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알의 부화율과 온도발육기간

        강택준,김세진,김동환,양창열,안승준,이성찬,김형환,Kang, Taek-Jun,Kim, Se-Jin,Kim, Dong Hwan,Yang, Chang Yul,Ahn, Seung-Joon,Lee, Seong Chan,Kim, Hyeong-Hwa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4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p.)은 블루베리에서 흡즙에 의한 양분손실과 감로로 인한 그을음을 유발하고, 암컷 성충은 1년생 가지의 목질부속에 산란하여 가지를 고사시키는 해충이다. 본 연구는 갈색날개매미충 월동 알들의 실내 온도발육 실험과 노지에서 약충의 부화 시기 조사를 위하여 실시하였다. 충남 예산의 노지재배 블루베리에서 갈색날개매미충 난괴를 채집하여 10, 14, 18, 22, 26, 30, $34^{\circ}C$ (14L:10D) 조건하에서 매일 부화하는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전혀 부화하지 않은 $10^{\circ}C$ 처리구를 제외한 월동 난괴의 온도별 부화소요기간은 평균 107.1, 54.5, 33.9, 25.3, 25.1, 16.7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아졌고 부화율은 23.1, 30.8, 13.8, 21.7, 11.9, 0.6%로 조사되었다. 노지에서 정확한 부화시기 조사를 위하여 약충으로 부화하자마자 끈끈이트랩에 포획되도록 클립케이지를 설치하여 3~4일 간격으로 포획된 약충수를 조사하였다. 약충은 5월 19일과 22일 사이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평균 19.6%의 부화율을 보였다. 조사한 40개의 피해 가지 중 15개의 가지에서는 약충이 전혀 부화하지 않았다. Ricania sp. lay eggs into the new twigs of blueberry and suck nutrients causing growth retardation and a sooty mold sympto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success and developmental period of overwintered eggs of Ricania sp. under the seven constant temperatures from 10 to $34^{\circ}C$ by $4^{\circ}C$ intervals (14L:10D). We also monitored the emergence time of the Ricania sp. nymph at blueberry by 3 ~ 4 day interval using a modified leaf clip cage. Development times from the overwintered egg to $1^{st}$ nymph were 107.1, 54.5, 33.9, 25.3, 25.1 and 16.7 days and the emergence successes were 23.1, 30.8, 13.8, 21.7, 11.9, and 0.6% at 14, 18, 22, 26, 30 and $34^{\circ}C$, respectively except at $10^{\circ}C$. The developmental period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s. First emergence date of the nymphs in the field was between 19 and 22 May, and the average emergence success was 19.6%. The present study might be helpful to establish the management strategy of Ricania sp. based on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

      • KCI등재

        Attachment of Pasteuria penetrans Endospores to Meloidogyne spp. Juveniles Affected by Temperatures and the Nematode species

        조명래,김형환,강택준,안승준,양창열,전성욱,Cho, Myoung Rae,Kim, Hyung Hwan,Kang, Taek Joon,Ahn, Seung Joon,Yang, Chang Yul,Jeon, Sung Wook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2

        선충절대기생세균(Pasteuria penetrans)이 감염되어 있는 온실토양을 이용하여 세균의 내생포자가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유충 표면에 부착하는데 대한 온도의 영향에 대해 시험하였다. 갓 부화된 뿌리혹선충 2령충(J2)을 페트리디쉬 내의 토양에 접종한 후 $20^{\circ}C$, $25^{\circ}C$, $30^{\circ}C$, $35^{\circ}C$에서 7일간 처리하였다. 모든 온도에서 내생포자의 J2 부착률은 모두 100%로 나타났으나 J2당 내생포자 부착수는 $25^{\circ}C$에서 28.3개로 가장 많았으며 $30^{\circ}C$, $20^{\circ}C$ 및 $35^{\circ}C$에서 각각 J2 당 20.2, 18.6 및 13.6개로 낮아졌다. J2를 접종하기 전에 세균이 있는 토양을 온도별로 10일간 전처리하였을 때 내생포자 부착률은 실온에서의 60%에 비해 $-300^{\circ}C$, $4^{\circ}C$, $40^{\circ}C$, $50^{\circ}C$ 및 $100^{\circ}C$에서 각각 25.0, 31.7, 8.3, 5.0 및 0%로 현저하게 낮아졌다. J2 당 내생포자 부착수도 실온에서의 5.3개에 비해 $-30^{\circ}C$, $40^{\circ}C$, $40^{\circ}C$, $50^{\circ}C$ 및 $100^{\circ}C$에서 각각 3.5, 4.3, 1, 1, 0개로 적었다. P. penetrans 세균의 내생포자를 뿌리혹선충 종별로 J2에 부착 시험한 결과 땅콩뿌리혹선충에서는 100%였으나 당근뿌리혹선충(M. hapla)과 고구마뿌리혹선충(M. incognita)에서는 모두 0%로 본 균주는 뿌리혹선충 종에 대해 기주선호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A greenhouse soil infested with an obligate nematode parasitic bacterium, Pasteuria penetrans, was used to test the effect of temperatures on the endospore attachment to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arenaria, juveniles (J2). Freshly hatched J2s were inoculated to the soil in petri dish and incuba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of $20^{\circ}C$, $25^{\circ}C$, $30^{\circ}C$, and $35^{\circ}C$ for 7 days. The endospore attachment rates were 100% in all the temperatures, while the number of endospores attached per J2 was highest in $25^{\circ}C$ with 28.3 endospores/J2 followed by 20.2, 18.6, and 13.6 in $30^{\circ}C$, $20^{\circ}C$, and $35^{\circ}C$, respectively. When the soil was pre-trea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before the J2 inoculation, the endospore attachment rate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60% in room temperature to $25^{\circ}C$, 31.7, 8.3, 5.0, and 0% after the soil incubation in $-30^{\circ}C$, $4^{\circ}C$, $40^{\circ}C$, $50^{\circ}C$, and $100^{\circ}C$ for 10 days, respectively. The endospore numbers attached per J2 were 3.5, 4.3, 1, 1, and 0 when the soil was pre-treated in $-30^{\circ}C$, $4^{\circ}C$, $40^{\circ}C$, $50^{\circ}C$, and $100^{\circ}C$, respectively, which were lower than 5.3/J2 of room temperature treated soil. The P. penetrans isolate in the soil showed nematode species-specific endospore attachment characteristics with 100% attachment rate only on M. arenaria J2s while the rates were 0% on M. hapla and M. incognita J2s.

      • KCI등재후보

        초화류의 작은뿌리파리 피해 및 방제

        김형환(Hyeong Hwan Kim),진흥용(Heung Yong Jeon),조명래(Myoung Rae Cho),양창열(Chang Yeol Yang),추호렬(Ho Yul Choo),이흥수(Heung Su Lee),이혜경(Hye Kyung Rhee) 한국원예학회 2004 원예과학기술지 Vol.22 No.3

        초화류에 발생하고 있는 작은뿌리파리(Bradysia agrestis)의 피해 조사와 살충제 및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방제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화류에서의 작은뿌리파리의 유충밀도는 상토㎤ 당 0.0~2.4마리였으며, 피해율은 조사작목 22개 중 석죽에서 44.6%로 가장 높았으며 꽃토마토(27.4%), 프리뮬라(26.6%), 페츄니아(25.2%) 등이 피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나리에서는 오리엔탈나리 ‘Ascari’ 0%~Tiber 51.4%, 아시아틱나리 ‘Sarina’ 0%~Chopin 65.7%로서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Tiber’와 ‘Chopin’이 가장 피해가 심하였다. 씨클라멘의 작은뿌리파리에 대한 약제방제효과 시험에서는 처리후 7일째 델타네트 수화제 96.8%, 아시트 수화제 91.7%,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 98.5%였다. 곤충병원 성선충 S. carpocapsae 포천 계통은 처리 후 7일째에 80.5%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방제효과는 선충 처리후 14일째까지 지속되었다. 살충제 및 선충 처리구에서 약해는 나타나지 않았다. Survey was conducted on the damage of Bradysia agrestis in greenhouse of herbaceous flowering plants and control effects were compared among 4 insecticides and a entomopathogenic nematode. The population density of B. agrestis larvae ranged 0.0~2.4/㎤ in the herbaceous flowering plants. The damage rate was highest in dianthus (44.6%) followed by flowering tomato (27.4%), primula (26.6%), and petunia (25.2%) among the 22 plants surveyed. In lily, oriental hybrid varieties showed various damage rates from 0% in ‘Ascari’ to 51.4% in ‘Tiber’, and asiatic hybrid varieties also showed different damages rates from 0% in ‘Adelina’ to 65.7% in ‘Chopin’, The insectcides of acephate, furathiocarb and imidacloprid showed control effects of 91.7%, 96.8% and 98.5%, on B. agrestis larva, respectively, in cyclamen at 7 days after treatment.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showed control effect of 80.5% at 7 days after treatment and the control efficacy persisted for 14 days after treatments. Growth of cyclamen was not affected by neither the insecticides nor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 KCI등재

        절화장미 검역대상 해충 생력방제 체계 개발

        강택준(Taek-Jun Kang),전흥용(Heung-Yong Jeon),양창열(Chang-Yul Yang),김형환(Hyeong-Hwan Kim),조명래(Myoung-Rae Cho)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4

        장미 수출농가의 연간 살충제 및 살비제의 살포횟수는 40회 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방제횟수가 많은 대상 해충은 응애, 총채벌레, 진딧물, 가루이, 나방류 순이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관행방제구에 사용되는 약제의 품목수가 단조로워 해충의 약제저항성 유발이 높았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관행방제 대비 적용 약제의 종류 및 조합에 차이를 두어 방제 횟수를 1/3 이상 줄인 개선방제력을 작성하여 처리구별 해충발생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2003년, 2004년 모두 관행방제체계 대비 개선방제체계에서 주요 해충의 밀도가 비슷한 밀도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2005년의 경우도 생력방제체계에서 해충의 발생 밀도는 전반적으로 관행 방제구와 큰 차이가 없이 유지되었지만, 가루이류의 경우 5월 하순에서 7월 사이에 높은 발생 밀도를 보였다. 점박이응애의 발생밀도는 5월~6월 사이 집중방제에 의해서 발생밀도가 낮게 유지되었지만 생력방제구의 경우 관행방제구에 비해 발생밀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발생예찰 및 방제체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졌다. 시설 장미농가에서의 점박이응애의 공간분포를 알기위해서 엽당 평균 밀도와 분산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집중분포 지수 (Talyor b = 1.61 >1)를 보였고 고정정밀도 표본조사법을 이용하여 발생 밀도 수준별 필요한 적정 표본수를 설정할 수 있었다. 점박이응애와 같은 미소 해충의 경우는 임계밀도 수준 설정을 통한 이항표본조사법을 활용하여 경제적인 간이예찰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labor-saving pest management system by reduced pesticide sprays for cut flower rose cultivation in greenhouses. The number of pesticide spray in conventional rose greenhouses was estimated as over 40 times per year, and the major pests related with the pesticide sprays wer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western flower thrip (Frankliniella occidentalis),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aphids, and moths. Major problems in conventional spray were resistance of pests against pesticides and too high pest management cost. So, we developed pest management system with reduced pesticide sprays by considering occurrences and control efficiencies of each pest in cut-rose cultivations. In a comparison of pest control efficiencies between reduced and conventional sprays, the pest densities in reduced sprays were similar to those of conventional sprays. Spatial distribution of two-spotted spider mites in a commercial rose greenhouse in Gimje was analyzed with the Taylor’s power law. The two-spotted spider mites showed a clumped distribution (TPL b = 1.61 > 1), and a simple sampling method was developed by using binomial counts of the mites in the leaves. The results show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successfully manage insect pests in rose cultivation by timely spray of pesticides with reduced number for labor and cost savings in commercial cut flower rose cultivations.

      • SCIESCOPUSKCI등재

        시설 오이에서 온실가루이에 대한 간이 경제적피해수준 설정

        전홍용(Heung Yong Jeon),김형환(Hyeong Hwan Kim),양창열(Chang Yul Yang),강택준(Taek Jun Kang),김동순(Dong-Soon Kim) 한국원예학회 2009 원예과학기술지 Vol.27 No.1

        시설 오이에서 온실가루이의 경제적피해수준 및 경제적 피해허용수준 (요방제밀도)을 설정하기 위하여 온실가루이 성충의 접종밀도에 따른 오이의 생육, 피해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피해엽률은 유충 접종 63일부터 84일까지 접종밀도가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온실가루이 성충 0, 5, 10, 20, 40, 80 및 160마리 접종구에서 전체 작기 동안 수량은 각각 22.5, 19.5, 11.3, 9.8, 8.2, 5.2 및 4.6㎏이었다. 과실피해는 성충접종 후 63일째부터 발생하였으며, 최종 수확시(84일 후) 과 실피해율은 위 성충접종밀도에 따라 각각 0, 4.1, 7.5, 10.6, 18.2, 26.7 및 38.5%였다. 초기접종 마리수와 총 과실피해율과의 관계는 비선형식 모형인 logistic 함수로 잘 설명되었다. 이 식으로부터 경험적인 수익한계(gain threshold) 5%에서 경제적피해수준을 추정한 결과 주 당 6.2마리이었다. 또한 요방제밀도는 경제적피해수준의 80%가 되는 5.0마리로 추정하였다. 본 결과는 더 개선된 모형이 개발될 때까지 오이에서 온실가루이 관리에 보조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economic injury level (EIL) and economic threshold (ET) of the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on cucumber plants in greenhouse cultivation. The growth, damage and yield of cucumber plants caused by T. vaporariorum were investigated after introduction of the adults at different densities (0, 5, 10, 20, 40, 80, and 160 adults per plant). The rate of damaged leav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 plots with different initial densities at 32 d after the adult introduction, while it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initial density at 56 d and 84 d after adult introduction. The total yield of cucumber was 22.5, 19.5, 11.3, 9.8, 8.2, 5.2, and 4.6 kg per 20 plants in T. vaporariorum introduced plots of 0, 10, 20, 40, 80, and 160 adults per plant, respectively. The fruit damage significantly occurred from 63d after T. vaporariorum adult introduction, and it reached 0, 4.1, 7.5, 10.6, 18.2, 26.7, and 38.5% at harvest (84 d after adult introduction) in the above plots,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adult density and % fruit damage at harvest was well described by a nonlinear logistic equation. Using the estimated equation and an empirical gain threshold 5%, EIL was estimated at 6.2 adults per plant. Also, ET was calculated at 80% of EIL: 5.0 adults per plant. Until a more elaborate EIL-model is developed, the present result may be used tentatively for T. vaporariorum management in cucumber fields.

      • KCI등재

        작은뿌리파리에 의한 포인세티아의 피해실태와 총채가시응애를 이용한 방제

        전흥용(Heung Yong Jeon),김형환(Hyeong Hwan Kim),정재아(Jae A Jung),강택준(Taek Jun Kang),양창열(Chang-Yul Yang)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4

        포인세티아 재배지에서 작은뿌리파리에 의한 피해와 작은뿌리파리에 대한 포식성 응애인 총채가시응애의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포인세티아에 재배지에서 작은뿌리파리 유충은 삽목한 후 30일 이내에 피해가 많았고, 유묘의 고사율은 12.4-19.6%였다. 총채가시응애는 작은뿌리파리 유충의 령기에 따라 일일 포식수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4령충보다는 2령충과 3령충에서 포식수가 많았다. 총채가시응애의 약충과 성충은 각각 1.8-5.1마리와 2.3-5.4마리의 작은뿌리 파리 유충을 포식하였다. 총채가시응애를 5일 간격으로 2-3회 방사했을 때 방제가가 97.8%와 100%로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포인세티아 접목 후 총채가시응애의 접종시기에 따른 작은뿌리파리의 생충율, 방제가 및 유묘의 고사율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총채가시응애를 포인세티아 접목 후 14일째 접종하는 것보다 7일째 접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었다. 포인세티아 접목 후 7일째 총채가시응애를 pot당 5마리 10마리 및 20마리를 접종한 결과 89.5%, 94.4% 및 100%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유묘의 고사율도 포인세티아 접목 후 7일째(0-0.2%) 총채가시응애를 접종했을 때보다는 14일째(16.0-24.0%) 접종에서 더 피해가 많았다. 따라서 총채가 시응애는 높은 포식력과 지속적으로 작은뿌리파리의 밀도를 감소하고 유묘의 피해도 줄일 수 있는 우수한 생물적 방제 인자로 밝혀졌다. Damage of poinsettia seedlings by the fungus gnat Bradysia difformis and control effect of the predatory mite Hypoaspis aculeifer against the fungus gnat were investigated in poinsettia propagation houses. Damage of plant seedlings by B. difformis were occured mainly within 30 days after poinsettia cutting, and seedling mortalities ranged from 12.4 to 19.6%. Daily predation rates of nymph and adult H. aculeifer were 1.8 to 5.1 and 2.3 to 5.4 larvae of fungus gnat, respectively. Control effect of H. aculeifer against B. difformis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al treatment of H. aculeifer. Control efficacies were 83.2, 97.8 and 100% when H. aculeifer were inoculated one, two and three times,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control efficacies of H. aculeifer against B. difformis and mortalities of poinsettia seedlings by B. difformi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reatments of H. aculeifer after poinsettia cuttings. The control effects of H. aculeifer were higher, when H. aculeifer were inoculated in 7 days than in 14 days after poinsettia cuttings. When H. aculeifer were inoculated 5, 10, and 20 individuals in each poinsettia seedling pot, control efficacies were 89.5, 94.4, and 100%,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of poinsettia seedlings were higher, when H. aculeifer were inoculated in 7 days (99.8 to 100%) than in 14 days (76.0 to 84.0) after poinsettia cuttings. H. aculeifer was proved to be a successful biological control agent of B. difformis in poinsettia propagation houses, because of its high predation rate and continuing controll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