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친구> 영화 텍스트에 대한 수용자의 의미 해석

        박길자 한국교육인류학회 2003 교육인류학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수용자가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하고 수용해가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것은 수용자인 학생들을 비판적 사고와 의사소통 능력을 가진 민주적 시민으로 육성하려는 교육적 목적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영화 <구> 선정하여 수용자들이 이 영화에 대한 해독의 관점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틀은 홀이 제시하고 있는 선호적 해독, 교섭적 해독, 저항적 해독의 세가지 가설에 기반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 홀의 가설은 수용자들이 누리는 텍스트 읽기의 즐거움의 문제를 간과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수용자들이 미디어 텍스트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맥락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입장에서 미디어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러한 사실은 수용자가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미디어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으며, 자기와 견해가 다른 사람들과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시도하고 있음을 말해 준다. This easy is to describe how audience decodes decodes media text. Audience decoding is related to the theory of cultural studies. On that theory, Stuart Hall insists three hypothetical decodings of the meanings of media text. The first is the dominant-hegemonic decoding. This is the case that audience decodes the meaning of the includes a mixture of adaptive and oppositional elements. The third one is oppositional decoding. It is possible for audience to understand the connotative meanings of the media text perfectly. But Hall’s model is criticized that three hypothesis are missing the code of pleasure. Therefore, I focus on the media tetx in terms of Hall’ three hypothetical decodes and the code of pleasure. It is shown that audience do not accept media naxt blindly but decode the text actively and creatively. It tells us that audience try communicating with others with creative thinking.

      • KCI등재후보

        사회과 교수-학습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모형 설정과 실제

        박길자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4 사회과교육 Vol.4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교수-학습과정을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설정해 보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과정의 실제를 구성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논의로써 과정학파와 기호학파의 관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의미의 생성과 교환의 과정으로 가정하고 있는 기호학파의 관점에서 야콥슨의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상세히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과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모형을 설정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설정된 커뮤니케이션의 모형에 따라 사회과 교수-학습에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실제의 수업을 논리적 약호와 심미적 약호에 기반 하여 구성하였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모형에 따라 사회과 교수 학습과정이 진행된다면 학생들은 논리성과 심미성을 기반으로 한 능동적인 의미구성 능력을 가진 민주 시민으로 육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communication model and its practice in social studies by observing how teachers and students construct meaning through teaching-learning process. First, process school and semiotic school are viewed as theory on communication. Second, Jakobson's communication model is investigated from the semiotic perspective which regards communication process as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exchange of meanings. Based on the model, I consider proper model that allows effective construction of meaning in teaching-learning process of social studies. Finally, I construct class with the construction of meaning based on logical codes and aesthetic codes, adopting the communication model. It is expected that such class has significant meaning in raising democratic citizens who have capability in construction of meaning with logic and aesthetics.

      • KCI등재후보

        왕따'동영상에서 나타난 미디어 담론 분석

        박길자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1

        School bullying which has been widely spread in Korean society is considered as social pathological phenomenon that we should handle with our joint effort and thinking. This study is to find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shown in media discourse about school bullying and how our society understands this bullying problem through analyzing features of media discourse in 'school bullying video' which has wakened people a lot of interest. I analyzed with 'school bullying video' as 1st text, materials for the press, major broadcasting and newspaper articles about bullying as 2nd text, and readers' and viewers' opinions on newspapers and each broadcasting as 3rd text. I examined characteristics found in media discourse fro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eatures in textual practice found in 'school bullying video' show that school bullying is presented as collective play associated with strong group. Second, features in discourse practice found in 2nd text are defined as mental and pathological phenomenon utilizing experts' discourse. Third, features in the process of social practice found in 3rd text show that people find the reason for school bullying from personal characters of related students in the early stage, but it is moved to a social structural problem including family and school and eventually concludes that all social members should be the subject for this matter, which represents practical discourse. Such findings show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which allow violence by the strong. It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all members in society should make effort to solve school bullying problem. I also suggest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f humanity in family and school as a practical measure.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에 사회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킨 ‘왕따 동영상’ 사건에서 나타난 미디어 담론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1차 텍스트인 ‘왕따 동영상’, 2차 텍스트인 주요 방송과 신문을 비롯한 ‘왕따 동영상’에 대한 보도 자료, 3차 텍스트인 인터넷에 실린 ‘왕따 동영상’에 대한 독자의 의견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 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인 배경으로는 비판적 담론분석(CDA)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차원에서 문화연구의 관점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해서 '왕따 동영상‘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담론을 분석한 결과, 첫째, 1차 텍스트인 ‘왕따 동영상’에서 드러난 텍스트적 실천의 특징은 ‘집단따돌림’이 강자의 권력과 결부되어 집단적인 유희의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2차 텍스트에서 나타난 담론적 실천의 특징은 ‘집단따돌림’의 문제를 전문가 담론을 활용하여 정신 병리적인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셋째, 3차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담론의 사회적 실천과정은 초기에는 집단따돌림의 원인을 가해자와 피해자의 개인적인 성격 차원에서 찾는 대립적인 담론이 전개되다가, 점차 가정과 학교를 비롯하여 사회 구조적인 차원의 문제로 확장해 가는 담론의 이동을 보였고, 사회구성원 모두가 문제 해결의 주체가 되어야한다는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는 담론으로 발전되어 갔다. 이와 같이 미디어 담론의 분석 결과는 집단따돌림이 가해자를 중심으로 한 강자의 권력구조와 폭력을 용인하는 사회·문화적 특징을 드러내 주었으며, 집단따돌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전체의 구성원들의 주체적인 노력과 가정과 학교를 중심으로 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실천적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회과에서 미래문제 접근으로서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한 미래교육과정 구성 방안

        박길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하여 미래사회에서 야기될 것으로 예측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래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미래연구의 역사와 미래학자가 본 미래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미래에 직면하게 될 문제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문제를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나리오 방법을 분석하였다. 셋째, 사회과에서 미래교육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중심으로 미래교육과정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학생들이 미래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미래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시민적 자질을 육성할 수 있는 미래교육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hat researching constitution device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to solve the problems which will be expected in future society using Scenario Planning. The study is consisted of three parts. First, analyze history of future research and feature seen by futurist and deduct the issues facing in the future. Second, analyze Scenario Planning as a way to approaching the future problems. Third, find the constitution device of future education curriculum placing emphasis on necessity of future education and goal, content, method and assessment of future education o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foundation of future society that students will understand about the future society and promoting citizenship which can react pushfully about future problem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 KCI등재

        다문화 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문화 불평등과 문화정치학의 관점을 중심으로 -

        박길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st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and apply in middle school based on multicultural citizenship. This research is focused on consisting contents system considering problem of cultural unequal and aspects of cultural politics contrary to the exi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cultures. And the new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which is suitable for middle school considering established literature review and opinions of expert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this program is organized of 3 chapter and 13 sections and the instruction contents would be composed on sections. Second, it suggests quest activity to learn the values and skills about understanding multicultural notion by consisting ‘Lesson Objectives, Raising the Question, Understanding of Key Concept, Inquiry’. The program is determined the final program reflected example application of middle school teacher and consulting of experts. 이 논문은 다문화 시민성에 기초한 중학교 다문화교육 구성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 적용 과정을 서술한 것이다. 문화 간 차이 이해에 초점을 둔 기존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달리, 본 연구는 문화 불평등의 문제와 문화정치학의 관점을 고려하여 내용체계를 구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다문화교육 관련 문헌 검토,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전문가 의견 등을 고려하여 중학교에 적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첫째, 전체 3개 대단원, 13개의 소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소단원 중심으로 수업 내용을 구성했다. 둘째, 소단원별로 ‘학습목표, 생각열기, 개념이해, 탐구활동’을 구성하여 다문화 관련 개념 이해와 관련된 가치와 기능을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프로그램은 시범 적용 및 전문가 검토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인권교육 내용요소의 통합적인 구성 방안

        박길자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1

        This paper is to analyze problems in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nd suggest an alternative teaching method. First, the concepts of human rights and human rights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re examined. Then, the problems in human rights education are investigated by viewing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show that current human rights education has focused on practical behaviors, lacking education on human rights based on knowledge on human rights and cognitive ability and thinking. This is participation-oriented education and therefore alienated from the space of students' lives. In order to overcome tho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integrated human rights education, which consists of four factors; human rights understanding, human rights sensitivity, human rights experience, and human rights behavior. This study also builds up objectives and methods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presents a model for integrated human rights lesson which reflects the objectives and methods.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model is suggested focusing on 'human dignity' and 'right not to be discriminated'. By providing human rights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model,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can be aware of human rights properly and practice it. It will also help bring up citizens with reflective and critical thinking.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에서 나타난 인권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인 인권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지호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사회과에서 인권과 인권교육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사회과에서 진행된 인권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서 사회과에서 인권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의 인권교육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인권에 대한 지식과 사고력 중심의 인지능력중심의 인권교육, 인지능력을 소홀히 한 실천적인 행위성향 중심의 인권교육, 학생들의 삶의 공간과 괴리된 참여지향적인 인권교육이 강조되어 왔음을 밝혔다. 이러한 인권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인권이해, 인권감수성, 인권경험, 인권행위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한 통합적인 인권교육의 방안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인권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목표, 내용, 방법을 설정하고, 이들을 반영하여 인권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통합적인 인권수업 모형을 설정하여, ‘차별받지 아니할 권리’를 중심으로 교수-학습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인권수업 모형에 근거하여 학생들이 인권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이해를 추구하고, 인권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인권경험을 제공하여 인권적인 가치를 내면할 때, 진정한 의미의 친인권적인 행위가 나타날 것이다. 그리하여 학생들은 인권이해, 인권감수성, 인권경험, 인권행위를 통해서 반성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가진 시민으로 육성될 것이다.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 생활세계에 근거한 지역학습의 방안 탐색

        박길자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6 사회과교육 Vol.4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교육에서 생활세계에 근거한 지역학습의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그동안 진행된 지역학습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지역학습의 의미 기반으로서 지역의 존재와 인식에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는 현상학적 개념으로서 생활세계를 고찰하였다. 이들 내용은 1)지역학습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지역의 의미 기반으로서 생활세계를 설정하였다. 2)생활세계의 존재론을 기반과 지평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인식론을 자아의 의식 지향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3)생활세계에 근거한 지역학습의 방안으로 지역학습의 내용선정, 내용구성, 수업논리를 제시하였다. 이들 과정을 통해서 지역학습의 의미 기반으로서 생활세계는 자연으로서의 세계와 문화세계로서의 역사세계와 사회세계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생활세계에 근거하여 지역학습이 진행됨으로서 학생들은 자신들의 실존적인 삶의 터전인 지역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창조적으로 발전해 갈 수 있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교육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Exploration of Regional Education Based on Life-World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Park, Gil-Ja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ctur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of regional education on the life-world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concept of the life-world is considered to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region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First, previous studies on the meanings of region and features of regional education are analyzed. Second, the concept of life-world is analyzed and meanings of life-world' ontology and epistemology are investigated i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ird, exploration of the regional education based on the life-worl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is described, which is constructed 1)selection of contents 2)construction of contents 3)process of instruction to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to region education. Students might be able to have better understandings features of region communities through such instruction. Students can establish regional identity and are brought up as citizens who are able to make develop historical-social culture of region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