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쪽방 거주 독거노인의 주거공간 분석 연구

        강지혜 ( Jihye Kang ),강병길 ( Byungkil Kang ),백승현 ( Seunghyun Baek ),양영완 ( Youngwan Y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1

        (연구배경 및 목적)노령인구의 비율이 현저히 높아지고 노인들에 대한 부양과 배려의 문제는 우리 모두가 함께 풀어나가야 할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기초단위 생활공간에 거주하는 독거노인들이 느끼고 있는 소외된 감정과 정신적 박탈감은 앞으로의 사회적 문제로 크게 부각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 경제적으로 소외된 계층, 특히 기초단위 생활공간인 쪽방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대상으로 주거공간의 새로운 가치 창출을 통해 그들의 삶의 질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서울 `쪽방촌` 에 거주하는 `독거노인`이라는 명확한 대상을 선정하였다. 첫째, 쪽방, 소형주택, 독거노인, 고령화 사회를 키워드로 사전조사를 진행하였다. 둘째, 연구의 실증적 결과와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집중 연구 대상 지역인 종로구 창신1동 일대를 방문하여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 분석을 하였다. 셋째, 동대문쪽방상담센터의 협조를 통해 쪽방촌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을 직접 방문하여 독거노인들의 생활 실태를 확인하였다. (결과)쪽방 거주자의 생활 환경 유형을 분석한 결과, 생계가 어려워 쪽방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고, 방안에 세간물품들을 쌓아 놓고 정리 하지 못한 채 좁은 공간에서 생활을 하고 있었다. 쪽방 내부공간에서의 생활은 기본적인 의식주 문제 해결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물건은 보관이 용의하고 간편해야 하며, 위생적이고 안전한 환경이 제공돼야 한다. 이를 위해 거주하는 공간은 최소한의 공간이 제공되어져야 하지만, 최저주거기준(총 주거면적 14㎡(4.5평))에 부적합한 1.06평으로 쪽방 공간 안에서의 취사생활을 겸하고 있었다. 따라서 쪽방거주 독거노인이 소유하고 있는 필수 생활물품들이 최소한의 공간 내에서 조화롭게 배치하는 방법 및 독거노인들이 사용하는 물건 중에서 중·소 물건들을 대상으로 효율적으로 공간에 분류하기 위한 수납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쪽방거주 독거노인들의 실제 거주 환경과 실상은 신문이나 방송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소개한 것보다 훨씬 열악한 환경이었다. 디자인으로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이 있을 수 있지만 앞으로 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사회적 배려대상, 즉 소외된 계층을 위한 디자인은 조형성이나 기능성보다는 사용자들에게 감동을 선사하는 감성 디자인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가시적 성과를 중시하는 연구보다는 구현 가능성이 크고 현실적인 디자인이 되어야 한다. 셋째, 사용재료선택에 있어 경제적 논리에 치중하여 저비용만을 추구하기보다는 인체에 해롭거나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를 배제하는 환경 친화적인 디자인이어야 한다. 넷째, 연구결과물은 그 자체에만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향후 지속가능한 디자인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As the ratio of aged population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support and consideration for the elderly have become an important challenge for everyone of 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reate new value of housing space for the socially and economically isolated class, or the single elders at the age of 65 of older who are residing in slice rooms, which are the basic living unit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Method)This study strictly limited the subjects to the `single elders` residing in the `slice room town` in Seoul. First, literature such as preceding studies and publications and the periodicals of research institutes were searched, collected, and studied under the keywords of slice rooms, small-sized houses, single elders, and aging society. Second, the major research area in Changsin-1-dong, Jongno-gu was visited for a spatial analysis to identify the problems to resolve first to secure the substantial findings and subjectivity of research. Third, the single elders residing at the slice room town were visited with the cooperation of Dongdaemun Slice Room Counseling Center to examine their living situations. Single elders in the target area were followed through their daily schedule to be observed and interviewed to identify their complaints. (Results)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slice room residers, they spent much of their time in the slice rooms due to financial hardships and were living in narrow spaces with the living goods piled and unorganized in the rooms. Living inside the slice rooms primarily requires solutions for the basic clothing, food, and housing needs. The living goods should be easy to store and the environment should be sanitary and safe. The living space should provide minimal square footage, but they were residing and cooking in 1.06 py rooms that do not meed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14㎡).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ways to arrange the essential living goods owned by the single elders residing in slice rooms within the minimum living space. It studied the ways to store the small/medium goods efficiently for the single elders. (Conclusions) A solution with a design may have limitations, but the following design solu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first, designs for the socially isolated class should be emotionally touching for the users before providing aesthetics or functionality. Second, the design should be attainable and realistic than a design with viable performance. Third, the design should be built using environmentally-friendly designs without any harm for the body or the environment rather than pursuing low cost for the economical value. Fourth, the findings should not be limited to this study, but consider possible development into a sustainable design.

      • KCI등재

        서울공예문화박물관의 프로그램 및 공간 구성 방안 연구

        최정심 ( Jeongsim Choi ),강병길 ( Byungkil Kang ),신윤재 ( Yoonjae Shin ),김아인 ( Ai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한국의 공예는 한국인의 의·식·주를 바탕으로 생활소품에서부터 건축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와 종류가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있으며, 지역의 환경·문화적 특성이 반영되어왔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공예는 발전적인 계승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소멸되거나 생활 속에서 쓰임의 가치를 갖지 못하고 문화재 또는 관광기념품, 미술품으로만 여겨지는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예문화·산업의 현황을 인식하고 서울시는 공예문화 확산과 공예가치 제고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플랫폼으로서, 서울공예문화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종로구 안국동 풍문여고 부지를 활용하여 건립예정인 서울공예문화박물관에 대한 건립 타당성 조사는 완료되었으며, 본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서 박물관의 기능 및 프로그램 구성방향, 부지 내 건축물을 활용한 공간별 구성계획과 운영방향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한국공예의 개념 및 범위, 한국의 공예문화·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국내 연구자료 분석을 토대로, 박물관의 정체성 및 역할을 포지셔닝 하였다. 타당성연구보고서에 제시된 박물관 내의 시설 및 기능에 대한 검토와 국외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최초의 공예전문박물관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능을 구체화하고, 시설과 운영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전시, 연구, 교육, 유통 기능의 독립적인 시설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생활문화적 공예개념과 지역생산시스템을 접목한 공예문화마을 개념의 박물관으로 탄생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본 연구에서는 서울공예문화박물관이 공예재료의 물성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공예연구소, 누구나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생활 공예를 위한 평생학습의 공예교실, 우수한 공예품을 감상하고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공예전시실, 모든 작가에게 열려있는 공예장터, 각 지역의 공방을 연결하는 친절한 공예공방네트워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인접한 북촌공예마을과 지역의 공예가들과 연계하여 공예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예문화마당으로 조성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주변 지역과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기능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하나의 ‘모둠체’로서, 보다 창조적인 연구와 창작을 견인하고, 공예문화의 생활화, 세계화, 미래화를 위한 자료실로서의 살아있는 박물관으로 구상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조성된 서울공예문화박물관이 전국은 물론 유라시아까지 연결되는 공예문화마을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하여, 향후 공예도시 서울추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건강한 공예문화생태계가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variety of crafts, ranging from household goods to building materials, can be found in Korea. Crafts have long reflected the lo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in which they are made. In the country’s progress toward modernization, however, Korean crafts failed to undergo developmental succession. Thus, most Koreans view them as little more than cultural heritages or souvenirs for tourists. In recognition of the diminished status of the craft culture and industr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ims to establish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as a platform for disseminating a craft culture and enhancing its value. The anticipated museum site was formerly that of the Pungmoon Girls’ High School in Anguk-dong. Consequently, a relevant feasibility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troduce the museum with a focus on its functions, program composition, spatial composition, and basic direction for its operation.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ary identity and role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based on an analysis of research materials concerning the scope of locally made crafts and status of the country’s craft culture/industry; further, it provides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Functions and facilities with which the museum should be equipped as well as programs it should provide as the country’s first crafts museum have been identifi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feasibility report and case analys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 museum is expected to be a craft-centered cultural facility that links new cultural concepts with everyday culture of the local production system through programs designed to ensure collaboration and efficiency in exhibitions, research, education, and distribution functions.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museum is envisioned as a global exhibition and promotional facility for locally made crafts that will secure their place in people’s lives. Finally, it is an organized body with functions that are closely interwoven for the promotion of creative research and creative activitie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useum will serve as a venue for diverse areas of research inclu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of crafts. Further, the museum is viewed as a classroom for lifelong learning, an exhibition space offering inspiration to patrons, a marketplace open to all artists, and a composite cultural arena where craft workshop networks are interconnected and craft-related cultural activities are invigorated in linkage with the neighboring Bukchon Craft Village and local artisans..

      • KCI등재

        펄스자장을 이용한 고이방화 Nd - Fe - B 자석의 종축자장성형방법

        김동환(Donghwan Kim),강병길(Byungkill Kang),장동열(Dongyoul Jang),김승호(Andrew S. Kim),김상면(Sangmyun Kim),장태석(T. S. Jang) 한국자기학회 2003 韓國磁氣學會誌 Vol.13 No.4

        A new axial pressing method using pulse magnetizing field was studied to improve the remanence of Nd-Fe-B sintered magnets. In order to make near-net shape green compacts of butterfly, disk, or coin magnets, conventional axial-type pressing has been normally used. However, compared to the transverse-type pressing,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higher remanence by this method because the magnetic alignment of powder begins to deteriorate when the density of green compacts increases over a critical value.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an axial pressing under pulse magnetizing field was very effective to increase the degree of magnetic alignment of powder, yielding remanences even higher than those obtained by the transverse pressing.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appropriate tapping density and how to apply pulse magnetic field were important to improve the grain alignment and thus remanence of Nd-Fe-B sintered mag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