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재난성 원전사고에 따른 방사성오염의 토양·지하수관리 방향 마련

        황상일 한국환경연구원 2011 수시연구보고서 Vol.2011 No.-

        지구온난화가 심화되고 있고 국제유가의 불안정이 지속되는 지금, 원자력발전은 단기적으로 피할 수 없는 선택이다. 하지만 2011년 3월에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 준다. 원전사고 시 바람을 타고 온 방사성 낙진은 공기 흡입으로 인한 직접적인 내부피폭뿐만 아니라, 강우를 통해 토양 및 지하수(먹는 물)의 2차 오염을 유발한다. 또한,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토양에서 자란 식물을 동물이 섭취하고, 이 농축산물을 다시 인간이 섭취하는 간접적인 내부피폭으로 인해 토양 및 지하수의 방사성 오염은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환경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방사성 관리 체계는 방호 중심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원전사고 발생시 일어날 수 있는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의 대응책 및 관리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원전사고로 인한 토양·지하수 방사성오염이 발생하였을 경우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종합적인 관리 및 대응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난성 원전사고의 토양·지하수 방사성 오염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외 방사성오염 관리 현황을 파악해 보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인접국가의 재난성 원전사고 시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토양·지하수 방사성 오염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방사성 물질 자체가 토양 내 잔류성이 크고 비중이 높아 이동성이 매우 낮은 특징을 고려하면 인접국가의 원전사고에 의한 국내 영향은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번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경우도 국내 기상학적·지리학적 특성으로 인해 국내에 미친 영향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기확산모델 평가 연구에서 낮은 피폭량이지만 기류 변화에 따른 미량의 방사선 영향이 국내에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실제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에서 요오드-131, 요오드-132, 세슘-134, 세슘-137, 텔루륨-132 등이 검출되었다. 특히 일본과 달리 만약 중국에서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지리적 특성상 편서풍을 타고 한국과 일본으로 빠르게 방사성 물질이 확산될 수 있어 한반도에 직격탄이 될 수 있다. 토양 방사성 오염에서 요오드는 반감기가 50분∼8일 정도로 짧고 스트론튬은 검출 여부 조사과정이 까다로워서 반감기가 긴 세슘과 플루토늄이 방사성 토양 오염의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고 있다. 국내 원전사고 시에는 원전 반경 20∼100km 지역의 토양 정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인접국의 재난성 원전사고의 경우에는 강우에 의한 피부접촉 피해보다는 토양에 축적 후 농작물에 흡수되어 다시 인체로 섭취될 가능성이 더 높은 바, 농경지 토양의 방사능 오염대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지하수의 경우 방사성 물질의 누출에 의해 원전 주변의 지반환경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며, 대기나 지표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이 빗물을 타고 흘러들어 2차적으로 지하수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지하수의 느린 유속 때문에 원전사고시 방사성물질에 의한 지하수 오염원은 원전 주변에 국지적 규모로 분포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 경우에는 원전 주변 대수층의 중·장기적인 지하수 오염 정화 작업이 필요하다. 재난성 원전사고의 해외 사례 연구는 국제 원자력 사고·고장 등급이 높은 5등급 이상으로 심각한 영국 윈드스케일 원자로사고, 미국 쓰리마일 아일랜드 원전노심용융사고, 체르노빌 원전사고,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대부분 사고가 매우 과거에 일어났고 사고 수습 과정에서 피해를 숨기거나 축소하며, 방사성 감시도 대기 위주로 이루어져, 토양·지하수 매체에 대한 정보가 매우 부족하였다. 영국 윈드스케일 원자로사고는 토양·지하수의 방사능 감시는 행해지지 않았고 공기, 강우(물), 우유를 비롯한 식품 중의 방사능이나 공간선량의 감시가 이루어졌으며 먹는 물 중 방사성핵종농도는 건강상 문제가 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쓰리마일 원전사고에서는 토양·지하수 방사성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최악의 사고 중 하나인 체르노빌 원전사고의 경우 방사능 낙진이 체르노빌 주변에 있는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세 나라뿐만 아니라 유럽 곳곳으로 퍼져 많은 지역을 오염시켰다. 유럽 전체에 걸쳐 19만㎢에 이르는 영역이 37kBq/㎡ 이상의 방사능으로 오염되었으며, 주변 3국의 오염 규모는 15만㎢에 이른다. 체르노빌 원전사고에서 지하수 오염은 민간인 접근 금지 구역인 CEZ(Chernobyl Exclusion Zone, 반경 30km)에서 일어났으며, 그 외 대부분 지역에서의 지하수 오염은 낮았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체르노빌과 같은 사고 등급인 최고단계 7등급이며 현재 사고수습이 진행 중이다.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원자력 안전보안원은 이번 사고로 외부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의 양은 방사성 요오드-131, 세슘-137 등을 포함, 37만TBq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보다 높은 63만 TBq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토양·지하수 매체에 대한 보도자료 및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후쿠시마 원전에서 40km 떨어진 이타테 마을에서 3월 26일 채취한 잡초를 분석한 결과 kg당 287만Bq의 고농도 세슘이 검출되었다. 미국, 일본, 노르웨이의 국제연구진이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출된 방사성 세슘의 오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본의 최남단인 규슈지역을 제외한 일본 전역이 방사성 세슘에 오염되었다고 발표하였으며, 특히 후쿠시마원전 근처의 세슘 오염도는 기준치의 8배인 4,000Bq/kg에 가깝게 조사되었으며 동경지역도 최대 100Bq/kg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하수 오염에서도 원전 주변부 지하수방사능 레벨이 기준치의 1만 배 정도로 높게 측정되어 주변 지하수가 요오드-131과 세슘-137 등의 방사성물질에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향후 지하수의 음용 및 이를 통한 방사성 오염 어패류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내용 중 하나는 국내 방사성오염 관리체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원자력 안전 관리체계 및 관련 법령, 방사선비상시 운영개입준위, 국내 방사능 감시 프로그램 및 모니터링 현황을 정리하였다. 국내의 원자력 안전 관리체계 및 관련 법령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기존의 비상설 대통령 자문 기구였던 원자력 안전 위원회를 대통령 직속 상설 행정위원회로 바꾸면서, 기존의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원자력안전국을 원자력 안전 위원회 산하 사무처에 안전정책국과 방사선방재국으로 조직체계를 새롭게 개편하였다. 원자력 관계 법령은 관련 정책과 긴밀한 협조를 맺고 있으며 원자력 이용, 안전 및 규제, 손해배상 관련, 관련기관 설치, 기타 관련된 법령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전 사고에 의한 방사성오염원이 토양·지하수 매체와 같이 원전사고 발생 후 중·장기적인 방사성 영향이 있을 가능성이 큰 경우에는 사후조치가 매우 중요하다. 일부 「방재법」에서 중장기 방사능영향을 평가하여 피해복구계획을 수립하기로 되어있지만, 아직까지 토양·지하수를 포함한 매체별로 구분된 방사성 오염관련 지침이나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국외 방사성오염 관리체계 분석에서는 미국, 일본, 중국의 원자력 행정체계 및 관련 프로그램과 ICRP, IAEA, WHO/FAO, EU, 미국, 일본의 관련 지침 및 기준을 살펴보았다. 외국의 경우에도 방사성 오염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토양·지하수의 지침 및 기준은 아직 미비한 상황이며 ICRP, IAEA, 미국, 일본 등에서 토양·지하수와 관련된 방사성 오염 대응 및 관리지침은 식품섭취를 기준으로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원자력 기술과 안전 규제 시스템은 세계적 수준을 자랑한다. 하지만 거대한 천재지변은 예측이 어렵고 원전사고의 피해 특성이 큰 점을 고려하면 국내 및 인접국의 방사성 사고에 따른 대비 및 대응체계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 방사성오염의 토양·지하수관리 대책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재난성 사고는 국가적으로 대응해야 할 부분이기 때문에 보다 큰 시각에서 관련 정부부처나 유관기관의 유기적인 협조를 바탕으로 한 종합적인 대응 및 방사성 오염의 토양·지하수 관리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새롭게 출범한 원자력 안전 위원회에는 ‘방재환경과’를 신설하여 원자력 안전과 함께 환경매체 중심의 관리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방재환경과와 긴밀한 협조, 대응할 수 있는 환경부 내의 방사성오염 관련 부서 또는 조직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그럼으로써 방사성오염 대응 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인력 및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예산 확보를 가능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둘째, 국내외 재난성 원전사고 발생 시, 전국 단위의 토양·지하수 방사성 물질의 농도를 감시하고 분석하는 등의 환경방사능 감시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현재 국내 토양 방사능 조사는 12개 지방방사능측정소에서 매년 2회씩 조사하고 있지만 부족한 실정이며, 과거 1997년 853개 지점의 전국 환경방사능조사가 이뤄졌지만 일본 원전 사고 이후 전국 단위의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 방사성 물질의 측정은 다른 오염 측정과는 달리 매우 어려워 전문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핵종에 따른 방사능 측정 숙련도 및 정확도의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지원 등 비상시 대응을 위한 국가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방사성 물질로 인해 심각하게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를 정화, 오염지역을 복원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고 기술지원에 대한 역할 분담을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가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재난성 원전사고 시 방사선_방호 대책 외에 좀 더 적극적인 토양·지하수 오염 복원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원전사고 시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성오염에 따른 토양, 지하수 관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정책연구로써, 국내 사례가 없는 관계로 해외 원전사고 사례와 관련 정책분석을 통한 국내 토양, 지하수 관리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원전사고 시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시간에 따른 방사성 오염의 대기 확산 모델에 대한 툴 외에 토양·지하수 오염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연구 개발이 향후 필요하다. 또한 방사성오염토양의 처분 및 복원을 위한 장치개발 및 오염도 측정장비의 개발과 방사성오염지하수의 정화기술 개발 등이 수반될 수 있도록 관련분야의 중장기적 연구과제 발굴 및 수행이 필요하다. Fukushima Daiichi nuclear plant accident occurred in March, 2011 has brought considerable atten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including soil and groundwater (or drinking water) contamination by radioactive materials from nuclear accidents. In Korea, we need to remedy swiftly radioactive-contaminated lands due to intensive land use demands. Accordingly, necessity of a management and revitalization scheme for soil and groundwater radioactive contamination has been recognized. This study is to set management directions for effective monitoring and remediation of radioactively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due to nuclear accidents by examining current monitoring systems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materials due to (domestic and/or oversea) nuclear accidents and analyzing national and oversea management policies relevant to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soils and groundwater. It provides management directions of soil and groundwater radioactive contaminations as follows. (1) Monitoring network and program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from 131I, 137Cs, 90Sr, 239Pu, etc) in soils and groundwater should be improved. For soils, monitoring network should be expanded to detect soil contamination by radioactive fallout. For groundwater, monitoring is currently done only in the vicinity of nuclear waste disposal. Environmental radioactivity monitoring of groundwater is not possible at national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 wells because the wells are not big enough to sample groundwater enough for effective analyses. For effective monitoring of radioactivity in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exclusively for environmental radioactivity monitoring should be installed at least in aquifers connected to major surface water body. In addition, monitoring programs should be improved by sharing information between associated agencies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nd so on), expert education, expanding a list of radioactive materials monitored, developing in-situ/out of situ monitoring technology for effective response against nuclear emergency. (2) Management organization structure for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materials from nuclear accidents should be improved. Recently,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has been founded as a national authority in October, 2011. Accordingly, organization structure should be updat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media-specific radioactive contamination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lands (including soils and groundwater). (3) Remediation policies of soils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 flow chart(work) should be developed for remediation of soils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materials according to release scenarioes (accident time, scales, contamination pathways, etc) in advance. For effective response, remediation technology should be developed for environmental radioactive materials in soils and groundwater and revitalization plan should be made by allocating role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Keywords : Nuclear

      • 도시지역 저소득계층 보호를 위한 환경정책연구 II

        추장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01

        본 보고서는 수도권지역의 저소득계층이 겪고 있는 환경불평등에 대한 실태 파악을 바탕으로 저소득계층을 보호하여 환경피해를 줄이고 환경혜택을 배가하기 위한 종합적인 환경정책 개발을 목적으로 3년간에 걸쳐 수행되는 연구 중 2차 연도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1차 연도 연구에서는 저소득계층의 환경불평등에 관한 실측조사를 위한 기반연구를 실시하였고, 2차 연도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계층 밀집거주지역 및 수도권 전체지역에 대한 실측조사 및 실태조사를 통해 환경불평등의 실태 및 발생원인,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안산시, 시흥시 및 성남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초등학교 3학년과 5학년 학생 및 해당 가구를 조사대상으로 선정하고, 시설 · 공간조사, 오염노출 측정, 설문조사 및 건강검진 등 실측조사를 통해 환경피해, 환경책임 및 환경혜택의 불평등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득계층간 비교를 통해 실측조사지역과 수도권 전체 지역에 대하여 환경불평등 관련 요소간의 상관성 및 실태에 대한 종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종합분석 결과를 토대로 환경피해, 환경책임 및 환경혜택에서 나타나는 환경불평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차 연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환경피해 영역은 환경오염노출, 인체 건강 및 질환에서 나타나는 환경불평등의 실태 및 발생원인에 초점을 맞추고 개인, 가구, 및 지역의 3가지 차원에서 실측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환경요인, 사회경제적 요인 및 건강상태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환경오염노출 상태에 대해서는 환경성 질환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은 미세먼지, 중금속(납), 포름알데히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s), 미생물(박테리아, 곰팡이), 이산화질소 등을 조사항목으로 선정하고 학교 및 가구로 나누어 각각 실내 및 실외에서 측정하였다. 학교 실내 · 외에 대해 측정한 결과, 측정항목 가운데 미세먼지, 이산화질소의 학교 실내오염상태는 외부 대기오염농도뿐만 아니라 학교 주변의 도로 근접성 및 규모, 교통량, 주변건물의 형태 및 공간 배치, 학교의 위치 등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술시간에 유성물감 등의 사용 여부, 청소 시 왁스질 여부, 학교의 노후화 정도 등 내부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항목은 포름알데히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s), 미생물 등으로 파악되었다. 가구 실내의 오염상태는 대부분의 측정항목에서 월별 평균지출이 150만원 미만인 저소득군 가구에서 150만원 이상인 대조군에 비해 오염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는 거주하는 주택의 형태 및 층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입자상 물질(미세먼지, 납)과 바이오에어로졸(미생물) 등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평균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뚜렷하게 보였다. 대조군 가구에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s)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전업주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대조군 가구에서 실내 주요 오염발생원인 요리나 세제 사용의 빈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됐다. 조사대상 학생의 질환 유병률과 관련요인에 대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구 소득과 유전적 소인(부모의 알레르기 소인)을 보정한 후에도 천식 증상은 반지하층 거주 가구 학생에서 그 위험성이 높아지고, 알레르기비염 증상은 실내 곰팡이가 발견되는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동적 자동차 시뮬레이터에서 Simulator Sickness와 생리적반응에 대한 연구

        민병찬 4명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3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26 No.1

        The study was to evaluat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of simulator sickness in the controlled condition of driving a car (1 hr. at speed of 60 km/h) in a graphic simulator. Simulator sickness was measured and analyzed every 5 min using both subjective responses(i.e.,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and Physiological signals(EEG, HRV, Skin Temperature, GSR).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response 10 min after the main experiment. From 10 min after the driving, the level of subjective simulator sickness increased significantly, relative one of the rest condition. There also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ological responses between the rest and the 5 min after from the start of driving:for EEG, δ and θ at Fz area increased, while α decreased; the averaged R-R interval and skin temperature decreased; LF/HF and GSR increas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imulator sickness was induced by activation of the autonomic nerves and inactivation of the central ner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