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근대 居士佛敎의 성격과 사회적 역할

        김진무 한국선학회 2008 한국선학 Vol.21 No.-

        역대로 중국불교에서 居士의 역할은 사상과 정치적인 여러 가지 사안에 있어서의 護法활동과 財施, 새로운 敎義의 제시 등의 세 가지를 담당하였다. 그러나 근대에 들어서면서 서구 열강의 침탈에 중국은 민족적 위기를 맞게 되어 민족정신의 각성이 일어나고, 이로부터 이미 민족종교화된 불교로부터 새로운 해법을 모색하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불교는 淸代에 이르러 쇠퇴를 거듭하게 되었고, 彭際淸 등으로부터 公羊學派의 居士佛敎의 전통만이 남아있었다. 근대에 불교학을 새롭게 일으킨 인물은 바로 居士인 楊文會와 歐陽竟無였다. 이러한 楊文會와 歐陽竟無의 활동은 특히 居士佛敎를 발현시키는데 결정적인 작용을 하게 된다. 더욱이 당시 僧團의 보수적인 성향은 僧團과는 별도로 居士들의 주체적인 활동을 일으키게 하였다. 근대시기의 居士佛敎는 주로 불교학의 발전과 인재의 양성, 그리고 거사들이 주체가 된 다양한 단체들의 불교적 활동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역대의 居士佛敎와 다른 측면은 바로 僧團에 소속되지 않고 독자적이면서 주체적인 활동이 주류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Historically, a Buddhist devotee's rolein China included three tasks: defense of religion against ideologies and other political issues, taking care of others in need and suggestion of new doctrines. But China had to face the national crisis due to Western powers' invasion in modern days. In response, their national spirits had awakened, leading to the seeking of solution from Buddhism which had become the national religion. Nonetheless, the Buddhism in China faltered and waned in Ching Dynasty and only the tradition of a religious activity of Buddhist devotees by Peng Je Chung's Gong Yang School was left. Furthermore, the person who had re-created Buddhism studies in modern period was a Buddhist devotee, Yang Wen-hui. Yang founded Geumneunggakgyeongcheo to disseminate the scriptures andestablished the Buddhism studies research circle to discuss the buddhist temple of jeta's forest and Buddhism tudies. Ouyang Jingwu who inherited him cultivated a slew of talents by building Zhina Buddhism Academy, the first-ever official educational institute in China. Moreover, he helped Buddhist devotees stir up their autonomous activities beside the existing group of monks of conservative propensity. Religious activities of Buddhist devotees include development of Buddhism studies, cultivation of talents, and Buddhist activities of various groups with the devotees at the center. In the process, what is different than the Buddhist devotees was that they refused to be part of a certain group and formed and engaged in the autonomous activities.

      • (부록) 북한의 2003년도 경제정책 추진 실태

        김진무,조현식 통일연구원 2003 統一 政策 硏究 Vol.12 No.2

        북한은 2003년도의 경제정책 방향을 “가까운 몇 해 안에 나라의 면모를 근본적으로 일신시키고 인민들에게 행복한 생활을 마련할 것”이라고 하면서 식량증산 및 전력․석탄 등 에너지 증산과 금속공업, 경공업, 철도운 수, 과학기술, 대외경제 활성화 등으로 제시하고 전년도부터 실시해오던 경제정책을 계속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경제난 해소에 주력하였다. 특히 금년은 토지정리사업, 수리사업, 감자농사혁명, 축산장려 및 양어장 건설 등 식량 증산과 에너지난 해소는 물론 IT 등 전략 산업에 대한 집중 투자 등 경제건설을 위해 총력을 경주하였으나, 경직된 경제체제의 모순과 기반시설 미비, 원자재 부족, 대외적인 여건의 미숙으로 인한 외국기업의 대북 투자 부진 등으로 인해 큰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전반적인 경제난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3년도 북한 경제의 정책방향과 각 산업부문별 구체적 추진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경제정책변화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言意之辨’과 玄學의 展開

        김진무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4 No.-

        I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Xuanxue(玄學), which initially appeared in search of a new methodology at the period of Wei-Jin China, can be said to have begun from yanyizhibian(言意之辨) which deals with the topic of language and its meaning. Accordingly, this article examined how yanyizhibian worked in the entire development of Xuanxue. Yanyizhibian started from qingdan(淸談, clean discourse) which originated from Caocao(曹操)'s Quixianling(求賢令, edict for seeking talents) and Caopi(曹丕)'s Jiupinzhongzhengzhi(九品中正制). That was because the Jiupin zhongzhengzhi valued talent more highly than virtue contrary to the Han Dynasty which traditionally maintained the Confucius value of 'regarding for virtue and belittling talent(重德輕才)'. Thereupon, qingdan began to discuss the topic of talent and virtue which increasingly extended onto yanyizhibian. The first one to give rise to yanyizhibian was Xuncan(荀粲), who advocated yanbujinyi(言不盡意) or the idea that holy men's profound words can never be understandable. That idea showed that all the then existing studies and thoughts should be denied at the end. Following such logic of yanbujinyi, Xuanxue came into being and its leading figure was Wangbi(王弼). On the basis of yanbujinyi Wangbi further unfolded his epistemological idea, deyiwangyan(得意忘言, forsaking the language after the meaning is attained) and through this he advocated guiwu lun(貴無論) or the theory of adopting non-existence(無) as essence(本). Wangbi's deyiwangyan, however, had a problem as well. The epistemology of deyiwangyan put an emphasis on deyi(得意, the attainment of meaning) and hence it had an inclination to forget the importance of language once again. Such a phenomenon was revealed in the Xuanxue of the Zhulin(竹林) period. The theoreticians of those days found their way to the decadent trend while following their own emotion but ignoring(or transcending) formal rituals partly due to the then gloomy political situation. It was Ouyangjian(歐陽建)'s yanjinyi lun(言盡意論), or the theory that holy men's intent is understandable through language, that publicly refuted the defects of the idea of deyiwangyan based upon yanbujinyi. Ouyangjian asserted yanjinyi(言盡意) in the end because he understood the relation of language and meaning was inseparable just like that of an object and its shadow. On the basis of yanjinyi, Peiwei(裵頠) advocated chongyou lun(崇有論), according to which the reason why you(有, being or existence) is you was that the you itself is the foundation of the existence and that the you is spontaneous but not dependent upon others. Thus, if you is already existent, then it(you) is reasonable and so deserves to be revered. Furthermore, since Mingjiao(名敎), which was inferable from this, is also you, it will arose naturally according to the social demand and hence societies should properly respect Mingjiao. As both guiwu lun based on yanbujinyi and chongyou lun based on yanjinyi we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Guoxiang was sublated and in its stead duhua lun(獨化論, the theory that all beings are existent independently) was advocated along with the epistemological mechanism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beyond language and form(超言象而會意)'. Based on this, the theory that 'the one inwardly qualified for a holy man should be outwardly a king(內聖卽外王)' was presented and thus issues like Mingjiao and nature, which had been discussed from early days of Xuanxue, came to be theoretically integrated, or alternatively both families of Confucianism and Taoism did. 중국철학사에 있어서, 魏晋時期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으로부터 나타난 玄學은 바로 ‘言’과 ‘意’를 주제로 다루는 ‘言意之辨’으로부터 시작되었고 하겠다. 그에 따라 本稿에서는 ‘言意之辨’이 전체적인 玄學의 전개에 있어서 어떠한 작용을 하였는가를 고찰하였다. ‘言意之辨’은 曹操의 인재등용을 위한 ‘求賢令’과 曹丕의 ‘九品中正制’로부터 발생한 淸談으로부터 시작된다. 그것은 漢朝에서는 전통적으로 ‘重德輕才’의 儒家的 價値를 지켜왔으나, 九品中正制는 德性보다 才能을 더욱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淸談은 才能과 德性의 문제를 논의하기 시작하였고, 이는 점차 言意之辨으로 확대되어졌다. 최초로 ‘言意之辨’을 일으킨 이는 荀粲으로, 그는 聖人의 微言은 결코 알 수 없다는 ‘言不盡意’를 제창한다. 이러한 ‘言不盡意’에 따르면, 기존의 모든 학문과 사상이 부정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한다. 이러한 ‘言不盡意’의 논리에 따라 드디어 玄學이 발생되는데, 그 대표적 인물은 王弼이라고 할 수 있다. 왕필은 ‘言不盡意’의 바탕에서 더 나아가 ‘得意忘言’의 認識論으로 전개하고, 이를 통해서 ‘以無爲本’의 ‘貴無論’을 제창한다. 그런데 왕필의 제시한 ‘得意忘言’의 방법론에는 다시 문제가 나타난다. ‘得意忘言’의 인식방법론은 그 중점이 바로 ‘得意’에 있는 것임으로, 다시 ‘언어’의 중요성을 망각하게 하는 경향을 內在하고 있고, 이를 드러낸 것이 바로 竹林時期의 玄學이라고 말할 수 있다. 竹林時期의 현학가들은 극단적으로 모든 형식을 타파하는 이른바 ‘縱情越禮’의 퇴폐주의로 흐르는데, 여기에는 당시의 암울한 정치적 상황도 관련이 있다. ‘言不盡意’를 바탕으로 한 ‘得意忘言’의 맹점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은 바로 歐陽建의 ‘言盡意論’이다. 그는 ‘言意’관계는 마치 사물과 그림자와 같은 관계로 결코 분할될 수 없으며 서로 符合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최종적으로 ‘言盡意’를 주장한다. 이러한 ‘言眞意’를 바탕으로 裵頠는 ‘崇有論’을 제창하는데, ‘有’가 ‘有’인 까닭은 ‘有’ 자체가 바로 그 존재의 근거이기 때문이고, ‘有’는 다른 것에 의하여 생하는 것이 아니라 自生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有’가 이왕에 존재하고 있다면 합리적인 것이고, 마땅히 尊崇되어야만 하며, 이로부터 추론된 名敎 자체도 ‘有’이므로, 그것은 당연히 사회의 수요에 따라 발생한 것이고, 따라서 사회는 마땅히 名敎를 尊崇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言不盡意’를 바탕으로 한 ‘貴無論’, ‘言眞意’를 바탕으로 한 ‘崇有論’이 서로 극단적으로 대립하자, 郭象은 그들을 止揚하여 ‘超言象而會意’의 인식론으로 ‘獨化論’을 제창하고, 그를 바탕으로 ‘內聖卽外王’을 제시해 玄學 초기로부터 논하였던 名敎와 自然의 문제, 즉 儒家와 道家의 이론적 통합을 이루었다.

      • KCI등재

        呂澂의 佛學思想과 近現代 中國佛敎學

        김진무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4 No.-

        It can not be overstated that modern Chinese Buddhist Studies were unfolded with the three generations of Yang Wenhui, Ouyang Jingwu, and Lu Cheng as the central figures. Among them, Lu Cheng(1896-1989) can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of Chinese Buddhist Studies from modern to contemporary era as evidenced well by the years of his birth and death.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u Cheng's Buddhist thoughts by examining his life and writings and then investigating the efforts to compile the Chinese Buddhist Canon which had been made through the three generations. As one of Ouyang Jingwu's(歐陽竟無) best students, Lu Cheng, along with his teacher, established the Chinese Inner Studies Institute(支那內學院), the first official Buddhist educational institution authorized by the Chinese government. Through the institute, which he had run from Ouyang Jingwu' death to the closing, Lu Cheng produced numerous students. Under the political system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s well he was engaged in various political activities while setting up the foundation of contemporary Chinese Buddhist Studies. Lu Cheng's Buddhist thought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consilience(通攝) of the whole of Buddhist Studies encompassing Southern and Northern Buddhism starting from the Indian Buddhism, or the original form of Buddhism, to the entire denominations of China and further to Tibetan Buddhism. Among others, in particular, the idea that the critical difference between Indian and Chinese Buddhism lies in 'innate nirvana'(性寂) and 'innate enlightenment'(性覺) was derived from Lu Cheng and such an idea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what the orthodox Chinese Buddhism is. Lu Cheng also compiled Newly Edited Catalogue of Chinese Tripitaka(新编汉文大藏经錄) in an effort to make a new edition of Chinese Tripitaka. The task was a long-cherished enterprise pursued by the three generations of Yang Wenhui(楊文會), Ouyang Jingwu, and Lu Cheng; yet, regrettably due to the political factor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Buddhist cannon could not be published even with the collected materials never preserv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Revolution, Lu Cheng was unable to put out any writings related to Buddhism for over the 20 years of his later life. He, however, had a strong effect on Chinese Buddhism, so that it may be impossible to properly discuss contemporary Chinese Buddhism with the exclusion of him. 中國의 近代佛敎學은 바로 楊文會7歐陽竟無-呂澂의 三代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고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니다. 그 가운데 呂澂(1896-1989)은 그의 生滅年代가 대변해주듯이 근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중국불교학의 흐름을 대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고에서는 그의 생애와 著述을 통한 불교학의 사상적 특징을 고찰하고, 3대에 걸쳐 이루고자 했던 大藏經의 編輯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呂澂은 歐陽竟無의 수제자로서 스승과 함께 중국 정부의 정식인가를 받은 최초의 불교교육기관인 支那內學院을 설립하였으며, 歐陽竟無의 입적 이후 閉院하기까지 지나내학원을 운영하며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다. 또한 中華人民共和國의 체제에서도 정치적 활동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중국 현대불교학의 토대를 건립하였다. 呂澂의 佛學思想的 特徵은 불교의 源流인 印度佛敎로부터 출발하여 역대 중국의 전체적인 종파와 나아가 티베트불교에 이르기까지 가히 南傳과 北傳의 전체적인 불교학에 대한 通攝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그 가운데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의 결정적인 차별을 ‘性寂’과 ‘性覺’으로 구분하는 것은 呂澂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며, 이 구분은 중국불교의 정통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하겠다. 呂澂은 또한 새로운 大藏經의 편집을 위하여 「新编汉文大藏经錄」을 찬술한다. 이는 楊文會-歐陽竟無를 이은 3대의 宿願이었지만, 결국 文化大革命이라는 정치적 원인으로 대장경 제작은 무위로 돌아간 몹시 애석하다고 하겠다. 비록 문화대혁명의 영향으로 晩年 20여 년간 불교와 관련된 아무런 著作을 발표하지 못했을지라도 呂澂을 제외하고는 중국의 현대불교학을 논할 수 없을 정도로 그의 영향은 중요하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