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정환의 동화와 소년소설에서의 성장과 근대성의 문제

        강수환(Kang, Soohwan)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21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8

        본 논문은 방정환의 동화와 소년소설을 분석 텍스트 삼아 방정환의 동화와 소년소설에서 발견되는 성장과 근대성의 의미를 분석한다. 비교문학적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교양소설 연구와 크리스토퍼 파크스(Christopher Parkes)의 영국 아동문학 연구를 참조했다. 방정환에게 ‘어린이’와 ‘소년’은 근대의 기획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공유하며 창발한 존재였다. 그러나 방정환에게 어린이는 ‘반근대의 충동’(낭만)처럼 재현되는 데에 반해 소년은 ‘근대의 표상’(현실)으로 다루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두 존재 사이의 간극을 이해하는 데에 착목함으로써 이들을 둘러싼 성장과 근대성의 의미에 접근하고자 한다. 외관상 어린이와 소년은 상반된 존재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경향은 아동을 주인공으로 삼는 영국 낭만주의 문학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파크스는 당시의 어린이 인물을 “살아있는 자본주의 정신의 구현”으로 독해했는데, 본 논문은 이를 ‘살아있는 근대주의 정신의 구현’으로 변용하여 적용했다. 방정환의 어린이와 소년은 동전의 양면처럼 이어진 존재다. 그의 동화 속 어린이의 형상은 근대주의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어린이와 근대주의 사이의 거리는 둘의 관계가 반대적임을 시사하지 않는다. 그들 사이의 거리는 잠정적이기 때문이다. 어린이는 ‘근대의 표상’에 더욱 부합하는 인물로 성장하기 위해 현실로 직행하기에 앞서 잠정적으로 분리된다.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방정환의 동화 속 어린이의 유희는 모더니티의 감각을 체화하는 한에서 발생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때의 어린이는 ‘반근대의 충동’보다는, 근대주의적 정신의 이면이자 일종의 예비단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근대성을 내면화한 어린이는, 소년으로 성장하여 본격적으로 근대적 기획의 과업을 짊어지고 현실 속으로 개입해야 한다. 하지만 식민지라는 현실조건은 어린이에서 소년으로 성장한 이들에게 동일한 내러티브를 쥐여주지 않았다. 그 결과 방정환의 소년소설에서 소년은 일련의 과정을 거쳐 성숙에 이른다기보다는 이미 성숙한 존재로 나타난다. 그의 소년소설은 이미 성숙한 소년의 본질이 주변 어른 인물 인물에 의해 발견․공인되는 형식의 서사를 반복한다. 이는 ‘내면의 법’(자아)과 ‘외부의 법’(사회화) 간의 조화를 도모했던 서구의 교양소설 모델과 상응하지 않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이를 식민지라는 현실조건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당대의 현실과 방정환의 소년소설에서 드러난 특징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growth and modernity in Bang Jeonghwan’s fairy tales and juvenile novels. For comparative literary analysis, this paper referred to Franco Moretti’s study of Bildungsroman and Christopher Parkes’ study of British children’s literature. For Bang Jeonghwan, “children” and “juvenile” were emergent beings sharing the same goal: The modern project. However, to Bang Jeonghwan, children were treated as “anti-modern impulses” (romance), whereas juveniles were treated as “modern representations”(reality). The two seem to be the opposite.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meaning of growth and modernity by understanding the gap between Bang Jeonghwan’s ‘children’ and ‘juvenile.’ In appearance, ‘children’ and ‘juvenile’ seem to be contradictory. This was similarly found in British romantic literature, with children as the protagonists. Parkes read the character of children at the time as “the living embodiment of the spirit of capitalism.” This paper transforms and applies it as ‘the living embodiment of the spirit of modernism.’ Bang Jeonghwan’s ‘children’ and ‘juvenile’ are connected like both sides of a coin. The figures of children in his fairy tales seem far from modernism, but the distance between children and modernism does not suggest that their relationship is the opposite.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them is temporary. Children are temporarily separated from reality in order to grow into beings more consistent with the “modern represent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 the children’s enjoyment in Bang Jeonghwan’s fairy tales occurred as long as they have embodied the sense of modernity. Therefore, children here can be considered the backside of ‘the spirit of modernism’ and kind of preliminary stage rather than ‘anti-modern impulses.’ Children who have internalized modernity must grow into juveniles and take on the task of the modern project in earnest and intervene in reality. However, due to the colonial condition, those who grew up from children to juveniles could not get the same narrative. As a result, in Bang Jeonghwan’s juvenile novel, the juvenile appears as an already mature being, rather than reaching maturity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His juvenile novels repeat the narrative in which the already mature juvenile"s nature is discovered and recognized by the adult character around him. It did not correspond to the model of Western Bildungsroman, which promoted harmony between the “inner law”(self) and the “external law”(socialization). This paper regards it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the conditions of the colonization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ty of the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Bang Jeonghwan’s juvenile novels.

      • KCI등재

        세 외국인 여행자의 `눈`과 보편에의 탐색 잭 런던, 조르주 뒤크로, 이사벨라 버드 비숍의 방문기를 중심으로

        강수환 ( Kang Soohwan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4 No.2

        본고는 근대 초기 조선을 방문한 서구 방문자들의 여행기에 나타난 그들의 시선과 태도를 분석한다. 여기서 다룰 세 명의 서구 방문자는 잭 런던, 조르주 뒤크로, 이 사벨라 버드 비숍이다. 각각은 1904년(잭 런던), 1901년(조르주 뒤크로), 그리고 1894년과 1897년(이사벨라 버드 비숍)에 조선을 방문한다. 세 방문자 각각은 청일전쟁(1894~5)부터 러일전쟁(1904~5)이 발발한 시기에 조선을 찾는다. 해당 시기는 조선, 더 나아가 동아시아 질서에 커다란 재편이 발생한 구간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남다르다. 근대 초기 한반도를 찾은 여행자 중에서도, 위 시기의 작가와 저작을 선택한 건 그 이유에서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본고는 당대 외국인의 눈에 비친 조선보다는 `외국인의 눈` 그 자체에 주목한다. 즉, 스스로 보편의 질서에 위치해있다고 믿었던 서구 방문자들의 시선에서 조선-타자는 어떻게 포착되었는지, 한편 그 타자를 보편 속으로 어떻게 관계시키고자 했는지를 살피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오리엔탈리즘`과 `유럽중심주의`를 넘어서는 인식과 표상을 구상해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잭 런던의 민족주의로 가장한 인종주의와, 조르주 뒤크로의 (문화)상대주의로 가장한 타자화는 오늘날 `유럽중심주의`의 어떤 원형적 모델을 제공한다. 사미르 아민의 정식에 따르자면, 전자는 유럽이 이미 보편주의를 발견했다는 주장이며, 후자는 보편주의의 필요성을 아예 간과하는 주장이다. 하지만 이사벨라 버드 비숍은 앞선두 인물과는 다른 태도를 견지한다. 그 역시 최초에는 조선을 결핍과 미달의 공간으로 파악한다. 하지만 후반부에서 그의 태도는 전환되어, 조선이 보편에 가닿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기에 이른다. 그와 같은 변화는 비숍이 `기질`이라는 서사의 허구성을 파악하고, 조선의 체제·구조적 문제를 통찰한 데서 기인한다. 그리고 이는 소수자로서 보편으로의 안착을 모색했던 비숍 자신의 위치가 만들어낸 효과로 추정된다. 종종 “문명의 충돌”로 요약되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새로운 보편에의 요구는 시급한 과제이다. 보편성의 출현이 `좌절된 특수성`이나 또는 그것의 자리에서만 대자적으로 출현한다고 한다면, 전체-보편으로부터 배제된 자리 위에서 조선이 도야해야 할 보편에의 가능성을 살폈던 비숍의 관점을 참조하는 것은 오늘날 유의미한 작업일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ree foreign travelers` viewpoint and attitude who visited in early modern Korea. It deals with Jack London, Georges Ducrocq and Isabella Bird Bishop`s essay. Each of them, came into Korea at 1904(London), 1901(Ducrocq) and 1894 & 1897(Bishop). As title of this paper, I focus on `eyes of foreigners` rather than on the images of Korea which is represented by foreign traveler. Hereb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on-ceiving the new perception and representation beyond `Orientalism` and `Eurocentrism`. London`s racism that disguised as nationalism and Ducrocq`s `othernization` that dis-guised (cultural)relativism are provide a archetypal model of nowaday`s Eurocentrism. According to Samir Amin, the former is kind of an argument that Europe discovered universalism already and the latter is an argument that ignoring the necessity of universalism. But Isabella Bird Bishop shows different viewpoint and attitude. At first, she understood Korea as lacking, nonstandard space as just as Jack London did. But later, especially when she wit-nessed the success of Siberian settler from Korea, her perception about Korea was converted. Maybe the change of her viewpoint is comes from her witness and insight. She observed `dis-position` as a fictional narrative and gained a insight into Korea`s systematic problem. And this result is assumed to an effect which made from Bishop`s status that seek for the safe arriv-al into universality as a minority. According to Slavoj Zizek, "a universality arises “for itself” only through or at the site of a thwarted particularity." Bishop tried to find possibility of universality on Korea which the place is excluded from conventional totality-universality that constructed by Europe. This is why we have to refer to the Bishop`s perspective toda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뉴미디어로 재편되는 세계 간의 접속 : 웹드라마 <드라마월드>를 중심으로

        강수환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7 탈경계인문학 Vol.10 No.2

        This paper tries to diagnose the meaning of the ‘world’ today. I sought to analyze the web drama Dramworld and the cultural, technological conditions surrounding it. Dramaworld is a type of time-slip drama in which two worlds, “reality-America” and “virtual-Korea(drama),” overlap. Here I have raised three questions and tried to approach the meaning of the world today. First, what is ‘Dramaworld’?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overlap between these two worlds, America(reality) and Korea(drama)? Final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especially smartphone, and the world? In the technological conditions of new media, users esemble like Leibniz’s monad. It looks like a self-enclosed being with “no windows.” However, paradoxically, it results in a connection with the whole, not a separation from the world. The world today seems to have blurred the boundaries between the whole and part, universal and particular, and reality and virtual. Loss of standard usually leads to loss of stability. For that reason, the voices of far right-wing and fundamentalism are revitalized in some parts of the world. What they demand is a society/state without “windows,” as a pseudo-monadic society/state, that has no relationship to the other. But that reactionary demand only causes the catastrophe rather than bringing stability. At the end of Dramaworld, the stage of the drama is switched over to the real world, not the virtual-drama world. The boundary between two worlds seems to have disappeared. It indicates that it is impossible to secure stability with a sense of the pa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