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敎育의 宗敎的側面

        장성모(Chang, Sung Mo) 한국도덕교육학회 2000 道德敎育硏究 Vol.12 No.2

        본 연구는 교육의 종교적 측면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동, 서양을 막론하고, 교육은 교과의 초월성과 내면화 과정을 동시에 존중하는 것을 그 원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근대이후, 교육의 초월성과 내면화 과정 사이의 관계를 올바로 인식되지 못한 결과 교육은 외재적 가치 추구를 위한 수단적 활동으로 전락하였다. 교과의 초월성의 의미를 밝히는 데에는 Snell의 마음의 발견 에 관한 논의와 「周易」의 사고방식을 검토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리고 교과의 내면화 과정의 종교적 의미를 이해하는 데에는 소크라테스의 회상설과 Eros의 개념, 칸트의 a priori와 반성적 판단, 그리고 신유학의 格物致知와 誠과 敬등의 개념을 검토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교육의 종교적 측면에 관한 논의는 무엇보다도 인간의 삶 또는 몸과 마음이 중층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부각시킨다. 교과 교육의 과정은 몸과 마음의 중층구조와 신비를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통로가 된다는 점에서 그 자체가 신비 중의 신비 에 속한다.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quire into the religious dimension of education. In both world, the East and the West, the transcendental nature and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matter had been considered as the two constituents of education in its archetype. But, after Renaissance and modern age, the relation of these two constituents or aspects of education have undergone a wide misinterpretation. As a result, education has reduced to the means of achieving extrinsic ends. It can be said that the concept of discovery of mind in Snell s 『Discovery of Mind』 and the world-view of Confucian sacred book 『Ⅰ-Ching』 contribute to bring forth the transcendental nature of subject-matter. And Socrates doctrine of “recollection” and “eros”, Kant s conception of “a priori” and ‘reflective judgment’, and neo-Confucian conception of ‘investigation of things and extension of knowledge’(格物致知), sincerity (誠), and reverence (敬) help to give an explanation to the internalization of subject-matter. Above all, the discussion of the religious dimension of education helps to reveal and appreciate ‘the two-fold structure (重層構造) of human life and mind. Being a vehicle for appreciating and contemplating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body and its mystery, the process of subject-matter education reveals the mystery of mystery inherent in itself.

      • KCI등재

        플라톤 「메논」의 교육학적 해석 : 덕의 의미와 회상설의 관계

        장성모(Sung-Mo Chang)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道德敎育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 「메논」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메논」은 대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관계에 비추어 보면 독특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메논」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검토될 수 있다. 첫 부분은 덕은 가르칠 수 있는가를 묻는 메논의 질문으로 시작하여 덕의 본질에 대한 무지를 고백하는 메논의 아포리아로 끝난다. 중간부분은 메논의 논의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메논의 파라독스, 회상, 영혼 불명의 개념이 논의된다. 노예소년과의 대화와 회상과 영혼불멸에 관한 논의는 단순히 메논의 파라독스를 논리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메논으로 하여금 영혼의 힘과 그것의 역동성을 대면할 수 있게 하는 극적 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맨 처음에 제기한 ‘덕은 가르칠 수 있는가?’질문을 교사의 존재에 비추어 새롭게 탐색하고 있다. 올바른 의견과 신의 시여, 그리고 교사의 부재에 관한 논의는 아테나이의 정치와 교육의 현실에 관한 플라톤의 염려 뿐 아니라 지식으로서의 덕을 자신의 삶과 존재방식으로 보여주고 가르쳐 온 교사로서의 소크라테스의 존재에 대한 플라톤의 소망과 사랑을 동시에 드러내고 있다. 한마디로, 플라톤의 「메논」은 아테네의 젊은이와 시민들에게 지식으로서의 덕의 본질을 자신의 존재방식과 삶의 자세로 보여주고 가르치는 일에 헌신해 온 소크라테스의 존재와 삶의 가치를 극적으로 정당화한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Plato’s Meno in view of education. Meno has a peculiar structure with regard to the participants of dialogue. In the first part of Meno, Meno as an arrogant pupil of Gorgias wants to talk about the question of whether can virtue be taught, with Socrates. Meno cannot simply indulge in sophistic idle talk because of facing Socrates. In the presence of Socrates, the man of knowledge who claim to be ignorant, and in the presence of this educator who does not educate, the topic of dialogue is transformed into a profoundly serious search. The question of whether virtue can be taught transformed into the question, “what is essential nature of virtue?” And the examination of the substantive point at issue become a test of the human being himself. The various attempt to define the essential nature of virtue and the person himself who is pursuing the inquiry becomes transparent in the presence of Socrates. The second part of Meno, the middle and central part of the dialogue, goes beyond the level of Meno’s ‘aporia’(아포리아) in the dialogue about the geometry of Socrates and Meno’s slave boy. The dialogue about the geometry of Socrates and slave boy is prepared to dissolve ‘the Meno’s paradox’. The concept of ‘recollection’(회상) discussed in this section is not to explain the process of learning and teaching logically, but to illuminate and show the dynamic nature and power of soul’s immortality so that Meno could see it, dramatically. The concluding part of Meno seeks an answer to the qustion posed at beginning. The dialogue about the existence of teacher is not to negate the possibility of knowing and teaching of virtue itself, but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eacher’s existence in educating the virtue as a knowledge. Socrates’ statement that virtue is ‘a gift from gods’(신의 시여) reveals both the Plato’s worry about the reality of politics and education of Athenai and his hope and love of Socrates as a teacher, simultaneously. In short, Meno is a Plato’s dialogue justifying the existence and life of Socrates as the teacher who shows and teaches Athenian people that the essence of virtue is knowledge, in his own way of existence and life.

      • KCI등재

        교육과 예술

        장성모 ( Sung Mo Cha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 예술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과 예술의 관계에 관한 논의는 교육 뿐 아니라 예술의 의미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이즈너의 예술모형은, 타일러의 기술공학적 모형에 대하여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를 가르치는 교육의 과정 안에서 체계화 된 것이 아니라 예술 분야에서 생산된 개념과 모형을 교육을 기술하고 처방하는데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를 안고 있다. 오우크쇼트의 논의에서 예술은 교육의 ``내용``으로서 교육과 관련을 맺고 있을 뿐 아니라 일체의 교육활동을 교육답게 만들어주는 ``형식`` 또는 ``절차상의 원리``에 관한 함의로서 교육과 관련을 맺고 있다. 마리땡과 가세트의 논의는 르네상스이후의 예술의 위상을 상이하게 파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 예술의 ``인격적 측면``과 ``초월적 측면``을 부각시키고 있다.「論語」學而篇에 등장하는 子貢과 孔子의 대화는 ``전달``의 의미와 전달과정에서 드러나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육적 관계의 아름다움을 보여줌으로써 ``예술중의 예술``로서의 교육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상상하는데 기여한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art. The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education and art helps to clarify the meaning of art and education in a new point of view. Eisner`s theory of art and his argument on the Tyler`s technological theory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brings a new direction to the 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education. According to Oakeshott`s conception of art in his essay, "The voice of Poetry in the Conversation of Mankind", art is not only related to education as a ``content``, but also ``the form`` (or ``the principle of procedure``)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a whole. Maritain and Ortega y Gasset`s argument on the conception of art present a new ligh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education. Their different appraisals on the quality of Medieval art and modern art are due to their differrent emphasises on ``the personal aspect`` and ``the transcendental aspect`` of art, respectively. Tzu-kung(子貢) and Cofucius`(孔子) dialogue in the Book 1 of Analectic (論語) exemplify the beauty of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his pupil which is embodied and manifested in the communication of subject-matter. The ``content`` and ``form``(or style) of their dialogue helps us to conceive education as the ``art of art``

      • KCI등재

        초등 교과교육학의 성격과 내용구조 연구

        유한구(Han Ku Ryu),장성모(Sung Mo Chang),송광용(Kwang Yong Song),조주연(Joo Yun Cho),이학주(Hak Ju Lee) 한국초등교육학회 1997 초등교육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교과교육과 교과교육학의관계, 그리고 교과교육학과 교육학의 관계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초등학교 교과교육과 교육대학 교과교육학 교육의 실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그 발전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과교육학은 교육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육과정의 구성및 교육방법상의 일반 원리를 교과교육이라는 특수한 사태에 적용하는 과정에 관심을 두는 이론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 관점에 의하면, 교과교육학은 교육학의 일반적 원리에 따라 교과교육이라는 특수한 맥락에 처방을 내리기 위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관점을 교과와 그것을 가르치는 교사의 삶을 사실상 별개의 것으로 분리하는 것이며, 그와 동일한 이유에서 교과교육학과 교과교육학자의 삶 또한 별개의 것임을 전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교과교육과 교과교육학, 그리고 교과교육학과 교육학의 관계는 이론에서 실제로 나아가는 앞의 방향과는 정반대 방향에서도 이해될 수 있다. 이 관점에 의하면, 교과교육학은 교과교육 실제에 처방을 내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실제를 기술하고 정당화하기 위한 것으로 파악된다. 교과교육과 교과교육학의 관련이 이렇게 파악될 때, 교과 교육학은 교사나 교과교육학자에게 자신이 지금 하는 일이 자신의 삶과 결코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믿음을 심어 주게 되며, 나아가 그들 자신이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나 교육대학의 교육실제를 기술하거나 정당화하려고 할 때 반드시 필요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된다. 바로 여기에 교과교육학에 관한 종래의 접근과는 구분되는 새로운 접근방식이 요구되는 이유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The first is to analyse the relations between subject education and subject pedagogy, and between subject pedagogy and general pedagogy. The second 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o have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teaching various subj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of teaching subject pedagogy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third is to search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developing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teacher education. Subject pedagogy is usually defined as a theory which is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applying pedagogical principles regarding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ing methods to specific teaching situations, that is, subject education situations. However, this definition has a limitation, because it assumes that a subject and the teacher's life who teaches the subjec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at subject pedagogy and the scholar who studies subject pedagogy are also sepa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teaching and subject pedagogy, and between subject pedagogy and general pedagogy can be understood with quite different viewpoint. This new viewpoint, which is the major discussion matter of this study, assumes that subject pedagogy is never separated from the life of subject teacher/subject pedagogist. This viewpoint will reveal the theoretical features of subject pedagogy better, and give us new meaning on the life of teachers/subject pedagogists. The subject pedagogy in the correct sense should provide teachers/pedagogists with the conceptual instrument based on the new viewpoint. This conceptual instrument will make teachers/pedagogists be able to describe, explain, and validate their own educational practice-such as the content structure of each subject-in the elementary school or the university of education.

      • 春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大學院 敎育課程 開發을 위한 基礎硏究

        張聖模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4 敎育硏究 Vol.12 No.-

        본 연구는 춘천교육대학교에 초등교육대학원이 설립된다는 가정하에, 초등교육 대학원의 성격과 운영방안, 그리고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편제및 내용을 체계화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초등교육 발전을 위한 초등교육 전문 교육대학원의 설립의 필요성과 성격을 검토하고, 여기에 비추어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대학원(가칭) 교유과정의 전체적인 구조와 편제 그리고 각 과정별 교과목의 내용을 상세화한다. 교육과정이 그 의미상 교육을 통해 가르치고자 하는 교육내용의 범위와 깊이를 체계화해 놓은 것이라면 결국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될 교육과정의 편제와 내용들을 춘천교육대학교 초등 교육대학원의 교육목적과 정신이 구체적인 수준에서 표현 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 교과교육 수업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장성모,이환기 춘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6 敎育硏究 Vol.14 No.-

        본 연구는 초등 교과교육 수업모형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기존의 수업 모형들과는 달리 교과 속에 담겨 있는 내용 또는 아이디어를 교사가 어떤 방식으로 도출해내며, 이를 아동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데 관심을 집중하였다. 이와같은 예시를 통하여 본 연구를 접하는 일선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기가 담당하는 교과교육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 교과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관심을 두고 있는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하나는 수업모형과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는 부분으로서, 여기서는 주로 수업모형에 관한 기존의 논의와 아이디어를 검토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주로 수업모형에 관한 기존의 논의와 그 속에 담겨있는 교육의 과정에 관한 기본 가정들이 주로 검토되었다. 여기서는 특히 지금까지 교육과정과 교수이론 분야에서 주로 논의되고 제안되어 온 이른바 ‘절차모형’이나 ‘처방모형’대안으로서 부르너의 교수이론 모형의 성격과 그 한계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교육현장에 관련된 부분으로서, 교육 현장에서 아동들을 지도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과의 지식 또는 단원의 내용을 스스로 공부하고 그 내용을 아동들에게 가르치고 전달하는 과정, 다시말해서 초등학교 교과를 구성하고 있는 지식체계 속에 담겨있는 지식의 의미를 학습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수업 이전에 또는 수업사태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들을 하는가를 가능한 한 구체적이고도 세밀하게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교 교과 속에 포함된 몇 개의 교과단원을 선정하여, 그 교과단원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아이디어를 가르치는 수업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이 부분의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자신의 경험뿐 아니라 일선학교에서 실지로 교과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경험과 아이디어들이 최대한 활용하였으며, 교과교육과 관련된 실제적 경험들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가 스스로 공부하여 아동들을 가르치는 과정을 그 스스로에게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알리는 교과연구의 한가지 방식을 예시하였다는 데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