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search o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Generation Methods in Natural Shape Based on Cognitive Science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본 논문은 인지과학과 진화 이론 및 진화 심리학을 기반으로 신경학 선행연구를 결합해서 신경 미학적 관점에서 자연 조형 구조와 조형 방법을 분석한다. 현재 미학 연구는 형태의 외모에 집중하여 어떻게 예쁜 디자인을 할 수 있을까 많이 연구한다. 이런 연구들은 조형이 심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단계에 머물러 있고 인지와 조형의 내적 연관을 소홀히 하였다. 본 논문 연구 목적은 조형과 인지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조형과 인지의 상호 관계성을 통해 조형 생성방식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먼저 인간 뇌 속에 조형 생성 원리와 인지 특성을 분석한다. 그다음에 조형 생성규칙을 연구하여 조형 생성방식을 정리한다. 마지막에 조형 생성방식의 단계적 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자연형태 구조에 나타난 조형의식 분석하고 조형 생성 3가지 방식을 정리하였다. 즉 조형 생성의 모방적 방법, 조형 생성의 수학적 방법, 조형 생성의 상징적 방법이다. 조형 생성의 모방적 방법은 자연형태를 모방해서 조형을 만드는 것이고, 조형 생성의 수학적 방법은 수학 구조를 통해 사람들은 수학규칙을 이용해서 효율적으로 조형 디자인을 실현한다. 모방적 방법보다 더 이성적인 디자인 방법이다. 조형생성의 상징적 방식은 두뇌가 선천적 개념과 후천적 개념은 결합해서 조형 디자인 방법이다. 조형 생성방식의 단계적 모델은 조형 디자인 효율을 높이게 할 수 있다. 조형 생성방식의 신경 미학적 연구는 조형구성에 대한 이해에 유리하며 예술가와 디자이너에게 예술 창작과 조형 생성 방법에 유효한 디자인 방법 근거를 제공해 주고 이론적 도움을 준다. Based on cognitive science and the theory of evolution and evolutionary psychology, this paper combines the research results of neuroscience, analyzes the structure and generation methods of shape in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aesthetics. Current aesthetic studies focus more on the appearance of shapes and how to design beautiful shapes. These studies focus on the influence of shape on human aesthetics while ignoring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sha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 and cognition, and to investigate the way of shape gener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cognitiv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shape in the brain. Then analyze the law of shape generation, summarize the generation methods of shape, and finally propose a hierarchical method model of shape generation. This paper collates and summarizes the three methods of shape gene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ormative consciousness appearing in the natural shape structure, namely, the imitation method of shape, the mathematics method of shape, and the symbolization method of shape. The imitation method of shape generation is to imitate nature, it is a design method to imitate natural shape. The mathematics method of shape is a mathematical model method. People use mathematical laws to achieve efficient shape creation instead of relying on experience. The symbolization method of shape is a shape creation method based on the participation ratio of the inherited concepts of the brain and the concept of acquired concepts. The hierarchical model of shape genera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shape design. Neuroaesthetics research on the methods of shape generation is beneficial to people to better understand the shape composition and provides an effective methodological basis for artists and designer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design method.

      • KCI등재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본 논문은 진화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 이론에 근거해서 진화론에서 미학 원리를 적용하여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차이를 탐구하려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 심미 연구는 미의 감성과 정서, 미의 형식 등에 대한 반응이 단순한 주관적인 의식 판단으로 해석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심미 판단의 인지 층위와 미의식 구조를 고찰하고 심미 의식의 발생 과정을 정리하며, 인지신경과학의 선행연구에 따라 심미 판단의 신경 구조를 분석하고 진화심리학 원리를 이용해 객관방면의 심미와 주관방면의 심미를 연구한다. 또한,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 및 심미 차이에 대해 자연 과학적인 해석을 한다. 심미의 취향은 심리적 메커니즘이 어떠한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한 어댑터, 그리고 인류가 생존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중요 능력이다. 심미의 진화는 생물의 진화적 선택 작용 때문에 이루어지며, 군집 본능과 집단 심리의 공통적인 영향 하에 발전과 진화를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진화론과 미학 이론을 기초로 인지신경과학을 적용해 심미 판단의 진화와 심미 의식 구조를 설명하고, 진화하는 두뇌 구조가 심미 판단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한다. 다음은 감지와 인지의 신경 구조적 관계, 심미 의식과 경험의 관련성 등을 통해 시각 층위의 심미 판단과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의 구조를 찾고 두 층위의 범위와 요소들에 대해 개괄한다. 마지막에 두 층위의 심미 차이 검증적 실험을 해서 두 층위의 심미 판단 차이를 분석한다. 실험 결과가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차이는 존재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심미 판단은 시각 층위의 심미 판단과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 두 단계로 통괄할 수 있다. 연구 결론은 심미 판단의 두 층위에서의 구조적 프레임을 총괄하였다. 본 논문의 심미 판단의 차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현대 사회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심미 현상에 대해 합리적인 해석을 내릴 수 있으며, 예술과 디자인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도움을 제공하며, 미학 연구에 심미 판단의 인식 구조를 위한 새로운 사고의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thesis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with aesthetic theory studies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in the context of biological evolution theory. Currently, most studies on aesthetic still lie on aesthetic perception, aesthetic emotion, and aesthetic form, which interpret the aesthetic response as only subjective consciousness judgment. So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cognitiv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and analyze the process of aesthetic, an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analyze the neural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Use the principle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study objectivity aesthetic judgment and subjective aesthetic judgment. And make a natural scientific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judgment and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esthetic preference is an adaptive mechanism designed b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solve specific problems. Aesthetic judgment is a crucial capability for human survival and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t develops and evolves on the choice of biological evolution, and the basis of the combined influence of social instinct and group psychology. In this study, the evolutionary and aesthetic theory is used as the basis, and cognitive neuroscience is applied to explain the evolution of aesthetic judgment and the structure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volutionary brain structure on the aesthetic judgment.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al structure of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summarizes the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i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s well as the scope and elements of the two aspects. Finally, two aspects of aesthetic difference verificatio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the two aspect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The final aesthetic judgment can b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namely, the aesthetic judgment of vision and the aesthetic judgment of cognition. The research conclusion summarizes the structure of the two aspects of aesthetic judg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on the aesthetic judgment can give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phenomena prevalent in modern society. Provide theoretical help for the practice of art and design, and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for the understanding structure of th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s research.

      • KCI등재

        Explaining the Narrativity in Art Design from the Aspects of Aesthetic Elements and Features

        Lyu, Xin(류신),Liu, Jue(유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본 논문은 서사학 이론을 바탕으로 기호학 원리를 통해 아트 디자인 영역의 서사적 심미를 분석해서 미의식의 기본 서사적 요소와 특징을 정리하고 분류한다. 서사문학과 아트 디자인의 차이점에서 출발하여, 아트 디자인의 서사 프로세스와 특성을 분석하고 아트 디자인의 표현 로직을 연구한다. 연구 목적은 아트디자인의 심미 요소와 로직 관계를 명확히 하고, 아트디자인의 서사적 특징을 명확히 하려 한다. 이렇게 하면 서사 방법을 디자인에 더 잘 융합 시킬 수 있고 서사 형식을 예술에 더 잘 봉사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구 의미는 아트 디자인의 서사적 심미를 더 명확히 해독하고 서사미학의 로직을 더 구조적으로 해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이론적 추리 방법과 논리적 분석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로직 언어 구조를 이용해서 문학과 예술의 서사 로직을 분석하여, 스토리 표현에 나타난 서사적 차이를 결합하고 서사미학 기본특징을 해독한다. 형식 언어의 방식을 통해 서사적 심미의 기초 로직을 추리해서 서사적 심미의 시각 미감요소와 문화 인지 요소를 설명한다. 그 다음에 심미적 요소의 관계와 연결을 통해 서사적 심미의 기호화 서사 특징과 로직 서사 특징을 정리한다. 연구 범위는 아트 디자인 분야에서의 서사적 심미이다. 즉, 아트디자인 분야에서 로직 언어를 매개로 하는 서사적 심미 인지와 로직 표현이다. 연구 내용은 서사 개념에서 서사 분석까지의 과정이다. 문학의 서사에서 예술의 서사까지 각 서사 생각과 서사 표현의 구조, 그리고 미감의 구조를 분석한다. 본 논문은 언어의 기호 특성을 통해 디자인 상징적 기호를 추출하고 정신과 물질 측면에서 서사 표현의 로직 관계와 서사의 미학적 특성을 분석한다. 따라서 시각 요소와 인지 요소를 분류하고 아트 디자인의 미감과 인지 로직의 가치 표현 경로, 그리고 아트 디자인의 서사적 심미와 표현의 로직 구조를 추론하여, 마지막으로 서사적 심미의 기호와 로직 특징을 정리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아트 디자인의 서사성을 형상적인 시각 요소와 상징적인 인지 요소로 귀납할 수 있다는 것이고, 언어 기호화된 서사적 특징과 인지로직화된 서사적 특징으로 총결하였다. Based on the theory of narratology,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aesthetics of art design through the semiotics principle and summarizes and sorts out the basic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esthetics. An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narrative literature and art design,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t design and summarizes the expression logic of art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esthetic elements and logical relationship of the art design an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in art design, make the narrative method better integrate into the design, and make the narrative form better serve the ar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narrative aesthetics of art design more clearly and to explain the logic of narrative aesthetics more structurally.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the theoretical reasoning method and logical analysis method. Specifically, the research method mainly uses the logic language structure to analyze the narrative logic of literature and art and summarizes their narrative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the narrative differences in the story expression. The logical basis of narrative aesthetics is deduced by formal semantics, and then the visual aesthetic elements and cultural cognitive elements of narrative aesthetic feeling are summarized.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and connection of aesthetic elements, the symbolic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logical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esthetics are summarized. The research scope is narrative aesthetics in the field of the art design. That is to say, in the field of the art design, the narrative aesthetic cognition and thinking performance with logic language as the medium. The research content is from the narrative concept to the narrative analysis process. From the narrative of literature to narrative design. The structure of each narrative thinking and narrative ex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aesthetic feeling are analyzed. This paper analyzes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expression and narrative aesthetic characteristics from spiritual and material levels through symbolic extraction of design symbols. Then, the visual and cognitive elements are classified, and the value expression path of aesthetics and cognitive logic in art design is derived, and the logic framework of narrative aesthetics and expression in art design is deduced. This paper summarizes the symbolic and logical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aesthetics. The research result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narrativity of art design into visual elements of image and cognitive elements of symbolism, as well as narrative features of language symbolization and narrative features of cognitive logic.

      • KCI등재

        Research on the Effect of Dissociation of Perceptu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Intelligence on the Formative Expression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2

        미학연구는 실험미학에서 신경미학과 진화미학으로 발전하는 과정 중에서, 실험과학과 수학, 심리학, 생물학, 진화론, 신경과학, 사회과학 등 다수의 전문영역의 학술이론과 융화하여 더욱더 종합화되고 다양화 되었다. 그러나 최근 연구 중 대부분은 모두 심미인지와 이해, 그리고 조형의 미학적 판단 등의 방면을 다루고 있고 조형표현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작은 편이다. 다양한 각도에서 봤을 때 미학연구의 내용은 풍부해졌지만 연구방향은 다소 국한돼있으며, 연구 획일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은 감지와 인지의 관계에서 출발해, 감지부터 인지까지의 심미 과정을 상세하게 분석하고, 또한 인지부터 표현까지의 전체적 구조와 시스템에 대해 해석하여, 조형표현과 미학표현의 의식구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예술창작과정 중 조형표현의 신경학적 원리를 더욱 상세히 시스템화하고 그로 인해 신경미학 방향의 조형표현 시스템에게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여 최종적으로는 조형표현의 사고활동에게 신경과학성 해석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예술가와 디자이너들에게 조형 표현방면에 이론성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본 논문은 인지신경과학 이론을 기초로, 신경미학과 진화미학의 원리와 결합하고, 대뇌 성능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감성지능과 인식지능의 신경구조와 감성지능과 인식지능의 해리성이 조형표현에 미치는 영향 인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의 연구범위는 조형표현과 관계된 감지이해와 심미판단, 대뇌시스템의 추상적 표현이며, 신경시스템규칙에 따라 예술창작의 보편적인 규칙을 찾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신경과학의 선행 연구 성과를 토대로 정리, 귀납하여 미학이론과 종합하여 이론 성 추론을 진행해 조형표현의 신경시스템에 대해 체계성분석과 결론을 내리려 한다. 연구 내용은 감지부터 인지까지 그리고 인지부터 표현까지의 과정에 대한 분석내용으로, 본 연구는 시각 기억에 의거한 시각적 표현에서 의미기억에 의거한 언어 표상의 의식가공 과정을 논증하였으며, 시작감지 부터 개념의 식별, 인지부호부터 언어의 의미, 더 나아가 추상 언어와 시각언어의 추상적 표현까지의 신경학적 경로를 정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감성지능과 인식지능의 해리성, 즉 조형이해와 조형 판단의 해리가 존재함을 증명 하였으며, 이는 사람들이 조형표현 혹은 디자인적 표현을 하는 중에 있어서 반복적인 시작 정보의 자극과 다수의 회화연습을 통해야만 비로소 최종적인 조형 표현을 완성할 수 있으나, 언어표상은 해리성의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어, 언어 지능이 형상표현의 효율을 높여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신경과학의 연관이론과 결합해, 조형 표현 과정 중 시각감지부터 언어 지능의 “VMLE” 미의식 구조, 즉 “시각-의미-언어-표현”의 조형의식 과정 구조를 제안하였다. Aesthetic research has gone through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aesthetics, neuroaesthetics, and evolutionary aesthetics, and the academic theories of experimental science, mathematics, psychology, biology, evolution, neuroscience, social sciences are adopted. However, in recent years, most of the researches focus on aesthetic cognition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aesthetic judgment of formative, and the related research on formative expression are fewer to some degree, although aesthetic research is rich in content and varied, it is somewhat limited in direction which is even too simple.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the aesthetic process from perception to cognition in detail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cognition, and analyze the overall structure and mechanism from cognition to expression, and explore the consciousness structure of the formative expression and aesthetic express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for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neurological principles of formative expression in artistic creation, an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formative expression mechanism of neuroaesthetics orientation, and finally to make an explanation for the thinking activities of formative expres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logy, and help the artists and designers with formative expression by providing the theoretical basis. This paper is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neuroscience, combines the principles of neuroaesthetics and evolutionary aesthetics, conducts research on the neural structure of perceptu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intelligenc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ve expression of dissociation of perceptu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intelligence. The research scope of this paper is the brain mechanism of perceptual comprehension, aesthetic judgment and abstract expression related to formative expression, so that find out the universal law of artistic creation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summarizing the neural mechanism of formative expression b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prior research of neuroscience. The research perception, then to cognition, starts analysis and analysis of expres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rocess of consciousness from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visual memory to the language symbol of meaning memory. It analyzes and organizes the neurological path, including visual perception, concept recognition, cognitive symbols, linguistic meaning, abstract language, and abstract expression of the language of vision. The research results prove the existence of dissociation of perceptual intelligence and cognitive intelligence, that is, dissociation of modeling understanding and modeling judgment. So, people complete the final formative expression after formative expression, or in the design of expression, through repeated visual information stimulation, and multiple painting exercises. The language symbol can weaken the influence of dissociation, so language intelligence can make the formative expression more efficient.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relevant theories of neuroscience, and proposes the “VMLE” aesthetic consciousness framework from visual perception to language intelligence in the process of formative expression, namely the “Visual-Meaning-Language-Expression” form-like consciousness process structure.

      • KCI등재

        Research on the Structural Change of Aesthetic Theory from Social Sciences to Natural Sciences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본 논문은 서로 다른 학과의 지식 프레임 기반의 미학 이론 구조를 분석하고 미학 이론의 구조적 변화에 관해 연구하려 한다. 현재 미학 연구는 미학 개념에 대한 해석이 아주 다르다. 사회과학 범주에 미학개념은 대부분 미학 기본 문제에 대한 철학적 사고하며, 미학의 기본적인 문제가 철학적 기본 원리를 통해 해석한다. 그리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심미 객체의 현상과 미적 형식, 미적 방식의 원리 등의 내용이다. 자연과학 범주에 미학 개념은 대부분 생물학이나 신경과학의 관점으로 심미 진화, 심미 경험, 미감 원리 등의 내용이다. 현 단계의 미학 연구는 인지과학 원리에 의존하여, 인지과학 범주에 미학 개념은 대부분 구체적인 심미 관련 두뇌 신경 구조와 심미 인지 원리 등의 내용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과 이론 발전의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서로 다른 학과의 지식 프레임을 기반 미학 이론의 구조를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미학 개념을 더 구조화된 이해하기 위해 미학 이론의 발전 및 구조적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해석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이론 분석방법이다. 미학 이론 관련된 주요 역사적 인물과 저작에 대한 분석을 통하며, 관련 이론의 주요 특성을 정리한다. 연구범위는 서로 다른 학과 범주에 미학 개념내용, 미학 개념 발전의 구조적 변화 요소, 그리고 미학은 다른 학과 범위 내의 이론적 근거를 정리와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주로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심미와 관련된 이론 구조를 분석한다. 사회과학 범주에 미학의 발전과 자연과학 범주에 미학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인지과학은 미래 미학 발전에 대한 영향을 개술한다. 그다음에 미학 이론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하고 미학 이론의 구조와 특징, 이론 구조의 다원화 발전 경향을 설명한다. 다른 분야의 이론적 구조에 미학의 연구 방법, 연구 범위 및 연구 대상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한다. 마지막에 사회 과학, 자연 과학, 인지과학 범주에 미학 이론 구조의 특징을 총괄한다. 본 연구는 미학 이론 개념을 잘 이해하기 위한 도움을 줄 수 있고 미학 이론 발전의 구조적인 프레임을 제공한다. This paper analysis the aesthetic theory structure based on the knowledge framework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there is a summary of the structural change of aesthetic theory. By far, there are different explanations on the aesthetics concept in the studies. In social sciences, the aesthetics concept is greatly related to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some basic problems of aesthetics. The basic problems are explained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philosophy, and the phenomenon of aesthetic, the form of beauty and the method principle of beauty are discussed form the prospect of psychology. While in natural sciences, the concept is analyzed with aesthetic evolution,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principle from the prospect of biology or neuroscience. And the current aesthetical studies are most dependent on the principles of cognitive science. Under the background of such study background and theory development, there is a conclusive study of the aesthetic theory structure based on the knowledge framework of different disciplines. The stud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ave an organization and conclusion of the aesthetic theory development for a more structured understanding of aesthetic concepts. The study method is the methods of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oretical analysis. There is an analysis of the main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aesthetic theory and works to sort and conclude the main features of relevant theories. This study scope is the aesthetics concept in different disciplines, structural change factor of the aesthetics development concept, so as to sort and analyze the theoretical basis of aesthetics in different disciplines. In this study, there is mainly organizing on the aesthetic theory in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there is the conclusion of the aesthetics development in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the impact of cognitive science on aesthetics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n, there is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aesthetic theory. There is a summary of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aesthetic theory and the diversified development trend of theoretical structure. The following of aesthetics in different disciplinary theory structures are concluded, including study methods, study ranges, differences of study objects. Finally, the features of the aesthetic theory structure in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are concluded. This study can help people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aesthetic theory and provide a structural framework for aesthetic theory development.

      • KCI등재

        Design Education Ideology Exploration and Education Development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aesthetics

        Lyu, Xin(류신),Wei, Ran Ran(위란란),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3

        본 논문은 신경미학 이론을 바탕으로, 인지 신경과학, 진화 심리학 및 진화론 이론을 결합하여 아트 디자인의 신경 메커니즘과 심미적 인지에 대해 분석하고, 신경미학의 원리성과 디자인 교육의 논리성을 통해 이성화 교육 모드와 교육 이념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예술 과학의 방식으로는 아트 디자인의 교육 구조성을 해석, 분석하고, 신경미학 관점에서의 디자인 교육 이념과 교육 발전 추세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디자인 교육의 효율과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현대 사회 발전과 현대 과학기술 수준에 더욱 목적성 있게 적응하는 디자인 교육방식을 탐색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이론 분석과 논리 구조 추리 방법이다. 문헌 조사와 이론 체계 분석 방식을 활용하여, 신경과학 학술 내용에 의해 디자인 교육 관련 원칙과 실증적 기준에 따라 연구 자료를 수집한다. 신경미학 이론을 이용하여 예술 창조와 디자인 실천의 사유 논리를 분석하고 심미적 인지의 구조화 원리로 디자인 교육의 기초 요소와 관계를 추리해서 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토론하고 분석한다. 다음에 디자인 교육 이념과 교육 발전 추세를 정리한다. 아트 디자인의 심미 메커니즘과 디자인 논리적 특징을 명확하게 한다. 심미적 인지를 디자인 수업에 더 구조화 관통할 수 있도록 한다. 신경미학을 디자인 교육에 더 잘 융합 시키다. 연구 범위는 아트 디자인 교육 분야에서의 교육 이념부분이다. 여러 영역 학과 융합 환경에서의 디자인 교육과 수업의 구조적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수업 방법과 학생 학습 특징의 관계와 모식을 정리하고 분류하며, 인지 원리와 심미 논리의 특성으로 신경미학 관점에서의 디자인 교육 이념 혁신의 합리성과 타당성을 설명한다. 연구 내용은 먼저 신경미학이 디자인 교육을 지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해석하고 신경미학과 디자인 교육의 융합 기초를 충분히 논술하며, 신경미학과 디자인 교육이 융합되는 세 가지 기초 경로를 정리했다. 그 다음으로 디자인 교육 이념 혁신의 초보적인 탐색을 하고 인지 이념과 알고리즘 창작의 융합가능성, 그리고 디자인 이념과 도형 서사 융합 가능성을 토론했다. 마지막으로 인지 이론 원리와 현대 디자인 교육의 발전 현황을 결합시켜 디자인 교육의 발전추세를 분석하고 여러 영역 학과 교차 융합하는 측면과 인지 능력의 측면에서 충분한 분석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신경미학은 원리성과 논리성 구조를 통해 디자인 교육의 발전을 지탱하고 객관적 및 이성화된 아트 디자인 교육 모드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신경미학과 디자인 교육의 융합 모델을 총결해 냈다. 이성화 디자인 교육 이론을 더욱 심도 있는 연구하기위해 참고를 제공한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theory of neuroaesthetics, combined with the theories of cognitive neuroscience, evolution theory, and evolutionary psychology to analyzes the brain mechanism and aesthetic cognition of art design. And explores the rational educational model and educational concept through the principle of neuroaesthetics and the logic of educational thinking. And from this through the way of art science interprets and analyzes the educational structure of art design, and studies the concept of desig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aesthetics.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to improve the teaching efficiency and quality of design education, explore design education methods that mor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and the level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logical structure reasoning method. Using the ways of literature survey and theoretical system analysi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and empirical standards of relevance between academic content of neuroscience and educ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thinking logic of art creation and design practice by using the theory of neuroaesthetics, infers the basic elements and structural relationship of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structural principle of aesthetic cognition, discusses and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design education, and then summarizes the ideology and development trend of design education. Clarifying the aesthetic mechanism and design logic characteristics in art design, so as to better integrate aesthetic cognition into design teaching, and make neuroaesthetics better integrated into design education. The research scope is the educational ideology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education. By analyzing the structural elements of design education and teaching in the environment of subject integration, the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eaching methods and students’ learning characteristics are sorted out and summarized. The rationality and feasibility of design education ideology inno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aesthetics are expla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thinking and aesthetic logic. Firstly, this paper interprets the possibility of neuroaesthetics guiding design education, fully expounds the basis of the integration of neuroaesthetics and design education, and summarizes three basic paths of the integration of neuroaesthetics and design education. Secondly, it makes a preliminary exploration on the innovation of design education ideology,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of cognitive ideology and algorithm creation, and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of design ideology and graphic narrative. At last, combined with the principle of cognitive theory and the development status of modern design educ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development trend of design education and makes an in-depth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and cognitive thinking.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hat neuroaesthetics can support the development of design education through the principle and logical structure, and form an objective and rational art design education mode. Finally, the integration model of neuroaesthetics and design education is summarized to provide a reference for deeper exploring the theory of rational design education.

      • KCI등재

        Explaining the Formative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Neuroscience by Using the Symmetry Structure of Cognition and Natural Objects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1

        현재 많은 미학 연구에서 대칭성에 관한 논의 및 형상 대칭성에 대한 미감 반응에 관한 연구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그중에서 대칭성 의미에 대한 해석이 서로 다르며 대부분의 심미적 의식에 관한 연구는 심미적 체험을 그린 신경기능 위치 지도에 국한되어 있다. 이를 종합하면 본 논문은 게슈탈트 심리학을 근거로 인지신경과학 이론을 결합하고 뇌구조에 대한 연구 및 조형에 대한 감각, 지각, 인지의 이론적 분석을 통해서 심미과정에서의 인지적 구조를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인간의 조형 인지체계와 조형의식을 설명하기 위해 형태 지각과 인지 및 시각지능, 뇌 의식과 관련된 신경활동의 상관관계에 분석하고, 게슈탈트 심리학과 인지 신경과학적 연구 자료에 대한 선행 연구와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자연 형상의 대칭성에 대해 조형적 인지와 구조적, 심미적 원리에 대해 논하고 조형의식에서 각각 다른 단계의 대칭적 내용에 대한 다층적 의미를 정리하고 총화 한다. 인지 신경과학 선행연구 실험결과의 정리를 통해 조형 인지와 심미 의식에 대해 논술하고, 마지막에 이르러선 인지 신경 과학적 이론들을 통일적으로 해석하여 조형의식의 대칭적 구조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게 분석한다. 조형의식은 3개 층위로서 대칭성의 의미는, 즉 형상지각의 대칭성, 시지각의 대칭성, 및 인지의식의 대칭성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단계의 대칭성 함의를 명확히 하기 위함이며, 심미적 이론 방향에서 대칭성 연구를 위해 과학적 참고를 제공하고 조형의식의 연구에 과학적 근거와 합리적 해석을 제시한다. At present, many aesthetic of research have discussions about symmetry, as well as related researches of the aesthetic reaction of shape symmetry, but the explanation of symmetry meaning is different, and most of the researches on aesthetic sense are limited to the location map of the neural function describing the aesthetic experience. Considering all these factors, this paper systematically explains the cognitive structure in the aesthetic process based on gestalt psychology, combining cognitive neuroscience theory, through the research of brain structure, as well as the theoretical analysis of shape, perception, and cognition and arranges, and in order to illustrate the shape cognitive system and shape consciousness, the study analyzes shape perception and cognition, vision and perception as well as the connection with consciousness-related neural activity. Based on research material about Gestalt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survey, this study discusses the cognition of natural objects’ symmetry, the structure and the principle of aesthetic, likewise, sort up and summarize the contents and significance of symmetry in shape consciousness at different phases.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laboratory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f cognitive neuroscience, this paper carries out the discussion of shape cognition and aesthetic sense. At last, it has an agreed expla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neuroscience with the comprehensive arrangement and analysis of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shape consciousness. Shape consciousness should contain symmetry meaning of three levels, that is the symmetry of shape perception, the symmetry of visual perception and symmetry of cognitive sense. This study aims to make sure the meaning of symmetry in different stages, offering a scientific reference for symmetry research in the aesthetic theory direction and provides scientific evidence and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study of shape consciousness.

      • The Impact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echnostres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Lyu Xin-mei,Zhang Tao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ecurity and Its Applicat Vol.10 No.12

        As most people use smartphones most of the time, smartphone addiction and technostress are likely to be easily induced. It can be expected that excessive smartphone addiction and technostress will have nega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flow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on smartphone addiction,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ddiction, technostress,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A total of 342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ho live in Gyeongnam province in South Korea. Eight hypotheses were examined using SmartPLS softwar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low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have positive impacts on smartphone addiction. Smartphone addiction has positive impacts on technostress and customer loyalty but does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echno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but does not affect customer loyalty. Customer satisfaction is strongly associated with customer loyalt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ffered.

      • KCI등재

        현실 물성객체와 디지털 대칭객체 사이 섭동을 적용한 건축 공간 연구

        류신 ( Xin Lyu ),조택연(교신저자) ( Tai Youn C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현실의 건축공간을 스마트환경의 정보기술과 결합해, 공간을 스마트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간은 인간의 삶에 꼭 필요한 자원이다. 노마드(Nomade)의 목축과 정착 농경 시기에도 공간은 꼭 필요한 생존 자원이었고, 산업화 이후 공업적 생산 환경에서의 도시화는 공간의 가치를 더 높여 놓았다. 소유 재화의 가치에서 공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다는 점은 이를 방증한다. 사회와 경제가 도시 중심으로 구축돼 세련되어진 도시 거주 환경은 더 많은 사람들을 도시로 유인한다. 20세기, 재료와 구축 기술의 발달에 의한 고층화가 극적으로 증가하는 도시 거주자를 수용할 수 있었다면, 경계의 확장이나 건축의 고층화로 해결할 수 없을 만큼 거대해지고 과밀화된 21세기의 도시는, 스마트 환경의 도움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기술을 이용해 도시와 건축 공간 사용자에 대한 공간의 물리적 영향을 축소시키면, 사람과 건축 공간 사이의 동태적인 연관성을 확장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축 공간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의 삶을 표상하는 디지털 공간의 대칭객체를 상상하고, 공간의 물성적(物性的) 영향을 받지 않는 디지털 공간에서 이들 대칭객체들의 관계 형성 가능성을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디지털 공간에서 생성되는 이들 대칭객체의 관계를 현실 공간에 투영해, 건축 공간과 이의 사용자인 인간, 그리고 사물의 관계를 보다 밀접하게 연결하고 이를 통해 현실의 건축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실과 디지털 객체 사이의 섭동을 수용하는 건축 공간의 가능성 탐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mart method using the space by integrating architectural space of reality into information technology of smart environment. Space has been crucial resource to human being. Space was essential resource for survival even in nomadic farming and agricultural period and urbanization has enhanced the value of space in production environment after Industrialization. It is proven by the fact that space takes up the biggest proportion in value of goods. Sophisticated city environment where society and economy center around now attracts more people into the city. In the 20th century, with the help of the development of material and building technology, the Manhattanization enabled city to accommodate the dramatically increasing number of city dwellers. In the 21th century, although, city is too gigantic and populated to be solved by boundary expansion or the Manhattanization, the problem may be resolved by the help of smart environment. Regarding users of city and architectural space, if we can reduce physical influence of the space, we can expand the dynamic correlation between human and architectural space and by doing so, we can efficiently utilize architectural space. This study imagines symmetry object of digital space which represents the human``s life and recognizes the possibility of forming relationship of symmetry object in digital space that is not materially affected by the space. By reflecting the relationship of symmetry object formed in digital space to reality space, this study tries to closely link architectural space, human being and object in order to find the way to efficiently use architectural space of the reality.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space that allows perturbation between reality and digital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