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채꼴 재구성법을 이용한 양전자 전산 단층 촬영술의 공간 분해능 향상

        김원수,이수영 경북대학교 전자기술연구소 1980 電子技術硏究誌 Vol.1 No.1

        Fan-beam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X-ray computerized tomography is applied to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his algorithm makes an improvement in spatial resolution of reconstructed image, since effective sampling interval becomes reduce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parallel reconstruction algorithm. Results of a computer simulation are shown.

      • KCI우수등재

        노일전쟁의(露日戰爭) 원인에 대한 재검토

        김원수 한국서양사학회 1998 西洋史論 Vol.56 No.1

        본 연구는 1902년 10월부터 1903년 9월까지 韓半島를 둘러싼 露·日의 角逐을 京義鐵道敷設權, 龍岩浦事件 및 義州開市에 초점을 맞추어 구명한 것이다. 본고는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일본의 경의철도 부설권 획득기도와 러시아의 대응을 고찰하였다. 고무라(小村)는 한국정부의 경의철도 자력건설이 소강상태에 빠져들자 외상 취임(1901년 9월)후 棄山會議에서 경의철도 부설권의 획득 구상을 확정하고 英日同盟의 체결로 실현의 계기를 얻어 1902년 10월 각의의 결정을 거쳐 공식화하였다. 이는 1898년 이후 한반도의 現狀維持體制, 즉 로젠-니시(西)협상 체제를 위협하는 조치였다. 이에 러시아는 경의철도 차관 제의와 용암포 및 의주 진출로 맞섰지만 철도 문제가 실패함에 따라 후자에 치중하여 강경대응방침으로 나갈 수밖에 없었다. 제2부에서는 鴨綠江森林採伐權을 활용한 러시아의 龍岩浦 租借 義州 進出企圖에 대해 먼저 龍岩浦事件에 초점을 맞추어 일본의 대응을 추적하였다. 일본은 러시아의 이같은 조치를 일본의 철도부설권 획득기도에 대한 정면도전으로 보았다. 이에 고무라는 1903년에 열강의 협조(6월∼7월)를 모색하는 한편, 주한 공사 하야시(林)를 통해 한국정부에 威壓을 가함으로써 부설권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다음으로 러시아의 용암포 조차 재시도 및 의주 진출기도에 대한 일본의 대응을 義州 開市 要求와 對露交涉에 초점을 맞추어 밝혀보았다. 일본은 한국 정부에 위압을 가하여 마침내 경의철도 부설권을 확보(9월 8일)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들은 경의철도 부설권의 획득으로 용암포 및 의주에서 러시아를 축출해야만 하는 당위성이 더욱 굳혀졌다. 일본이 英·美와 對露共同戰線을 구축, 러시아의 용암포 조차기도에 제동을 걸 수 있게 된 것도 바로 이런 상황에서 비롯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가 용암포와 의주에 대한 야심을 포기하지 않자, 하야시공사는 '龍岩浦·義州 同時開港案'으로 列强의 협조를 끌어내어 러시아를 견제하는 한편, 고무라는 이미 구축된 열강의 대러공동전선(6, 7월과 9월)을 이용, '義州·滿洲 同時處理案' 즉 러시아를 협상테이블로 끌어내어 외교적 수단으로 일괄 타개책을 모색하였으나 결국 미해결 된 채 露日開戰으로 비화되고 말았다. 요컨대 러시아의 滿洲撤兵拒否와 열강의 대응으로 만주에서 러·일의 대결이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실제적인 양국의 대결은 한반도에서 진행되었고, 한반도에서의 이권쟁탈전은 만주에서의 그것에 못지 않게 러일개전의 발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는 것이 본고의 첫 번째 결론이다. 한반도에서가 아니라 만주에서의 그것이 露日戰爭의 진정한 원인이었다는 아직까지의 통설을 구체적인 사실을 들어 재고찰해 본 것이다. 그리고 개전의 원인과 관련하여 러시아는 물론 일본측에도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적어도 한반도에 관한 한 일본의 경의철도를 둘러싼 선제조치가 있었고 러시아는 삼림채벌권을 활용한 용암포 조차와 의주 진출로 이에 대응하였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 두번째 결론이다. 베조브라조프(Alexander Mikhailovich Bezobrazov)일파의 무모한 對아시아强硬政策을 들어 러일개전의 절대적 책임이 마치 러시아에게만 있는 듯이 이해해 온 일반론에 수정을 가하려한 것이다. 경의철도 문제에서 비롯된 용암포 조차와 의주 진출을 내용으로 하는 용암포사건은 러·일간의 대립과정에서 유발된 하나의 에피소드가 결코 아니었다. 오히려 그것은 일본의 韓國倂合의 결정적인 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러일개전에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1차 세계대전의 동인이 된 모로코위기에 견줄 만한 역사적 사건이었고, 동북아시아의 일대 위기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영국의 외교정책과 글로벌전략의 형성, 1900-1904

        김원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3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28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early years in 20th century has been the subject of considerable scrutiny on account of the importance of the question of the origins of the Great War. Controversies about the causes regarding the outbreat of the war have generated tremendous historical production. In order to propose a meaningful analysis of a period which is described as “diplomatic revolution” by international historians, it seems essential to be fully aware of both past and current historiographical debates about the history of british foreign policy before an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In this article, I will involve studying particularly the period around the Russo-Japanese War, rather than as part of some prelude to the First World War, as well as taking into account the history of British foreign policy, and which has stressed how central imperial issues were in the formulation of British foreign policy, right until 1904. It will involve an analysis of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British diplomatic code at the begi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the examination of the main orientations of Edwardian foreign policy between 1902 and 1904; and finally, will look in some depth at the situation from the Anglo-Japanese Alliance to the Entente Codiale.

      • KCI등재

        러일전쟁과 만한문제의 국제화, 1905-1912 -4국앙탕트와 연계하여-

        김원수 만주학회 2013 만주연구 Vol.- No.16

        This article is to reconsider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Quadruple Entente and the Manchuria-Korea(the Manhan)Problem occurred from 1905 until 1912 with global perspective. This work will be revealed clear that the Manhan Problem was not merely territorial disput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but the result of the Quadruple Entente system which has been made by Western Powers and Japan. It was the multiple entente systems. In this research, I specially focused on the interconnection with the Quadruple Entente and the Manhan Problem which was overlooked until now. It will be broaden the horizon of Korean studies and Manchurian Studies in these periods. After the Russo-Japanese War, Japanese-French Agreement, Russo-Japanese Agreement, and Anglo-Russian Convention were concluded in 1907. This Quadruple system was to bring about the End of “the Great Game”. Since then, In East Asia, Quadruple Enetente system based on the Anglo-Japanese Alliance was constructed and In Europe, Triple Entente system were operated. Interaction of Quadruple Entente was forced to threaten and encircled German’s Triple Alliance in Europe as well as to restrict the American Expansion from Asian Pacific. Therefore Germany actively took a plan for German-China-American Alliance. Nevertheless, Japan had free hands in Northeastern Asia regions under the British diplomatic assistance. Such an International change in East Asia was able to make shape of realizing Japanese Plans to annex Korea and preoccupy Southern Manchuria including Gando region from 1907 until 1912. Therefore Japanese penetration into Korea and Manchuria has been not only influenced by Quadruple entente system, but also controlled by Intervention and Restriction of German and America. Such actions were proved by Kaiser’s Plan for German-China-American Alliance Connection from 1907 to 1909, Theodore Roosevelt’s Initiative on the Root-Dakahira Agreement in 1908, The Knox’s Neutralization Plan for Manchurian railway in 1909. Anglo-Japanese preliminary contacts with Gando and Manchurian problems in 1909 and Anglo-American Arbitration Treaty after the Japanese Seizure of Korea. All these measures were revealed that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and preoccupation of Manchuria had been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of Quadruple system. It was the Imperial struggle for Reestablishing the sphere of influence in East Asia. But the Japanese seizure of Korea was not completed. The reason why was that The Aftermath of the Annexation of Korea was to increase the threat of war between America and Japan. It caused by the 2nd Russo-Japanese Conven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Quadruple system. Counteraction was immediately taken by Taft administration suggesting the Arbitration Treaty between United State and England. In the aftermath of this, 3th Anglo-Japanese alliance was concluded in 13th,July,1911. In this treaty, the clauses related with korea and the Russo-Japanese War were eliminated. It was the last diplomatic action for the Korean Problem taken step by Japan and Britain. In these measure, Korean problem was officially completed. In the course, British Entente policy was the unwavering support. But the Conclusion of the Arbitration Treaty between United State and England was to bring about the change of the Quadruple Entente system based on Anglo-Japanese alliance. Now Anglo-Japanese relation was estranged, but Anglo-American diplomatic relationship is renewed. It means that Japan’s regional power is to be challenged and power politics in east asia is to be changed. 본 연구는 러일전쟁이후 발생한 만주문제와 한국문제를 1907년에 구축된 4국앙탕트(the Quadruple Entente)와 상호작동성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동북아시아를 둘러싼 국제관계의 전후 맥락을 재구성한 것이다. 먼저 러일전쟁이후 외교혁명을 통해 구축된 4국앙탕트 체제와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변화를 다루었다. 이는 일본의 만한정책이 러일전쟁의 사후처리라는 관점보다는 1907년의 외교혁명으로 구축된 4국앙탕트와의 상호 작동성이라는 관점에서 재조명하려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정미7조약과 헤이그밀사사건, 고종퇴위와 간도협약 전후의 국제관계와 4국앙탕트와의 상호작동성을 다루었다. 이로서 청의 헤이그중재재판 회부기도, 간도와 만주문제에 대한 청일협약과정에서 4국앙탕트와의 연동성을 밝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병합 전후의 국제관계와 4국앙탕트와의 상호 작동을 다루었다. 일본의 한국병합에 관한 영국과 일본의 사전접촉, 그리고 병합이후 한국조항을 삭제한 3차 영일동맹이 미영중재재판조약 및 제3차 러일협상과 상호 연계됨을 밝혔다. 이같은 국제관계를 통한 글로벌한 역사접근의 시도는 기존의 중심담론들을 넘어서, 다계적이고 다원적인 해석의 장을 제기함으로써, 한반도, 나아가 동아시아 중심의 글로벌한 국제관계사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려는 것이다.

      • KCI등재

        러일전쟁과 영국의 앙탕트외교, 1902-1905

        김원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2

        The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in the early 20th century has been the subject of considerable scrutiny on account of the importance of the question of the origins of the Great War. In order to propose a meaningful analysis of a period which is described as “diplomatic revolution” by international historians, it seems essential to be fully aware of british foreign policy before an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In this article, I was to reexamine the British Foreign Policy of Entente during the the Russo-Japanese War(1904-5). For the purpose of these aims, I especially focused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nglo-Japanese alliance of 1902, the the Entente Codiale(Anglo-French Entente) of 1904 and the 2nd Anglo-Japanese alliance of 1905. In this period, the British government under the Prime Minister Arthur J. Balfour declared a "strict neutrality" from the eve of the Russo Japanese war to the end of the Portsmouth peace conference. Under thes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Far East, Japan was received diverse unofficial assistance from Britain in indirect manners. They included British naval support to check Russian fleet movements, financial arrangements to help financing Japan's war expenditure, and various diplomatic support activities on behalf of Japan in the world. British foreign policy was in multiple between 1902 and 1905, when Russia, France, Germany and Japan was the major concern for British entente policy. Traditional Anglo-Russian confrontation over the world affected British foreign policy and particularly Anglo-Japanese relations, anglo-french relations and Anglo-german relations at this juncture. Here, the developments in the Persian Gulf, Afghanistan, Tibet and the Far East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s. Second chapter is related with Interrelations between the Anglo-Japanese alliance of 1902 and the outbreaking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Third chapter is devoted to Interrelations between the 2nd Anglo-Japanese alliance of 1905 and the Portsmouth peace conference. And finally I was to connect them with the Anglo-Russian Entente of 1907 20세기 초반에 러일 전쟁의 국제관계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기원 문제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면밀한 조사 대상이 되어 왔다. 국제관계사에서 '외교 혁명'이라 명명하고 있는 이 시기에 대한 의미있는 분석을 위해서는 러일 전쟁 전후 영국의 외교정책을 인식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러일전쟁기(1904-5) 영국의 앙탕트 외교정책을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특히 1902년의 영일 동맹, 1904년의 영불 협상 1905년의 제2회 영일동맹의 국제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기간에 수상 밸푸어 휘하의 영국 정부는 러일전쟁 직전부터 포츠머스 평화회의까지 ‘엄정 중립'을 선언했다. 이와 같은 극동의 국제정세하에서 일본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영국으로부터 다양한 비공식 도움을 받았다. 거기에는 러시아 함대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한 영국 해군의 지원, 일본의 전쟁 비용에 대한 금융지원, 일본을 위한 다양한 외교적 지원 활동 등이 있었다. 1902년과 1905년 사이에 영국의 외교정책은 다각적이었는데, 러시아, 프랑스, 독일과 일본은 영국의 앙탕트 정책의 주요 관심 대상국이었다. 전 세계에 걸친 전통적인 영러 대립은 영국의 외교 정책과 특히, 영일 관계, 영불 관계, 그리고 이 시기 영독 관계에 영향을 주었다. 여기에서 페르시아, 아프가니스탄, 티베트, 극동의 사태는 상호 연계되고 있었다. 제2장 에서는 1902년 영일동맹과 러일 전쟁 발발 간의 상호관계를 다루었다, 그리고 제3장에서는 1905년의 제2회 일영 동맹과 포츠머스 강화회의 간의 상호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나아가 이를 1907년의 영러 협상과 상호 연계해 보았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역사교육의 전지구적 전환 II : 글로벌히스토리의 실천

        김원수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연구 Vol.- No.17

        In this study, I try to connect the Korean problem with the cause of Russo-Japanese War based on the global historical standpoint. I especially refocus on the Yalu Crisis in the Korean peninsula in 1903. These include the competition for the concession righ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eoul- iju Railway; the lease of Yongampo; and the opening of iju and Yongampo in the Yalu frontier. The rivalry which emerged over control of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began with the issue of securing concession righ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eoul- iju Railway but expanded to include the Yongampo incident and the opening of iju and Yongampo, does not represent a simple episode which originated between the conflict between Russia and Japan. The fact that these events led directly to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and eventually resulted in providing Japan with the opportunity not only to annex Korea but also penetrate Manchuria, means that they should be perceived as important historical incidents on a scale similar to the Moroccan Crisis which eventually resulted in the advent of World War I. Moreover, Yalu Crisis can be perceived as the direct precursors of the eventual crisis which engulfed East Asia. This is the reason why the ‘Korean problem’was important enough to result in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which has been referred to as a mini-World War, and why the Yalu Crisis which emerged on the Korean peninsula 100 years ago should be reanalyzed not only at the Korean history level but at the level of Global history. As mentioned above, I am of the mindset that the limitations of the arguments put forward by previous Japanese and Russian researchers with regards to the cause of the war can be overcome when further emphasis is placed on the Korean problem, especially the Yalu Issues. The reason why is that the Yalu Crisis holds the Key to the solution of the question. In order to do so, Studies on the Russo-Japanese War should be carried out from diverse standpoints that include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corporate the global policies which emerg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20th century. This kind of approach is needed to develop a global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the Russo-Japanese War. To achieve this, first of all, more efforts should be put into uncovering the actual nature of the Yalu crisis which unfolded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surrounding the outbreak of the Russo-Japanese War. 새로운 세계사들의 활용에 있어서는 보다 신중하고 유의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필자는 前篇의논문,‘역사교육의 전지구적 전환’을 통해 밝힌바 있다. 본 연구는 그 속편격으로, 세계사들 중에서도 특히, 글로벌히스토리에 한정하여, 그것과 한국사와의 연계를 시도해 본 것이다. 이를 위해필자의 관심 영역인 국제관계사를 활용하여, 용암포사건, 러일전쟁 및 제 1차 세계대전을 연계해, 용암포사건과 러일전쟁의 글로벌히스토리를 구상해 보았다. 1903년 압록강 위기를 둘러싼 한 러 일간의 각축전은 러일개전 직전에 한반도에서 벌어진 러일전쟁의 제1라운드(전초전) 格이었다. 특히 경의철도부설권 및 압록강삼림채벌권에서 비롯된용암포사건은 압록강 위기의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이 압록강 위기를 빌미로 닫혀진 한반도 북부를 선점하려는 이권쟁탈전은 단순히 러일간의 대립과정에서 유발된 하나의 에피소드가 아니었다. 이 위기는 러일전쟁에 직접적인 계기가 되고, 일본의 한국병합의 결정적인 전기가 되었다는점에서 제 1차 세계대전의 동인이 된 모로코위기에 견줄만한 ‘아시아판 모로코위기’인 동시에,만주와 한반도의 경계지역에서 제국주의 이권쟁탈을 둘러싸고 일어난 세계사적 사건이었다. 1세기 전, 왜 압록강위기로 대변되는 한반도 문제가 소위 제0차 세계대전이라 명명하는 러일전쟁을유발할 만큼 중요했으며, 왜 100여년 전 한반도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건을 한국사뿐만 아니라세계사적 차원에서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글로벌한 전망에서 역사 다시읽기는 한반도라는 작은 공간의 사건일지라도, 국가의 경계를 넘어 동북아시아와 구미 지역과의 연계가 불가결하다는 탈지역화 인식에 기초한 것이다. 아울러 그것의 시간틀을 청일전쟁부터 1차 세계대전 나아가 한국전쟁까지 확장하여 장기적인 변화가운데에 개별사건을 위치케하는 방법인 것이다. 바로 이것이 한국사의 새로운 세계사적 맥락화 구상인것이다.

      • KCI등재

        그레이트 게임과 간도협약의 글로벌 히스토리 구상 - 시론적 접근 -

        김원수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8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49

        <Abstract> Global History Initiative of The Great Game and The 1909 Gando Convention - An Introductory Approach - Won-soo Kim This paper is to be an introductory attempt to make global history related on the Great Game and the demarcating border of Gando and Baekdu Mountai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historical discourse, by establishing a transnational and global historical arena, the plan is to expand the horizons of the study of Gando and Mt. Baekdu.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first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temporal categories of the study on the making border of Gando and Mt. Baekdu, and then to reorganize the Gando problem from a global historical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period from Gamgye Negotiation in the 1880s to the 1909 Gando convention was defined as the time range, and the process of defining the borderline process of Gando and Mt. Baekdu was described as the imperial process. It is to reconstruct the context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surrounding geopolitical changes and the 1909 Gando convention in East Asia. Based on this, I will try to reconsider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at Game and Gando problem with Japanese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a new world history. 본 연구는 그레이트 게임(The Great Game)과 간도 및 백두산 변경 획정의 글로벌 히스토리를 구상하기 위한 시론이다. 기존의 역사담론들에 더하여 트랜스내셔널하고 글로벌한 역사의 장을 마련함으로서, 간도와 백두산 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간도와 백두산 변경 연구의 시간적 범주를 재구조화하고, 간도문제를 그레이트 게임의 전개과정이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구미 제국주의 열강의 동아시아정책과 연계하여 재구성해 볼 필요가 있다. 그 첫 번째는 1880년대 감계협상부터 1909년의 간도협약(間島協約)까지를 하나의 시간적 범주로 묶고 간도와 백두산 변경의 획정과정을 그레이트 게임의 전개과정이라는 제국적인(Imperial) 구도 하에서 역사적 맥락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21세기의 뉴 그레이트 게임(New Great Game)의 전개과정이라는 글로벌한(global) 구도 하에서 글로벌 열강의 동북아시아정책과 연계하여 재구성하는 것이다. 그것은 1960년대에 체결된 조중변계조약을 현재까지 접속하여 간도와 백두산 변경 획정의 역사를 현재화하는 것이다. 본고는 우선 그레이트 게임과 간도문제를 거문도사건과 외교혁명의 국제관계와 관련하여 검토, 비교해 보는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것은 기존의 서구중심적인 역사관에서 벗어나 주변부의 역사담론들에 간도문제를 접속함으로써 새로운 시대구분 하에서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변화와 간도협약을 둘러싼 국제관계사의 전후 맥락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제국주의 열강, 특히 영국의 동아시아 정책과 간도문제와의 접속을 모색함으로서 한반도와 만주침략을 구상한 일본 외상 고무라(小村壽太郞)의 계획된 만한침략 정책, 소위 ‘고무라 외교’가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 그 상관관계를 재고찰하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