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조부경(Cho Boo-Kyung),이은진(Lee Eun-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의 수준과 이와 관련된 예측변인 탐색하여 앞으로 유아과학교육 뿐 아니라 유아교사교육을 위한 기초로서 활용하고자 하 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공ㆍ사립 유치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과학교수지식과 교사 내ㆍ외적 요인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배부한 후 회수된 257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치원교사의 과학교수지식의 수준은 전체 및 하위 6개영역 모두에서 보통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교사의 과학교수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 요인 중 대학이전의 과학경험, 대학에서의 과학경험, 교사가 된 후의 과학경험, 과학 및 과학교육 태도, 과학교수 개인 효능감이었으며, 외적 요인 중 유치원의 지원 환경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흥미로 나타났다. 과학교수지식을 가장 유의미하게 예언해 주는 변인은 과학교수 개인 효능감, 교사가 된 후의 과학경험, 과학 및 과학교육 태도로 이는 모두 교사의 내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early childhood science teaching. 257 kindergarten teachers were randomly sampled in a suburban area.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wo questionnaires: the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rating scale' re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rating scale' (Park, 2003) and the 'Kindergarten teacher's background questionnaire'. The teachers' PCK was above average in all six areas and was related to the following variables: science-related experience before and during university and in their teaching,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science supporting environment of the kindergarten, and their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However,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kindergarten teachers' PCK were the teachers'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teachers' science-related experience in their teaching, and their attitudes towards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teachers' personal variables are more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teachers' PCK.

      • KCI등재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조부경(Cho, Boo-Kyung),서윤희(Seo, Yu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육과 1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40명이었으며, 실험집단 20명은 16주 동안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에 참여시켰다. 연구결과 첫째,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의 변화량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교직에 대한 인식의 변화량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직전문성과 교직선호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셀프리더십 교육활동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교직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program on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 area. The experimental group were 2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with self-leadership program for 16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leadership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especially general self-efficacy. Second, the self-leadership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especially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eacher orientation. Over all, the self-leadership program help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본질과 실천방향 탐색

        조부경(BooKyung Cho),서현정(Hyunjung Se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인류의 발전을 주도해 온 과학기술이 만들어낸 자연고갈과 기후변화, 이로 야기되는 경제적 불평 등과 빈곤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유아기부터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는 과학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지향 교육의 본질과 유아과학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해 고찰하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을 위하여 관련 전문가 18명과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와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실천방향에 대해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과학교 육은 ‘유아-교사-생명체간 상호존중’, ‘개별 탐구 기반 공동체 의식 함양’, ‘유아의 눈으로 세상 바라보 기’, ‘관심 주제에 대한 심화와 확장’, ‘지속적 탐구와 몰입’, ‘대화와 공유 중심 탐구’로 범주화 되었 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과학교육은 유아가 관심 있는 주제로부터 출발하여 상호 존중 의 탐구 경험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자연에 대해 지속적으로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Science and technology have led the development of mankind, but have created problems such as natural depletion, climate change, economic inequality and pover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sci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contribute to the harmony of nature and human being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s, 18 experts and 15 teachers were interviewed on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categorized as follows. ‘Mutual respect between child-teacher-organism’, ‘developing individual inquiry-bas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looking at the world with child’s eyes’, ‘deepening and expanding on topics of interest’, ‘continuous inquiry and commitment’, ‘conversation and sharing-centered exploration’. By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start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and was a meaningful process in which children constantly learn about the nature surrounding themselves based on mutual respect.

      • KCI등재

        유치원교육의 지역화를 위한 대학과 지역교육청 및 유치원 간 협력 방안 모색

        조부경(Cho Boo-Kyung),남옥자(Nam Ok-Jah)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유치원교육의 지역화를 위하여 대학과 지역교육청 및 유치원이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의 지역화 및 협력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교수, 장학사 교사를 대상으로 지역화를 위한 협력의 필요성과 방향 및 내용 등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으며, 1개의 대학, 지역교육청 유치원에서의 협력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교육의 지역화를 위한 협력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구성원 간에 지역화의 개념 및 방향에 대한 공유와 상호 존중하는 관계 속에서 주체적으로 발전 해간다는 의식과 실천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가능한 한 인근지역의 교수, 장학사, 교사가 함께 협력 팀을 구성하되 지역화를 위한 협력의 내용에 따라 팀 구성은 달라질 수 있으며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기관의 문화를 조정해줄 수 있는 연결자와 구성원 모두의 주도성, 힘의 공유 상호 학습 등이 필요하다. 협력의 초기에는 지역화를 위한 특정 내용에 대해 깊이 있게 협력하려하기보다는 그때그때 필요한 내용에 대해 서로 원하는 답을 얻는 방식으로 시작하여 점차 (폭을 좁혀*삭제) 심도 있게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치원교육의 지역화는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틀을 기반으로 하되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arch a solution that universities, school districts, and kindergartens could collaborate for the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review of literature on localization of education and collaboration and need assessment of professo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importance and direction of collaboration for localization were examined. One case of collaboration with a university, a school district, and a kindergarten was also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for the collaboration of localiz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succeed, the understandings on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collaboration and the awareness of initiative involvement among the participants should be founded. The collaboration team consists of professors, supervisors, and early childhood but the team members can differ according to their content of collaboration. For the collaboration to be smooth, leadership, ownership, sharing power, and mutual learning among team members are needed. The facilitator is also necessary to control the culture of each organization. At the beginning of collaboration, rather than in depth of a certain topic, starting with getting answers when needed and gradually narrowing down to a deeper subject is more desirable. Since the localiz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be altered according to the various local characteristics, a basic form should be the foundation while the diversity is esteem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조부경(Cho, Boo-Kyung),서윤희(Seo, Yun-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셀프리더십 이론 및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모형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고,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요구를 조사하여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이론적 준거와 실제적 준거를 토대로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모형 시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시안은 예비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총 16주간 2인의 연구자가 함께 적용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최종 제시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셀프리더십 교육프로그램 모형은 기본관점 및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및 운영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16회차 32시간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모형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를 토대로 자기관리능력과 전문성 있는 유아교사로 성장해나갈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lf-leadership program model for the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o develop this model, the theoretical ground for a model was found on the basis of a review on self-leadership, self-leadership programs, and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en, 30 pre-service teachers" requirements of self-leadership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were investigated. This constructed model was consisted of basic viewpoints and purpos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operating system of self-leadership program. 20 pre-service teachers in a university had been participated in this self-leadership program for 16 weeks. It showed that the self-leadership training program could improve pre-service teachers" self-management skills based on positive self-understanding and their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

      • KCI우수등재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조부경(Boo Kyung Cho),서소영(So Young Seo)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of Kindergarten teachers. Data was obtained from 317 kindergarten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Riggs & Enochs). Results indicated that science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attitudes about science and teaching science, and children`s interest in science influenced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Science related experiences of childhood and schooling negatively affected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 KCI우수등재

        교사의 질문유형에 따른 유아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

        조부경(Boo Kyung Cho),조성연(Song Yon Cho),박수옥(Soo Ok Park) 한국아동학회 1996 아동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differences in creativity among young children and differences in creativity as a function of the questioning patterns of teachers. The subjects were 4 teachers and 133 five-year-old children (63 boys and 70 girls). The questioning of teachers were categorized into divergent vs. convergent patterns by 3 trained observers. The TTCT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Creativity scores on fluency, elaboration, originality, and abstractness of titles differed by questioning patterns. Girls` elaboration scores were higher than boys` as a function of teachers` divergent questioning patterns. Boys` abstractness of titles was higher than girls` as a function of teacher`s convergent questioning patterns.

      • KCI등재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한 유치원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영향

        조부경 ( Boo Kyung Cho ),지옥정 ( Ok Jong Ji ),김경철 ( Kyung Chul Kim ),정아림 ( A Rim 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한 유치원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감수성과 생명존중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27명, 통제집단 27명으로 실험집단에게는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하여 구성한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프로그램을 10주간 실시하였으며, 환경 감수성 검사와 생명존중인식 검사를 사전사후에 두 집단 모두에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환경감수성과 생명존중인식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유치원에서 독자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운 체험중심의 멸종위기동물 환경교육을 유아환경교육관과 연계하여 실시할 때 유아에게 환경에 대한 감수성과 생명 존중 인식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Endangered Ani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affects young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This program focused on making a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The sample group consisted of 54 young children (27 experimental group, 27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27 children in 10 week session.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est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Test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s.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meaningful improvements in all areas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t implies that, if the program plans and administrates while being connec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it can help increase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respectful recognition of life.

      • KCI등재

        비 내리는 현상에 대한 만 3-5세 유아의 개념 유형 분석

        조부경 ( Cho Boo-kyung ),딩슈잉 ( Ding Xiu-ying ),김경은 ( Kim Kyung-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비 내리는 현상에 대한 만 3-5세 유아의 개념 유형과 개념 유형의 연령별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세종시에 위치한 2개 어린이집의 만 3-5세 유아 62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기초로 구성한 인형극 형식의 면담을 기초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비의 속성`에 대한 개념 유형은 4가지로서 `무관심 및 무응답`, `물리적 속성 인식`, `직관적 인식`, `주관적 상상` 유형으로 범주화되었고 `비의 생성`에 대한 개념 유형은 5가지로서 `무관심 및 무응답`, `현상적 특성 인식`, `주관적 상상`, `사회적 지식의 일반화`, `사회적 지식을 활용한 주관적 추론`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비의 속성`에 대한 이해를 보면 만 3세의 경우 `무관심 및 무응답`이 가장 많은 반면 만 4, 5세는 물이라는 `물리적 속성 인식`을 가장 많이 나타냈다. `비의 생성`에 대한 이해를 보면 만 3-5세 모두 `현상적 특성 인식`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두 번째 많은 반응은 만 3세의 경우 `무관심 및 무응답`이었고 만 4-5세의 경우에는 모두 `사회적 지식의 일반화` 유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how children aged three-to-five years old understand the mechanism of rainfall and to reveal possibl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 total of 62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t two daycare centers in Sejong City. Data was collected in the manner of using puppets in an interview based on previous research. Study results regarding the `properties of the rai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concepts: `unconcerned or non-response`, `cogni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intuitive cognition`, `subjective imagination`. Responses about `formation of the rain`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categories as follows: `unconcerned or non-response`, `cognition of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imagination`, `generalization using social knowledge`, `subjective inference using social knowledge`. Regarding `properties of the rain`, the most common response among three-year-old children was under the category of `Be unconcerned or Non-response` while the age group of four-to-five year-old children made comments under the `cogni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e category for the `formation of the rain`, the most common type of category responded to was `cognition of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econd most common type of category responded to among three year-olds was `unconcerned or non-response`.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ost common type of category responded to among four to five year-olds was `generalization using social knowledge`.

      • KCI우수등재

        유아의 장독립성 - 장의존성 인지양식에 따른 사회, 인지적 놀이형태에 관한 연구

        조부경(Boo Kyung Cho),장선화(Sun Hwa Jang) 한국아동학회 1995 아동학회지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ocial play, cognitive play, and social-cognitive play patterns as related to young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s. Sixteen field independent and sixteen field dependent children were selected from a group of 79 young children with the use of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PEFT). Their social play, cognitive play, and social-cognitive play patterns were observed.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 frequency, percentage and χ²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1) difference of social play patterns as related to young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s was not found, (2) differences were found in cognitive play patterns as related to young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s, and (3) differences were found in social-cognitive play pattern as related to young children`s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