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 연구

        강소산(So San Kang)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9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orean speaking efficacy of Vietnamese learners and to find an application point for Korean speaking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Methods:251 responses were analyzed. The speaking efficacy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Kang So-san (2017) was used, and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SPSS 23.0. Results: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Korean speaking efficacy of Vietnamese learners were low, at 3.11 points out of 6 points. Vietnamese learners responded that they had a difficulty in verbal communication. Furthermore, among the factors of speaking efficacy, the cognition efficacy scored the lowest, which showed that they negatively perceived their speaking abilities. W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to research on learners from other language backgrounds, Vietnamese learners showed a low efficacy in conducting discussions, using various grammar structures and vocabulary in speech, and speaking in a natural intonation. Conclusion:There is a need to research on discussion education and inton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Furthermore, the classroom instructions need to include education on helping them use various grammar structures and vocabulary while speaking Korean. 목적:이 논문의 목적은 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적용점을 찾는 데 있다. 방법:287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한 응답 36부를 제외하고 251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측정도구는 강소산(2017)에서 개발한 말하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SPSS 23.0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결과:베트남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은 6점 만점에 3.11점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어권 학습자는 말하기 의사소통을 하며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말하기 효능감의 요인 중 인정효능감이 가장 낮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자신의 말하기 능력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학습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비교했을 때 베트남어권 학습자는 토론 수행하기, 다양한 문법과 단어 사용하여 말하기, 자연스러운 억양 사용에 대한 효능감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베트남어권 학습자를 위한 토론 교육과 억양 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문법과 단어를 사용해서 말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한국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상황을 중심으로 -

        강소산 ( Kang So-sa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21 漢城語文學 Vol.4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한국어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조사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비대면 수업을 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한국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 환경에서 한국어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은 수업 준비의 어려움,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어려움, 학생 관리와 통제의 어려움, 인터넷, 기자재, zoom 프로그램 등 수업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수업 방해, 과제 피드백의 어려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저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비대면 한국어 수업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수업과 관련된 교사 연수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비대면 수업 환경에 적합한 교육 과정,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자료, 평가 방안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기자재 구비, 학교와 기숙사 인터넷 환경 개선을 위한 학교의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비대면 한국어 수업을 위한 안정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job stress factors as perceived by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online classes after COVID-19. To investigate the job stres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is study interviewed 10 teachers who were employed by Korean language centers affiliated with South Korean universities and had taught in online classes befor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job stress that the teachers endured was of a higher level that what they had suffered before the pandemic. The job stress factors that affected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online classes were difficulty in class preparation;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ifficulty in student management and control; out-of-class factors such as limitations in the internet, equipment, and zoom program; difficulty in task feedback; and lowered academic achievement by students. To improve online Korean language classes requires the following efforts. First, teacher training for online classes should be provided.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curriculum, teaching contents, teaching methods, teaching materials, and evaluations suitable for online classes. Third, schools should provide educational tools and improve dorm internet connections, which are necessary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online classes. Fourth, digital learning tools that are stable and suited to online classes should be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