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DI거래하에서의 무역절차간소화.표준화의 고찰

        전순환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1999 情報學硏究 Vol.2 No.1

        최근 정보통신기술 및 통신인프라의 발전은 의사나 정보의 교환방식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다. 즉, 기존에 종이서류에 의존하던 국제무역이 전자적 방식에 의한 정보, 문서의 교환이라 할 수 있는 전자문서교환(Electronic Data Interchange; EBI)에 의해 그 절차가 간소화되었다. EDI를 통한 무역절차의 간소화 및 국제표준화에 대하여 UN구주경제위원회(UN/ECE)·무역확대위원회(CDT)산하에 있는 무역절차간소화작업부회(WP.4)의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제시한다. This article studies certain standards which have been developed for exchanging information about business and trading transactions,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context standards means standardised ways of representing trade information and standardised procedures for communicating it in computer-based environments. Early in the 1960s, the United Nations UN/ECE working party was formed. The purpose of the this organization was to simplify and standardize trade document. This organization eventually evolved into what is currently known as EDIFACT, the international EDI standards organization. EDIFACT is the basis for agreement on a common structure for documents such as those used for trading(e.g., orders, invoices), so that they can be interchanged electronically between computer systems. The standard was ratified in 1987 and has already been adopted by many EDI users for the earlier European and American standards for trading data interchange called UN/TDl and ANSI Xl2 respectively.

      • Germanische Resonantengemination und Laryngaltheorie

        전순환,Jeon Soon-Hwan Korean Society For German Linguistics/Koreanische 2002 독어학 Vol.5 No.-

        본 논문의 목적은 게르만제어(예를들어 고트어, 고대북구어, 고고지독일어, 고대영어 등)에 나타나는 공명음중복 현상이 원-인도유럽어시기의 후두음에 기인함을 보이는 것이다. 고트어의 ddj/ggw, 고대북구어의 ggi/ggr, 고고지독일어 ij/uw (이상 소위 '예음화현상'으로 불림)와 그 외 게르만제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공명음들의 중복, -rr-, -ll-, -nn-, -mm- 등은 원-게르만어시기에 각각 $\ast-ii-,\;\ast-uu-,\;\ast-rr-,\;\ast-ll-,\;\ast-nn-,\;\ast-mm-$ 등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음군이 게르만어 이외의 다른 인도유럽어들( 대표적으로 고대인도이란어, 고전희랍어, 라전어 등)과 비교되어 원-인도유럽어시기로 소급되는 경우, 각각 $\ast-iH-,\;\ast-uH-,\;\ast-rH-,\;\ast-lH-,\;\ast-nH-,\;\ast-mH-$ 등으로 재구된다. 따라서 원-게르만어의 자음중복 현상이 후두음의 영향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되는데, 아마도 후두음이 선행하는 공명음에 동화되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소쉬르(1987)이래 발전해 온 후두음이론은 현재 그 이론적 틀을 확립한 상태이다. 이 이론은 고전 인도유럽어학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여러 언어현상들을 설명하였고, 현대 인도유럽어 역사비교언어학에서 언어변화에 대한 필수적인 설명기재로서 사용되고 있다. 원-인도유럽어의 많은 특징들을 계승한 전형적인 다른 고대 인도유럽어들과는 달리, 시기적으로 늦은 고대 게르만어에서 음운론적 층위에서 공명음중복 현상이 후두음에 기인함은 인도유럽어 역사비교언어학에서 뿐만 아니라 게르만어학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간접으로 본동사 앞에 놓여 있어야 되는 모든 문장성분과 부문장 때문에, 즉 한국어의 전면적인 전위수식 현상으로 흔히 큰 부담/복잡함을 야기한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사는 가능한 한 그의 문장성분을 줄이려 한다. 통사적으로 보장되어 이미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일종의 부담해소 대책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ast$ 두 비교 대상에서의 핵 및 최소문장 가능성은 역시 원자가에 대한 비구속성에서 비롯된다. $\ast$ 우리 한국인이 빨리 말할 때 흔히 범하는 부정성으로 인한 인칭변화에서의 오류는 무엇보다도 정형성/제한성을 지닌 독일어 정동사가 인칭 변화하는 데 반해 한국어에서는 부정성/비구속성을 지닌 동사가 그것과는 무관한 페 기인한다. 동사의 속성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이런 과오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 문제는 또한 지속적으로 수많은 다른 자연어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관찰돼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이 이런 연구와 언어습득을 위한 작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적 성분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이 글이 외국어로서의 독일어를 배우는 이들에게 독일어의 관용구를 보다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토대를 제공함은 물론, (관용어) 사전에서 외국인 학습자를 고려하여 관용구를 알기 쉽게 기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되기 시작하면서 남황해 분지는 구조역전의 현상이 일어났으며, 동시에 발해 분지는 인리형 분지로 발달하게 되었다. 따라서, 올리고세 동안 발해 분지에서는 퇴적작용이, 남황해 분지에서는 심한 구조역전에 의한 분지변형이 동시에 일어났다 올리고세 이후 현재까지, 남황해

      • KCI등재

        Gott의 어원에 대해 : 역사비교언어학적 고찰 aus Sicht der historisch-vergleichenden Sprachwissenschaft

        전순환 한국독어독문학회 2003 獨逸文學 Vol.85 No.-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die Etymologie des deutschen Wortes Gott phonologisch, morphologisch und semantisch klar zu machen, und zwar aufgrund Methoden der Indo-Europa¨ischen Sprachwissenschaft. In meisten altindoeuropa¨ischen Sprachen schliessen sich die Bezeichnungen fu¨r die Bedeutung 'Gott' bzw. 'Gottheit' urspru¨nglich an 'Himmel' an, z.B. skt. deva´-(vgl. av. dae―uua- 'Go¨tze', ap. daiva- 'Da¨mon'), klass,-Iat. deus < alat. deivos, lit. dieva-, lett. dieus, apr. deiws, auch aisl. tivar 'Go¨tter', aeng. Tiw, Ti ̄g, Tiwes. Diese Wo¨rter gehen in urindoeuropa¨ischen Zeit auf eine gemeiname Wurzel *dei??u??o´- 'himmlisch, Gott' zuru¨ck, das mo¨glicherweise als Vr??ddhi-Bildung aus einer nicht direkt belegten verbalen Wurzel *di??eu??- (vgl. skt. dyo-t-) oder *diu??- (vgl. skt. dyu-t-) interpretiert wird. Demgegenu¨ber findet man normalerweise als die Bedeutung des dt. Gott {vgl. got. guÞ, aisl. guð, goð, ahd. got, aeng. god usw. urgerm. *gu-đa-) in etymologischer Hinsicht nicht 'Himmel', sondern nach allgemeinen Fassungen der etymologischen Wo¨rterbu¨cher entweder 'das gegossene (Wesen)' oder 'das angerufene (Wesen)'. Aus den von einander abweichenden Bedeutungen der rekonstruierten urgermanischen Form kommt man dazu, dass *gu-đa- durch formalen Zusammenfall aus zwei verschiedenen Wurzeln entstanden wa¨re, jeweils aus *g?^hu-to´- (skt. a ̄-huta-) 'das gegossene (Wesen)' (Wz. *g^h?eu??- 'giessen', skt. ju-ho´-ti) und *g^h?uH-to´- (skt. (puru-) hu¨-ta´-) 'das angerufene (wesen)' (Wz. *g?^heu??H- 'anrufen', skt. ha´v-ate). Wenn aber als die urspru¨ngliche Form *g?^huH-to´-bevorzugt wird, entsteht dann das Problem, dass man n urgermanischer Zeit eine sporadische Vokalku¨rzung von *gu ̄đa- zu *gu-đa- annehmen muß. Der Langvokal der Wuzel in *gu ̄-đa- ist nach Schwund des tautosyllabischen Laryngals durch Ersatzdehnung aus *g?^huH-to´- lautgesetzlich entstanden. Im Falle des *g^h?u-to´- ist dagegen seine phonologische und morphologische Entwicklung von Urindoeuropa¨isch zu Urgermanisch ohne Schwierigkeiten zu erkla¨ren. Es bleibt aber noch unklar, woraus eigentlich von den oben gennanten zwei Mo¨glichkeiten die betreffende Form entwickelt war.

      • KCI등재
      • 전자상거래하에서의 무역계약의 법적 제문제점

        전순환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0 情報學硏究 Vol.3 No.2

        인터넷을 이용한 무역계약은 종래의 통신수단과 달리 전자적 형태의 통신수단을 사용한다. 따라서, 전자적으로 무역계약이 성립하고 그 계약이 종료된 후 분쟁이 발생한 경우에는 준거법이나 재판관할권 등의 법적 문제점은 어떻게 해결되어야 할 것인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Electronic commerce is the use of computers and telecommunications in the routine business transactions that most affect the basics of an organization's operations: everyday relationships with suppliers, customers, banks, insurers, distributors, and other trading partners. There are problems about the governing laws and the jurisdiction in the electronic commerce contract.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governing laws and the jurisdiction in the electronic commerce contract.

      • 전자상거래체제하에서의 BOLERO Project의 고찰

        전순환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2000 情報學硏究 Vol.3 No.1

        전자상거래는 20년이상 동안 존재하여 왔다. 이러한 전자상거래 체제하에서 국제운송분야에서의 운송서류인 선화증권이 어떻게 발전되고 전개되는지를 살펴본다. 즉, 전자상거래 시대에 대비하여 선화증권의 전자화가 어떻게 추진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전자식 선화증권에 대한 실험인 BOLERO 프로젝트의 실험현황과 그 문제점을 지적 하고자 한다. Electronic commerce has already existed for over 20 years. In sectors such as retail and automotive, electronic data interchange(EDI) for application-to-application interaction is being used regularly. For defence and heavy manufacturing, electronic commerce life-cycle management concepts have been developed that aim to integrate information across larger parts of the value chain, from design to maintenance, such as CALS(Computer Assisted Life-cycle Support or Computer Aided Logistics Support). Bolero's mission is to provide guaranteed and secure delivery, in electronic form, of trade documentation, globally, based on a binding legal environment and common procedures. Bolero will also provide a platform for provision of neutral cross-industry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