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영산강 하구 당곶창 고찰

        정현창(Jeong, Hyeon-Chang)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조선시대에 목포시에는 목포진, 고하도진, 당곶창 등 세 곳에 수군진이 있었다. 선조 31년(1598) 2월 17일 전까지 이순신이 수군과 군량을 확보하고 무기와 전선을 건조하여 조선 수군을 재건하였다. 통제영이 고금도로 이영한 후에 고하도 통제영에서 확보한 군량 중에 남은 군량을 별장으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다. 이후 고하도 군량을 당곶으로 옮기게 된다. 그곳이 바로 통제영 소속 당곶진이었다. 이는 당곶, 당곶도청 또는 당곶창으로도 불렸다. 지금까지 이 당곶창은 인조 25년(1647)에 고하도진에서 당곶으로 옮겨졌다는 일반적인 견해였다. 그러나 『비변사등록』과 『일성록』에서 선조 36년(1603)에 이설되었음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제까지 당곶창과 당곶진, 나주 당곶창과 무안 당곶창이라는 용어에 대하여 추적한 결과, 시기를 달리하여 당곶진과 당곶창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이는 시기를 달리하는 두 곳의 당곶창이 있었음도 밝혔다. 폐진 시기는 사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나주당곶진은 순조 10년(1830)에 폐진되었다고 하겠다. 그리고 당곶창의 위치는 당가두라는 주장은 『비변사인방안지도』 『호남지도』를 간과하여 발생한 오류임을 지적하였다. 두 곳의 당곶창은 용당 인근 전남제일고 인근 당꼬마을 일대와 하당 명도어린이집 일대에 있었을 것이다. There were three naval bases called Sugunjin in Mokpojin, Gohadojin, and Danggotchang in Mokpo city during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Before February, 17th, 1598 (31st year of King Seonjo’s reign), Yi sun-shin had secured the naval base and provisions, and reconstructed the Joseon naval forces by building the arms and battleships. After Tongjeyoung moved to Gogeumdo, the provisions left in the old Tongjeyoung, Gohado were kept by Byeoljang. Then, the provisions in Gohado were moved to Danggot which was Danggotjin belonging to Tongjeyoung. It was called Danggot, Danggotdocheong, or danggotchang. It has been a common view that Danggotchang was moved from Gohadojin to Danggot in 1647 (25th year of King Injo’s reign). But according to 『Bibyeonsa Deungrok』 and 『Ilseongrok』, the movement was made in 1603 (36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This study traced back the terms Danggotchang, Danggotjin, Danggotchang in Naju, and Danggotchang in Muan, and resulted that the terms, Danggotjin and Danggotchang were used in different periods. And there were also two Danggotchang’s in different periods respectively. The time when the base was closed is a little different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but Danggotjin in Naju can be said as closing in 1830 (10th year of King Sunjo’s reign). The argument that the location of Danggotchang is in Danggadu is a mistake made by neglecting 『Map of Honam』, 『Bibyeonsain Banganjido』. Two Danggotchang’s would be located in Danggo near Jeonnam Jeil High School neighboring Yongdang and near Myeongdo Daycare Center in Hadang respectively.

      •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에 관한 연구

        정현창(Hyeon-chang Jeo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7

        한산해전 이후로 국가지보장인 호남을 방어하기 위하여 한산도로 전진기지를 옮긴 후에 이순신에게 삼도수군통제사라는 직함이 제수되었다. 이를 계기로 생긴 통제영이 좌수영이냐 한산도냐 하는 문제로 의견이 분분하였다. 통제영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쓰인 시기는 1606년(선조39)이었다. 임란 당시의 제 기록을 통하여 당시에는 통제영이라는 용어는 없었으며 통제영이라는 용어 대신에 본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임란 무렵에는 본영이라고 부른 장소가 통제영이었다. 본영 외의 장소를 말할 경우에는 행영, 진, 해진, 해영 등의 용어를 사용하였다. 당시 통제영은 전라좌수영이었고, 여수는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이었다. 한산도가 통제영이라고 주장하는 몇 가지 근거들을 분석하고 한산도는 통제영이라고 칭할만한 여러 가지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곳이었음을 밝혔다. 삼도수군통제영이 삼도의 수군을 통제하는 본연의 주된 업무를 조직적으로 관할하는 수영으로 정상적으로 국가행정력으로 통제 가능한 영역으로 선소를 포함한 일정한 규모의 충분한 지상 수군기지일진데 주된 업무를 조직적으로 관할하는 국가행정력으로 통제 가능한 영역인 삼도수군통제영은 전라좌수영지인 여수 본영이었다. 한산도는 지상 수군기지가 아닌 최소한의 필수적인 기능을 지닌 전진기지이었다. 이순신이 지키려는 이 나라 즉 호남을 침범하려는 왜선이 오는 필수 길목에 세운 임시 전초 전진기지 통제사처일 뿐이었고, 한산도는 통제영이라고 칭할만한 여러 가지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곳이었음을 밝혔다. 이순신 삶의 완성이었던 호남이었고, 여수가 아니었으면 호남도, 국가도 없었다. 여수는 조선 수군의 핵심이었고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영 본영이었다. After the Battle of Hansan, the title of Samdo Navy Commander was defeated by Yi Sun-sin after moving the forward base to Hansan Island to defend Honam, a national security guard. As a result, there was a lot of disagreement about whether the control center was left naval camp Tyeosu or Hansan Island. The first time the term “Tongjaeyoung” was used was in 1606 (the 39th year of King Seonjo's reign).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place called the main castle was the control castle. When referring to the place other than the main castle, the terms such as the castle, Jin, Haejin, Haeyoung were used. Analyzing some of the grounds that Hansando claims to be Tongjaeyoung, Hansando revealed that it was not in conformity with various conditions to be called Tongjaeyoung. It is the Tongjaeyoung that systematically controls the main task of controlling the navy of Samdo Navy. It is an area that can be normally controlled by the national administrative power. It is a sufficient ground naval base of a certain size including the ship. The area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national administrative power that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main task was the Yeosu main Navy left area base of Jeolla province. Hansan Island was not a ground-based naval base but a forward base with minimal essential functions. It was only a temporary outpost base built on the essential road where Yi Sun-sin was trying to invade this country, Honam, and Hansando was not in conformity with various conditions to be called Tongjaeyoung. It was Yeosu, which was the completion of Yi Sun-sin's life, and without Honam, there was neither Honam nor Nation Joseon. Yeosu was the core of the Korean naval base and was the first Samdo naval base Tongjaeyeong.

      • KCI등재

        조선시대 ‘선소’와 ‘선창’의 용례와 개념

        정현창(Jeong, Hyeon-Chang),김병인(Kim, Byoung In)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1

        선소라는 용어는 조선시대부터 등장하여 현재까지 수많은 논문에서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의 어떠한 사전에도 등록되지 않은 어휘이다. 선소는 조선 전기에는 병선이나 조운선이 정박하던 포구를 지칭하는 의미였지만, 선창(船搶)과 선창(船倉)이 ‘전선소 정박처’, ‘선박처’나 수군선의 정박한 특정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조선 중기에 들어서면서 선창(船滄), 또는 선창(船倉)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선소 공간에는 병기와 육물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창고, 정박한 배를 묶어 놓을 수 있는 각종 항만 시설등이 만들어졌다. 이와 함께 관련된 용어도 다양하여졌다. 조선 후기에 들어서면서 선소라는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선창(船搶, 船滄), 창고로써 선창(船倉), 전선창(戰船廠), 대변정(待變亭) 등의 시설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그리하여 선소는 ‘수군 전선의 정박처 및 수군의 일차적인 제반 업무를 수행하는 항만시설을 포함한 일정한 군사적 공간’의 의미로 정립되어 갔다. 이와는 달리, 선창의 의미는 그 용어부터 다양하였다. ‘船艙, 船搶, 船倉, 船滄, 船槍, 船廠, 船窓’이 모두 같은 선창이다. 선소라는 용어보다는 선창이라는 용어는 그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착장이나 부두’라 할 수 있는 대표적인 개념을 함유하고는 있으므로 동일한 개념으로 적용할 수 있는 단일한 정의가 아니라는 것이다. 선소와 선창이라는 용어의 활용은 시대와 쓰임새의 사례에 따라서 정확하게 해석하여야 되고, 또한 적확한 한자를 부기하여 상황에 알맞게 적용하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term Seonso(船所) has been used in lots of articles and papers since the appearance of the term in the Chosun period, but the word is not found in any dictionary in modern times. Seonso meant a port where a warship or tax shipping freighter anchored in the early Chosun, but Seonchang(船搶) and Seonchang(船倉) were used as ‘Warship dock’, ‘dock’, or certain specific space for naval warships. Entering the mid-Chosun, the term Seonchang(船滄) and Seonchang(船倉) got used, and in Seonchang, there built some structures such as a warehouse to keep weapon or land product and port facilities in order to tie an anchored ship, which was why they were called in different term. In late Chosun, the term Seonso was commonly used, but it was mixed with the facility term such as Seonchang(船搶/船滄), Seonchang as a warehouse(船倉), Jeonseonchang(戰船廠 meaning a warship dock), and Daebyeonjeong(待變亭 kind of a pavilion). Thus, the meaning of Seonso could be established as a ‘certain specific military space including port facilities for warships anchored and primary general services of the naval forces’.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Seonchang was quite different in its term itself. ‘Seonchang(船艙), Seonchang(船搶), Seonchang(船倉), Seonchang(船滄), Seonchang(船槍), Seonchang(船廠), and Seonchang(船窓)’, they all have the same pronunciation with a different Chinese character. The term Seonchang contains more diverse meanings in its usage than Seonso. Even if the term Seonchang commonly has the concept of ‘berth or quay’, it is not a certain single meaning to be applied to anywhere or anything as the same concept. For the use of the terms Seonso and Seonchang, we, therefore, should define the accurate meaning of the term according to the times and examples they were used, and it would be helpful to add their Chinese character.

      • KCI등재

        發音島와 八禽島 · 長山島 그리고 姜莫只

        정현창(Jeong, Hyeon-Chang),김병인(Kim, Byeong-in)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2

        이순신이 머물었던 섬, 강막지가 살았던 발음도는 장산도인가 팔금도인가 아니면 소안도인가 하는 논란이 있다. 이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우선 팔이도, 발음도, 장산도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고지도를 통하여 본 팔이도는 장산도와는 별개의 섬이었다. 고려시대나 조선 초기에는 팔흠도 혹은 팔음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발음도로 등장한다. 15세기에는 밣흠도, 그리고 17세기에 이르러서 팔이도로 불렸다. 팔이도는 지금의 팔금도를 말한다. 장산도가 발음도라는 주장에는 세 가지 근거가 제시되었는데, 이들 모두 타당하지 않았다. 첫째 『만기요람』 군정편의 내용을 근거로 19세기까지 안파현(安波縣)으로 사용되었다는 주장은 온당치 않았다. 둘째 장산도에서 바라본 비금도보다는 팔금도 채일봉에서 바라본 비금도가 눈앞이 더 시원하게 보인다. 셋째, 발음도 산에서 바라본 위치를 들어 장산도라고 주장하는 오류도 지적하였다. 그리고 발음도와 팔금도의 발음상 유사성이 ‘학계의 오기’가 아니라 ‘지명의 변천’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강막지는 발음도의 유력한 토착민 출신이며, 지방방어군 역할을 맡은 양인 출신의 염간으로서 이순신에게 유의미한 인물이었다. 강씨 입향조를 통하여 강씨의 발음도 입도발자취를 추적해 본 결과, 진주강씨가 정유년 이전에 팔금도에 먼저 입도하였다. 정유년보다 훨씬 뒤에 강씨가 장산도에 입도한 것이다. 때문에 정유년 당시에는 팔금도가 발음도였음을 알 수 있다. 이순신이 아들 면의 전사 소식을 듣고 피를 쏟으며 통곡을 하였던 강막지 집이 있었던 섬, 고하도 이전에 일시적이나마 한 때의 통제사 진영이 있었던 섬, 이순신이 일기에 기록한 섬, ‘발음도’는 바로 ‘팔금도’였다. 팔금도는 정유년에 이순신이 강막지를 만났던 섬이었고, 자식을 잃고 하늘이 무너지는 아픔으로 통곡하였던 섬이었다. 결론적으로 고지도와 강씨 입향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노기욱 등의 주장처럼 이순신이 머물렀던 발음도는 팔금도임을 확인하였다. Bareumdo where Admiral Yi Sun-shin stayed and Gang Mak-ji lived has been the island of controversy on the name as Jangsando, Palgeumdo, or Soando. First of all, Parido was a separate island from Jangsando on the old map, and Bareumdo is rooted from Palheumdo and Pareumdo in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respectively, and then it was called Baleumdo in the 15th century, Parido in the 17th century. Parido is current Palgeumdo. This study found that the three grounds of the argument saying Jangsando is Bareumdo are not reasonable. First, the study discusses that the interpretation which it had been called Anpahyeon till the 19th century is not reasonable based on Gunjeong Part in Mangiyoram. Second, Bigeumdo overlooked from Chaeilbong of Palgeumdo gives the view opened out in front wider than from Jangsando. Third, the study indicated an error in the argument of Jangsando based on the location overlooking from Bareumdo mountains. In addi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similarity in the pronunciation between Bareumdo and Pareumdo is ‘changes of place name’, not ‘a mistake in records’. Next, the study reviewed Gang Mak-ji who was the figure important to Admiral Yi sun-shin and resided in Bareumdo. He was Yeomgan meaning a salt producer and served in the local defence forces as a commoner from native people. The review traced the history of how and when Gang family landed on the island, Bareumdo and settled down. The result showed that Jinju Gang Family landed on Palgeumdo first before the year of Jeongyu(1597) and then, Gang family landed on Jangsando much later than the year of Jeongyu. According to the result, Palgeumdo was called Bareumdo that time in the year of Jeongyu. The island where there was Gang Mak-ji’s house where Admiral Yi wailed at the news of his son, Myeon’s death on the battlefield, the island where there was the central military garrison, Tongjesa once before Gohado, the island that Yi mentioned in his diary, that is, the island ‘Bareumdo’ was just ‘Palgeumdo’, where Admiral Yi met Gang Mak-ji in the year of Jeongyu and wailed in mourning. His deep-rooted rancor against Japanese invaders might be derived from the wail in Bareumdo. In conclusion, it is confirmed that Palgeumdo is Bareumdo where Gang Mak-ji resided through the history of Gang family’s landing on the island and the old map, like Rho Gi-wook’s argumen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would stop questioning the identity of Bareumdo.

      • 이순신의 ‘상유십이’ 수군보존 현장 보성군 고찰

        노기욱(Ro gi uook),정현창(Jeong hyeon chang),이수경(lee su gyoung)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2

        1597년 2월 28일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이순신(李舜臣)은 선조 임금의 출동 명령을 거부한 죄로 감옥에 수감되었다. 반면, 임금의 출동 명령에 따라 전쟁에 나간 조선수군은 완전히 패전하게 되었다. 이후 선조 임금은 실각한 이순신(李舜臣)을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로 다시 기용하였다. 1597년 8월 3일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받은 이순신에게는 군관(軍官) 9명과 병사 6명뿐이었다. 이순신은 패전한 조선수군 재건을 다시 계획하였다. 연해안을 따라 조선수군 재건에 나선 이순신은 1597년 8월 9일 이순신은 보성군(寶城郡)에 도착하였다. 이곳 보성에는 이순신을 도와줄 지우(知友)와 조선수군 재건에 필요한 물자가 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또 부인 방씨(方氏)가 자랐던 곳이기도 하였다. 이틀 차이로 추격해 오는 전쟁의 긴박함을 안 보성군민들은 이순신을 적극적인 도와 군사(軍士), 군기(軍機), 군량(軍糧), 군선(軍船)을 확보하는데 힘써주었다. 1597년 8월 9일 이순신 일행은 낙안군 벌교를 거쳐 보성 조양창(兆陽倉)에서 군량(軍糧)을 구했다. 그날 밤부터 이순신은 다음 날까지 김안도(金安道)의 집에서 아픈 몸을 치료하면서 군사(軍士)도 모았다. 8월 11일부터 13일까지 양산원(梁山元, 梁山亢)의 집으로 옮겨가 머무르면서 장계를 작성하였다. 이곳에서 거제현령 안위(安衛)와 발포만호 소계남(蘇季男)을 통해 경상도 우수사 배설(裵楔)과 여러 군관이 거느린 함선 12척의 위치를 파악하였다. 그리하여 보성군 군학마을 항구인 군영구미(軍營仇未)로 전선을 가지고 오도록 이들에게 명령하였다. 마침내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은 군선을 확보하게 된 것이다. 다음날 이순신은 보성군 열선루(列仙樓)에 오른다. 8월 15일 선전관 박천봉(朴天鳳)이 임금의 유지(宥旨)를 가지고 보성군에 도착하였다. 선조 임금은 패전한 수군으로 더 이상 해상전투를 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조선수군을 폐지하도록 하였다. 이순신은 즉시 “신하에게는 아직 12척의 전함이 있습니다.”라는 ‘상유십이(尙有十二)’장계를 올렸다. 이순신은 조선수군 폐지에 반대하였다. 이는 다시 선조 임금의 명령을 거부한 것이었다. 이순신은 8월 14일부터 15일까지 열선루에 머무르면서 군기고의 무기를 구하여 말 4마리에 가득 실었다. 8월 16일 활을 만드는 장인들도 모았다. 보성군 명교마을 백사정(白沙汀)에서 군사를 점검하여 보니 120명의 군사가 모였다. 이순신은 이들과 함께 수습한 무기와 군량을 갖고 군영구미로 나갔다. 이후 이순신이 크고 작은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보성군에서 전쟁에 필요한 모든 물자를 확보하였기 때문이다. 그가 선조 임금에게 ‘상유십이 장계’를 작성하여 수군 폐지에 반대한 것도 보성군민의 적극적인 후원과 확보한 군수물자에서 기인한 것이다. February 28, 1597 Samdo navy Coordinators(三道水軍統制使) Yi(李舜臣) was imprisoned by sin ancestors refused to dispatch the king of the Joseon kings. Naval shipbuilding went to the war, depending on dispatch from the king of the Joseon king ancestors were completely defeated. Since deposed king of Joseon ancestors by Yi(李舜臣) was appointed as the countermeasures Samdo back to the army Coordinators(三道水軍統制使). August 3, 1597 Samdo navy Coordinators(三道水軍統制使) Yi has been appointed captains 9 names had been only six soldiers. Admiral Yi had planned to recover back to Korea naval defeat reconstruction. Admiral Yi’s wife Bangssi(方氏) and headed for the town grew. Because there is a clear line support and the material is rich hayeotgi. August 9, 1597 Yi arrived at Boseong County(寶城郡).Since then Boseong County citizens’ cooperation with soldiers, weapons, combat rations, were obtained warships. Through August 9, 1597 Nakan Beolgyo group sought the army food in Chaoyangchang(兆陽倉). 1597 to August 10, An-do Kim(金安道) treatment to his home and raised the military(軍士).1597 August 11 to 13 in the san-won Yang(梁山元, 梁山亢) wrote the paper while staying at home. August 13, 1597 by the Military wi Aan and gye-nam So right yeongsang? Admiral seol Bae and several captains were analyzed for ships with over 12 ships this position. Boseong County in the town and harbor Gunhak barracks Military Gunyounggumi(軍營仇未) was to rebuild the warships. Admiral Yi is secured warships. Admiral Yi asked for staying up to 15 days from weapons August 14, 1597 in Boseong County Yourseonlu(列仙樓), Admiral Yi was room filled with four horses. But the king of the Joseon ancestral kings was no longer possible to determine the maritime naval battle was the defeat. And was to abolish the Navy. August 15, 1597 propaganda secretary Bakcheonbong(朴天鳳) arrived at Boseong County has abolished the army orders of the king of the Joseon kings ancestors. Navy Admiral Yi was opposed to abolition. Admiral Yi, “you still have 12 warships to load.” The Navy spent the abolition of opposition papers. Admiral Yi is one rejects the command again. Admiral Yi assembled a technician to make a bow for August 16, 1597 Navy recovery. Admiral Yi was checking the military Boseong County myeonggyo Baiksajeong(白沙汀) in the village for the August 17, 1597 Navy recovery. Admiral Yi August 17, 1597 Boseong County myeonggyo 120 soldiers gathered at the town Baiksajeong(白沙汀). Admiral Yi went to Boseong County Harbor to pay the penalty for naval battle and August 18, 1597 these soldiers. After that it was able to win the battle of Admiral Yi numerous Naval battle, because you have all of the materials needed for the war in Boseong. Admiral Yi will definitely create a “Navy abolished opposition papers(尙有十二)’ wages to the ancestors to come from Boseong County citizens’ active support and opposition, and also ensure supplies to the army soldiers abolished.

      • KCI등재

        중국에서 손원일의 독립운동

        노기욱(Roh, gi-uook),정현창(Jeong, Hyeon-chang)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손원일(孫元一, Admiral Sohn Won-il)은 대한민국 해군을 창설한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손원일은 해군 창설 이전에 만주에서 조국 독립을 외치며 독립운동을 전개한 인물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활동이 부각되지 않고 있다. 손원일의 독립운동 정신은 오늘날의 해군 정신사와 전통을 유지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손원일은 17세 청년 시절에 만주에서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에 가담하였다. 손원일은 1925년 4월 30일 길림유자회(吉林幼者會), 같은 해 11월 18일 여길학우회(旅吉學友會)를 통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손원일(孫元一)은 일제의 눈을 피하기 위하여 손원일(孫元逸)이라는 가명을 사용하였다. 손원일의 독립운동은 크게 두 가지로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길림유자회(吉林幼者會)활동을 통하여 조선청년들의 완전한 성장과 조국독립을 역설한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여길학우회(旅吉學友會)에서 ‘단군기념식’을 통하여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고 민족 전통의 계승을 중시한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손원일은 일본경찰에 의하여 독립운동가로 지목되어 주요 추적 대상이 되었다. 손원일은 22세가 되는 1930년 7월 16일에 중국해군부(中國海軍部) 시험에 합격하여 해군보관(海軍補官)으로 세계 항해에 나섰다. 이러한 활동은 민족구원을 위한 실천운동의 하나였다. 이후 그의 행적은 청년기 독립운동가로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Admiral Sohn Won-il (孫元一) is known as the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Navy. Sohn was also an independence fighter who engaged in an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Navy. His pro-independence activities are not widely known, but his efforts for national independence contributed to the current Korean Navy’s spirit and traditions. Sohn started his engagement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at age seventeen. His activities as an independence fighter began with his membership in the Jilin Youth Society (吉林幼者會) on April 30, 1925 and membership with the RiujiStudentCorps(旅吉學友會) on Nov. 18, 1925. Sohn used the pseudonym Son Won-il (孫元逸) to avoid recognition by Imperial Japan’s forces. His pro-independence activitie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First, he instilled a need for national independence in Korean youths at the Jilin Youth Society. Second, he emphasized efforts to preserve national identity and tradition by holding a ceremony to commemorate Dangun, the legendary founding father of Korea, at the RiujiStudentCorps(旅吉學友會). Because of these activities for national independence, he was put on the Japanese police’s wanted list. After passing the Chinese Navy (中國海軍部) test at the age of 22, Sohn Won-il started a world voyage on July 16, 1930 as an assistant Naval officer. Actions such as this were also a part of his efforts for national salvation. With his activities after that voyage as a young independence fighter, he left a significant mark in the nation’s history of pro-independence movemen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