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수필(古典隨筆)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주재우(朱才佑) ( Joo¸ Jae-woo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4

        이 연구는 고전수필의 개념이 성립하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하여 문학교육을 위한 고전수필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한 시론이다. 이를 위해 수필의 개념이 자리 잡은 1930년대 수필론에서 수필 개념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수필의 필수적 조건으로 무형식, 비전환표현, 형상성 등을 도출하였고, 필자의 수준 높은 삶에서 글이 나와야 한다는 점을 충분조건으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고전수필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했다. 1930년대 수필론에서는 고전수필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고전수필은 그 이전부터 인식된 적도 있다. 다만 수필이라는 기표에 집착해서 고전수필을 이해하거나 미분류의 글인 잡저로 한정할 경우 고전수필의 범위는 협소해질 수밖에 없다. 반대로 비허구적 산문 전체를 수필로 간주할 경우 교술과 수필의 경계가 사라진다. 따라서 수필의 무형식을 ‘형식의 없음’이 아니라 ‘형식의 자유로움’으로 이해하고 이에 더하여 ‘비전환표현+형상성’을 갖춘 근대 이전의 글로 보았을 때 고전수필은 문체나 형식에 구애되지 않고 확장될 수 있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cept of classical essay is possible. To this end, we explored the concept of essay in essay theory in the 1930s when the concept of classical essays established. The essential requirement of an essay are form of no-form, non-fictional expression, and a character of shape. Although the essay theory of the 1930’s did not recognize the existence of classical essays, classical essays have been recognized since then. However, if the classical essay are recognized by articles named essays or unclassified articles, the scope of classical essays will inevitably be narrow. Moreover, the whole of nonfictional prose cannot be recognized as an essay because didactic genre and essay are not same. The intangible formula of an essay should be understood not as the absence of a form but as the freedom of form. Therefore, classical essays can be regarded as works with a free form, non-fictional expression, and a character of shape before modern times.

      • KCI등재

        북한 초급중학교 쓰기교육 내용 분석 -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작문학회 2018 작문연구 Vol.0 No.38

        본고는 북한의 2013 교육과정과 초급중학교 교과서를 대상으로 북한 중등학교의 쓰기교육 내용을 파악해 보고, 이를 남한의 쓰기교육과 비교 분석하였다. 북한의 교육과정은 중핵적인 부분을 반복 심화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관찰을 통한 쓰기를 생활화하도록 하였으며, 북한 사회의 문화적 양식으로 자리 잡은 글쓰기 유형을 학년에 따라 배우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제작된 초급중학교 교과서는 이전 시기와 다르게 쓰기교육이 지식 이해가 아닌 학습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학습활동은 글쓰기의 과정 중 어휘 표현 부분을 강조하며, 관찰을 통한 관찰일기·묘사글 쓰기 등이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교육용 글쓰기 양식인 토막글 쓰기와 북한 사회의 문화적 양식으로서 다양한 옹근글 쓰기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집단적으로 생산해 내도록 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남북한의 쓰기교육을 비교해 볼 때, 남한의 열린 교재관과 대비되어 북한은 닫힌 교재관을 지향하고 있다. 쓰기교육에도 소재나 제재 면에서 강한 정치이념성이 드러나는데, 특히 남한과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토론글 쓰기가 대표적 사례이다. 설득하는 글쓰기의 경우 남한은 논증의 요소에, 북한은 설득의 방식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North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materials are the 2013 revised curriculum and elementary middle school textbooks in North Korean. It would be also compared writing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 education is that the core contents are repeated, the habit of observing and writing around is very important. The writing styles are cultural forms used in North Korea. New textbooks of North Korea have more learning activities than knowledge understanding and have a paragraph writing and a complete writing together, and pursue collective writing rather than individual writing. Writing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an open view on textbooks, but North has closed view. Textbooks in North Korea is still strongly ideological, and teaching persuasive writing focused on not elements of argument but the methods of persuasion.

      • 사용자와 공감하기 : 서비스/제품 개발을 위한 Empathy 방법론 연구

        주재우(Jaewoo Joo),오동우(Dongwoo Oh)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최근 서비스/제품 개발과정에서 사용자 경험 (UX) 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 방법론 적용 과정에서 본 목적과는 달리 사용자에 대한 정형화된 (Stereotypical) 데이터를 모으는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이를 해결할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 조사 방법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연구되어 온 휴리스틱 의사결정 연구와 본인-타인 귀인 차에 관한 연구를 통해, UX 디자이너가 찾고자 하는 사용자 니즈가 사용자 본인이나 디자이너에 의해 충분히 발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방법론적 대안으로서 공감하기 (Empathy) 의 한 방법인 관점 바꾸기 (Perspective-taking) 를 제안한다. 두 가지 비교실험을 통해, 관점 바꾸기를 시도한 실험 참가자들이 그렇지 않은 실험 참가자들에 비해, 타인의 (1) 상황 (context) 과 (2) 행동 (activity) 을 더 많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관점 바꾸기가 사용자 경험을 깊이 이해하고 숨겨진 사용자 니즈를 찾을 가능성을 높인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조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그 대안으로서 공감하기의 한 방법인 관점 바꾸기를 제안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User Experience research often collects stereotypical user data. We draw on the findings from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two topics, decision heuristics and self-other attribution gaps, and conclude that user needs are neither fully articulated by users themselves nor identified by researchers. We propose that perspective-taking, as a method of empathy, enables user researchers to understand user experience deeply, which enhances a chance to identify inarticulate user needs. Two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when subjects were asked to take the perspective of a user, they reported more information about (1) the context and (2) the activity of the users than when they were not. This work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user research by identifying its problem and solving it.

      • KCI등재

        김정은시대의 북한 초급중학교 국어교과서 분석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독서학회 2018 독서연구 Vol.0 No.48

        본고는 김정은시대에 새롭게 개발된 초급중학교 국어교과서를 대상으로 서지사항, 읽기 제재의 내용과 특성, 이전 시기의 교과서와 비교, 국어교육 하위 영역별 교육 내용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전 시기와 달라진 점은 지식 전달 중심에서 학습 활동 중심으로 변화, 설명문이나 고전 작품의 다양화로 나타난 탈이념적 조짐 등을 꼽을 수 있다. 영역별로 보면, 듣기·말하기 영역이나 읽기 영역은 학습 활동의 내용이 많지 않으나 남한과 달리 구연하기가 나타나고, 어휘의 표현 문제를 비중있게 다룬다는 특징이 있다. 쓰기 영역의 경우 매학년마다 다양한 글쓰기 장르를 배우며, 문법 영역의 경우 감정적 언어의 의미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나 있다. 문학 영역의 경우 교과서 읽기 제재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문학 비중이 높고 문학을 활용한 통합적 국어활동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textbook of elementary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under Kim Jung-eun Era. So this study revealed bibliographic items, the characters of reading material of textbook, and make clear the difference of before and after under Kim Jung-Eun era. The textbook of Kim Jung-Eun has shifted from knowledge to activity, emerged signs of de-ideologization of character on reading materials of explanation and classics. The characters of Korean textbook of Kim Jung-Eun are as follows. The areas of listening and speaking and reading are not wide but contains propaganda and vocabulary expression activity. The area of writing a various writing genres at each grade, and the area of grammar emphasize the field of semantics. 70 percent of reading materials in the textbooks consist of literatures pursued integrated Korean education activities.

      • KCI등재

        대학의 국어교육 교재 구성 원리 연구 -작문 영역의 위상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30

        이 연구는 대학의 국어교육 교재 구성 원리를 탐색하고자 광복 후 대학의 국어교육 교재가 어떻게 변모해 왔으며, 그 가운데 작문 영역은 어떠한 내용들을 교육 대상으로 삼아왔는지 살폈다. 대학국어 교재는 출발 시기부터 작문을 주요 영역으로 포함시켜 시작하기는 했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비중이 점차 커져 왔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는 작문이 고도의 사고능력을 요하는 지적인 활동이며 중등교육과의 차별성이라는 데서 교육적 가치를 찾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대학국어 교재가 작문을 강화하면서 강독용 교재로서의 성격은 사라졌다. 이는 국어교육이 ``내용``이 아니라 ``방법``을 가르친다는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국어교육의 정체성을 찾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대학의 국어교육에서 작문영역이 다루는 내용을 살폈다. 초기 교재와 최근 교재의 대비를 통해 두 시기의 교재가 모두 작문영역에서 글쓰기의 과정과 장르별 글쓰기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러나 초기 교재의 경우 글쓰기의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을 문학이론에서 가져왔다는 점, 문학적 글쓰기의 비중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초기 교재에서는 수사법이나 문체와 관한 내용을 작문 내용으로 포함시키고 있다. 오늘날 교재는 문학을 별도의 분과로 인식하여 작문의 방법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나 내용학으로서의 대학국어에 대한 인식도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subject of teaching materials organization principle has the been transformed and what the content area of the teaching writing in the Korea university. College teaching material about the writing is not included in the main areas from the time of departure, as time progresses, the proportion was confirmed that it has been growing gradually. Because it was observed educational value in terms of intellectual activities that require a high degree of thinking ability. At the same time, to strengthen the writing teaching materials, the nature of as a reading textbook was supposed to disappear. This is because they began to seek the identity of the korean education in the teaching language skill. Today, only the method of writing emphasizes in college korean teachin, but the contents of korean teaching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언어와 매체』 교과서를 통해 살펴 본 매체 과목의 정체성

        주재우 ( Joo Jaewoo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3

        본고는 고등학교 ‘매체’ 과목의 정체성을 탐색하기 위해 2015 교육과정과 이를 구현한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이 ‘본질’, ‘탐구와 활용’, ‘태도’로 영역 구분을 하고 있는바, ‘지식’, ‘기능’, ‘태도’의 측면에서 살폈다. 먼저 지식의 측면에서는 매체와 매체 언어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으나 내용(콘텐츠)과 대비되는 매체(미디어)의 의미를 강조하거나 복합 양식성을 핵심 개념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기능’의 측면은 수용과 생산으로 구분되는데, ‘수용’과 관련해서는 제작의 주체, 드러냄과 감춤이라는 재현의 문제가 특징적이다. ‘생산’과 관련해서는 매체의 의미 실현에 초점을 두었다. 매체 언어의 창의적 표현이나 심미적 가치 이해는 종전의 국어교육과 유사성이 많으나 복합 양식적 특성 면에서 차별화를 꾀했다. 끝으로 ‘태도’ 측면은 매체가 인간관계 및 사회생활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이나 대중문화의 부정적인 측면을 인식하고 그것을 개선하는 방향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This study analyzes language and media textbooks, which were implemented with the 2015 curriculum, to explore the identity of high school media subjects. The curriculum is based on “essence,” “exploration and utilization,” and “attitude.” This study examines the textbooks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based on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n terms of knowledge, the focus of the curriculum is on identify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media and media language. They emphasize the meaning of the media that contrasts with its content and presents multi-modal characters as a key concept. In terms of function, they are divided into consumption and production. When consuming media, the curriculum examines who produced it and what it hides; in media production, they focus on what the media means. In the processes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media, differentiation is made between the multi-modal characters and traditional Korean education. The tone of the textbooks includes a look at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edia or the dark side of popular culture, and they present an attitude that can improve these effects.

      • 삶으로서의 역설(逆說) - 설 작품에 나타난 역설을 중심으로 -

        주재우 ( Joo Jaewoo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2 先淸語文 Vol.51 No.-

        Paradox is understood as one of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poetry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paradox as a structure of understanding life. This study would like to confirm through the classical work Seol(說) that ‘the paradox we live by is an important framework of perception that explains our lives. The Seol genre contains the enlightenment gained from the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of our ancestors. One of the enlightenments is the wisdom of the paradox. This study classified aspects of the paradox in the Seol into three main categories. First, a dangerous place is a safe place. < Juongseol(舟翁說) >, < Nakchiseol(落齒說) > are the cases. The modified forms are < Seongmokseol(升木說) >, < Chamaseol(借馬說) >. Second, the way to difficulty is the way to achieve success. < Dojaseol(盜子說) >, < Choseol(棗說) are the cases. Third, stupidity is wisdom. < Deongsanseol(登山說) >, < Sujolseol(守拙說) >. The modified form is < Yiyongseol(二傭說) >. These works will help us understand East Asian culture that embraces contradictions.

      • KCI등재
      • KCI등재

        <심청전>에 나타난 설득 담화 양상 연구 ―표현교육의 제재로서 ‘신재효본’의 가치를 중심으로

        주재우 ( Joo Jaewoo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2

        이 연구는 <심청전>에 나타난 설득 담화 양상을 분석하고 그 전략과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고전 작품을 통한 표현교육의 확충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청전> 이본 중 신재효본을 완판본과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심청과 심봉사의 설득 담화에서는 부녀지간의 특수성을 고려한 설득 전략이 드러나 있다. 설명적 예시를 통해 주장을 뒷받침하며 이것들과 비교를 통해 청자의 부담감을 줄이려는 표현 전략으로 활용되었다. 심청과 장승상 부인의 설득 담화는 완판본에만 나타나 있고, 신재효본에는 나타나 있지 않는데 극적인 효과 대신 현실적 합리성을 택했다고 볼 수 있다. 심청과 황제의 설득 담화는 공적인 상하관계에서 비자발적인 발화로 시작하여 돌려 말하기를 통해 요청하기를 수행하는 한 양상이라 할 수 있다. 서사의 합리성을 갖춘 신재효본에 대한 평가에 기대어 설득 담화의 합리성을 탐구해 본 결과 신재효본은 첨예하게 대립되는 논쟁 상황에서는 설득의 논리와 전략이 돋보이는 이본으로서 표현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 of persuasion conversation in Korean classical novel < Simcheongjeon(沈淸傳) > and derives its strategy and features. Through this, we want to realize the understanding of a traditional language culture of persuasion and enlarge the educational content for expression. The following features of persuation conversation are shown in Shinjaehyobon(申在孝本). Simcheong persuaded her father used illustrative examples and comparisons scheme to reduce his father’s psychological burden. There is no persuasion conversation between Shim Chung and noble lady Jang, because the converted writer Shinjaehyo chose narrative rationality rather than dramatic effect. To persuade the emperor to hold a feast for blinds, the empress Simcheong spoke in passive and indirect dialogue. Shinjaehyobon among < Simcheongjeon > versions is a material for expression education that shows the traditional strategy of persuasion.

      • KCI등재

        설 양식을 활용한 유추적 글쓰기 교육의 구도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2 고전문학과 교육 Vol.23 No.-

        글쓰기에서 창의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글쓰기교육의 국면에서 보면 어떻게 창의적으로 글을 써야 할지 그 방법이나 절차가 체계적으로 제시 되어 있지 못한 점이 있다. 본고는 고전 설 양식이 유추를 통해 이루어진 글쓰기 산물이라는 관점에서 창의적 사고의 도구인 유추를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절차를 구안해 보았다. 설 양식은 사건이나 물건에 대한 경험이나 관찰을 다루고 있는 기사(紀事)라는 부분과 그 의미를 풀어놓은 설리(說理)로 이루어져 있다. 이 둘 사이에서의 관계는 구체성을 띤 근거 영역과 추상적인 목표 영역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둘 사이의 관계를 기반으로 해서 기존의 근거 영역을 보고 또 새로운 근거 영역을 찾아보는 활동, 근거 영역에서 목표 영역을 도출해 보는 활동, 목표 영역을 염두에 두고 가상의 근거 영역을 지어내는 활동 등을 구안해 낼 수 있었다. 개인이 성장할 때 구체적 조작기를 거쳐 형식적 조작기로 발달해 간다는 피아제의 발달 이론을 참고해 볼 때 유추적 글쓰기 교육은 구체적인 대상에 대해 생각하는 활동에서 추상적인 개념을 다루는 활동으로 위계화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procedure of teaching analogical writing based on traditional writing style ‘Soel(說)’ which is a product of analogical thinking of ancestors. ‘Soel’ style is composed of gisa(紀 事) contained one’s observation of object or experience of event and seoli(說理) contained a meaning or an opinion. These correspond to an abstractive source domain and a concrete target domain of modern analogical writing. Therefore, teaching analogical writing would design as below. First, see existing source domain, make source domain another. Second, draw a target domain through a source domain. Third, see a target domain and create source domain. This procedure based on hierarchy from writing a concrete subject to writing a abstractive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