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웰에이징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김두리(Doo Ree Kim),강경희(Kyung Hee Kang),박아르마(Arma Park),이종형(Chong Hyung Lee),김광환(Kwang 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국내에서 진행된 웰에이징 관련 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웰에이징 개념정의를 분석함으로써 추후, 국내 웰에이징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는 Whittemore & Knafl이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국내에서 진행된 웰에이징 연구에 대한 연구설계는 문헌고찰, 사례연구, 질적연구가 각각 2편이었으며, 조사연구 3편, 실험연구 2편으로 총 11편이었다. 또한 2017년 이전 연구 3편, 이후 연구 8편이었으며, 학위논문이 2편, 학술지 게재논문이 9편이었고,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웰에이징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총 11편의 연구에서 웰에이징에 대해 각각 정의하고 있었으며 웰에이징을 위한 정의에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경제적, 자아실현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웰에이징 준비를 위해서는 노년기뿐만 아니라 생애주기에 따른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웰에이징 연구가 다양한 연구설계로 더 넓은 학문분야에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well-aging related research conducted in Korea and to analyze the concept definition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future well-aging research in Korea. As a research method,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suggested by Whittemore & Knafl was conducted. Study results found research conducted in Korea consisted of 2 literature reviews, case studies, qualitative studies, 3 survey studies, and 2 experimental studies. In addition, there were 3 studies performed prior to 2017 and 8 studies after that included 2 dissertations and 9 dissertations in academic journals. The definition of well aging consisted of physical, emotional, social, economic, and self-realization asp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programs according to life cycles to prepare well aging, and in the future, well-aging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 KCI등재

        노인의 주관적 기억장애로 인한 건망증 경험 분석

        김두리(Doo Ree Kim),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8

        본 연구는 주관적 기억장애를 호소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스스로 경험하는 깜빡 잊어버리는 건망증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기 위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적용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D시의 일개 노인복지관에서 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노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주관적 기억장애를 호소하며, 건망증을 경험한 노인으로 자신의 의사표현을 자유롭게 잘 할 수 있는 노인으로 하였으며, 총 3-4명 씩 3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각 그룹 당 40~60분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인간관계에서의 곤란함’, ‘일상생활에서의 불편감/안전위험성 노출’, ‘표현할 수 없는 양가감정’, ‘건망증을 이겨내기 위한 가족의 노력’, ‘자신만의 건망증 예방노하우’ 5개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주관적 기억장애를 호소하는 노인들은 치매가 아닌 것에 대한 안도감과 치매로의 이환에 대한 불안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고, 건망증을 스스로 이겨내기 위한 각자의 방법을 수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주관적 기억장애를 호소하는 노인들의 각자의 방법과 요구도를 반영한 기억력 향상 중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qualitative study employed focused group interviews to collect data on the forgetfulness experienced by elderly persons (over the age of 65) who suffer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The participants were ten elderly persons who participated in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at an elderly welfare center in D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at were comprised of three/four people each, and each group was interviewed for 40~60 minute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iculties in human relations", "feeling uncomfortable in daily life", "exposure to a safety risk", "inexpressible ambivalence" and "family effort to overcome forgetfulness" were all expressed in the interviews.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ho complained of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had both feelings of anxiety and anxiety about non-dementia, and they were making efforts to overcome forgetfulness themselves.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that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hat reflect the individual needs of elderly people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 KCI등재

        노인의 웰다잉 교육 요구도에 관한 예비조사연구

        김두리(Doo Ree Kim),이서희(Seo-Hui Lee),안상윤(Sang-Yoon Ahn),김용하(Yong-Ha Kim),이종형(Chong Hyung Lee),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9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가족의 죽음 경험 유무에 따라 원하는 웰다잉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조사, 서술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가족의 죽음 경험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 웰다잉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웰다잉 교육경험에 대해서는 가족의 죽음 경험이 있는 그룹이 71.8%, 없는 그룹이 40.0%로 나타났다. 또한 웰다잉 교육내용에 있어서 두 그룹 모두 ‘죽음의 의미와 삶의 가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 외에 가족 죽음의 경험이 있는 그룹은 ‘가족 및 친구의 죽음 시 슬픔을 극복하는 방법’, ‘장기 혹은 시신 기증 절차에 관한 정보’ 가 교육내용에 포함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가족 죽음 경험이 없는 그룹에서는 이와 관련된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웰다잉 교육기간 또한 두 그룹 모두 1주일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웰다잉 교육 방법에 있어서는 두 그룹 모두 강의 및 토의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웰다잉 교육을 진행시에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가능한 교육이 필요하며, 노인 뿐 아니라 가족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urvey to determine the desired demanding well-dying education requirements for subjects aged 65 years or older according to their family"s death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report that all subjects needed well-dying education regardless of their family"s death experience. In addition, 71.8% of those who had experienced family deaths said they needed education. On the other hand, 40% of those with no family deaths said that education was needed. Both groups responded as needing well-dying education based on the meaning of death and value of life. Groups with family death experiences hoped to include "how to overcome sadness related to the death of family and friends" and "information about organ or body donation procedures". Both groups responded that 1 week was appropriate for the duration of well-dying education, and that the lectures and discussions were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method. In the future, well-dying education will require sustainable education, not one-offs, and education for the family as well as the elderly.

      • KCI등재

        일개 도시 복지관 이용 노인의 삼킴곤란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두리(Kim, Doo Ree),김연옥(Kim, Yeon Ok),최성애(Choi, Sung Ae) 노인간호학회 2018 노인간호학회지 Vol.20 No.2

        Purpose: According to a survey of older people in 2014, 54.6% of survey participants reported feeling ncomfortable in their daily life because of swallowing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swallowing quality of life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150 community dwelling older peopl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the MMSE-K(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GDSSF-K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Life Stress, and SWAL-QOL (Swallowing-Quality of Life).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using SPSS/WIN 21.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wallowing quality of life and mental state (r=.27, p=.001), depression (r=-.47, p<.001) and life stress (r=-.60,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swallowing quality of life were having experienced aspiration (β=.29, p<.001), and life stress (β=-.38, p<.001). These variables explained 43.0% of swallowing quality of life.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xperiencing aspiration and life stress are variables that influence swallowing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results, nurses should educate older people about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eating habits to prevent aspiration.

      • KCI등재

        국내 노인윤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김두리(Kim, Doo Ree),한은경(Han, Eun-Kyoung),김상희(Kim, Sanghee)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1

        본 연구는 노인윤리와 관련된 문헌들을 검색하고, 현재까지 진행된 노인윤리 연구의 철학적 기초, 윤리원칙, 간호윤리를 분석하여, 추후 노인윤리와 관련된 논문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방법은 Whittemore(2005)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의 5단계(문제규정, 문헌검색, 문헌평가, 문헌분석, 문헌제시)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윤리와 관련된 논문 최종 17편을 분석한 결과 연구유형은 경험적 연구 13편, 이론적 연구 4편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은 인터뷰 4편, 설문조사 8편, 문헌고찰 4편, 이차 자료 분석 1편으로 나타났다. 철학적 기초는 대부분이 돌봄윤리, 윤리원칙으로는 자율성의 원칙, 간호윤리로는 도덕적 규범으로의 돌봄이 주를 이루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노인 부양에 있어 점차 역할이 증가하는 간호사들은 윤리교육을 통해 노인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키우고, 그들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ethical principles and nursing ethic of the geriatric ethic. An integrative review concept analysis method was used. Relevant reports were identified by a computer-assisted search using the keyword integration in RISS4U, KISS. In total, 17 geriatric ethic articles publish between 2000 and 2013 were retrieved from the journals studied. Data were extracted from primary sources on the definition of integration, aspects of the process, antecedents, consequences, and facilitators. Over this period, the analyse result of these 17 articles were descriptive studies. Method of study were 4 interviews, 8 surveys, 4 literature review and secondary analysis 1. Most of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was caring ethic, ethical principles were the principle of autonomy, nursing ethic was caring of moral standard. The result of study expect that various quantitative researches in relation to geriatric ethic and intervention studies are needed.

      • 일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의 사회참여에 대한 태도, 사회적관계지지망, 노인역량이 노인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두리(Kim, doo ree),류주희(Ryu, joo hee),문효원(Moon, hyo won),민수현(Min, soo hyun),박신숙(Park, sin sook),이기란(Lee, gi ran)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1

        본 연구에서는는 고령화 사회를 살아가는 노인 스스로가 느끼는 노인차별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시의 일개 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차별경험에 대한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21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노인차별경험은 사회참여태도(r=-.160, p=.019), 자녀관계지지(r=-.150, p=.030)에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노인차별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25, p<.001), 직업(β=.18, p=.011), 스마트폰 사용(β=.13, p=.049), 자녀관계지지(β=-.17, p=.021)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요인 변수들의 노인차별경험에 대한 설명력은 15.4%이었다.

      • KCI등재

        간호대학 4학년 학생의 중환자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김두리(Kim, Doo Ree),임효남(Lim, Hyo Nam),양선이(Yang, Sun-Yi),김진일(Kim, Jin-il) 한국간호교육학회 2017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3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of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us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237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asked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esteem, self-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confidence in intensive care unit practice predicted the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37.8% of explanatory power).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elf-resilience were not shown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bu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confidence in intensive care unit practice should be considered in nursi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nursing students’ level of competence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 KCI등재

        일 대학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중환자 간호 역량 조사

        김진일(Kim, Jin-il),김두리(Kim, Doo Ree),임효남(Lim, Hyo Nam) 한국간호교육학회 2016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competence in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comprised a descriptive survey study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13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 instrument entitled ICCN-CS-1, which measur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competence, was translated by the authors following WHO guidelines for translation proces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CCN-CS-1. Results: The mean score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was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The competence indices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value were also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which suggests that their competence is good. For two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domains, the nursing students’ mean score of clinical competence is higher than that of professional competence. The competence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is also influenced by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their major and clinical practice as well as their confidence in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The senior nursing students’ competence of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is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A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ICU practice and confidence of ICU practice is needed i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education.

      • KCI등재

        웰에이징 전문가의 장례문화사업 교육운영 인식 연구

        송현동(Hyeon-Dong Song),김두리(Doo-Ree Kim),장경희(Kyung-Hee Chang),김광환(Kwang-Hwan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웰에이징 전문가를 대상으로 장례문화사업분야 교육운영에 필요한 항목 별 중요도와 지식정도를 확인하여 웰에이징 교육모델 개발과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설문은 한국갤럽에 의해 웰다잉 교육기관 및 강사진,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44명이며, IBM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특성과 장례문화사업 교육운영 관련 항목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장례문화 교육운영 관련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은 IPA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장례문화사업 교육운영 시 중요한 것은 ‘계획수립’으로 나타났으며,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은 ‘교육기관 및 행정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으로 나타났다. 장례문화사업 교육 시 항목별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죽음준비 교육’의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례절차 및 행정’의 중요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장례문화사업 교육의 항목별 중요도 및 지식정도에 대한 IPA분석을 진행한 결과 ‘죽음준비 교육’, ‘장례문화사업의 목적과 필요성’, ‘한국인의 죽음관’의 중요도와 지식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웰에이징 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로 추후 장례문화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ndeavor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well-aging education model. This was achieved by confirming the importance and level of knowledge of well-aging experts for each item required for education and operation in the field of funeral cultur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Gallup Korea, targeting well-dy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structors, and researchers. Totally, 44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items related to the education operation of the funeral culture project. IPA analysis was us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leve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funeral culture educ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urvey examined the importance of each item in funeral cultural project educatio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had the highest importance, whereas funeral procedures and administration were the least important factors. IPA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importance and knowledge level of funeral culture project education by considering the following factor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urpose and Necessity of Funeral Culture Project, and Korean Death Pavilion. All factors ranked high in importance and knowledge. Since this study enrolled well-aging professionals,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funeral culture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 KCI등재

        노인일자리 사업과 교육 활동에 대한 인식 연구: 웰에이징 전문가를 중심으로

        염주희(JooHee Yum),김두리(Doo-Ree Kim),김광환(Kwang-Hwan Kim),장경희(Kyung-Hee Ch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웰에이징 교육전문가가 노인일자리 사업 및 관련 교육 활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향후 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데 있다. 조사 기간은 2022년 10월 31일~2023년 1월 16일까지 진행되었고, 웰에이징 교육전문가 중 노인일자리 사업에 관심이 있는 사람 45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노인일자리 사업과 관련한 교육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5를 이용,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만-위드니 U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생각하는 노인일자리 사업의 교육분야별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보기 위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49.7세였고, 현재 종사하는 분야에 재직한 평균 기간은 10.3년이었다. 이들은 교육 프로그램 내용이 교수학습활동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하였다. 연구대상자의 68.9%는 노인일자리 사업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실제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로 이어진다고 응답하여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 평가하였다. IPA 분석 결과 이들은 노인일자리 사업 관련 교육 실행도 중에서 행정기관과 협력 체계 구축하기에서 고충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복지계열 전공자는 비사회복지계열 전공자보다 행정기관과 협력 체계 구축하기에서 실행도 점수가 높았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 대상 필수 교육에 웰에이징 교육을 융합하는 방안과 사회복지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타분야 전문가와 협업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policy awareness among well-aging educators who are interested in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grams for the elderly.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October 31, 2022, through January 16, 2023, with a total of 45 well-aging educators included in the study. Using SPSS Statistics 25,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d Mann-Whitney U-tests were conducted. Two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odels were performed to study levels of perception on such policy awareness. On average, subjects were 49.7 years old, and the average length of service in their current field was 10.3 years.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68.9%) evaluated policy effectiveness highly, recognizing that education leads to participation in senior job placement programs. Results show that well-aging educators had difficulties in working with administrative agencies to conduct education. In addition, social-work professionals had higher performance scores than non-social work professionals when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This study suggests well-aging education can be integrated into senior employment and social activity support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social-work professionals can be an integral part of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