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암(炳庵) 김준영(金駿榮)의 성리사상(性理思想) ― 화서학파(華西學派)의 심설(心說)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김유곤 ( Kim You-gon )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99 No.-

        본 논문에서는 화서학파의 心說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병암의 성리사상을 살펴보았다. 화서는 理의 氣에 대한 主宰와 理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理가 동정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화서와 성재는 主宰의 의미를 명령하여 부린다는 의미로 파악하여 氣의 理에 대한 주재를 인정하지 않고, 理의 氣에 대한 주재만을 인정하고, 心의 本心이나 明德을 理라고 주장하며, 心의 神도 理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간재의 비판 논거는 理는 無爲하고 氣는 有爲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無爲한 理는 動靜할 수 없고, 理의 氣에 대한 주재는 無爲한 理가 有爲한 氣의 표준이 된다는 의미이고, 氣의 理에 대한 주재는 無爲한 理는 有爲한 氣의 作爲를 따른다는 의미라고 파악한다. 또한 思慮와 知覺작용을 하는 有爲한 心을 無爲한 理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병암은 화서와 성재의 성리사상 중에 心說에 집중하여 비판하고 있다. 즉 본심이나 명덕은 理가 아니고, 특히 心의 神이 理가 아님을 많은 지면에서 주장하고 있다. 그 비판 근거로 스승인 간재의 핵심 사상인 理는 無爲하고 氣는 有爲하다는 말을 표면적으로는 거의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저변에는 깊게 자리하고 있다. 즉 화서와 성재에 대한 병암의 심설 비판은 간재의 심설을 그대로 받아들이면서도 다른 논거와 언어로 구체화되었다고 평가 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examines Byeong-Am’s understanding of Neo- Confucianism laying stress on criticizing Hwaseo School’s theory of mind. Hwa-Seo claims that principles(理) can move from the point of view emphasizing on activity of principles. Hwa-Seo and Seong-Jae don’t acknowledge that material force(氣) can rule the roast principles. They only concede that principles can rule the roast material force. They also insist that illustrious virtue(明德) is principles. On the contrary, Gan-Jae claims that principles don’t have activity and material force only has activity. Byeong-Am, meanwhile, insists that illustrious virtue is not principles. He criticizes Hwaseo School’s theory of mind according to recognizing Gan-Jae’s theory. However, Byeong-Am uses different arguments and expressions with Gan-Jae’s for criticizing Hwaseo School.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수양론에 대한 『윤리와 사상』 교과서 집필 예시 제안

        김유곤 ( Kim You-gon )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2

        이 논문의 목적은 다산의 수양론에 대한 『윤리와 사상』 5종 교과서 기술의 균질성 제고를 위해 집필 예시를 제안해 보기 위해, 유학 전통에서 심성론과 수양론은 유기적 관계라는 점에 착안하여, 5종 교과서 모두 다산의 심성론으로 제시하고 있는 ‘성기호설’, ‘사덕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지 않고 실천을 통해 형성된다.’, ‘자주지권’과의 유기적 관점에서 다산의 수양론에 대한 집필 예시를 제안해 보는 것이다. 다산은 선(善)을 좋아하는 기호(嗜好)를 성(性)으로 부여한 하늘은 인격적 존재인 상제로서, 도덕적 기호를 부여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도심(道心)을 통해 그 기호를 따르라고 매 순간 명령하고 감시하는 존재로 파악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산은 신독(愼獨) 수양을 제시한다. 신독이란 자신 혼자 있을 때 뿐만 아니라 남과 함께하는 인간관계에서 자신의 내면에서 들려오는 도심의 소리가 상제의 명령임을 깨달아서 그 도심의 소리에 따르려고 삼가기를 다하는 수양 공부이다. 또한 다산은 사덕은 인간의 본성에 내재되어 있지 않고 실천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고, 사덕을 이룰 수 있는 수양 방법으로 공자가 말한 서(恕) 수양을 제시한다. 또한 다산은 모든 인간은 자주지권(自主之權)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이나 악을 선택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기호로서의 성(性)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 순간 선을 좋아하는 기호에 따라 살아가야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다산은 꾸준히 지속적으로 실천하는 용(庸) 수양을 강조한다. 꾸준히 지속적으로 실천한다는 것은 신독을 기반으로 하여 서의 실천을 매 순간 끊임없이 실천한다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산이 수양론으로 제시한 신독, 서, 용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pose an example of writing about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Dasan from an organic point of view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the mind-nature of him commonly presented in the five textbooks of Ethics and Thoughts. Dasan understands that the sky, which gave the preference of liking goodness to human, is Sangje existing personally. He also comprehends Sangje as a being who commands and monitors every moment to follow the preference of liking goodness through the moral mind. In this regard, he proposes the solitary self reflection. Solitary self reflection is a self-cultivation that is done not only when you are alone, but also in human relationships with others, realizing that the sound of the moral mind heard from within yourself is the command of Sang-je, and obeying the sound of the moral mind. In addition, Dasan understands that four virtues are not inherent in human nature and are formed through practice. He suggests the self-cultivation of Seo(恕) spoken by Confucius as a method to achieve four virtues. Dasan also emphasizes that even though all human beings have free will, they also have moral preferences, so they must live according to the preferences of liking goodness every moment. Therefore, he insists on self-cultivation of Yong(庸). The self-cultivation of Yong can be said to mean that the practice of the Seo based on the solitary self reflection is constantly practiced every mom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olitary self reflection, Seo, and Yong presented by Das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are naturally connected.

      • KCI등재

        『효경』과 『내칙』 해석에 나타난 윤휴의 사친지학(事親之學)의 구조와 성격

        김유곤 ( Kim You-g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0 No.-

        『효경』에 따르면 선왕이 백성들 모두 화목하고 위와 아래에서 모두 원망이 없게 한 지극한 덕과 요긴한 도는 바로 효도이고, 효가 모든 덕의 근본이 되고 교화의 바탕이 된다. 윤휴는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이 『효경』의 경(經)이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경의의미를 부연 설명하는 전(傳)으로 이해한다. 윤휴는 『효경』을 사친(事親)의 도리를 담고 있는 경전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윤휴가 말하는 사친의 도리는 다름 아닌 효도이다. 효가 지극한 덕이 되고 요긴한 도가 되며, 모든 덕의 근본이 되고 교화의 바탕이 되는 이유는 하늘에 근본하고 있고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근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파악한다. 윤휴는 천하의 달도(達道)는 오륜이고, 오륜의 중대한 것이 삼강이며, 삼강의 근본이 효이며, 요·순·우·탕·문·무·주공·공자가 지향한 세상은 다름 아닌 효를 근본으로 하여 삼강과 오륜의 인륜이 실현되는 사회라고 이해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효경』을 중요시하고 『효경』의 정신을 부연하고 확장하기 위해 오륜·삼강·효에 관한 글을 여러 경전에서 수집하고 주석하여 『효경외전』과 『효경외전속편』을 편찬한 것이다. 윤휴는 이러한 오륜·삼강·효에 대한 구체적 실천 조목을 담고 있는 경전으로 『내칙』을 지목한다. 즉 『내칙』을 통해 부모는 부모답고 자식은 자식다우며, 남편은 남편답고 아내는 아내다우며, 연장자는 연장자답고 연소자는 연소자답게 행동할 수 있는 쉽고 명백한 실천 조목들을 제시한다. 윤휴가 강조한 사친지학이란 하늘에 근본하고 모든 사람들의 마음에 근본하고 있는 효의 덕을 기초로 하여 삼강과 오륜의 인륜을 일상생활에서 실천하는 것이다. 윤휴는 당시의 학자들이 도(道)를 구하는 학문을 한다면서 도를 고원한 것으로 여겨 멀고 어려운 곳에서 찾고, 일상생활에서 인륜 실천을 소홀히 하는 것에 대한 비판과 반성에서 사친지학을 강조한 것이다. According to Classic of Filial Piety, sage kings can make all people live happily together because they rule over the country with utmost virtue and way which is filial piety. The filial piety is the root of all virtues and the basis of the edification. Yun Hyu understands that the part that contains these contents is the first part of Classic of Filial Piety and the rest of it is the part that explains the meaning of the first part in detail. He sees Classic of Filial Piety as a Confucian scripture that contains the way of serving parents. Therefore, the way of serving parents what he says is a filial piety. He understands that the reason that the filial piety becomes the ultimate virtue and way, and the foundation of all the virtues and the basis of the edification is based on heaven and is rooted in the minds of all people. Yun Hyu understands that common way of the world is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important things of them is the three bonds, and the root of them is the filial piety. He also thinks that saints of Confucianism try to realize an ideal society where all people practice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In this respect, he emphasizes Classic of Filial Piety and compiles Hyogyeongoejeon and Hyogyeongoejeonsokpyeon by collecting materials referring to the filial piety,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from various Confucian scripture in order to expanding the meaning of Classic of Filial Piety. Yun Hyu points out Pattern of the Family as Confucian scripture containing the specific action items about filial piety. In other words, he suggests easy and clear action items that enable parents to behave as if they are parents, children as children, husbands as husbands, wives as wives, seniors as elders, and young children as children by Pattern of the Family.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serving parents that Yun Hyu put stress on is to practice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in everyday life. He thinks that the scholars of the time are studying the doctrines of Confucianism but they are looking for it from a place that is far and hard because they regard it as a lofty ideal. Therefore, he emphasizes the theory of serving parents in order to criticize and reflect on the fact that they pay no attention to practice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in everyday life.

      • KCI등재

        정조의 성리학 이해와 정치철학의 유기적 관계

        김유곤 ( Kim You-g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본 논문의 목적은 정조가 군사(君師)를 자임한 이유에 대해 스승의 입장에서의 학문관, 특히 자신이 정학(正學)으로 규정한 성리학에 대한 이해와 임금의 입장에서의 정치철학을 유기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재조명해보는 것이다. 정조는 성리학의 이기(理氣)나 심성(心性)에 대해 깨닫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일은 일상생활과 실질적인 일에서 그 깨달은 내용을 실천에 옮기는 것임을 강조한다. 따라서 정조는 성리학의 이념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정치 현실에서 군주인 자신이 실현시켜야 한다는 정치철학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정조는 먼저 자신이 모든 백성들의 귀감이 되기 위해 오직 천리를 밝히고 따르며 자신의 사사로운 욕심을 제거하고 부끄러운 마음이 생기지 않도록 행동하는 수신을 평생토록 강조하면서 실천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이러한 수신을 토대로 백성의 부모로서 자신의 마음 씀씀이를 항상 민심에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애민 정신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 정조가 군사를 자임한 이유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평가하듯이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측면도 무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성리학의 이념인 수기치인을 실현하는 군사를 자임하며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 정조의 진정성도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reviews the reason why King Jeongjo looks upon himself as the king and teacher at the same time by analysing hi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and political philosophy from an organic point of view. King Jeongjo thinks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heory of the principle-material force and the mind-nature of Neo-Confucianism. But he emphasizes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put the theory into practice in daily life. Therefore, he has a political philosophy that he must realize cultivating himself and educating others, which is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as a monarch himself in political reality. So, he tries to practice cultivating himself in order to be a role model for all the people. Based on cultivating himself, he also strives to realize the mind of loving the people that always tries to harmonize his mind with the people as the parents of the people. We can not ignore the aspect of his intention to strengthen his own royal authority as assessed in previous studies about the reason why he looks upon oneself as the king and teacher at the same time. However, it is necessary to appreciate the sincerity of King Jeongjo who constantly tries to realize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that is to cultivate oneself and educate others.

      • KCI등재

        유고경전해석학 『중용(中庸)』의 해석학적 접근 간재 전우의 <중용> 해석의 특징

        김유곤 ( You Go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5 No.-

        Jeon-Woo maintains that the root idea of Confucianism is to lay stress on the nature, a heresy regards the min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it must follow the nature as its fundamental principle. He thinks the reason why Confucianism put emphasis on the nature is that it is perfect good, intangible and inactive thing, so there is no chance it changes into evil. He, therefore, strenuously insists that we must not regard the mind as the most important thing because it is tangible and active thing, and it also has the possibility to be evil. From this point of view, he interprets the Doctrine of the Mean. There are two large characteristics on his interpreting it. First, he understands it contains moral philosophy, and the moral philosophy is to study the nature and it clarifies the root idea of Confucianism is to lay stress on the nature. He, therefore, tries to show that his main thought, that is, the mind must follow the nature as its fundamental principle, is not his personal opinion but the foundation of Confucianism by interpreting the Doctrine of the Mean. Second, he also tries to clearly distinguish intangible and inactive things from the tangible and active things about the major concepts on the Doctrine of the Mean. He thought that he was called to pass down the path of Confucianism to future generations. He interpreted the Doctrine of the Mean, in the same spirit as Za-Sa wrote it fearing the moral philosophy wouldn`t hand down to future generations by a cult.

      • KCI등재

        한국철학 : 한국 유학의 『대학』 체재에 대한 이해(2) -『고본대학』 체재의 정합성을 인정하는 학자를 중심으로?

        김유곤 ( You Go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6 No.-

        윤휴·정제두·이병휴·정약용·김택영 등은 『고본대학』에는 착간과 궐문이 없고 그 차서 그대로 논리적 정합성을 지니고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노력한다. 특히 격물치지에 대한 독자적 견해를 통해 격물치지전은 본래부터 없었다고 보거나 격물치지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시한다. 윤휴는 격물치지란 명덕과 신민의 일을 할 때에 居敬하고 存誠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誠意∼平天下의 모든 과정에서 필요한 공부이기 때문에 따로 격물치지전이 필요 없다고 주장한다. 정제두는 격물치지란 성의∼평천하를 至善에 그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경1장과 전5장 1절∼2절이 격물치지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파악한다. 이병휴는 격물치지란 사물의 至善의 소재를 궁구하여 그 곳에 마땅히 그쳐야 함을 아는것으로 이해하여, 이에 대해서는 전3장 1절∼3절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따로 격물치지전이 필요 없다고 주장한다. 정약용은 격물치지란 성의∼평천하의 본말과 종시를 잘 헤아려서 그 선후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경1장 2절∼7절과 전5장 1절∼2절이 격물치지와 관련된 부분이라고 주장한다. 김택영은 격물치지란 삼강령과 그 조목인 성의∼평천하의 본말과 종시의 선후를 궁구하여 아는 것으로 이해하여, 경1장 3절과 6절∼7절, 전5장 1절∼2절이 격물치지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파악한다. Yun Hyu, Jeong Jae-du, Lee Byeong-hyu, Jeong Yak-yong, and Kim Taek-yeong tried to prove the perfectness of Gobondaehak. Especially, they asserted that there was originally no chapter on the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to the utmost, or reconstituted the chapter on it founded on the unique understanding of it. Yun Hyu maintained that there was originally no chapter on it, because it is the essential study from seeking to be sincere in a thought to making a whole kingdom tranquilly and happily. Jeong Jae-du looked on chapter one and five as on it, because he regarded it as the resting in the highest excellence from seeking to be sincere in a thought to making a whole kingdom tranquilly and happily. Lee Byeong-hyu thought of from first verse to third of the chapter three as on it, because he considered it as investigating the highest excellence of things and knowing to rest there. Jeong Yak-yong looked on from second verve to seventh of the chapter one, and chapter five as on it, regarding it as knowing the root and the branches, and the beginning and the end from seeking to be sincere in a thought to making a whole kingdom tranquilly and happily. Kim Taek-yeong thought of the third verve of chapter one, from the sixth verve to seventh of chapter one, and chapter five as on it, regarding it as knowing the root and the branches, and the beginning and the end from seeking to be sincere in a thought to making a whole kingdom tranquilly and happily.

      • KCI등재

        윤휴의 『대학』 이해에 나타난 위학관(爲學觀)

        김유곤 ( You Gon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2 韓國思想史學 Vol.0 No.41

        본 논문에서는 『대학』 이해에 나타나는 윤휴의 學問觀 즉 爲學觀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윤휴는 인간이 학문을 하는 목적 즉 爲學의 목적은 性을 밝히는 것인데, 『대학』이란 바로 爲學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 설명한 경전이라고 파악한다. 그는 주희의 『대학장구』 체재를 받아들이지 않고, 『고본대학』에는 본래 착간·연문·궐문이 없고 그 차서 그대로 온전한 체재를 갖추고 있다고 보고 4분절하여 『대학』은 경1장과 전3장 체재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주희가 『고본대학』에 착간·연문·궐문이 있다고 주장한 부분에 대해 그렇지 않음을 증명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格物致知와 誠意를 爲學의 핵심 조목으로 파악하고 독자적인 해석을 하고 있으며, 또한 독창적인 知行觀을 내세운다. 이를 종합하여 정리해 보면 그의 爲學觀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윤휴는 爲學의 핵심 조목으로 파악한 격물의 방법에 대해 居敬·存誠이라는 尊德性과 學·問·思·辨이라는 道問學을 함께 제시하여 두 공부가 서로 조화롭게 모두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면서도 존덕성의 바탕 위에서 도문학의 공부가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한다. 이는 주희가 존덕성과 도문학을 학문의 양 날개로 강조하여 어느 한쪽도 폐기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면서도, 격물의 방법에 대해서는 도문학만을 위주로 말하여 지리한 末學으로 흐를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그 위험성을 철저히 경계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윤휴는 知와 行의 관계에 있어서 그 선후를 따지자면 知가 行보다 먼저이지만 輕重을 따지자면 行이 知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하면서, 知란 단순히 아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行이 수반된 이후에야 비로소 완성되는 것으로 파악한다. 이는 주희의 先知後行을 인정하면서도 주자학이 너무 主知的인 측면을 강조하여 실천[行]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고 파악하여, 眞知란 行으로 옮겨질 때 완성되는 것임을 강조하여 실천성을 더욱 제고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윤휴는 爲學의 핵심 조목으로 격물치지와 성의를 내세우고 선후 관계에 있어서는 知의 영역인 격물치지가 行의 영역인 성의보다 먼저 해야 할 공부이지만, 輕重을 따지자면 行의 영역인 성의가 知의 영역인 격물치지보다 중요한 공부라고 주장하고, 또한 眞知란 行이 수반된 이후에야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하여 격물치지의 공부가 성의로까지 이어져야함을 강조한다. 이는 주희가 격물치지를 성의보다 강조하여 主知的인 측면으로 흐를 한계가 있다고 파악하여, 실천성을 더욱 제고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 of Yun Hyu`s view of learning in interpreting on the Great Learning may be summed up in the following three viewpoints. First, he suggests two ways of investigating things; honouring his virtuous nature and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ing. While he emphasizes the balance of honouring his virtuous nature and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ing, he also stresses that the way of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ing must be done based on honouring his virtuous nature. Second, he asserts that knowledge antecedes practice in order of time, but practice is more important than knowledge in the importance of a matter. He considers that the thorough knowledge is completed after doing practice. Third, he suggests two ways of learning;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to the utmost and seeking to be sincere in a thought. He asserts that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to the utmost antecedes seeking to be sincere in a thought in order of time, but the latter is more important than the former in the importance of a matter. He also stresses that investigat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 to the utmost should be connected to seeking to be sincere in a thought.

      • KCI등재

        『중용』과 『대학』 해석에 나타난 윤휴의 사천지학(事天之學)의 구조와 성격

        김유곤 ( You Go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3 東洋哲學硏究 Vol.76 No.-

        『중용』과 『대학』 이해에 나타난 윤휴의 사천지학의 구조는 인간이 하늘 을 섬겨야만 하는 근본 원리, 하늘을 섬기는 구체적 실천 방법, 하늘을 섬 긴 지극한 효과로 이루어져 있다. 그는 인간의 性과 道란 天의 命으로 정해 져 있기 때문에, 인간이란 性과 道의 근원인 天을 섬겨야만 하는 숙명적인 존재라고 이해한다. 즉 사천이란 다름 아닌 인간의 본원에 대한 섬김을 의 미한다고 본다. 사천을 실천하는 구체적 방법으로 畏天, 存心養性, 중용과 중화의 실천, 五達道와 九經의 실천, 삼강령과 팔조목의 실천을 제시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천을 지극히 하게 되면, 천지가 제자리를 잡고 만물 이 길러지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고 파악한다. 그에게 있어서 이러한 천지 가 제자리를 잡고 만물이 길러진 경지란 다름 아닌 오달도와 구경이 실현 된 경지이며, 자신의 性을 다하고[明明德] 남의 性을 다하게 하여[新民] 극 치에 이른 경지이며[止於至善], 平天下가 이루어진 경지인 것이다. 이와 같이 윤휴가 강조한 사천지학의 지향점은 성리학의 지향점과 정 확하게 일치한다고 하겠다. 그러나 그 출발점에서는 큰 차이를 보인다. 성 리학에서는 天을 理로 이해하고, 이러한 天理는 性으로 내재되어 있다고 보고, 性안에 내재된 천리를 자각하고 그 천리를 인륜에서 실현하는 것 을 학문의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물론 윤휴도 천리가 性으로 내재된 점 을 인정하여 천명으로 받은 性을 인륜에서 실현하는 것을 학문의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그러나 그 전제 조건으로 性의 근원인 天이 인륜과 日用 사이에 항상 顯現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자각하여, 天을 두려워하고 경외 하는 畏天의 마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윤휴의 외천에 대한 강조는 성리학의 理法으로서의 天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발적이고 적극적 인 인륜 실천을 하도록 도모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보고, 인간의 인륜 실천을 提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 결과라 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Yun Hyu`s the theory of serving heaven in interpreting on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is composed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for serving heaven, way of doing, and utmost effects. Yun Hyu thinks that human beings are the fatalistic being who must serve heaven, because their virtuous nature and way were given from the heaven. Namely, he insists that serving heaven means the serving origin of human beings. He presents the way of serving heaven that awing heaven, holding mind and honoring his virtuous nature, the course of the Mean, equilibrium and harmony, five common relationships, nine basic patterns of treatment, and three guiding principles and eight rules. He thinks that the utmost effects of serving heaven is that Heaven and Earth are in their proper positions, and the myriad things are nourished. These stages mean that coming true the five common relationships, nine basic patterns of treatment, and three guiding principles and eight rules. The aim of Yun Hyu`s the theory of serving heaven is exactly equal to the aim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y are different in the point of departure. Neo-Confucianism scholars regard heaven as principle, and the principle is inherent in human beings as the virtuous nature. They, therefore, think that the aim of studying is that realizing the principle, and coming true it on the human relations. Certainly, Yun Hyu also thinks the same as they do. However, he particularly emphasizes that human beings have to realize that the heaven is manifested on the human relations, and respect and awe the heaven. He thinks that heaven on the Neo-Confucianism has the fixed limitation for urging human beings to come true the human relations. He, therefore, especially emphasizes the respecting and awing the heaven in order to encourage human being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윤리와 사상』 교과서 내용 분석 - 율곡과 다산의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

        김유곤 ( Kim You-gon )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3 No.-

        이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윤리와 사상』 교과서의 율곡과 다산의 윤리 사상에 대한 기술 내용 중에서 학습자들이 이해하는 데 혼동을 줄 수 있는 기술, 오해할 가능성이 있는 기술, 5종 교과서 내용의 균질성 여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율곡이 이발(理發)을 인정하지 않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하는 이유로 제시한 “이(理)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보편성을 가지고, 반면에 기(氣)는 제약을 받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라는 기술은 학습자들이 기발이승일도설을 이해하는 데 혼동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이 기술 내용은 율곡이 “이(理)는 무형(無形)하고 기(氣)는 유형(有形)하므로 이는 통(通)하고 기는 국한되는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이통기국(理通氣局)을 주장할 때 말한 내용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다산은 인간의 도덕성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실천을 통해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결과라고 주장한다.’라는 취지의 기술은 다산이 인간의 본성이 선천적으로 도덕적으로 선하지 않다고 주장한 것처럼 오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다산은 분명하게 인간은 선천적으로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기호(嗜好)로서의 성(性)을 하늘로부터 부여받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은 도덕적으로 선하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율곡이 강조한 성(誠)에 대한 기술 내용과 다산의 수양론에 대한 기술내용이 교과서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합의된 ‘집필기준’을 제시하여 균질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escription of the ethical thoughts of Yulgok and Dasan in high school Ethics and Thoughts textbook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description that could confuse learners' understanding, description that could be misunderstood, and the homogeneity of the contents of the five textbooks. The statement that "Li(principle, 理) has the universality that is not limited by time and space, while the Ki(material force, 氣) has the speciality that is limited" could confuse understanding the Kibal-liseung-ildo(the only one way that Ki moves and Li rides on it, 氣發理乘一途). This is because the content of this description is what Yulgok said when he insisted on Litong-kiguk(Li is not limited but Ki is limited, 理通氣局). The statement that “Dasan argues that human morality is not inherently born, but is a result acquired through practice” could be misunderstood as that he claims that human nature is not inherently morally good. This is because Dasan insists that human nature is good because human beings are born with a moral nature as a liking that likes goodness and hates evil. Seong(sincerity, 誠) emphasized by Yulgok is described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in three kinds of textbooks, a kind of textbook describes it as the ultimate level of self-cultivation, and in another kind of textbook, it i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and at the same time as the ultimate level of self-cultivation. In additio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Dasan is not introduced in three kinds of textbooks, but in a kind of textbook, self reflection, achieving four virtues, and Seo(恕) are presented, and in another textbook, self reflection and Gyeong(敬) are presented. Therefore,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afterward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homogeneity by presenting an agreed writing standard for Seong(sincerity, 誠) emphasized by Yulgok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Dasa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윤리와 사상』 교과서 분석 - 공자·맹자·순자의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

        김유곤 ( Kim You-g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8

        이 논문에서는 공자가 강조한 예(禮)의 본질적 의미, 맹자가 강조한 사덕(四德)과 사단(四端)의 관계, 순자가 강조한 화성기위(化性起僞)의 의미를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윤리와 사상』 5종 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공자가 강조한 예(禮)에 대해 5종 교과서에서는 모두 ‘외면적 사회규범’의 의미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공자가 강조한 예에는 ‘남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나 정신’이 본래부터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학습자가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 『논어』 를 통해 공자가 강조한 예의 본질이 ‘상대방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나 정신’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자는 마음이나 정신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예의, 예절, 예법 등의 외면적인 사회 규범인 형식을 통해 남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적절하게 표현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따라서 공자가 강조한 예를 ‘외면적인 사회 규범’으로 기술하기 보다는 ‘남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포함하고 있는 외면적인 사회 규범’의 의미로 기술해 보는 것을 제안해 본다. 맹자가 말한 사덕(四德)과 사단(四端)에 대해 5종 교과서에는 모두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사단을 통해 사덕을 완성해야 한다.’는 취지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맹자가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 사단만 내재되어 있고 사덕은 내재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한 것처럼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 『맹자』 를 통해 맹자가 ‘사덕은 인간이 본래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맹자가 말한 사덕과 사단의 관계에 대해 ‘인간에게 본래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사덕을, 사덕의 싹인 사단을 통해 확충하여 완성해야 한다.’는 취지로 기술해 보는 것을 제안해 본다. 순자가 강조한 화성기위(化性起僞)의 기위(起僞)에 대해 5종 교과서에서는 ‘선(善)을 일으킨다.’, ‘인위를 일으킨다.’, ‘인위적으로 교화한다.’, ‘선하게 교화하려는 노력’ 등으로 다양하게 기술하고 있다. 『순자』를 통해 순자가 강조한 화성기위(化性起僞)의 위(僞)에는 ‘마음의 사려 작용을 통해 감각 기관의 작용을 올바르게 운용하는 인위적인 노력’의 의미와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서의 ‘인위적인 선(善)’의 의미가 함께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화성기위에 대한 교과서의 다양한 표현들을 통일시키는 방안으로 ‘악한 본성을 변화시켜 인위적인 노력을 일으켜서 인위적인 선(善)을 일으켜야 한다[화성기위(化性起僞)].’는 의미로 기술해 보는 것을 제안해 본다.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contents of high school ethics and though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essential meaning of propriety(禮) emphasized by Confucius,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virtues(四德)” and “four beginnings(四端)” emphasized by Mencius, and the meaning of Hwaseong-Kiwi(化性起僞) emphasized by Xun Zi. The propriety emphasized by Confucius are described in all five textbooks in the meaning of “external social norm.” Such a description is likely to be misunderstood by learners as the propriety emphasized by Confucius did not originally include the meaning of “heart or spirit of loving and caring for others.” Therefore, I suggest to describe it in the meaning of the “external social norm that originally includes the heart of loving and caring for others.” In all five textbooks, about the four virtues and four beginnings Mencius talked about are described in the meaning of “human being must complete the four virtues through four beginnings.” Such a description is likely to be misunderstood by learners as if Mencius argued that only four beginnings are inherent in humans and four virtues are not inherent in humans. Therefore, I suggest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virtues and four beginnings in the meaning of “the four virtues that are inherent in humans must be expanded and completed through four beginnings.” The Hwaseong-Kiwi emphasized by Xun Zi is described in various ways in the five textbooks. Therefore, as a way to unify the various expressions in the textbook on Hwaseong-Kiwi, I suggest to describe it in the meaning of “we must change the evil nature and make artificial efforts to create an artificial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