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중기 전문대학원생이 학업에 부여하는 의미 : 직업경력 10년 이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 전문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홍순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19

        이 연구는 나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이하 한기대) HRD 전문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있는 재학생들 중 정규 대학 졸업 후 10년 이상의 직업경력을 가진 성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위과정 학업에 그들은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학위과정 학업 동기와 학업 경험에 대한 그들의 진술을 자료로 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인력개발 분야 혹은 그와 유사분야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들이며, 2012년 6월 9일부터 2012년 12월 8일까지 매주 토요일본 대학원 빈 강의실에서 1명씩 모두 6명에 대해 심층 면담을 수행하고, 그 내용을 녹취하였다. 녹취한 내용을 전사한 다음, 연구 목적에 부합된다고 생각되는 의미 진술문을 추려내고, 그 문장에 나타난 참여자의 의도, 인식, 느낌을 중심으로 분석, 의미 요소들을 범주화하고 의미주제를 도출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전문대학원 진학은 무엇보다도 경쟁 속에서 살아남아야 하는 직장경험에 의해 촉진되었으며, 학업경험에 직장에 서의 한계 극복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둘째, 학력의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 문화적 맥락들은 학업에, 존중받고, 매력적인 인간으로 살아가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게 만든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성인중기의 직장인으로 , 학업에, 퇴직이후를 대비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학업을 통해 HRD 분야 전문가로서 자기 성장을 주도하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에, 자기의 가치를 높여 사회에 공헌할 수있는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학업에 임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그들은, 학업에, 스스로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전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HR 분야에서 실무를 해온 사람들로서, 학업 에, 현장 경험지식을 체계화하고 구체화하는 동시에 인증 받는 것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고, 그 과정에서 학업의 즐거움을 느꼈다. 일곱째, 연구 참여자들은 삶의 정점에 있는 직업인이자 생활인으로서 학업을 병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학업에, 삶의 목표를 실현하는 과정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여덟째,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경험을 통해 학위과정이 끝이 아니며,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한 자기실현적 예언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미주제로 부터 성인 중기의 연구 참여자들이 전문대학원 학업에 부여하는 의미는 ‘전문가로서의 자기성장과 사회공헌 하기’로 직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s which middle-aged students with job experience over 10 years attend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HRD are attaching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where I am attending too. The participants have been working at the job relat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or similar field after their university, and I asked six men/woman for interview about what is the reason they decide to enter the school and what they has experienced in school. To explore the research problem, I u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interview was fulfilled from ninth June 9th, 2013 to December 8th, 2013 every saturday in the empty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bove all things, job experience which requires struggle for existence facilitated their entering graduate school and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overcoming the limit in the competition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Second,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being held in respect and as a attractive person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s of admitting values of educational attainment. Third, as a mid-aged worker, participants attached the meaning of preparing after their retirement and leading personal growth as expert of HRD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Fourth,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opportunity which they could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enhancing their value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Fifth, Participants have expectation for class and anxiety and through these experience, they attached meaning which they challenge their limits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Sixth, participants who has been working in the HR field attached meaning of systemizing and materializing their experienced knowledg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And they feel a pleasure of learning. Seventh, Participants who are in the peak of life have difficulties that should combine both working and learning but they attached the meaning of a part of course for achievement their goal of lif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Eighth, Participants recognize that this course is not the end, and attached the meaning of a self-fulfilling prophecy for things that they do in the future to their academic experience. To conclude, the meanings which participants attaching to academic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are intuited personal growth as expert and contributing for society. The personal growth is what he or she to be free from prejudice, custom and culture etc.

      •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fro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 이문화간 소통 관점에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의 학업과 삶

        Gauri Prasad Acharya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87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s made studying and living abroad a fast growing worldwide phenomenon. Study abroad necessitates living abroad, experiencing different way of life, changing one’s way of thinking as well as acting in daily life.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Korean universities has been increasing considerably.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has become an important part of life with increasing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Keeping this in mind,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University has become the study area of research from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erspective. The study focused on how international students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society while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University. Furthermore, this study commenced with research questions consisting of a) How did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when they interact with Korean culture and society while studying and living in KOREATECH? This also includes what difficulties did they face in new cultural and academic environment? And how did they adjust themselves in new cultural environment when they do not share the same culture? The study employed a qualitative approach, using grounded theory as a framework and methodology. Grounded theory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ajor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which makes possible to know about what is going on or happening or what is local reality in or around an event. This study employed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which is powerful tool for data collec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applying the purposive network sampling method among tho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KOREATECH University on 2013 and staying in Korea more than one year. Among nine students, four students were studying at undergraduate level and five were graduate student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English and all interviews were audio recorded by using smart phone. After gathering raw data, the open coding method was used to develop categories, subcategories and codes then axial coding was used for making connections among broad categories as a conceptual framework or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d four broad categories, twenty eight sub-categories and sixty four codes. Furthermore, academic life provides the context 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fields wher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 intercultural understand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 development and adjustment in new cultural environment were making connections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cause and effect-relationship in sequential order which is the main conceptual framework or model of the study. 고등교육의 국제화로 인해 해외에서의 학업과 삶은 빠르게 늘어나는 국제적인 현상이 되었다. 해외에서의 학업은 해외에서의 삶, 다른 방식의 삶에 대한 경험, 사고방식의 변화와 그에 따른 일상에서의 실천을 필요로 한다. 최근 들어, 한국 대학에서 공부하는 해외 유학생들이 수는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다른 문화에서 온사람들 사이의 소통인 이문화간 소통은 증가하는 국제화와 세계화 속에서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이점을 염두에 두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학업과 삶은 이문화간 소통의 관점에서 의미있는 연구 영역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해외유학생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면서 어떻게 한국문화와 사회를 이해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해외 유학생들이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면서 어떻게 한국 문화 및 사회와 상호작용을 경험하는지에 대한 연구문제와 그들이 새로운 문화와 학업 환경에 처했을 때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라는 문제, 그리고 그들이 동일한 문화를 공유하지 않을 때에는 어떻게 새로운 문화 환경에서 적응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연구의 틀과 방법론으로 근거이론을 사용하였다. 근거이론은 주요한 질적연구방법의 하나로서 사건과 사건 주변의 진실은 무엇인지 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알게 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의 자료수집에 있어서 강력한 도구인 반구조화된 면접 방식을 사용하였다. 2013년에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1년 이상 살고 있는 해외 유학생 가운데 9명이 의도적 표집 방식으로 선발되었다. 9명의 학생 중에 4명의 학생은 학부 과정이고 5명은 대학원생이다. 면접은 영어로 진행되었고, 모든 면접은 녹음되었다. 원자료를 수집한 후에 개방코딩 방법으로 범주, 하위 범주와 코드를 만들었고 축코딩을 하여 개념적 구조나 모델로서 확장된 범주간 연결을 만들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4개의 범주, 28개의 하위 범주와 63개의 코드가 작성되었다. 학업 생활은 이문화간 소통의 장벽, 이문화간 이해, 이문화간 소통 기술의 개발과 새로운 문화적 환경의 적응이 서로간의 연결을 만드는 곳에서 이문화간 소통 영역과 맥락을 제공한다. 이는 순차적인 원인과 결과 관계에 기반하며 본 연구의 주요한 개념적 틀과 모델이 되었다.

      • 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R&D 인력의 역량 연구 : H사 기업부설연구소를 중심으로

        전영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71

        우수인재 확보와 유지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기업의 지속경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시장에서 기업의 대내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그 생산성을 증가 시켜 줄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토대인 기술력 연구 개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 내에서는 연구 개발 부서가 핵심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국가에 서도 다양한 지원정책을 통해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 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성장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업부설연구소 구성원의 역량 개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정보와 기술의 수명주기가 짧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연구 개발 인력이 경쟁력에 뒤처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시키는 것은 기업의 가장 중요한 사명이다.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제조기업 H사의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연구 개발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였다. 직무 분석 및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성원에게 요구되어지는 잠재적 역량을 확인 한 후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역량을 도출 하였다. 직무 분석과 심층 인터뷰는 각각 정리한 후 통합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Spencer & Spencer의 역량사전과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역량 모델우수인재 확보와 유지는 지식기반 사회에서 기업의 지속경쟁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시장에서 기업의 대내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그 생산성을 증가 시켜 줄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토대인 기술력 연구 개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 내에서는 연구 개발 부서가 핵심영역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국가에 서도 다양한 지원정책을 통해 기술 분야에 대한 투자를 지속 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성장발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업부설연구소 구성원의 역량 개발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정보와 기술의 수명주기가 짧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연구 개발 인력이 경쟁력에 뒤처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발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시키는 것은 기업의 가장 중요한 사명이다.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제조기업 H사의 기업부설연구소를 대상으로 연구 개발 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였다. 직무 분석 및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성원에게 요구되어지는 잠재적 역량을 확인 한 후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역량을 도출 하였다. 직무 분석과 심층 인터뷰는 각각 정리한 후 통합 분석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Spencer & Spencer의 역량사전과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역량 모델들과 비교분석을 거친 뒤 유목화 하여 재분류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다시한 번 포커스 그룹의 검토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긍정응답률과 표준편차를 활용하여 역량 모델을 정교화 하였다. 그 결과 21개의 역량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역량은 Cheetham과 Chivers(1996)의 구분법을 준용 하여 기초 역량, 핵심 역량, 성과 역량, 태도/자질 역량으로 구분하였다. 기초 역량은 논리력, 리더십, 문서 보고 및 활용, 분석적 사고, 업무 조정 및 관리, 원가 마인드, 통찰력, 혁신적 사고의 8가지 항목이며, 핵심 역량은 기술 공유, 데이터베이스화 능력, 신기술 개발 및 습득, 장비 컨셉 수립 능력, 직무 전문 기술력의 5가지 항목이다. 성과 역량은 목표 의식, 문제 해결, 설비 적용 및 개선의 3가지 항목이며, 태도/자질 역량은 타인 육성, 긍정적인 마음가짐, 도전 정신, 적극적인 자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5가지 항목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H사 기업부설연 구소의 각 구성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였고, 각각의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본인의 수준 차이를 조사하였다. 제시된 대부분의 역량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자신의 역량 수준은 그에 비해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요도는 높으나 본인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인식하는 역량은 분석적 사고, 논리력, 업무 조정 및 관리였고, 중요도와 본인의 수준 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 역량은 긍정적인 마음가짐, 목표 의식, 설비 적용 및 개선, 기술 공유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직무 특성을 감안한 연구 개발 인력의 인적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화된 교육의 방식이나 다양한 종류의 교육을 제안하였고 부족한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시켜 기업 발전뿐 아니라 디스플레이 업계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토대를 마련 하였다. 이 연구는 추후 연구 개발 인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필요로 하는 교육훈련의 수요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교육훈련체계를 개발하고, 역량 평가를 도입함으로써 성과, 이윤, 평가, 적절한 보상이 다시 성과로 이루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대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후속 목표로 하고 있다. Securing and retaining the capable competent people for compan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stainable competition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particular, not only productivity is emphasized as key factor in securing competitivenes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ompany in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y markets, but also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which is the fundamental foundation for increasing the productivit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Within the enterprise, research and development departments are emerging as core areas, and government keep encouraging investment in technology through various support policies. In this situation,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competence of compan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which play a pivotal rol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nterprises, is becoming more and more significant. In addition, it is the company's most important mission to continuously develop their capabilities so that R & D personnel can continue to develop without falling behind in competitiveness in society we are living in which cycle of information and technology is shorte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R & D personnel in R & D laboratories of company H, a display inspection equipment manufacturing company. After analyzing job analysis and in - depth interviews, we have identified potential competencies required of the members, and then we derived them via focus group interviews. Job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mbin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competency models developed in Spencer & Spencer's competency dictionaries and previous studies, followed by nomenclature and reclassification. Once the focus group was reviewed and confirmed. Also, the competency model is elaborated by using positive response rate and standard deviation. As a result, 21 competencies were deriv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basic competencies, core competencies, performance competencies, and attitude / qualification competencies by applying Cheetham and Chivers (1996). Eight clauses of Basic competencies: logic, leadership, document reporting and utilization, analytical thinking, business coordination and management, cost-mindedness, insight and innovative thinking. Core competencies include technology sharing, database development, equipment concept-determination ability, and professional expertise. The performance 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oal consciousness, problem solving, facility application and improvement. Fostering others, positive attitude, challenging spirit, active attitude and communication ability are items of attitude/qualification compete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s identified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 members of the research institute attached to the H -company, and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each competence and the members’ level differences. Although members recognize most of the competencies presented are pretty important, they believe that they have less ability. The ability to recognize that the level of importance is high but that the level of the person is relatively low is analytical thinking, logical power, and job adjustment and management. The ability to have a relatively low level of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the level of one's own is a positive attitude, Goal Consciousness, equipment application and improvement and technology sharing. Based on these researches, I propose a more concrete and systemized education method and various types of education to enhance the human competitiveness of R & D personnel considering job characteristics, and continuously develop lacking competencies, of the total population. This study has a follow-on goal tha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training need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R & D personnel. Based on this,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 training system and introduce a competence evaluation to create a virtuous circle structure which performance, profit, and appropriate rewards bring another profits to ensure the foreign competition.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Tadam Thongsavath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s a means of increasing employment and earning capacity of people through skill development which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Lao PDR. Hence, this thesis focus on factors affecting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TVET) as well as how to carried out Lao’s society towards sustainability by the application of TVET. The goal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issues on TVET, factors affect TVET in Lao PDR, and how to strengthen and sustainable TVET in Lao PDR. Based on research questions TVET of Lao PDR related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for interview outline was developed and interviewee with 11 people from the different schools and departments of Laos. The research will help to understand the systems of TVET and the social contexts in addition of TVET in Lao PDR, the levels of responsibility to TVET of Lao government, the quality of TVET, limited budget for operations and investment; the quality of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Lao PDR, In the lens of the key aspects, of the three goals. It later provides with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challenges into TVET and the presented key aspects in order for TVET in Lao PDR to achieve the vision of success. 기술 직업 교육 훈련 (TVET)은 라오스의 사회 경제적 발전에 중대한 기여를 하고 있는 기술 개발을 통해 취업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역량을 높여주는 수단이다. 이런 이유로, 이 논문은 기술 직업 교육 훈련을 적용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라오스의 기술 직업 교육 훈련(TVET)의 이슈와 라오스의 기술 직업 교육 훈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지속 가능한 라오스 기술 직업 교육 훈련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인터뷰 개요와 인터뷰 질문은 라오스 기술 직업 교육 훈련과 관련한 문헌 연구자료들과 라오스의 각기 다른 학교와 부서에서 근무하는 11 명을 대항으로 한 인터뷰를 토대로 개발되었다. 이 연구는 기술 직업 교육 훈련 시스템과 라오스 정부의 기술 직업 교육 훈련에 대한 책임감 정도, 질, 운영과 투자를 위한 제한된 점 등 세가지 핵심 사안 위주로 살펴봄으로써 라오스 기술 직업 교육 훈련의 수준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더불어 기술 직업 교육 훈련의 개선에 있어서 시사점과 성공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제안 사항을 논하겠다.

      • 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기초능력 요구분석 : 기업 인사담당자와 대학생의 인식비교를 중심으로

        이희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71

        급속한 산업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기 위해서는 먼저 산업계의 변화 현실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 환경에 반영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이에 따라 산업 사회에서는 이 사회를 이끌어 갈 인재들이 직업 기초능력을 갖추어 시대 흐름에 도태되지 않고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모든 직업 활동에 근간이 되는 직업기초능력은 사회적 요구 뿐 아니라 기업에서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기업은 이것이 정규교육 프로그램으로 편성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특히 공과대학생의 경우에는 고등학교부터 대학교까지 전공중심의 교육을 이수하여 인문, 사회과학적인 소양이 부족하다는 기업의 평판을 듣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단과대학의 특성에 따른 부족한 점을 대학 교육에서 보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직업기초능력에 대하여 제조업 분야(제조업 인사담당자와 제조업 분야에 주로 취업하는 공과대학생)와 비제조업 분야 (비제조업 인사담당자와 비제조업 분야에 주로 취업하는 인문사회과학대 학생)로 나누어 분야별 기업 인사담당자와 대학생 두 집단 간의 교육 필요성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중요도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제조업 분야(제조업 인사담당자, 공과대학생)의 경우 교육 필요성 인식의 차이가 나타난 하위능력은 4개(문서이해능력, 언어구사력, 경력개발능력, 경영이해 능력)에 불과했으며, 중요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비제조업 분야(비제조업 인사담당자, 인문사회과학대학생)의 경우 교육 필요성 인식의 차이가 나타난 하위능력은 19개(문서이해능력,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팀웍능력, 갈등관리능력, 협상능력, 고객서비스능력, 컴퓨터활용능력, 정보 처리능력, 기술이해능력, 기술선택능력, 기술적용능력, 경영이해능력, 업무 이해능력)로 하위능력 34개 중 과반 수 이상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 고, 중요도 인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공과 대학생의 경우 문과에 속한 과목들의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였다고 인식하여 인문, 사회과학적 소양 교육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높음을 확인하 였고, 반면 인문사회과학대학생의 경우에는 문과 관련 전공을 통해 어느 정도 직업기초능력을 학습하였다고 인식하여 교육 필요성 및 중요도에 대해 낮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은 산업의 특성과 단과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직 무능력표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교육 목표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취업 이전에 대학생이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In order to deal with rapid changes of industrial environment, we first need to understand about the changes and reflect them in our educational system. Our industrial society asks talented individuals to have “Key Competencies”,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y without leaving behind the times. “Key Competencies”, which is a base of job activities, is recognized as important to both of individuals and businesses, and a lot of companies hope that the “Key Competencies” could become a formal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companies, engineering students are lack of socio-scientific knowledge since they only study selected subjects at school based on their primary maj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our educational system supports them to gain knowledge in another field. Therefore, in this paper, for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Key Competencies, devided into sector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manufacturing of HR practitioners and 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find employment mainly in the manufacturing sector of manufacturing) and the non-manufacturing sector (non-manufacturing industries of HR practitioners and Arts and Social science students find employment mainly in the field of non-manufacturing industries). Was carried out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need recognition training between HR practitioners and college students two populations of sectoral company, performs an interview with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importance, finally ,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pre-recognition level, was performed a cross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 the cas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HR practitioners in charge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 a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sub- capacity differences appeared in recognizing the need for education is four (document comprehension , the ability to master the language , career development ability , was only to management comprehension) , the severity and prerecognition level , while not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s , the nonmanufacturing sector (non-manufacturing industries of HR practitioners, Arts and Social science students) If , sub- capacity 19 (document comprehension that appeared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he need of education , ability to master document creation ability , the ability to listen , the language , thinking , problem processing capacity , selfdevelopment capability , career development capability , teamwork force , conflict management skills , negotiation skills , skills of customer service , computer literacy ,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y , technical understanding , technology selection capability , technology application ability , management comprehension , business comprehension) in the sub- function 34 pieces of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 more than half of the internal , all in severity and prerecognition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ngineering students are highly interested in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as these were the subjects they could not be educated at school. Howeve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college students believe that they already learned about “Key Competencies” through their studies at school to some extent, and they are not much concerned about the educational needs. As a result, it is required that universities make a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y and college, so that the students could be prepared for “Key Competencies” before they get hired.

      •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변화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영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polici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ystem by analyzing the causes of changes in tim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To this end,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national certification system were reviewed, the general state of operation of the national te chnical qualification system and the factors of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First,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contributed to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by organizing the system for training and evaluation of human resources through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Second, strengthening and switching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requires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as national influence in managing and operating the qualification system has gradually weakened. Third, the basic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after 2000 due to the suggestion that the basic plan for developmen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as not actively responding to changes in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industrial demand, and criticism was raised that social partners ' participation was insufficient due to the government-led qualification system operation of the basic plan for development of the system was established. The first basic plan operated by a professional committee for each profession involving a majority of the industry, the criteria for the exam through job analysis on industrial sites, and the national job competency standards were applied to the exam standards in order to secure the current status. The second basic plan completely reorganized the qualifica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and introduced a system for examination of various types of written and practical examination questions by scribers to access the test management system online. A third basic plan was to introduce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hich provides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assessments after completing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that meet certain requirements, including the preparation of education courses by NCS reflecting the needs of industrial sites. The main system that changed to the fourth basic plan needs to be taken before the enforcement of the Act, which was enacted in August 2019, as the Act on the Promotion of Single Schoology and Support of Inte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was enacted.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 combined qualification that is reissued with a certificate sta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in case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has completed the NCS capacity unit designated by the state-approved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우리나라는 현재 능력중심사회 실현과 현장중심형 인재양성을 위해 국가 직무능력표준(NCS)을 개발하고, 교육훈련과정 개편과 국가자격체계 개편, 직무중심 채용 확산 등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는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도입에 따른 시기별 변화요인을 분석하여 제도변화에 따른 정책 제언을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가자격제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들을 살펴보고, 국가기술자 격제도의 일반적 운영현황 및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내․외부적 변화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국가기술자격제도 도입 및 관리기는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중반부터 황폐화된 국가경제를 다시 세우기 위하여 정부는 개별부처의 단위 법령을 통해 기술 분야의 자격제도를 도입하였고, 국가기술자격제도를 통해 인력양성 및 평가제도를 체계화하여 한국의 경제발전에 기여하였으며, 유사중복자격의 통합운영을 통해 불필요한 자격취득을 방지하고, 응시자의 경제적·시간적 비용을 절감하였다. 둘째, 국가기술자격제도 강화 및 전환기는 경제구조가 2차 산업에서 3차 산업 중심으로 서서히 변화되었고, 자격제도 관리 및 운영에 있어서 국가의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면서 민간부분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산업현장 여건 변화는 국가기술자격제도를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분류체계를 단순화하고, 자격기본법 상에서 민간자격을 관리·운영할 수있도록 법령체계도 개편되었다. 셋째, 국가기술자격제도발전 기본계획 시기는 2000년 이후 사회경제적 여건 및 산업수요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의견, 정부주도의 자격제도 운영으로 사회적 파트너들의 참여가 미비하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제도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제1차 기본계획으로 변화된 주된 제도는 산업계 과반수가 참여하는 직종별 전문위원회 운영하였고, 자격검정의 시설, 장비의 확충을 통하여 47개 국가자격시험을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통합하여 관리하고, 산업현장 직무 분석을 통한 출제기준을 전면 재정비하고, 출제기준 일몰제를 운영하는 등출제기준의 현장성 확보를 위해 출제기준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였다. 제2차 기본계획으로 변화된 주된 제도는 국가기술자격의 응시자격을 전면 재정비하고, 응시자격 중 비관련학과 대학졸업자를 삭제하고, 서비스분야 응시자격의 학력요건을 완화하였으며, 시험문제를 출제를 위해서는 시험 위원이 직접 방문하여 출제하여야 하는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서 온라인상 으로 출제관리시스템에 출제위원이 접속하여 다양한 형태의 필기시험 문제, 실기시험 문제를 출제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제3차 기본계획으로 변화된 주된 제도는 산업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NCS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 등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교육․훈련과정을 이수하고 내․외부 평가를 통하여 국가기술자격을 부여하는 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제도 도입이다. 자격취득자가 직접 인터넷을 통하여 무료로 편리하게 출력 하여 발급받을 수 있는 국가기술자격증에 상장형자격증 발급서비스를 도입 하고, 국가기술자격검정 기능사 필기시험 시행을 기존 지필시험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CBT방식을 도입하였다. 제4차 기본계획으로 변화된 주된 제도는 2019년 8월 산업현장 일학습병행 지원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됨에 따라 일학습병행자격의 부여 및 국가기술 자격과의 연계 필요성이 대두되어 법률 시행 이전에 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신기술․신성장 산업의 경우 빠른 기술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국가 기술자격 취득자가 국가가 인정한 교육․훈련기관에서 지정된 신기술 NCS 능력단위를 수료한 경우에 관련사항을 기재한 자격증으로 재발급하는 융합형(플러스) 자격 도입이 필수적이다.

      • 임금근로자의 교육 및 기술적합 수준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skill level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age workers using the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data from 2006 to 2019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Education level and skill lever were classified as over, fit, and under education/skilled. And Social phenomena were reflected in demographic factors and used as control variables. Hausman-Talyor estimation was used for panel analysis, and fixed effect model, random effect model and pooled OLS were referenced for this analysis.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of annual surveys,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trend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ime.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education and over-skilled had th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under-education and under-skilled had a relatively small effec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trol variables input to the education/skilled variables were shown in the following. According to the life cycle age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45-54 years old workers showed the lowest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55 years old or older had a positive effect than 34 years old or younger. As a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increases, there was a negative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re was small. Divorce, separation, and bereavement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ared to unmarried. In general, higher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doctor’s degree was lower than master’s degree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Labor union memb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ular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non-regular workers.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the hourly wage was higher, the actual income wa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desired income, and the company size was larger. This study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stently provide jobs that match the level of education and skill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노동패널조사 데이터 중 2006년(9차) ~2019년(22차)를 이용하여 임금근로자의 교육수준과 기술수준이 직무만족 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교육수준과 기술수준을 과잉, 적합, 과소로 분류하여 독립변수로 사용하 고, 사회현상을 반영한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을 통제변수에 적용하였다. 이러한 변수들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패널분석에는 하우스만-테일러 추정을 사용하였으며, 고정효과 모형과 확률효과 모형, 합동OLS을 분석에 참고하였다. 이에 더해 각 조사차수별 회귀분석을 통해 시기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의 추이를 확인할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임금근로자의 교육수준 및 기술수준 과잉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며, 교육‧기술수준 과소는 과잉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양의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육수준과 기술수준 변수에 각기 투입한 통제변수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 났다. 청년-장년-중년-고령의 생애주기형 연령 변수를 통해 45~54세 사이의 임금근로자가 가장 낮은 수준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보이며, 55세 이상의 고령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가 35세 미만의 청년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기간이 증가할수록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는 적은 수준이지만 부정적인 영향이 있으며, 미혼에 비해 이혼‧별거‧사별이 높은 수준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를 보인다. 대체로 고학력일수록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유의하게 양의 영향이 있으나, 박사의 경우 조직몰입도에서 석사보다 낮은 수준의 영향이 있었 다. 임금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은 직무만족도와 유의하지 않았으나, 조직몰입도와는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보였다. 정규직은 비정규직보다 직무 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서 모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 더불어 시간당 임금이 높을수록, 희망소득에 비해 실제 소득이 같거나 높을수록, 기업규모가 클수록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이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개선을 위해서 교육수준과 기술수준에 맞는 직무를 꾸준히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 기술 및 직업교육과 훈련 개선

        Photchamane Phengrattanavo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s a good and very important system in Laos according to Lao PDR still belongs to the group of least developed countries although its economy has been growing strongly over the last several years.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helps learners to acquire skills, knowledge and attitudes needed to enter the world of work. A quality TVET program plays an essential role in promoting a country’s economic growth and contributing to poverty reduction as well as ensuring the social and economical inclusion of marginalized communities. In 2010 the gross domestic product is expected to grow by 7.5 % and from 2011 to 2015 an average growth of at least 8,0 % is assumed Besides this solely economical development the Lao government is continuing to meet its poverty-related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by 2015 and to leave the status of being a least developed country by 2020. One of the most challenging tasks along this timeline is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ector. On one hand it has to absorb an increasing number of young girls and boys who are leaving school and on the other hand this sector has to provide enterprises with the labor force they are asking for. In the year 2015, there will be a demand of 3.26 million workers, but the workforce supply will be only 3.17 million Therefore the TVET sector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raining skilled workers in accordance with labor market demand. The report begins with an analysis of the Lao PDR socioeconomic development model and the imperatives that arise for TVET. It goes on to focus on TVET policy development. Lao PDR’s development model has important consequences for its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Over the last 20 years, Lao PDR has seen rapid economic growth based on the expansion of resource-based sectors, mainly mining and hydropower. However, the impact on employment generation has been rather modest. The economy of Lao PDR is still dominated by lowproductivity rural economic activities, requiring, thus far, low levels of qualifications from the labor force. 기술 및 직업 교육과 성과의 향상은 라오스에 있어서 매우 적합 하고도 중요한 제도이다. 라오스 정부에 의하면, 지난 몇 년 동안 라오스의 경제는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아직도 라오스는 저개발 국가에 속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기술 및 직업 교육과 훈련(TVET)은 학습자들이 직업세계로의 이행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 및 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술 및 직업 교육과 훈련(TVET) 프로그램의 질은 소외된 지역에 서의 사회적, 경제적 이해를 보장하는 것과 같이 국가의 경제적 성장을 촉진하고, 빈곤 감소에 필연적으로 기여한다. 2010년의 GDP는 7.5%의 성장이 기대되었고, 2011년부터 2015년까지는 적어도 년 평균 8.0%의 성장이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게다가 라오스 정부는 경제적 개발 이외에도 2015년까지 지속적으로 빈곤관련 밀레니엄 개발 목표를 달성하고, 2020년까지는 저개발 국가에서 벗어나는 것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이시기에 가장 도전적인 과업 중 하나가 기술과 직업 교육 및 훈련(TVET) 분야의 개발이다. 기술과 직업 교육 및 훈련 분야는 한편 으로는 학교를 떠나 교육에서 소외되는 어린 소년 소녀들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흡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업에서 요구하는 노동 력을 공급할 수 있다. 2015년에는 약 326만 명의 노동 수요가 필요하나 인력 공급은약 317만 명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술과 직업 교육 및훈련(TVET) 분야는 노동시장의 수요에 부합하는 숙련된 노동자들을 훈련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라오스의 사회-경제 발전 모델의 분석과 기술과 직업 교육 및 훈련(TVET)에 관한 당위성으로부터 시작하였고, 기술과 직업 교육 및 훈련(TVET) 분야의 정책개발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라오스 개발모델은 교육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중요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지난 20여 년 간, 라오스는 주로 광업 및 수력발전 등 자원을 기반으로 한 분야의 확대로 인하여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었 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이 국민들의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미미하였고, 라오스 경제는 여전히 낮은 생산성의 농촌 경제 활동, 저숙련 수준의 노동력에 의해 지탱하고 있다.

      •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요구분석 :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 군집유형을 중심으로

        강경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50671

        대학생 시기는 직업세계로의 전환을 앞둔 시기로서 직업 선택과 실행뿐만 아니라 직업세계에 유연하게 적응하면서 능동적으로 진로를 개발해나갈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 진로교육의 대표적인 형태 중 하나인 진로교과목을 통해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를 살펴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을 도출하는 것이다(연구 1). 둘째, 진로결정수 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을 기준으로 한 대학생 군집유형별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 요구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연구 2).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교육내용 초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진로교과목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2018년 8월 10일∼9월 14일 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성의 적절성, 표현의 명료성에 대한 내용타당도(CVR)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전국 6개 지역의 4년제 대학생 428명을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전공일치감수준,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 도를 2018년 10월 1일∼10일 간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의 두 차원에 따른 군집유형을 도출하고 군집유형별 중요도-보유도 차이, Borich 교육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교육요구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군집유형별로 Borich 교육요구에서 상위 1/3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내용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중요도, 중요도-보유도 차이가 모두 평균보다 높은 영역에 속한 교육내용의 중복여부를 확인하여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연구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의 교육내용은 9개 영역 43개 하위내용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이해 및 긍정적 자아정체감 확립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 이해 및 실천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직업생활에 필요한 직업의식과 태도 고취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직업 및 산업동향의 이해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진로정보 탐색과 활용 영역(하위 6개교육내용), 진로의사결정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평생학습 중요성 인식및 참여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진로계획 수립·실천 및 관리 영역(하위 5개 교육내용), 구직역량 함양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이었다. 이와 같이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의 교육내용이 광범위 한 것으로나타나, 한 학기에 모두 다루기는 어렵기 때문에 학생들의 특성별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선별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 준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결과,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이 모두높은 군집(군집 1),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이 모두 보통인 군집 (군집 2), 진로결정수준이 보통이고 전공일치감수준이 낮은 군집(군집 3), 진로결정수준이 낮고 전공일치감수준이 보통인 군집(군집 4)의 4개 군집 으로 분류되었다. 군집유형별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요소와 차별적 요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든 군집유형에 공통하여 우선적으로 교육해야 할 내용은 7개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 직업과 관련한 강점 파악, 직업생활 및 진로개발과정에 도움이 되는 자기관리법 습득, 전공 분야 직업세계 정보 수집 및 해석, 관심 직업 분야의경력개발 방법 이해, 관심 직업분야 인적 네트워킹 형성, 삶의 목표와 장기적 진로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수준을 갖추기 위한 전략 수립, 구인정보 요소 수집 및 평가 방법’이었다. 한편, 군집유형별로 특징적으로 우선 고려해야 할 교육내용은 다음과같았다.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이 모두 높은 유형(군집 1)은 특히 ‘관심 직업분야 인적 네트워킹 형성’과 ‘삶·장기적 진로목표 도달 계획’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인적 네트워킹을 통한 현실적인 입직준비와 체계적인 진로개발 계획을 중점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이 모두 보통인 유형(군집 2)은 ‘진로 정보’와 ‘구직기술’에 관련한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효율적인 정보 활용과 구직준비에 대한 교육이 특히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진로 결정수준이 보통이면서 전공일치감이 낮은 유형(군집 3)은 ‘다양한 진로정보 탐색방법 파악‘과 ’취업정보기관 활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진로정보 탐색과 적극적인 진로·취업기관 활용 실습을 중점적으로 교육할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이 낮고 전공일치감수준이보통인 유형(군집 4)은 특히 ‘일·직업과 관련한 강점 중심의 자기이해’와 ‘진로목표’ 관련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다양한 경험 속에서 자신의 강점을 이해하고 진로목표와 연결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에 대한 관심이 시작된데 비해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요구분석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특히 교육요구를 조사하기에 적절한 구체적인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델파이조 사를 통해 진로교과목 교육내용을 구체적인 수준으로 도출했다는 점, 대학생의 대표적 진로문제인 진로결정과 전공불일치를 고려하여 진로결정수 준과 전공일치감수준에 따른 군집유형의 교육요구 특징을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더욱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진로교과목 수업내용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College life is the period of transition that precedes professional life, so it is important to develop competency that can actively develop their careers while helping them adapting flexibly to the professional world as well as in job selection and execution. In order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rough career cours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s of college care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d a twofold structure. Study 1 aimed to create a career course contents list for develop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undergraduates. Study 2 aimed to examine cluster types based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congruence level that would be utilized for predicting different educational needs regarding career course contents. To this end, in Study 1, the draft of the career course contents list was creat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Next,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between August 10 and September 14, 2018.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Delphi, analyzed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of composition and clarity of expression; this helped in determining the final list of the proposed career course contents. In Study 2, a survey about career decision level, major congruence level, and the importance and retention level of career course contents was administered to 428 college students between October 1 and 10, 2018. The data were used to confirm cluster types in term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congruence level, and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of each cluster type through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inally, each cluster type's priority educational needs were determined overlapping contents that correspond to the top one-third level in the Borich Model and where both the importance, importance-retention difference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Study 1 were as follows: The finalized college career course contents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onsisted of 43 components across 9 categories. There were 6 in self-nderstand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self-identity; 4 i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posi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4 in the building of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attitudes; 4 in the understanding of vocation and industry trends; 6 in career information search and use; 4 in career decision; 4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nd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5 in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anagement of career plans; and 6 in the cultivation of employment competency. It was suggested that career course content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ere wide in range, and that in order to structure an effective course of study, it was necessary to select elements that would be more beneficial to individual students. The results of Study 2 were as follows: Four cluster types (high career decision-high major congruence, average career decision-normal major congruence, average career decision-low major congruence, and low career decision-average major congruence) were identified. An analysis of the priorities of educational needs by cluster type revealed both common and distinctive factors. Seven contents were ranked as priority educational needs in all cluster types: identifying one’s own strength in relation to a vocation, learning self-management methods to aid one’s professional life and career development processes,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formation respecting occupational world that is linked to one’s own major, understanding how to develop one’s career in the occupational fields of interest, forming human networks in occupational fields of interest, establishing strategies for gaining education levels necessary to achieve one’s life goals and long-term career goals, and learning how to collect and evaluate elements of hiring information.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distinctively by each cluster type were as follows. The cluster type with both high career decision and major congruence levels showed high-priority needs for “forming human networks in occupational fields of interest and long-term career goals”, so it was found out necessary to focus on educating realistic planning and systematic career planning through human networking. The cluster type with both average career decision and major congruence levels showed priority needs for contents related to “career information and employment techniques”, so it was found out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regarding the efficient use of career information and employment techniques. The cluster type with average career decision and low major congruence levels showed especially priority needs for “understanding ways to search career information and using employment agencies”, so it was found out necessary to focus on educating utilize actively career information and employment agencies. The cluster type with low career decision and average major congruence levels showed priority needs for contents related to “self-understanding based on one’s own strength related to vocation and career goals”, so it was found out necessary to educate to understand own’s strengths in various experiences and connect them with career goals. Compared to the recent emerging interest in career course designed to cultivat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studies on specific career course contents that suit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needs are rare.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Delphi-based empirical study derived career course contents specificall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needs based on types depending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congruence level; career decisions and major mismatch, which are typical career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were considered.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duce data useful for designing career course curriculums that will be more practical for college students.

      • 대학생의 내적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성지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적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설문 526부 중 불성 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406부로 최종 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모수 추정방법으로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내적 진로장벽과 진로 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 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과 계획된 우연기술에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준비행 동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진로장 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이 완전매개함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대학생의 내적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계획된 우연기술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한 결론은 대학생의 내적 진로장벽은 단선적으로 진로준 비행동으로 연결되지 않고, 계획된 우연기술을 통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는 내적 진로장벽이 높은 대학생에게 우연적 사건 속에서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기회를 만드는 개인의 행동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상담과 프로그램을 통해 도와준다면 불확실하고 급변하는 직업세계에 대비할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내적 진로장벽이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이고 활발한 진로준비행동을 하도록 돕기 위해 상담장면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을 향상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 하다. 이를 위해 내담자의 진로흥미와 적성발견, 진로결정에 미친 우연의 영향을 인식시키며 롤 모델들의 성공과 실패경험에서 우연기술을 탐색하 고, 이를 자신의 진로계획과 실천에 적용하여 실천할 수 있도록 한다면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내적 진로장벽이 어떠한 심리내적 과정으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인 경로와 매개변인을 확인하였다는 것이 가치가 크다. 또한, 내적 진로장벽 수준이 높은 대학생에게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 준비행동을 촉진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상담과 교육장면에서 내담자의 내적 진로장벽 수준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개입을 구상하는 과정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내적 진로장벽이 높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높이는데 계획된 우연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담 개입과 프로그램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relation to the internal career barri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to collect data, and a total of 406 copi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out of the 526 parts of the survey retriev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and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used to estimate parameters. In addition, it was verified by bootstraping metho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planned coincidence techniques in relation to intern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showed that the internal career barrier had a significant amulet relationship to bo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career-ready behavior. Second, the result was that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career barriers of college students do not directly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indirectly have a nega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medium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