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전반 재일유학생의 민족운동-在東京朝鮮留學生親睦會를 중심으로

        小野容照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7

        1910년대 전반 재일유학생의 민족운동 -在東京朝鮮留學生親睦會를 중심으로- 小野容照 이 글의 목적은 재일유학생 단체인 在東京朝鮮留學生親睦會의 조직과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식민지기에 들어서 재일유학생 민족운동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식민지기 재일유학생 단체로는 1912년 10월에 설립된 在東京朝鮮留學生學友會가 잘 알려져 있지만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는 학우회에 앞서서 1911년 5월에 설립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단체는 학우회의 모체가 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친목회의 설립과 해산 과정은 1910년대 재일유학생 민족운동의 시발점으로서 상당히 중요하다.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의 조직을 주도한 것은 1909년에 설립된 大韓興學會에서 간부로 활동한 유학생들이었다. ‘한일병합’으로 인해 대한흥학회의 해산을 겪은 그들은 조금씩 유학생 친목 모임 규모를 확장하면서 1911년 5월에 유학생전체 친목기관으로서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를 조직했다. 그러나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는 설립된 지 불과 9개월 만에 해산되었다.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가 기관지 『學界報』를 발행하려고 한 것을 경계한 일제가 조선유학생감독부를 통해서 해산을 명령했기 때문이었다.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는 조선유학생감독부를 활동거점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산 명령을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學界報』가 창간호를 발행한 1912년 4월에는 이미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는 해산된 상태였다. 이후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의 간부들을 중심으로 다시 학우회가 설립되었다. 이 때 그들은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의 해산을 교훈으로 삼아 조선유학생감독부와 거리를 두면서 학우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조선유학생감독부를 대신할 활동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학우회는 在東京朝鮮基督靑年會와 협력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 결과 학우회는 1931년까지 존속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재일유학생들은 기관지 『학지광』을 비롯해 다양한 출판물을 발행하는 등의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재일유학생은 언론의 자유가 거의 없었던 1910년대 조선 내의 지식인들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존재로서 민족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in the early 1910’s - in the case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Ono Yasuteru This paper aimed to explain how the national movement of Koreans oversea students was started through analyzing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the communi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A Korean oversea Students’ Association in Tokyo, established in October 1912, is well known, but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was the parent of A Korean oversea Students’ Association in Tokyo as well as founding earlier in May 1911 than that. Thus, the progresses of establishment and dissolution of the Amity Society are very importan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national movement of Koreans oversea students in 1910’s. It was the executive students in Daehanheunghakwhoi, which founded in 1909, that took lead the organization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They, dispersed by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organized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as get-together of the whole oversea students in May 1911, expanding gradually the scale of friendship communities. However, in only 9 month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broke up since the society was established. Because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sought to publish the organ of 『Hakgyebo』, Japanese Imperialism kept strict watch their activities and ordered to break up the society through the Superintendent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had nothing to do but obey a order since it based of the Superintendent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Therefor,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already broke up when they published their first issue in April 1912. After that time, a student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again by the executives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At this time they learned the lesson from the dissolution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and operated the Students’ Association giving the Superintendent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a wide berth. They also joined hands with the Christian Association of the Korean Students in Tokyo in order to secure another center of their activities as a substitute for the Superintendent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As a result, a students’ association could continue to exist until 1931, and the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worked on positive lines including publishing the organ of 『Hakjigwang』 and the variety of issues. The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eventually could inaugurate national movements as a society which strengthened the weak point of Korean intellectuals, when Japan Imperialism restricted freedom of spee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