의 증가와 가족 돌봄 부담이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면서 경증 치매 노인을 포괄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이루어졌다. 신체적 기능이 양호하지만 인지적 기능이 저하된 노인을 장기요양보험 수급자로 포괄하기 위해 등급판정체계를 개편하고, 장기요양 인력을 대상으로 치매전문교육을 실시하여 치매 수급자를 대상으로 인지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치매전담형 장기요양기관을 확대하며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휴가 지원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노인인구 천만 명 시대 도래와 후기 노령인구 증가는 치매 수급자 돌봄에 대한 장기요양보험의 지속적인 변화와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치매정책도 수급자 특성에 기반한 맞춤형 전문 서비스 제공과 환경 조성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Long-term Care Insurance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ho have difficulties in their daily lives and to mitigate the burden of care on family members. At the time of its introducti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was designed as a social insurance system to respond to the deterioration of physical function. However,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symptoms and the burden of family care increased so much over time as to become a “social problem”, the long-term care insurance has expanded services for senior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ies. The dementia policy i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needs to become more proactive through the creation of customized professional services and environm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ipients.

      • KCI등재

        노년기 우울의 다중변화궤적에 관한 연구

        강은나(Kang, Eun-Na),최재성(Choi, Jae-sung)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년기 우울변화의 다중궤적을 확인하고, 각 궤적집단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부터 5차년도(2006-2010)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60세 이상 4,181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노인 우울의 다중궤적과 각 궤적집단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으로는 잠재성장혼합모형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이 사용되었다. 노년기 우울과 관련있는 여섯 가지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인 우울의 다중궤적을 분석한 결과, 감소형(10.6%), 증가후감소형(9.7%), 증가형(7.9%), 그리고 안정형(71.8%)의 네 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노인우울의 궤적집단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가족관계만족, 경제활동기간, 그리고 빈곤기간은 안정형과 나머지 세 개의 우울궤적을 구분하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만성질환, 배우자상실, 그리고 가구소득은 안정형과 증가후감소형을 구분하는 요인이었으며, 연령과 공적연금수급은 안정형과 증가형을 구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우울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한 개입방안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ultiple trajectori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rajectory group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uses five waves of longitudinal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KWPS, 2006-2010). Subjects were older adults aged 60 and over who had completed at least three waves between 2006 and 2010. A total of 4,181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latent growth mixture model and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were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After controlling for the variables of gender,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self-assessed health, and poverty, this study identified four different trajectory classes: stable low depressive symptoms (71.8%), high but decreased depressive symptoms (10.6%), moderate but increased depressive symptoms (7.9%), and an increased, then a decreased pattern of depressive symptoms (9.7%). The characteristics of theses trajectories a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were a lower percentage of 'stable low depressive symptoms', no 'persistently high depressive symptoms', and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lso, the elderly in the stable low trajectory group had better health status, higher self-esteem and a good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having longer working periods, and more living in non-poverty. In addition, chronic health problems, loss of spouse, and household income differentiated the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pattern from the low stable pattern. Also, age and public pension differentiated the moderated but increased pattern from the low stable patter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 일상생활수행 제한노인의 노인돌봄유형과 특성

        강은나 ( Kang Eun Na ),선우덕 ( Sunwoo Duk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6 장기요양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돌봄제공자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돌봄이용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며,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가족구성원 특성, 거주지역 등에 따라 이용하고 있는 돌봄형태가 어떠한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제한이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이 받고 있는 돌봄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5세 이상 노인의 약 82%는 신체적 기능장애가 없는 건강한 노인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기능상태 제한이 있는 노인의 약 18%는 돌봄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기능제한으로 인해 주변의 도움을 받고 있는 노인의 약 77.8%는 비공식 돌봄만을 받고 있으며, 17.0%는 공식돌봄과 비공식돌봄을 동시에 받으며, 나머지 5.2%는 공식돌봄만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체적 기능상태의 중증화가 진행될수록 비공식돌봄 비중은 50% 이하로 감소하는 반면, 혼합돌봄 비중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식적인 돌봄과 가족에 의한 돌봄 이외에 이웃이나 지역사회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한 노인돌봄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of care(informal, formal, mixed) received by Korean disabled elderly.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uses data from a Korean Senior survey and subjects are 1,906 respondents aged 65 and over who live in at home and have at least one partial help wi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One-fifth of disabled elderly people receive no care. Among those who need help, 77.8% receive informal, 17.0% mixed, and 5.2% formal care. Informal care decreases with the numbers of limited daily liv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mixed care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limited daily living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public policies should pay attention to informal care and the further study needs to find its own balance between formal care, informal care, and mixed care.

      • 고령자의 경제 및 사회활동 정책 모니터링: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을 중심으로

        강은나 ( Kang Eun-n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보건복지포럼 Vol.317 No.-

        저출산 및 고령화의 심화에 사전적으로 대응하고, 인구사회구조 변화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이 매 5년마다 수립되어 추진되고 있다. 고령사회정책의 일환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경제 및 사회활동 지원 정책이 수립되고 있으며,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는 고령 근로자가 가능한 한 오래 노동시장에서 근무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지원 방안이 강화되고 있다. 은퇴기 또는 노년기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다양한 사회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과제들도 제시되었다. 이 글에서는 고령자의 경제 및 사회활동 참여 현황과 정책 과제를 검토하고,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 보완되거나 개선되어야 할 정책영역을 제안하였다. The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is created and updated every five in years in order to proactively address the aging population and declining birthrate and to adjust steadily to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s part of the aging society policy, measures have been taken to the support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in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efforts have been taken to strengthen the measures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elderly workers can remain in the labor market for as long as possible. Additionally, policy initiatives have been proposed to support different social activities and ensur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or retirement.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and policies on older people’s economic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suggests areas that needs to be improved upon in the Basic Plan.

      • KCI등재

        중년층의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의향 및 선호업무유형에 관한 연구

        강은나(Eun Na Kang),신지영(Jee young Shi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층의 응답자의 직장특성과 노후준비 특성이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의향과 노년기 선호업무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은 생애기간 중 최소 1년 이상 경제활동 참여경험이 있고, 현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46세부터 59세의 중년층 2,963명을 대상으로 노년기 경제활동 참여의향 여부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노년기에도 경제활동 참여의향이 있는 중년층 근로자 2,133명을 대상으로 노년기 선호업무유형을 현재와 같은 업무, 현재와 유사 업무, 그리고 현재와는 다른 새로운 업무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 차이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베이비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2010)’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 요 분석방법으로 이항 및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년기 경제활동참여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주관적 건강, 가구소득, 종사상의 지위, 일의 중요도, 경제적 준비 그리고 직업적 준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선호유형에 대해서는 교육수준이 낮고, 미혼자녀수가 많을수록, 상용직이며, 직장만족도가 높고, 사회참여적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중년층은 ‘유사업무’보다는 ‘현재와 같은 업무’를 선호하였다. 그리고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관리․전문․사무직보다는 고용주, 단독자영업자일수록, 직장만족도가 낮을수록, 그리고 직업적 준비를 하고 있는 중년층은 ‘같은 업무’보다는 ‘새로운 업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현재 중년층의 요구에 부합하는 노후준비 프로그램의 다양화, 고학력 전문직 종사자에 맞는 직종개발, 중년층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기업 및 정부의 역할 등 에 대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to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favorite job types in later life. To achieve these goals, survey was carried out for 2,963 middle-aged people between the ages 46-59 years and who had participated in labor force at least one year and currently employed. Also, we investigated the favorite job types in later life among 2,133 people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labor force after retirement. We proposed two major categories of antecedents(i.e,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intention to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favorite job types of old age.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Baby Boomers’ Demographic Profiles and Welfare Needs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with binary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to labor force in later life were gender, self-assessed health condition, household income, type of occupation, importance of work, financial preparation and occupational preparation. Also, we found that a) people who were less educated, had more unmarried children, were permanent workers, were higher job satisfaction, and prepared social participation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employment of same field, b) people who were man, were more educated, had more income, were employers or self-employed, and did more occupational preparation were more likely to engage in employment of different fiel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t both political and practical levels.

      • KCI등재

        후기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 유형과 우울에 관한 연구

        강은나 ( Eun Na Kang ),김혜진 ( Hye Jin Kim ),정병오 ( Byung Oh Ch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건강상태 저하, 배우자 및 지인의 상실 등으로 인해 사회적 관계의 양과 질적수준이 급격히 약화되는 75세 이상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이 어떠한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탐색적 수준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만 75세 이상 노인으로 2012년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를활용하였다. 우리나라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사용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이 노인의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은 친구형(9.0%), 가족.친교형(32.9%), 자녀형(23.2%), 자녀·친구형(34.9%)으로 도출되었다. 친구형은 유배우자 비율, 자녀와의 연락과 만남, 친구와의 만남, 친목모임 등 단체활동 참여도 가능성이 매우 낮은 반면 친구와의 만남 가능성이 유일하게 높은 특성을 가진다. 가족.친교형은 유배우자일 확률이 가장 높고, 자녀와 친구, 그리고 친목모임과의 관계정도가 높으며, 자녀형은 사회적 관계의 범위가 자녀로 한정되어 있으며, 자녀·친구형은 각종 단체활동 참여 가능성은 낮은 반면 자녀 및 친구와의 교류 가능성이 높은 특성을 보이고 있다. 사회적 관계의 범위가 가장 광범위한 가족.친교형을 기준으로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친구형과 자녀형의 우울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관계망 유형이 노년기 정신건강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기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 축소를 예방하고 긍정적인 가족, 친구, 지역사회와의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Generally, older adults aged 75 or over are experienced the reduction of the size and quality of social relation due to health proble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ocial network typ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75 or above. Date on 1,869 older adults aged 75 or above, from the 2012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ere analyzed. We used the latent class analysis to investigate social network types of elderl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showed that old-old elderly had four distinct social network types: friend type(9.0%), family-social type(32.9%), children type(23.2%), children-friend type(34.9%). The friend type had no contact with children and had small social contacts compared to other types and the older adults with family-social type were more likely contact with children and friends and participate in social meetings. Those with children-friend type had lower social meetings compared to the family-social type, and the social relation of the elderly with children type was limited to only their childre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depressive symptoms among children type and friend type were higher than family-social type. It showed that social network types influenced on mental health of old-old ad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size of social network and maintaining the positive relations with family, friends, and community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근린환경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강은나(Kang, Eun Na)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3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나라 노인이 어떠한 근린환경 구조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노인이 실제 거주하는 근린환경 유형들이 노인의 삶의 만족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4년에 수행한 노인실태조사 자료에서 대리응답을 제외한 본인이 직접 응답한 10,28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근린환경 유형을 판단하기 위해 식료품 가게, 의료기관, 행정기관, 복지시설, 대중교통(정류장, 지하철역)등의 지역사회기관이나 장소까지 도보로 걸리는 시간(분 단위)을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근린환경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이 생활하는 근린환경 유형은 여가․복지 도보제한형(20.3%), 여가․복지 원거리형(15.5%), 균형근접형(7.8%), 상점․교통형(35.0%), 교통근접형(10.1%), 격리형(11.3%)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앞의 네 개 유형은 도시형에 가까우며 교통근접형과 격리형은 농어촌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근린환경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균형근접형에 비해 상점․교통형과 격리형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과 교육수준,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유배우자 집단의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건강상태(주관적 건강, 만성질환개수, 기능상태)가 좋을수록, 그리고 비동거 자녀, 형제자매, 그리고 친구나 이웃과의 연락빈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을 둘러싼 근린환경의 구조가 노인의 삶의 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한 연구로서 물리적 근린환경의 구조적인 측면도 고령친화적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고려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nd to verify whether th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s are direct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adults. To achieve this goal, I used‘2014 National Survey on Older Koreans’ data which surveyed the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living in the community and a total of 10,281 responde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the time taken by walking from community organizations or places such as grocery stores, medical centers, administrative agencies, welfare centers, public transportation was used as an neighborhood environment indicators. As a results, there were six types of neighborhood environment: a leisure-welfare walk-limited type(20.3%), a leisure-welfare long-distance type(15.5%), a balanced proximity type(7.8%), a store-traffic type(35.8%), a traffic proximity type(10.1%), and a marginalized area type(11.3%). Compared to the balanced proximity type, older adults living in a store-traffic type and a marginalized area type we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life satisfaction. older adults who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were more likely to be female, more educated, get higher household income, and have a spouses or partner. Moreover, the better the health condition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ontact with children, siblings, friends and neighbor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life. Finding from the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neighborhood environment in late lif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building age-friendly community.

      • 2023년 사회서비스 정책의 전망과 과제

        강은나 ( Kang Eun-na ),안수란 ( Ahn Suran ),이상정 ( Lee Sang-jeong ),이한나 ( Lee Hannah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보건복지포럼 Vol.315 No.-

        윤석열정부는 2022년 출범 이후, 약자복지의 정책기조 위에서 민간 주도의 사회서비스 혁신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사회서비스 정책방향성을 토대로, 국정과제로 구체화되었던 윤석열정부의 핵심적인 사회서비스 정책의 추진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전망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아동, 노인, 장애인으로 대별되는 인구집단별 핵심 사회서비스 정책 및 이를 포괄하는 사회서비스 정책일반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에서 국정과제를 통해 제시되었던 핵심적인 정책과제의 추진 배경 및 경과를 분석하고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Since its inauguration in 2022,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a policy of innovating private sector-led social services under the principle “welfare for the weak.”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ospects and main tasks of the Yoon Seok-Yeol government’s social policy, focusing on the national agenda items. This article addresses the background and progress in population-group-specific social service policies for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lso, the paper discusses key policy tasks and significant issues to improve social service polic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