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들레초등학교 교무분장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나미연 ( Mi Yeon Na ),박종필 ( Jong Pil Park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한 초등학교의 교무분장 사례를 토대로 초등학교 교무분장 조직 과정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교무분장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질적 사례 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민들레초등학교를 목적 표집하여, 본 연구의 취지에 공감하여 참여에 응한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 결과, 교무분장 조직 과정은 쉬쉬하기, 나름의 기준, 구색 맞추기 및 배려하기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교무분장의 특징과 그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를 고려해볼 때, 대화의 장을 마련하여 교무분장 조직 과정을 개방하고, 교무분장을 위한 체계적인 기준 마련 및 인사위원회의 활성화, 교무분장을 운영하는 과정에서의 소통기회를 확대하고, 교무분장의 조직과 운영이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도록 교무분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work decisions in an elementary school and suggest better ways for school-work decision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eachers` value and belief system, rules of conduct and confrontation strategies. The Mindeulae elementary school was purposely selected and 10 teachers at the school were interview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 that schools need to make public the process of school-work decisions by providing chances for conversation among the principal and teachers. Second, schools need to create systematic criteria for school-work decisions and apply them to the process of school-work decisions. Third, schools need to activate the role of personnel committee. Fourth, schools need to increase chances for open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during implementing school-works. Finally, schools need to be establishing ties he process of school-work decisions with implementation of school-work.

      • 한강하구 장항습지 하천숲의 군집특성

        나미연 ( Mi-yeon Na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장항습지는 강둑이 없는 자연형 기수역에 속하며,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 수변 습지이다. 한강과 임진강과 합류하여 서해로 유입되는 지점부터 장항습지까지 한강하구에 속하며 일부지역은 1953년 비무장지대(DMZ)로 설정되고, 장항습지는 50여년간 군사시설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었다. 습지 보전 상태가 양호하고, 하천을 따라 길게 형성된 버드나무 군락은 철새와 멸종위기종의 서식처가 되고 있다. 최근 고양시 장항습지 발전전략 수립연구에서 수변상 육상화를 방지하고 버드나무군락의 생물다양성과 역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습지의 물흐름에 대한 복원의 필요성을 제기되었으나, 육화 현황과 식생에 대한 선행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강하구 퇴적작용에 의한 지형변화를 파악하고, 버드나무 군락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육화 진행 현황과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 습지보전 관리 방안과 복원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의 활용을 위해 수행되었다. 장항습지는 과거 행정구역상 옛 고양군 지도읍에 속하며, 1970년대 ‘사미섬’의 모습은 두 개의 하중도 형태이며, 1974년 항공사진과 구글어스(Googl Earth Map)의 1985년 위성사진을 통해 ‘사미섬’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1988년 신곡수중보 설치 이후에는 수중보 아래쪽에 유속이 느려지면서 퇴적량이 늘어 하나의 섬으로 연결되었으며, 1990년 자유로건설 등 인위적인 요인으로 육지면적이 증가하여 자유로를 따라 현재와 같은 장항습지의 형태로 사주가 발달하였다. 2000년대 이후 장항습지 면적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버드나무 군락이 형성되었다. 버드나무 군락을 크게 6개의 구역으로 구분한 각 30개의 조사구를 100㎡ 면적의 방형구법(Quadrat)을 이용하여 교목, 아교목, 관목의 세 개 층위별 개체밀도와 흉고직경(DBH), 수관폭을 조사하여 상대우점치(Importance Value)와 평균상대 우점치(Mean Importance Value)를 분석하였다. Brown-Blanquet(1913) 방법으로 각 방형구내 출현하는 식물종을 조사하여 Shannon의 최대종다양도(H´max), 우점도(Dominance)와 균재도(Evenness)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TWINSPAN 기법으로 군락을 분류하여 군집특성을 파악하고, 각 조사구에서 수변까지의 거리와 대표 수종 MIV의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각 조사구의 흉고직경(DBH)별 개체수 분포를 통해 식물의 수령 및 수목 군집의 천이 과정을 파악하였고, 환경요인 분석으로 조사시점의 과거 10여년간 연도별 평균수위와 개화기 이전 1월~3월의 강수량, 군락별 토양입도, 유기물과 무기물 등 토양 성분을 분석하였다. TWINSPAN 기법을 통한 장항습지 군락 분류는 크게 선버들군락, 버드나무-선버들군락, 버드나무-능수버들군락으로 나뉜다. 수변거리와 버드나무 MIV는 43%의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선버들과 버드나무의 MIV는 93%의 강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버드나무 MIV와 수변거리와의 회귀분석에서 p-value가 0.01906으로 0.05보다 작으므로 유의한 값을 가진다. 즉, 한강 수변상에서 가까운 곳에 선버들이 우점하고, 수변에서 멀어질수록 버드나무가 우점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전 조사구의 DBH 분포는 버드나무가 10cm~30cm 범위내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선버들 DBH는 2cm~ 50cm 이상까지 넓게 분포하였다. 선버들 우점하는 조사 구에서 DBH 30cm와 42cm의 대경목 두 개체와 직경 14cm~23cm의 8개의 분지가 연결된 DBH가 140cm인 고령목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장항습지의 최초 선구수종은 선버들이며, 점차적으로 버드나무가 이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사연도로부터 과거 5년간 강수량과 수위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선버들의 고사목 비율이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버드나무가 세력을 확장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관목층에서 찔레꽃, 오갈피나무, 쥐똥나무 등 산림 수종의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육화가 이미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버드나무속 조사구내 출현하는 초본층 포함한 식물종을 중심으로 진행한 종다양도 분석에서 선버들이 우점한 군락내 우점도(Dominance)가 높게 나타난 반면, 버드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에서 국화과, 마디풀과, 석죽과 등 다양한 초본이 출현하여 우점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육화 진행에 따른 귀화식물, 생태계교란식물 등 외부 이입 종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수목생장을 위한 토양성분 적정함량 기준치의 염화나트륨(NaCl) 함량은 0.05%이하이고, 선버들 고사목 비율이 높은 세 조사구에서 기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나트륨 양이온치환용량(Na+)의 경우, 선버들이 우점하는 두 조사구에서는 낮게 나타나고, 선버들 고사목 비율이 높은 5개의 조사구에서 염분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기수역 특성상 버드나무속 군락내 초본층에서 모새달, 산조풀, 갈대 등의 염생식물이 출현하여 염분 농도를 대략적 예측이 가능하였다. 기상요인과 수위변화로 수분함량이 줄어들고, 육화가 진행됨에 따라 나트륨성분은 토양속에 그대로 잔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육화 방지를 위해서는 식생 및 식물상 조사를 바탕으로 습지내 갯골과 물골을 복원하거나, 염분 농도가 낮은 관개수를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장항습지 하천변 수목군집구조는 선버들 군락에서 버드나무 군락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선버들 고사목 비율이 늘어남에 따라 이미 육화가 심각한 단계에 이르렀음을 확인하였다. 최근 습지보전법에 추가된 하천 수생태계 보전과 습지의 육역화 방지의 내용이 추가됨에 따라 육화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과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