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聲點의 起源

        石塚晴通(Ishizuka Harumichi),김혜진(번역자),오미영(번역자) 구결학회 2003 구결연구 Vol.11 No.-

        ?師古 『匡謬正俗』이나 張守節 『史記正義』 發字例에 대한 기록은 종래 聲點에 대한 기록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이것은 四聲點이 아니라 破音, 즉 派生義를 原義와 구별하기 위한 加点에 대해 서술한 것이다. 이러한 破音法은 敦煌漢文寫本資料에 잘 나타난다. 破音 Ⅰ型-문자의 중앙에 朱點을 加點하여 破音을 나타낸 것-이 7세기 중엽에 등장하고, Ⅰ'形-문자의 石傍에 朱點을 加點한 것-도 조금 보인다. 破音法은 다음으로 派生義가 四聲의 어디에 속하는가를 문자의 四角에 朱點을 加點하여 나타내는 방법으로 발전했다. 처음에는 Ⅱ形-문자의 右上角이 平聲을 나타내는 형태-이었고, 그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Ⅲ型-문자의 右下角이 平聲을 나타내는 형태-이 되었다. 이것이 더욱 회전하여 Ⅳ型-左下角이 平聲을 나타내는 형태-으로 정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중에는 Ⅴ型-左上角이 平聲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이 형태들은 7세기 후반기에 회전한 것으로 보인다. 8세기 중기까지의 敦煌漢文資料에서 이 형태들의 용례를 다수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것은 破音의 기능을 벗어나 단순히 四聲만을 나타내는 예는 없다는 것이다. 7세기 중기부터 8세기 중기까지의 敦煌漢文資料는 중국의 중앙문화를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위의 사실은 聲點 발생의 시기를 추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破音의 기능을 벗어나 聲調만을 나타내는 聲點은 8세기 후기 이후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고 敦煌漢文資料에서 聲點의 용례는 9세기ㆍ10세기 것이 소량 관찰된다.

      • KCI등재

        日本語 訓點資料에서 坡音의 의미

        小助川貞次(Kosukegawa Teiji),吳美寧(번역자) 구결학회 2008 구결연구 Vol.20 No.-

        漢文訓讀은 漢字文化圈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현상이다. 漢文 플텍스트에 직접 加點한 자료는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베트남어에 의해 加點된 것이 존재한다. 각각의 언어에 특수하게 나타나는 것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고에서는 모든 언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破音에 대하여, 특히 일본어 訓點資料에서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破音 인정상의 문제점을 검토한 후에 岩崎本 古文尙書와 敦煌本 古文尙書(P.3670 및 P.2516)의 破音 加點 부분을 직접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 訓點資料에서 聲點은 후세의 자료에 계승되어 가지만 破音은 형태를 바꾸어 일본어훈으로서 정착해 가고, 岩崎本 古文尙書는 陸德明의 經典釋文과 잘 대응하지만 敦煌本 古文尙書에서는 經典釋文과는 다른 시스템이 배경에 있으나 한편으로는 岩崎本, 敦煌本 두 자료에서 같은 부분에 加點된 예가 존재하며 古文尙書라는 텍스트에 고유한 학문적 기반에 배경에 있다는 것을 알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