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적심형태에 따른 횡하중을 받는 조적식 석탑의 구조거동

        김덕(Kim Derk-moon),홍석일(Hong Souk-Il),신효범(Shin Hyo-Bum)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구조계)

        Masonry stone pagoda has been constructed by stacking the masonry stone members. It has the big difference with the structural behavior of continuum structure as discontinuum structure. The problem about the safety of masonry stone pagoda is decided by structural behavior of discontinuum surface between contact stones rather than the failure by the lack of material strength. Therefore, we estimate structural behavior of masonry stone pagoda under the lateral load according to the internal Jeoksim types.

      • KCI등재

        금융위기 전, 후 단계별 기업의 마케팅 성과에 대한 광고선전비, 판매촉진비, 연구개발비 효과: 고객만족의 조절효과

        김덕 ( Deok Mun Kim ),이재림 ( Jae Lim Lee ),이태호 ( Tae Ho Lee ),하홍열 ( Hong-youl Ha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6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8 No.2

        마케팅 요인이 기업의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선행연구들에서 많은 조명을 받아왔으나, 고객만족지수(KCSI)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케팅 요인, 그리고 기업의 마케팅 성과 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지수의 조절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전, 후 단계별 분석을 통해, 외부상황을 고려한 고객만족지수의 조절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2006-2007년 기간에 광고선전비만이 유일하게 기업의 매출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고객만족과 광고선전비의 조절효과만에 매출액 증가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금융위기가 시작 이후인 2009-2010년 기간 동안에는 광고선전비, 판매촉진비, 연구개발비의 매출액 증대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직 고객만족과 판매촉진비의 조절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최근 경제활동을 나타내는 2013-2014년 기간동안에는 오직 광고선전비만이 매출액 증가의 직접효과가 나타났고, 고객만족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금융위기 전 및 금융위기가 현저히 지난 시점에서는 광고선전비가 기업의 매출액에 기여하는 부분이, 다른 판매촉진비나 연구개발비에 비해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The marketing literature has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marketing mix on firm performance, wherea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addresses the moderating role of Korean Customer Satisfaction Index(KCSI). This study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KCSI regarding firm performanc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findings show thre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an manage customer satisfaction, resulting in increasing firm performance. First, advertising expenditure had only a significantly effect on the increase of firms` sales volume during the session of 2007-2007. Second, There were no effects of advertising expenditure, sales promotion, and R&D on the increase of sales volume, but it was appeared from moderating effects of both satisfaction and sales promotion after the beginning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2009-2010. Finally, advertising expenditure on the increase of sales volume was only statistically supported during the session of 2013-2014, but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In line with these observat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advertising expenditure is more powerful to increase firm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two factors such as sales promotion and R&D during subsequent events of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KCI등재
      • KCI등재

        미륵사지석탑(彌勒寺址石塔) 평면형식(平面形式) 시대위치(時代位置)

        김덕,Kim, Duk-Mun 국립문화재연구원 200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7 No.-

        미륵사지 서탑은 현존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석탑이다. 현재까지 연구 진행된 결과에 따르면 미륵사지 서탑은 9층 석탑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규모의 건축물임에도 불구하고 이 탑에 대한 직접적인 창건 기록이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태다. 다만 미륵사의 창건기사가 "삼국유사(三國遺事), 무왕조(武王條)"에 연기설화로 나타나 있을 뿐이다. 설화적인 역사의 기록은 사실성에 대한 규명에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건축사적 측면에서 평면형식의 시대 위치에 대한 고찰은 탑의 창건 연대 규명에 하나의 가시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미륵사지 서탑의 양식과 계통사 연구에 근간이 된다고 판단하여 수행코자 한다. 목조번안 석탑으로도 유명한 미륵사지 서탑은 우리나라 석탑의 시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고 그동안의 연구에서 밝혀져 있다. 우리나라 불탑은 인도에서 발생되어 중국을 거쳐 도입되었다. 국내에서는 미륵사지 서탑보다 앞선 시기의 유례를 볼 수 없는 상태이므로 중국의 실 예를 참고하여 접근해 보고자 했다. 본 고에서는 한국(韓國)과 중국(中國)의 전석탑(塼石塔) 평면의 시대별 변천과정을 고찰하여 미륵사지 서탑의 평면형식이 7세기 초에 위치함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is the largest scale of the existing Stone Pagoda in Korea. A research until now postulates that the Stone pagoda at Mireuk Temple site is composed of nine stories total. However it does not have any records of the detail, dimension, and related methods, etc, even though it is a tectonically large scale building. Only one source of the description is based upon a story which is a sort of Korean myth or traditional story (Samkukyousa, Mu dynasty), although a historical description from a myth or a story is a polemical issue and still needed research in order to prove the truth. One of the ways to make a proof of the truth is an architectural research from the typology of the plane. The types of the plane are differentiated from each era. Therefore, the typology of the plane presents a reason or a proof for the age of the pagoda. Furthermore, the typology of the plane is crucial part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ical style and it could help the historical style of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Research until now shows that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is the genesis of the stone pagoda shaped after wooden one. It is impossible to find any previous one from the stone pagoda at Mireuk Temple site in Korea. So it is easier to find any previous example from the history of China because Buddhist pagoda-most pagodas are something to do with Buddhism-in Korea is introduced by India via China. This research presents the periodical variation of stone and brick pagoda in both countries. It concludes that the Mireuk temple stone pagoda has $7^{th}$ century's plane type.

      • 미륵사지석탑 붕괴상태 고찰

        김덕,Kim, Derk-Moon 국립문화재연구원 2005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8 No.-

        미륵사지석탑은 이미 오래전에 붕괴된 상태로 남아 있다. 붕괴된 시기와 원인은 역사적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6층까지 무너져 내려 부재가 헝클어진 서측면 하부에는 1층 높이까지 석축이 쌓여 있다. 이 석축은 남아 있는 부분이 더 이상 무너지지 않도록 이미 오래전에 쌓았다. 그러나 언제 누가 이 석축을 쌓았는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이나 전해지는 이야기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 미륵사지석탑의 모습을 표현한 옛 문집 등에 나타나 있는 정황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역사적 배경을 짐작해 보았다. 1915년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은 서측면을 둘러싸고 있는 석축 상부 무너진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덮었다. 그 후 1998년도에는 전라북도에서 미륵사지석탑에 대한 구조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문화재위원회는 구조안전 진단에 근거해서 1915년에 공사한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탑을 보수정비하기로 결정하였다. 탑이 무너져 내린 상태는 콘크리트를 제거하면서 그대로 발견되었다. 탑의 붕괴상태는 지진 또는 기초가 침하되는 현상, 홍수, 태풍 따위의 자연 현상에 따라 각각 다른 모 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가설을 세웠다. 이 논문에서는 제3장에서 역사적으로 기록된, 여러 가지 자연 현상에 의해 무너진 탑들의 모습을 관찰하여 그 특징을 분류해 보았다. 그리고 제4장에서 미륵사지석탑에서 나타나 있는 상태와 앞서의 다른 예들과 비교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미륵사지석탑은 지표면보다 높게 구성되어 있는 탑의 기초에 해당하는 기단에서 우수에 의한 침식 현상이 발견되었다. 기단에서 발생한 침식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된 현상으로 관찰되었다. 기단 침식이 심해지면서 서측면 1층 벽체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게 된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상부층을 받치고 있는 1층 벽체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탑의 상부 구조는 평형을 잃어 무너지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고찰되었다. 그밖에 지진이나 태풍, 지반 침하와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무너진 탑들에서 나타나는 붕괴상태의 특징이 미륵사지석탑에서는 뚜렷하게 발견되지 않고 있다. Although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Iksan, Cholla Province has been collapsed long time ago, few historical record has clearly explained the reason why the pagoda was collapsed and when. The west side of the pagoda have been destroyed from top to the sixth floor and the broken or damaged stone materials have been piled up in disorder. the lower part in the west was reinforced and enclosed by a stone embankment levelled to the height of the first storey of the pagoda. With no record informing the historical fact when it was made and by whom, it is only presumed that the embankment may have been built long time ago in order to prevent remains from further destruction.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study, it has been tried to restore a reasonabl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agoda based on records or comments found in literatures such as traditional poetry and essays in chronological order. The collapsed slope in the west side, just above the embankment surrounding the lower part of the pagoda, was concreted in 1915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n in 1998, the Jeollabukdo has examined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pagoda. The Cultural Properties Committee has decided have the concrete layer removed and moreover to take apart the whole pagoda. It is also included that the disassembled stone materials should be given proper conservation treatments before being put into the place where they were in the reassembling process. The front view of the collapsed phase of the pagoda was revealed when the concrete-covered layer was removed. A hypothesis was built that there may be as many different appearances of collapsed pagoda depending on natural causes such as earthquake, sunken foundation, flood and typhoon. In chapter three, characteristic features were classified by examining various images of pagodas destroyed by different natural reasons mentioned in historical records. The chapter four dealt with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conditions shown in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and other examples studied in advance.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ough having been made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the podium or the base of the pagoda actually has been eroded by rain and water. The erosion is supposed not only to have been proceeded for a long time without break but also to have caused the first storey body stone in the west inclined to outward. It has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pagoda may have been lead to collapse when the first storey body stone, supporting the whole weight from the upper storeys, became out of upright position and lost its balance. However, no such distinctive features of structural changes shown in pagodas collapsed by natural causes like earthquake, typhoon or sunken basement, have been found in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 KCI등재후보

        궁궐 정전건축 기둥 안쏠림기법 고찰

        김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2

        기둥 안쏠림 기법은 아직 구체적으로 규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관련 연구에 한계를 초래하고 있다. 선행 조사연구 자료가 희박한 상황에서 안쏠림 기법은 3차원적 정밀 실측조사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 궁궐 정전은 제도를 준수해 세운 건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안쏠림 기법을 파악함에 적절한 대상으로 판단, 고찰하여 몇 가지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조사 고찰한 궁궐 정전에서 안쏠림은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크게 가해져 있고,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아지는 경향으로 나타나 있다. 2. 중층 정전에서 층단주로 세워진 2층 처마기둥은 어칸에서 가장 큰 치수로 건물 안쪽을 향해 들여세우기 되어 있으며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들여세우기 치수가 작아지는 독특한 기둥배치 방식이 밝혀졌다. 이러한 2층 처마기둥 들여세우기는 어칸의 경우 1층 초석부터 2층 처마기둥 하단까지의 높이에 해당하는 안쏠림 크기에 따라 이루어져 있음으로 밝혀졌다. 3. 중층 정전에서 2층 처마기둥 안쏠림은 1층 처마기둥에 비해 대체로 1/3 내지 1/4 정도로 작게 적용되어 있음으로 고찰되었다. 안쏠림은 1층과 마찬가지로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크게 가하고,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게 감소시켜 적용하는 기법이 내재되어 있음으로 파악되었다. 4. 궁궐 정전에서 안쏠림은 어칸 기둥에서 가장 큰 치수로 적용되어 있으며, 점차 귀기둥에 이르면서 작아져 수렴되는 독특한 기법이 고찰되었다. 이러한 안쏠림 기법은 송(宋) 『영조법식(營造法式)』과 차별되는 한국건축 고유 기법일 가능성이 있음으로 점쳐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궁궐 정전을 대상으로 한정적인 고찰에 그치고 있으나, 고건축 기둥 안쏠림에 대해 기법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하였으며, 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 제한적인 일부 건물에 대한 고찰 결과는 보편성을 지니기 어려움을 인정하나, 직접 실측조사 작업을 수행한 궁궐 정전만을 대상으로 하여 정치한 고건축 기법분석에 대한 오차범위를 좁히고자 하였다. Anssolim is the unique technique which lean and stand columns in a inward direction of buildings in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we have not carried out detailed investigation yet. Anssolim technique is explained to the only [Yingzaofashi(營造法式)] of Song Dynasty. We can know about Anssolim technique through 3-D detailed actual survey because a precedent study about it is very little. Connection of members of framed structure in traditional architecture is composed of the joint and splice, and quality of wood material has characteristics of elasticity. Therefore, traditional architecture keeps fluidity condition. Framed structure in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fluidity condition makes it difficult to carry out the study on actual survey for delicate technique such as Anssolim. We are also difficult to find the buildings which use Anssolim technique except for the architecture of Korean palaces. For this reason, main-hall architecture in Korean palaces is a very good object to survey Anssolim technique.. The purpose for study of main-hall architecture in Korean palaces is to know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technique of Korea. Therefore, we need the study about actual survey of the various palaces. Meanwhile, we privately doubt the truth of the Anssolim technique reported by many papers because the methods of actual survey are different each other and its verification is not easy. The result of study about limited buildings has little universality. However, we regard it a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about the history of building technology because we perform very carefully actual survey of Injeongjeon in the Changduk palace, Kunjeongjeon in the Gyongbok palace, and Junghwajeon in Deoksu palace.

      • KCI등재

        첨성대 축조 규준방식과 드잡이기술에 대한 기술사적 접근 연구

        김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2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5 No.4

        The Cheomsungdae was built in the Silla dynasty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It has a round cylindrical structure with a flowing curved fa ade. The identity of the Cheomsungdae has not been revealed since there is not much historical evidence or documents about the building. This study is trying to investigate the building technique and method from the technical point of view of the past when it was constructed. There have been much work and studies done for the Cheomsungdae, but not much were focusing on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re are many questions and doubts about the hypothesis of the building technique of Cheomsungdae since there aren't any remaining documents or historical evidence supporting it. Among many questions, we think that the discussion on falsework technique is not considering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 of the Dujabee (a traditional construction technique using various tools and equipment for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technique. Therefore, it is hard to identify them as reliable historical fac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we want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and broaden the study scope of technical history by narrowing the errors.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1. The historical architecture Cheomseongdae was constructed by using traditional crane techniques such as a Noklo (pulley ladder). Cheomseongdae was re-evaluated as a high level technology for the history of architecture. 2. The benchmark method on Cheomseongdae construction has been applied with a precise scientific method based on the geometrical principals using the central axis. 3.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echnology, as there aren't many studies done we proposed various basic data for the traditional crane techniques and criteria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echnology. We could expect various and active studies for the technical approach of the history of architecture. 본 연구는 고건축 기술사적 관점에서 첨성대 축조당시 가설공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독특한 구조와 형태로 이루어진 첨성 대는 그동안 많은 관심을 끌며 연구되어왔으나 고건축 기술사적 측면에서 접근한 사례를 보기 어렵다. 더욱이 첨성대 축조기 술에 관한 연구는 고건축 기술사적 고찰기반이 취약한 추론으로 전개되어 있으므로 많은 의문점을 남기고 있다. 여러 가지 의 문점 가운데 가설공법에 대한 논의는 고건축시공 규준방식과 드잡이에 관한 기술사적(技術史的) 고찰을 결여한 추론으로 전개 되어 있으므로 신빙성 있는 역사적 사실규명으로 보기 어렵게 한다. 연구결과 첨성대축조 가설공법에 대한 규명은 실제유구가 남아있지 않아 직접 고찰에 한계가 있었으나, 그간의 오류 폭을 좁히고 기초자료 제공에 의한 기술사(技術史) 연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1.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첨성대축조 규준방식은 또한 十자먹 규구법과 다림추를 이용한 준승방식에 기초한 중심축 규준 을 적용하였음으로 고찰되었다. 2. 첨성대 축석공사는 규구준승에 기초한 규준방식과 부합하는 드잡이공사 방법으로 녹로사용 가능성이 고찰 검토되었다. 3. 첨성대축조 규준과 드잡이기술에 대한 고찰 결과 규구준승에 의한 규준방식과 녹로( )를 이용한 드잡이공사는 축석 공사에 별도로 운반을 위한 비계가설을 요하지 않는 고건축 시공기술로 고찰되었다.

      •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발생시 문화재 피해 영향 분석

        최원일,전성곤,김덕,최은화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1 No.-

        본 연구에서는 경복궁, 숙정문, 창경궁, 창덕궁 등의 중요한 건축문화재가 위치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산 일대를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지진에 의한 변위량 해석에 이용되는 Newmark displacement model(뉴마크 변위 모델)을 통해 지진시 산사태 위험지 예측을 실시하였다. 또한 산사태 발생 시 토석류의 흐름 양상을 예측하고, 산사태가 산지 부근에 위치하고 있는 문화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