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의 현황과 과제

        히구치 유이치(樋,口雄一) 한일민족문제학회 2016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0 No.-

        이 글은 전후 70년을 맞이하는 2015년 현재,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의 성과와 과제를 정리한 것이다. 그동안 일본에서는 지역사회 시민들의 노력으로 수많은 강제동원의 사실과 역사를 밝혀왔다. 한국에서는 한국강제동원조사위원회의 출범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일본, 사할린, 남양군도, 중국 등 포괄적인 조사가 가능하였다. 아울러 한일민족문제학회에서 동 분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발표함으로써 큰 진척이 있었다. 그렇지만 강제동원 사실 규명은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 조선인 동원자 총수, 기업별 희생자수, 일본 내 작업장 등 밝혀야 할 내용들이 많다. 그뿐만이 아니다. 한반도내 노동동원, ‘만주’·타이완을 포함한 중국, 남양을 포함한 일본 침략지역 등에 대한 연구도 미해결된 부분이 많다. 새로운 사실을 규명하는 작업 못지않게 학계에서의 자리매김도 중요하다. 일본의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를 가해·보상이라는 측면에서 규명하는 문제와 재일조선인사연구 속에 자리매김하는 문제, 아시아사·일본사 속에 자리매김하는 문제 등이 있다. 강제동원의 문제를 식민지 지배, 전쟁동원, 전쟁이라고 하는 전체 역사 속에서 바라봄으로써, 이 문제가 갖는 보편적인 의미가 드러나고 연구의 외연적인 확장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인 강제동원 연구는 시민 참가에 의한 성과가 컸는데, 이제는 이를 토대로 전시노동 연구자와 공동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는 강제동원문제를 ‘조선인만의 문제’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일본인들은 그들과 체험을 공유하고 있기에 그들에 대해 일본인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선인 강제노동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 등, 강제동원문제를 일본인 자신의 문제로 돌아보는 것도 새로운 연구의 지평을 여는데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中古 漢語의 音韻(1)

        平山久雄,이준환 구결학회 2013 구결연구 Vol.30 No.-

        「中古 漢語의 音韻」은 中古 漢語 연구에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보여 주었고, 학술적 성과에서도 탁월함을 인정받아 필독서가 된 것으로, 그간 漢字音 연구자들이 中古音을 연구하는 데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도움을주리라 의심하지 않는다. 이에 이번에 原文을 번역함은 물론이고, 원저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된 내용을 담아 같이 번역하여 소개하게 되었다. 다만 원문이 길어서 한 번에 싣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두 차례로 나누어, 音價 推定의 방법과 實例, 추정된 音價表는 다음에 싣기로 하였다. 이 번역본이 한자음 연구자들과 국어사 연구자들에게 두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中古 漢語는 『切韻』(601)의 기초가 되었던 方言의 音을 가리키는 것으로, 오늘날 우리가 그 전면적인 양상을 알 수 있는 最古의 것이다. 이런 중고 한어의音韻 體系는 『廣韻』(1008)을 중심으로 한 切韻系 韻書의 反切을 종합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통하여 전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切韻』이 반영하고 있는 方言은 陸法言이 쓰던 北方 標準音을 반영한 것으로, 南方系 韻書에서 정밀하게韻을 판정한 方式이 『切韻』의 分韻에 상당히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中古 漢語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漢語 音韻學의 기본 개념인 韻의 분류 방법,韻目, 小韻, 反切法, 聲母, 韻母 등을 이해하고, 가장 기본이 되는 연구 자료인韻書 『廣韻』과 韻圖 『韻鏡』 등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廣韻』과 『韻鏡』 등을 기본 자료로 하고 現代의 여러 方言音과 日本․韓國․越南의 漢字音과 梵漢對音․漢藏對音을 참고 자료로 활용하여 中古音의 音價를 추정하였다. 反切로부터 漢字音을 분석하여 연구할 때에는 反切 系聯法을 이용하여 中古音을 歸納할 수 있다. 그러나 變例의 경우에는 객관적인 판정의 기준이 없는 경우가 많고, 又切을 사용하여 계련하는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도 객관적인 운용이어렵고, 원본 이후의 增加와 관련된 부분이 많아서 신중을 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歸納的인 방법을 우선 사용하고 난 후, 韻圖의 조직을 이용하면서反切 系聯의 결과에 따라 韻圖의 조직에 약간의 수정을 가하는 演繹的인 방법을 나중에 사용하는 형태로 中古音의 聲母와 韻母를 증명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방법에 따라 脣音은 幫滂並明만을 인정하고, 舌音은 娘母를 泥母의 구별은 인정하고, 齒音은 照穿牀審을 莊初崇生과 章昌船書으로 나누고, 喉音은喩母를 于母(喩3)와 羊母(喩4)로 나눈 수정된 36 字母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攝이 宋代에 들어서야 쓰인 개념이기는 하나, 이미 이전부터 이 개념이 있다고 보면 『韻鏡』을 잘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 16攝의 사고방식을 적용하여 『韻鏡』을이해하였다. 이를 통하여 음가 추정 작업의 바탕을 마련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中古 漢語의 音韻(2)

        平山久雄,이준환 구결학회 2013 구결연구 Vol.31 No.-

        이 글은 中古 漢語의 음가 추정 방법, 실례, 한계를 중심으로 中古 漢語의 音價가 어떻게 재구될 수 있는지를 보이고, 이렇게 재구된 中古 漢語가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었는지를 다룬 것으로 「中古 漢語의 音韻(1)」에 이어 平山久雄의 「中古漢語の音韻」의 후반부를, 원저자의 요청을 반영하여 일부 내용을 수정하고, 추가된 내용을 담아 번역한 것이다. 음가 추정에 관해서 말하자면, 聲母의 음가는 36字母를 『廣韻』의 反切에 맞도록 약간 수정을 한 후에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全淸의 聲母는 無聲無氣音으로, 次淸의 聲母는 無聲有氣音으로, 全濁의 聲母는 有聲音으로 음가를 추정하였다. 牙音의 聲母를 가지고 예를 들자면, 見母 k-, 溪母 kʰ-, 群母 g-로 추정하였는데, 다른 聲母의 음가 추정에도 이와 같은 방법을 마찬가지로 사용한다. 韻母의 음가는 『韻鏡』의 韻圖에 배당된 위치에 따라 제시하고 있는데, 칼그렌에서는齊․先․蕭․靑․添韻을 拗音으로 추정한 것과는 달리, 1․2등에 배치된 韻母와 동일하게 直音의 反切上字를 취하는 것이 원칙임을 중시하여 直音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重紐에 따른 韻母의 대립이 支․脂․祭․眞․仙․宵․侵․鹽韻의 脣․牙喉音 聲母의 아래에서 있음을 인정하고, 韻圖의 4등에 배열된 韻母 또는 小韻을 <A류>(또는 <甲類>), 韻圖의 3등에 배열된 韻母 또는 小韻을 <B 류>(또는 <乙類>)라고 하였다. 重紐를 인정하는 데에는 越南漢字音의 脣音 聲母의 양상, 日本 萬葉假名에서의 イ列 甲類와 乙類에서의 A류와 B류의 구별,福州 방언, 廣州 방언 등의 현대 중국 방언 등의 양상을 근거로 들고 있다. 聲調의 調値에 관해서는 현대 여러 방언을 참고하여 서로 가까운 방언의 調値를 비교하여 그들의 <小祖語>의 調値를 추정하고, 그들 <小祖語> 調値의 비교로부터다시금 <祖語>의 調値를 추정하는 방법을 쓸 수 있음과, 외국 借音 자료 등을이용한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이렇게 재구된 中古音의 음운 체계는 唐代에 변화를 하기 시작하여 唐代 중기에는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韻母의 변화로는 東1․冬韻, 咍․灰․泰韻,覃․談韻 등의 1등 重韻의 합류, 止攝 支․脂․之 3韻의 합류 등이 있으며, 聲母의 변화로는 脣輕音의 독립 등이 있음을 서술하고 있다. 그리고 音價의 변화로는 全濁音의 無聲化와 이로 인한 無氣音化와 有氣音化가 있고, 鼻音 聲母의非鼻音化가 있음을 들고 있는데, 음성 변화의 양상에 주목하면서 음운 변화를다루고 있다. 聲調의 변화로는 陰陽調의 분열이 있었음을 서술하고 있다. 이와같은 음운 체계의 변화의 원인으로는, 변화 사이의 상호관련성, 기층 언어의 침투 등을 들고 있다. 이 중 변화 사이의 상호관련성에 대해서는 輕脣音의 독립이韻母의 C류>B류의 변화에 수반하며, 輕脣音이 독립할 수 있는 조건 아래에서 C 류>B류의 韻母 변화가 脣音의 경우에만 쉽게 일어난다든지, 陰陽調의 발달은全濁音 聲母의 無聲音化의 경향에 수반하는 것이며, 반대로 이에 따라 無聲音化가 촉진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