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

        하이브리드 자동차 구동 특성 분석을 위한 HIL 방식의 구현

        오성철 ( Sung Chul Oh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1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3 No.2

        HIL(Hardware-in-the-Loop) 개념을 적용하면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부품의 자동차 환경에서의 특성을 부품을 차량에 장착하지 않고도 평가 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전동기를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동기로 사용하였을 경우 자동차의 구동 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HIL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 특성 시험. 구동특성 시뮬레이션, 장치 구성 방법을 설명한다. 시험장치는 자동차 시뮬레이터, 부하장치로 구성되며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차량제어기를 직접 차량제어기로 사용하게 된다. 부하장치는 차량의 동적 특성을 모의하게 된다. 특히 기존의 차량의 관성을 모의하기 위한 기계적 관성부하를 사용하지 않고 부하장치를 능동적으로 제어 하여 차량에 적용되었을 경우의 전동기 특성을 구할 수 있다. 시험 전동기가 병렬방식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적용되었을 경우의 전동기의 실제 특성을 구할 수 있다. 제안된 방식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 특성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매체로 사용 될 수 있다. By adopting HIL(Hardware-in-the-Loop), component characteristics in vehicle environment can be obtained without implementing component in the vehicle. In this paper, when specific motor is adopted as traction motor in hybrid electric vehicle HIL implementation procedures are explained. In order to implement HIL method motor testing. vehicle performance simulator and load characteristic are explained. Vehicle controller used in simulator is directly uploaded in real controller. Especially as a load dynamometer actively controlled motor system is used without connecting conventional mechanical inertia. Motor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using HIL implementation when test motor is used as a traction motor for parallel hybrid electric vehicl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as experimental equipment to educate driving characteristics of hybrid electric vehicle.

      • KCI등재

        근대이후 서당교육의 사회적 특질

        오성철 ( Oh Seongcheo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전통적 교육기관인 서당은 조선 후기에 확대되었고 갑오개혁으로 인해 과거제가 폐지된 이후에도 존속했다. 식민지 초기인 1910년대에는 보통학교를 능가하여 취학자가 늘어났고, 취학 규모에서 서당에 대한 보통학교의 우위가 결정적이 된 1920년대 이후에도 일정한 취학 규모를 유지했다. 해방 이후에도 일부 지역에서 명맥을 유지했다. 서당의 사회적 특질은 그것을 동아시아 사회의 유사한 교육기관인 일본의 데나라이주쿠 및 대만의 서방과 비교함으로써 선명하게 드러날 수 있다. 근대 이후 서당의 존속은 그와 유사한 교육기관인 일본의 데나라이주쿠가 근대에 접어들어 급속하게 폐지된 것, 그리고 동일하게 일제의 식민지였던 대만에서 서방이 식민지기 후반에 절멸된 것과는 대조적인 교육사적 현상이었다. 일본의 데나라이주쿠는 서민 대상의 실용적 교육기관이었으며 그것은 메이지유신 이후에 국가가 소학교 중심으로 근대적 교육체제를 형성하면서 소학교로 전환되거나 폐지되는 운명을 밟았다. 대만의 서방은 1895년 식민지 지배 이후에도 한동안은 식민지적 근대교육기관인 공학교와 병존하였으나, 대만총독부의 서방 억제책이 본격적으로 작동하면서 식민지 말기에 사라졌다. 그러나 서당은 식민지 말기까지 상당한 규모로 존속했으며 심지어 해방 이후에도 일정 규모를 유지했다. 근대 이후 서당교육의 지속은 사회사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조선 사회 특유의 지배계층 범주인 ‘양반’의 존재 방식 및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이르는 시기에 전개된 이른바 ‘양반화’ 경향이라는 맥락 속에 서당을 위치시켜 볼 때 서당의 존속이 지니는 사회적 의미가 드러난다. ‘봉제사 접빈객’으로 대표되는 행동양식을 양반의 이상형에 가깝게 만들어 일종의 사회적인 계층상승을 추구하는 ‘양반화’는 그 실현을 위한 핵심적인 요건으로 ‘유교적 교양’의 습득을 요구했으며, 서당은 유교적 교양의 습득에 필수적인 한자 및 한문 문해능력의 획득과 유교 경전에 대한 초보적 이해를 가능케 하는 교육기관이었다. 이런 점에서 서당은 일종의 보완재로서 근대적 교육기관과 병존할 수 있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maintenance of pre-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sodang’ in modern Korean society. After the abolition of ‘gwageoje’ in 1894, sodang has been maintained in local societies, and even increased during 1910s’in colonial period. The actual extinction of sodang has occurred side by side with the accomplishment of primary compulsory education system. The obstinate maintenance of sodang in modern Korea is a unique historical phenomena in compared to the destinies of more or less rapid deteriorations of pre-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enaraijuku’(or terakoya) in modern Japan or sobang in modern Taiwan. In Japan, tenaraijuku was functioned as a practical or vocational school mainly for lower classes an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it was substituted by modern primary school called as ‘shogakko’ within more or less short period. And in Taiwan, tradi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called as‘sobang’could be maintained parallely with colonial modern primary school called as ‘kogakko’for some times, but after the restrictive policy of colonial government had been enforced, sobang could not survive. But in Korea, sodang could be maintained during colonial period and contemporary period until 1950s. The maintenance of sodang after the modern age can be explained in the context of ‘yangbanization’ of people in modern Korean society. The concept of ‘yanbanization’ means the efforts of trying social up-ward mobility by making life-style similar to the ideal-type of yangban stratum and in such cultural efforts, the literacy of Chinese letter or literature and basic understandings of Confucious classics accuired by the education of sodang should be so called one of necessary conditions. In other words, sodang has been functioned as a complementary goods to the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modern Korean society.

      • KCI등재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 비교

        오성철 ( Oh Seong Cheol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이 논문은 1945년 8월 15일 이후 한국과 일본의 교육개혁을 주도한 두 인물 오천석과 난바라 시게루의 민주교육론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두 인물은 민주주의 이념에 근거하여 해방 이후 한국과 전후 일본의 교육개혁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 두 인물이 남긴 저작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교육개혁 활동에 이념적 기반으로 작용한 민주주의 및 민주교육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그것이 두 인물의 개혁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먼저 공통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들은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하여 국가나 민족에 대한 개인의 우위에 입각한 민주주의 이해를 공통된 전제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의 민주주의 이해는 전체주의 및 배타적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부정을 개념적 요소로 하고 있었다. 이에 기반하여 1945년 이전까지의 전체주의적, 중앙집권적 교육체제에 대한 비판, 교육행정의 민주적 개혁과 인간의 개성을 존중하는 교육이념 및 방법의 실현을 추구한 점에서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그들의 민주교육론에서 중요한 차이점도 확인될 수 있다. 오천석은 민주교육을 존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에 근거하여 교육방법론의 차원에서 구체화하려 시도하였다. 반면에 난바라 시게루는 민주교육의 핵심적 내용을 교양을 통한 비판적 정신의 함양에 두고 있었다. 따라서 오천석의 민주교육론은 주로 초중등교육 단계에서 현실화되어가는 반면, 난바라 시게루의 그것은 후기중등 및 고등교육 단계에서 현실화되어간다고 하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1945년 이후 교육개혁 과정에서 교원조직이 지니는 의의와 역할에 대한 인식에도 두 인물 사이에 흥미로운 차이가 보인다. 이상과 같은 사상내적 요인 외에도 그들의 교육개혁 활동은 근대 이후 두 사회의 역사적 경험 및 1945년 이후의 정치적 요인, 그리고 두 인물을 둘러싼 인적 네트워크 등 사상외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In this article, the conceptions of democratic education of two major figures who have led the transformation of post-war educational systems in Korea and Japan after 1945 are analysed in terms of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Auh Chun Suk(吳天錫) and Nambara Shigeru(南原繁) pursued the democratic ideals in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national educational system in common. They believed that liberal democracy should be the dominant ideology of national transformation of their society, and the ideal of freedom and individuality of mankind can be developed by education. They also pursued the democratization and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Yet, some different points in their conceptions of democratic education could be found. Firstly, Auh stresse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s or interests` in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the individualities of learners, while Nambara stressed the importance of so-called `Bildung` in the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the critical consciousness of learners. As a result, the ideals of democratic education of Auh were developed and realized mainly in the realms of pedagogy or curriculum transformation in primary or secondary education, whereas the ideals of Nambara were developed and realized mainly in the realms of system or institution transformations of post-secondary or higher education. Secondly, Auh had relatively cautious attitudes toward the teacher`s union, whereas Nambara were positively supportive to it.

      • KCI등재

        한국 학제 제정 과정의 특질, 1945~1951

        오성철 ( Seong Cheol Oh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4

        이 글에서는 해방 이후 한국의 교육개혁 과정에서 6·3·3·4 학제가 제정되는 과정의 특질을 밝힌다. 미군정기의 학제, 1949년 문교부가 제안한 학제, 제헌국회 문교사회위원회가 제안한 학제, 1949년 12월에 제정된 학제, 1950년 3월에 개정된 학제, 1951년 3월에 개정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학제의 제정 및 개정의 구체적인 과정을 규명하여 한국형 학제의 특질을 규명하였다. 한국의 학제는 ‘교육의 기회균등’이라는 이념적 원리만이 아니라 학교 보급의 효율성과 실업교육의 강화등 실제적 원리에 추동되어 법제화되었다. 한국의 학제는 학교교육을 둘러싼 계층적인 갈등과 저항에 직면하지 않은 채 전기 중등교육 수준까지 단선형 원리를 실현하였지만 후기 중등교육 단계에서 ‘법제적 단선형’과 ‘실질적 복선형’의 병존을 유지하는 ‘분지형’ 학제로 귀결되었다. In Republic of Korea, the basic school system which was established in 1951 and has been maintained as same until now, was the system of 6-3-3-4 pattern. The system consists of 6 years`` primary school, 3 years`` junior school, 3 years`` high school or vocational school and 4 years`` higher education. That system has been frequently named as ‘the ladder system of 6-3-3-4 pattern’. In this paper, author tried to analyse the concret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Korean school system from 1945 to 1951 and find out the peculiarities and the basic principles underlying the school syste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 school system was a kind of ‘fork system’ rather than pure ‘ladder’ system or pure ‘dual’ system. The simultaneous coexistence of ‘the ladder system in it legal form’ and ‘the dual system in its actual practice’ in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was one of the main peculiarities of Korean school system. Secondly, the Korean school system could be established more or less smoothly without any particular obstacles originated from class politics. Main issues operat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chool system were ‘practical concerns’ such as the efficiency of school opening policies or the developmentalist educational purpose of the government as well as the ‘ideological themes’ such as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or the abolition of the educational or social inequalities through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현대교육사의 시기 구분에 관한 시론

        오성철(Oh, Seongcheol) 교육사학회 2015 교육사학연구 Vol.25 No.2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 현대교육사의 시기 구분에 관한 시론적 논의이다. 기존의 시기 구분은 주로 정치체제 변화를 준거로 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한국 교육의 팽창 과정에서의 질적 변화 단계, 그리고 교육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민의 교육 행위와 국가의 교육 정책 간의 관계가 질적으로 변화되는 기점에 주목하여 새로운 시기 구분을 시도하였다. 이 글에서 시론적으로 제시하는 시기 구분은 다음 과 같다. 제1기(1945-1967): 국가교육체제의 성립과 학력주의 사회의 태동, 제2기(1968-1994): 교육의 국가주의적 재편과 대중교육사회의 형성, 3기(1995-현재): 교육의 분권화ㆍ민주화와 교육불평등의 심화 등이 그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theme of the period classifications of the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al history after 1945. In trying to classify historical periods, first of all one must consider the main actual changes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expansion or educational practices. Secondly, the structural changes in social or economical spheres as well as in educational spheres should be reflected simultaneously. Thirdly, th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of the educational actions of the people "from the bottom up" and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state "from the top down" should be considered in periods classification.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it can be possible to classify three main historical periods as follows. Phase I(1945-1967): Formation of state educational system and the beginning of credential society. Phsase Ⅱ(1968-1994): Nationalistic restructuring of schooling and the rise of mass education society. Phase Ⅲ(1995-present): Decentr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and deepening of educational inequalities.

      • KCI등재

        유길준의 교육 개념에 대한 연구

        오성철 ( Seong Cheol Oh ) 한국교육사학회 2015 한국교육사학 Vol.37 No.1

        이 글은 유길준의 교육 개념에 대해 개념사의 시각에서 접근한 것이다. 우리 사회의 교육 개념은 근대를 전후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으며 그 계기는 교육 개념과 서구의 education 개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었다. 유길준의 『서유견문』은 우리 사회 최초로 education의 번역어로 교육 개념을 대응시킨 저작이며 그의 저작은 전통적인 교육 개념의 쇠퇴와 국가가 주도하는 학교교육 중심의 교육개념이 진화하는 데 획기적 영향을 미쳤다. 유길준의 저작을 계기로 교육 개념은 교회, 교훈, 교화 등의 관련 개념과의 경쟁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며 유통되기 시작했고 근대적인 의미로 진화하기 시작했다. In Korea, the concept of education has undergone important historical shift during the dawn of modern age. From the 1890s to 1900s, the concept of ``kyoyook``(敎育) and the Western concept of ``education`` were combined in the Yoo Kiljun`s famous book, ``Seoyookyeonmoon``(西遊見聞). The book was written with the intent of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and society to Korean society. In the pro-modern Korea, the concept of education had more ambiguous meanings than its modern concept. In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education, the connotation of self-discipline or enlightened cultural influences of kings were also included. But the pioneering works of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by Yoo Kiljun made important influences in the historical shift of the concept of education.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book, the concept of education has undergone the process of evolution to the modern scientific meaning. His book also made no small influence to the gradual decline of more or less undifferentiated meaning of the traditional concept of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