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City RFID무선인프라 자가통신네트워크를 연계한 지방자치 도시경쟁력 제고방안

        이봉춘,하덕호,Lee, Bong-Choon,Ha, Deock-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10

        인터넷의 등장으로 국가간의 경계는 사라지고 글로벌 자유경제 체제로 전환되는 현 시점에서 사물을 지능화하고 서비스하는 단계인 유비쿼터스 사회는 융합의 산업혁명으로 전개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도시의 경쟁력은 정치, 경제, 문화관광, 교통, 정보통신, 환경, 방재 등 사회 전반에 활용되는 유비쿼터스 단위별 정보의 질과 양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각 국가와 도시는 유비쿼터스 선도를 주창하며 서비스를 개발하고 네트워크도 광대역 통신망으로 구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시별 U-City 추진현황과 향후 전망을 분석하고 비용절감과 활용측면을 고려하여 광대역 자가통신 네트워크를 확보하고 구축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U-City와 자가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융합 모델 개발로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The international society under the internet technology have been declining boundaries of the global economy. After this step, a social revolution will be happen from the ubiquitous technology which gives objects intelligence to serve people. And then it is expected that every part of a city competitive power is defined by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of the ubiquitous information unit in the future. On this score, now each nation is trying to set relative services and broadband networks to lead the ubiquitous industry.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about the progress and prospect of a local U-city plan in our nation. And than we propose a method of configurating broadband self-communication network on the base of cost and utilization Especially we propose a new city development model which use U-city and self-communication network to improve a city competitive power.

      • KCI등재

        RFID를 활용한 차량관리 융합 인프라 구축방안 연구

        이봉춘,하덕호,김기문,Lee, Bong-Choon,Ha, Deock-Ho,Kim, Ki-M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2 No.9

        현대 사회에서 차량은 사람과 물류를 이동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경제활동에서 필수적인 매체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수와 이용가치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차량 이용자의 편의성과 관리체계는 기술발전에 비해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세대 당 1대 정도로 보유하고 있는 차량 이용자가 경유하는 행정 프로세스의 여러 경로를 우선 탐색하고 분산되어 있는 정보이용 체계를 구체화 한다. 또한, RFID를 활용한 Ubiquitous 기술과 자가 광통신망을 활용하여 각종 차량등록정보시스템을 구축한다. 특히, 차량을 관리하는 각종 행정기관 등의 중간 이용과정에서 폐차까지의 활용주기 전체를 일원화하고 첨단방식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차량정보 공동관리 모델을 개발한다. 아울러 자동차와 관련되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는RFID 활용분야의 중복 투자 방지와 표준화 추진을 위한 차량문화 선진화 정책 방안을 제시한다. In the present age, a vehicle works important part in our lives and economical domain that transport people, freights, and everything. And both of its number and value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But user's convenience, control system could not be archived improvement than technological success. In this paper, we suggest some kinds of administrative agendas; simplifying executive processes, designing vehicle information system using by RFID which includes Ubiquitous skill and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 Especially, this paper suggests public vehicle control model which ran simplify every executive processes of vehicle's life in the newest method. There are many kinds of RFID applicative products about transportation. And a dual invest should be interrupted for economical purpose. So we also proposes some way for problems of these typ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정(惟政)의 구국활동과 교단내의 평가

        이봉춘(Bong Choon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6

        긍정과 비판의 상반되는 평가에도 불구하고 호국전통은 한국불교의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경험으로서 존재한다. 이 같은 호국전통 가운데서도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중의 의승군 활동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심적 인물로는 단연 사명대사 유정이 손꼽힌다. 전국 사찰에서 5천여명의 승려가 자원 참전했던 임진란 의승군의 구국활동에서 유정의 역할과 업적은 그 만큼 탁월하고 독보적인 것이었다. 그런 유정이 교단내에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평가 받았던 것일까. 유정은 의승군 도대장으로서 전국의 의승군 활동을 실질적으로 이끌었고, 네 차례나 왜군의 진영을 드나들며 적장과 담판 하였으며, 전쟁의 재발 방지를 위한 자주국방책 및 바른 정치와 시국 현안을 세 차례의 글을 통해 왕에게 건의하였다. 또 종전 후에는 조정의 명에 따라 강화사로서 일본에 건너가 외교의 임무까지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단순히 의승장으로서만이 아니라 탁월한 식견을 지닌 경세가로서의 면모가 돋보이기도 하는 유정의 이 같은 다양한 역할과 활동으로 인해 그는 참전 이후 무려 14년 여를 세속에 머물게 된다. 이미 개인의 의사대로만 행동하기 어려운 입장이 된 그로서는 부득이한 일이기도 했지만, 교단 내 일각에서는 이런 유정의 행적에 대해 비판적 시각도 없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수행자가 그 본분이 아닌 세속의 일에 너무 오랫동안 매몰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일부 비판적 기류가 있기는 했지만 그러나 구국애민을 위한 유정의 큰 활동과 확연한 업적에 대해서 교단 내의 동문 및 선후배 승려들 대부분은 그것을 긍정적으로 또는 자랑스럽게 여긴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당시 철저하게 하락해있던 불교의 열악한 현실 조건 속에서도 유정과 같은 걸출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불교계가 국난극복에 참여하고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자긍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조선의 의승군 활동은 상황적으로 구국애민을 위한 불가피한 현실참여였다. 그리고 그 활동의 결과로서 변형적이나마 불교와 국가와의 공적인 관계가 유지되고 그 위상 또한 어느정도 높아질 수 있었다. 이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도 유정의 존재와 역할은 절대적이었다. 따라서 유정의 구국활동은 일부 비판적 인식이 있었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는 지지되고 높게 평가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만 유정의 지도력과 업적을 포함하여 조선시대 의승군 활동은 국가 사회와 교단에 끼친 지대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이를 불교의 본령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반드시 요구되는 현실참여였고 불가피한 선택이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불교 외적 활동으로 보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Despite the opposite evaluation of both affirmation and criticism on the Buddhist tradition for the defense of the fatherland, the Buddhist tradition exists as undeniable historical experiences in the Korean Buddhism. In the Buddhist tradition, the most typical example was the activities of the loyal monk-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the Yi dynasty in 1592. At that time, the most prominent monk-army leader was Rev. Samyung Youjeong. About 5,000 monks from all over the countr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war. During the war, both the role and achievements of Rev. Youjeong were the most excellent and unrivaled. On his rescue-the-nation activities, how did they recognize and evaluate him in the Buddhist society? Rev. Youjeong practically commanded his loyal monk-army all over the country as the commander in chief. He visited the Japanese military encampment and had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the enemy commander four time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war on the Korean Peninsula, he submitted recommendations on the self-reliance policy of national defense, resonable politics, and the adjustment of the situation to the King three times. After the war, he visited Japan as a peace delegate and carried out his diplomatic duties successfully. Through his various roles and activities as an eminent administrator and a loyal monk-army commander, he stayed in the secular world for 14 years since the war. Although he was forced to stay in the mundane world as a public figure for the country, some priests in the Buddhist order had critical viewpoints on Rev. Youjeong`s such roles and activities. Above all, those critical viewpoints resulted from his participating in the secular activities for a long time as well as his straying from the right path of the Buddhist self-discipline. Even though there were some critical viewpoints, it seems that most of his clansmen, alumni and Buddhist priests in the Buddhist society were proud of his great activities and distinguished achievements for his country and people. Under the thorough decline of the Buddhist power, and in such poor surroundings and unfavorable conditions, it seems that the people of the Buddhist society were proud of their excellent leader, Rev. Youjeong and their taking part in overcoming their national crisis and contributing greatly to it. Consequently, the activities of the loyal monk-army of the Yi dynasty was an inevitable realistic participation for the salvation of the country and the people. As the result of those activities, the public relation between the Yi dynasty and the Buddhist society was able to be formed and maintained. Simultaneously, the social status of the Buddhist society could be improved to some extent. In terms of the above two aspects, the role and the existence of Rev. Youjeong were absolutely great. Therefore, even if his rescue-the-nation activities had some critical perception, we may say that his various activities for the nation and the people were highly evaluated and supported on the whole. Even though it is certain that the prominent activities of the loyal monk-army including Rev. Youjeong`s leadership and his distinguished achievements had greatly influenced on the status of the Yi dynasty and the Buddhist societ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uch activities and achievements might be the Buddhist true nature. Though it is true that such activities of his loyal monk-army was an inevitable option for the nation and simultaneously an essential realistic participation, we can recognize that it could not be the true nature of Buddhism and it was nothing but the external activities of Buddhism.

      • 무선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U-City 무선인프라 구축방안

        이봉춘(Bong-Choon Lee),하덕호(Deock-Ho Ha) 한국정보기술학회 2010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0 No.-

        현재 세계 주요 선진국들은 산업화 과정에서의 환경파괴에 따른 지구촌의 재앙을 막기 위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 유비쿼터스 도시화는 친환경 디지털 기술이론을 도입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변화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녹색 환경을 유지하며 사회 기술발전에 기여하는 유비쿼터스 시대의 친환경 무선인프라 구축 정책방안을 제시한다. The world's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re raising the low-carbon industry to prevent the catastrophe of global carbon emissions. From these background, the paradigm of Ubiquitous urbanization is changing to the new city environment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n this paper, we proposes a new policy measures to build a eco-friendly wireless infrastructure of the Ubiquitous era which maintaining a green environment with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 KCI등재
      • KCI등재

        불교지성의 연구활동과 근대불교학 정립

        이봉춘(Bong Choon Le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08 佛敎學報 Vol.0 No.48

        근대 불교지성의 연구 활동과 근대 불교학의 정립을 살피는 일은 곧 한국불교의 근대정신 및 근대성을 이해하는 작업으로서도 일정한 의미를 갖는다. 근대 불교학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한국불교가 처한 대전환기적 시대상황과 함께 불교지성의 다양한 동향 속에서 싹트고 성장해 왔다. 즉 근대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일본의 식민정책 하에서 교육·문화·불교개혁·외국유학 활동 등 불교지성들의 근대적 지적 동향을 바탕으로 근대 불교학이 싹트고 성장해 온 것이다. 근대 불교학을 이끌어 온 주역들은 물론 그런 시대상황과 동향 속에서 형성된 일단의 불교학자들이었다. 근대 불교학자군에 포함시킬 수 있는 인원은 대략 20명 내외로 헤아려지며, 학문적 배경 및 연구 성향에 따라 이들은 다시 몇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교학자, 실천적 교학자, 유학 출신 신진학자의 그룹이 그것이며, 한국불교학 연구에 기여한 일본인 학자들도 한 그룹을 이룬다. 이들 근대불교학자들은 몇몇을 제외하고 는 거의 대부분이 在俗者로서 생활했던 승려신분으로, 이런 현상은 당시 한국불교의 한 특징적인 時流를 반영한다. 어쨌든 종교적 과제를 안고 있는 승려이자 학문적 과제를 추구해야할 불교학자로서 이들의 신분적 자각은 불교학 연구 활동의 기본적 배경이 되었다. 또한 일본의 불교문화 및 근대화된 불교학의 영향 그리고 불교 지성계 전반의 근대에 대한 시대인식 속에서 표출되고 있는 활발한 불교개혁론의 제기, 신학교기관을 통한 청년교육 활동, 근대적 지적활동으로서의 다양한 불교잡지의 간행과 논문 발표 등은 불교학 연구의 또 다른 배경을 구성한다. 근대 불교학자들이 이룩한 연구업적은 양적인 면에서 의외로 방대하며 연구주제 와 내용 또한 다양하고 풍부한 편이다. 근대 불교학의 정립은 곧 이같은 학문적 업적과 성과를 말함이다. 따라서 그것을 ①불교학 기본자료 ②한국불교·한국불교사 ③교학 및 불교사상 ④석가모니·인도불교 ⑤불교신앙 및 포교 ⑥종교사·종교학 ⑦불교사회·문화·기타의 주요 연구분야로 묶어 검토할 때, 우리는 근대불교학의 대략적인 윤곽을 그려볼 수 있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주목할 만한 분야는 ②와 ③이다. 근대 불교학 연구의 출발 계기와 주요 과제가 우선 한국불교의 정체성 확립에 있었다 할 때 한국불교 및 한국 불교사 분야에 연구의 관심과 노력이 집중되고 있음은 당연한 현상이다. ②의 분야가 주로 전통교학자들에 의해 큰 성과가 나왔다면, ③의 교학 및 불교사상 분야에서는 신진학자들의 연구 개척 노력이 돋보인다. 근대불교학은 물론 그 자체로서 완성태는 아니다. 근대정신 및 근대성에 합당한 연구 업적과 성과를 충분하게 이루었다고 말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연구들을 통해 근대 불교학이 정립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이후 한국불교가 불교학 연구에 더욱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수 있게 되었음은 분명한 일이다. Observing carefully the research activities of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an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Buddhist studies in modern ages has some meaning as the work to be able to understand both the modern spirit and the modernity of the Korean Buddhism.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has been sprouted up and grown up by various research activities of Buddhist intellectuals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nd the great turning point of Korean Buddhism between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early of the twentieth century. In other word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rapid change into modern society,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has been built up and grown up by the Buddhist intellectuals based on their modern intellectual trend such as education, culture, Buddhist reformation and the activities during their studying abroad. In brief, the leading Buddhist intellectuals of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were such Buddhist scholars as were built up in the trend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ose who belong to the modern Buddhist scholars are roughly estimated some 20 and they are able to be divided into a few groups by their scientific backing or their research disposition. Traditional Buddhist scholars, practical Buddhist scholars, new Buddhist scholars who studied abroad, and Japanese Buddhist scholars who contributed to the Korean Buddhist studies form those groups. Those modern Buddhist scholars were mostly married Buddhist monks except some, which reflected the Japanese Buddhist tradition and such tradition was the characteristic current in the Korean Buddhism of the times. Anyway, though they were the Buddhist scholars who had religious problem as the priest and obliged to investigate academic task, the awareness of their social status became the basic background on the research activities concerning Buddhist studies. In addition, the Japanese Buddhist culture, the influence of Japanese modernized Buddhist studies, and the awareness of the Korean Buddhist intellectuals of the times formed the other background on the research of Buddhist studie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modern Buddhist scholars are not only unexpectedly massive in terms of quantity, but the subjects and contents of studies are also various and plentiful.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the formation of modern Buddhist studies stands for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the results on Buddhist studies. Accordingly, we would be able to grasp the general outline of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as follows: ①Basic materials for Buddhist studies ②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③Buddhist studies and Buddhist thought ④Sakyamuni and Indian Buddhism ⑤Buddhist faith and missionary work ⑥The history of religion and the science of religion ⑦Buddhist society, Buddhist culture, and other subjects. Among the above ② and ③ are especially remarkable fields of study. As the start opportunity and main problem for modern Buddhist studies were chiefly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for the Korean Buddhism, it was natural phenomenon that modern Korean intellectuals exerted all possible efforts on both fields of 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While traditional scholars produced good results on both fields of ②Korean Buddhism and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on the other hand new intellectuals had excellent results on both ③Buddhist studies and Buddhist thought. It is true that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might not be a complete state in itself, for it did not accomplish perfectly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results in terms of modern spirit and modernity. And yet, as modern Korean Buddhist studies could be settled through the above all possible efforts on various research activities by modern Korean intellectuals, it is obvious that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earch activities the Korean Buddhism has been able to open a new skyline on the Korean Buddhist studies and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인지행동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봉춘 ( Bong Choon Lee ),윤성혜 ( Song Hea Yun ),최영옥 ( Young Ok Choi ),천성문 ( Seong Moon Cheon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9 동서정신과학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와 가족들을 위하여 인지행동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를 위해 연구자가 직접 해당 병원 재활치료센터를 방문하여 1차적으로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 MMSE-K)에서 정상 인지상태로 간주하는 24점 이상에 속하는 환자-가족 5쌍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매주 2회기씩 총 8회기, 회기 당 60분간의 구조화 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 분석을 위하여 삶의 질 검사의 평균득점이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한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집단원들에게 나타난 심리적 변화와 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지행동적 집단상담프로그램 종료 후 집단원들은 심리적 안정감, 상호간의 이해와지지, 관계회복에 도움이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뇌졸중 환자와 가족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상단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우울 경향과 가족들의 부양에 대한 스트레스 또한 감소시켜 뇌졸중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재활동기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trok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n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eir quality of life. For this study, 5 pairs including stroke patients and families of rehabilitation facilities who got over 24 points on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MMSE-K). The experimental group had performed 8 sessions for 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have any programs. The examinati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erformed the same test regarding Adult Well being Scale with both pre-test and post-test respectivel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of SPSS/PC 12.0 program were applied to achiev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m and to observe about the effect of their quality of lif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ey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eagerly. After attending to the program, participants had psychological comfort, mutual understanding, mutual support and recovery of relationship. Cognitive-behavioral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useful to decrease depression tendency and stress of dependent family and to increase quality of life and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