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울릉도에 서식하는 박새(Parus major)의 형태분류학적 재검토

        허위행(Wee-Haeng Hur),박종길(Jong-Gil Park),김화정(Hwa-Jung Kim),김진한(Jin-Han Kim),한현진(Hyun-Jin Han),서문홍(Hong Seo mun),한상훈(Sang-Hoon Han) 한국조류학회II 2009 한국조류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울릉도와 한반도 중부지역(이하 ‘중부지역’으로 표기) 및 제주도에 서식하는 박새의 외부형질을 조사하고, 지역 간 형태적 차이를 분석함으로서 현재 아종으로 기재되어 있는 울릉도의 울도박새(Parus major dageletensis)가 내륙의 박새와 형태적으로 아종 수준의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울릉도와 중부지역, 제주도에서 채집된 박새 표본의 외부형질 중 부척길이와 몸길이에서 지역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척길이는 울릉도와 제주도의 박새가 중부지역의 박새보다 길었으며, 몸길이는 울릉도의 박새가 중부지역의 박새보다 길었다. 성별로 구분하여 3지역을 비교한 결과 역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울릉도와 중부지역 박새의 등면(mantle)의 색 차이는 지역적인 차이보다는 성에 따른 차이로 나타났다. 울도박새의 기재문을 바탕으로 울릉도와 중부지역 박새를 비교한 결과 기재문에 언급된 첫째날개깃의 바깥쪽 가장자리 색, 날개의 흰색 띠와 셋째날개깃의 가장자리 흰색 띠의 폭, 등의 색 등에서 울릉도 박새만의 고유한 특징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 간 박새의 외부형질 중 일부 형질에서 차이를 보였으나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하며, 다른 외부형질에 있어서는 차이를 확인할 수 없어 울릉도와 중부지역 및 제주도의 박새들 간의 외부형질에서 아종 수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한국에 분포하는 박새의 아종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근 국가를 포함하여 지역별로 충분한 자료 확보를 통해 다양한 형질에 대한 비교, 검토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fferences of external characters between the specimens of Great Tit which were collected in Ulleung island, the middle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respectively. We measured 12 external characters of Great Tit, for example wing length, body length, bill length and colors of mantle, etc. From the collecting data, we compared the mean values of external characters of Great Tit between the sites. In comparison of external characters of Great Tit between the sites, tarsus length of great Tits from Ulleung and Jeju island were longer than that from the middle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total length from Ulleung island was longer than that from the middle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We also compared the mean values of the characters between the sites with dividing into male and female to eliminate a effect of sexual size dimorphism from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sites with dividing into male and female were similar to the results without dividing into sex. We also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colors at mantle was not related to the sites but related to sex. Thes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external characters at the level of subspecies between Great Tits from Ulleung island, the middle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설악산국립공원지역에서 고도별 조류군집의 특성

        임신재,허위행,이우신,Rhim, Shin-Jae,Hur, Wee-Haeng,Lee, Woo-Shin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attitudinal bird communities in Mt. Seoraksan National Park from May to Oct. 2004. Marsh tit Parus palustris, Arctic warbler Phylloscipus borealis, coal tit Parus ater and Eurasian nuthatch Sitta europaea evenly distributed in almost elevational ranges. Goshawk Accipiter gentilis, black grouse Tetrao tetrix, white-lumped swift Apus pacificus, Siberian rubythroat Luscinia calliope, red-flanked bluetail Tarsiger cyanurus, dusky warbler Phylloscopus fuscatus, yellow-browned warbler Phylloscopus inornatus, siskin Carduelis spinus and rook Corvus frugilegus were only observed in high altitude area. Distribution pattern of birds in Mt. Seoraksan National Park showed differences by elevation. There was difference in attitudinal distribution pattern of birds in Mt. Seoraksan National Park. It seems that habitat preference or selection is different in each species. Attitudinal habitat preference of each bird species need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는 조류군집의 계절적, 고도별 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조류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오색-대청봉과 백담사-대청봉 지역에서 2001년 5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동안 실시되었다. 2개 조사 지역에서 쇠박새, 쇠솔새, 진박새, 동고비 등이 전체 고도별 구간에서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매, 칼새, 진홍가슴, 유리딱새, 솔새사촌, 노랑눈썹솔새, 검은머리방울새, 떼까마귀 등은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만 관찰되었다. 동고비와 어치는 번식기인 봄과 그 밖의 계절 사이에 분포하는 고도에 차이가 있었다. 각각의 종들이 해발고도별로 분포를 달리하는 것은 서식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한 적응 형태인 것으로 보이며, 각 종별 생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First Record of a Specimen of the Tufted Puffin Fratercula cirrhata from Korea

        Hwa-Jung Kim(김화정),Wee-Haeng Hur(허위행),Shumpei Kitamura,Jin-Han Kim(김진한)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4

        일본 효고현 사람과 자연의 박물관에서 지금까지 한국에 기록이 없던 종인 댕기바다오리 (가칭) Fratercula cirrhata의 표본 1점을 확인하였다. 이 표본의 도쿄농업대학 라벨에는 1933년 8월 2일자 함경북도 경흥군 두만강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The Tufted Puffin Fratercula cirrhata is newly recorded on the basis of a specimen from Korea in the Museum of Nature and Human Activities, Hyogo in Japan. This specimen was collected from Dumangang, Gyeongheung-gun, Hamgyeongbukdo on 2 August 1933.

      • SCOPUSKCI등재

        만경강 지역 조류군집의 특성과 관리 방안

        이우신,박찬열,임신재,허위행,Lee, Woo-Shin,Park, Chan-Ryul,Rhim, Shin-Jae,Hur, Wee-Haeng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types in Mangyeong River area from Aug. 1999 to Jun. 2000. Paddy field was the most dominant land use type. Water area, mudflat, shrub field, urban area and green house were also dominant land use types in study area. Eighty-eight bir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study period. Maximum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shown as 58 species and 7,084 individuals in Oct. and Jan., respectively. There were low number of diving ducks and clumped pattern of waterfowl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Dabbling ducks distributed at upper reaches near Samrye Bridge, and plovers and sandpipers at lower reaches near estuary. Those results suggest that creation of pools over one meter water-depth and restoration of paddy field into riparian zone with diverse shrub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bird diversity in the Mangyeong rived. 본 연구는 1999년 8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만경강의 조류군집 특성과 관리 방안을 파악하고자 조류군집과 서식환경을 조사하였다. 만경강에서 조류의 서식환경으로 논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수역, 갯벌, 관목지대, 주거지, 비닐하우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88종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종수는 10월에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수는 1월에 7,084개체로 가장 많았다. 만경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은 잠수성 오리류의 종수가 적고, 상류와 하류의 지역별 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라 물새의 분포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수면성 오리류는 삼례대교 상류지역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도요 물떼새류는 하류지역의 갯벌을 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만경강에 다양한 조류를 서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부 지역에 수심이 1m 이상 되는 지역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잠수성 오리류의 서식을 유도하고,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는 하변지역을 관목식생지로 복원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시화호 인공습지 동물상 조사연구

        이우신,우건석,심재한,허위행,최현정,이상철,권순국,Lee, Woo-Shin,Woo, Kun-Suk,Shim, Jae-Han,Hur, Wee-Haeng,Choe, Hyun-Jung,Lee, Sang-Chul,Kwun, Soon-Kuk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46 No.3

        The Shihwa wetland, a newly developed constructed wetland prototype in Korea with an area of approximately 104 ha, was establishe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severely polluted inflow streams into Lake Shihwa. Because this wetland could play a role as an ecological park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water quality, an ecological impact of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has been a national concern. This paper focused on reporting the survey results for fauna among the entire investigation results for 3 years. A total of 129 terrestrial insect species have been observed from August 2001 to June 2002. Among them, Ischnura asiatica (Brauer) (order Odonata), Scymnus species (order Coleoptera) and Orthopteran species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reed bushes. A total of 77 bird species were recorded in a seasonal count,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was 34 in winter and the maximum number of individuals was 4,599 in summer. For the freshwater fish, only 4 species were found in 2000, however in 2001 and 2002, 12 species and 459 individuals were collected at four survey points. Among these 12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ere Mugil cephalus(36%), followed by Carassius auratus (25%) and Rhinogobius brunneus (22%). Meanwhile,12 individuals of Oryzias latipes were observed nearby, mostly downstream of the wetland. For the Herpetofauna at four survey areas, 3 species of amphibians and 3 species of reptiles were recorded. Because of remaining salinity in the soil of the Shiwha constructed wetland, Herpetofauna inflow to the wetland was scanty and mainly inhabited the upstream area. A total of 8 mammal species were recorded. Small-sized species were the striped field mouse, the Ussurian harvest-mouse, the Manchurian reed vole and the brown rat. Middle- and large-sized species were Korean water-deer, Korean raccoon dogs, Korean yellow weasels and feral c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