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자의 빈도수를 고려한 rank/select 자료구조 구현 (pp.297-298)

        권유진(Yoojin Kwon),이선호(Sun ho Lee),박근수(Kunsoo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Rank/select 자료구조는 주어진 문자열에 나타난 문자 개수를 세는 연산을 처리하는 자료구조로 인덱스 자료구조를 만드는 기반이 된다. 효율적인 rank/select 자료구조를 위해 이론적인 압축 방식들이 제안되었으나, 실제 구현에 있어 연산 시간 및 저장 공간의 효율을 보장할 수 없었다. 본 논문은 간단한 방법으로 이론적인 압축 크기를 보장하면서 연산 시간도 효율적인 rank/select 자료구조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학교 교육 활용을 위한 메이커 교육 구성 요소 탐색

        권유진(Kwon, Yoojin),이영태(Lee, Youngtae),임윤진(Lim, Yunjin),박영수(Park, Youngsu),이은경(Lee, Eunkyung),박성석(Park, Seongseo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메이커 교육은 메이커스페이스에서 모인 메이커들이 서로의 활동과 경험을 공유한 메이커 운동에 기초하여 시작되었으며,메이커 교육에서 추구되는 교육적 가치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에 사용할 메이커교육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메이커 교육의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을 재개념화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고, 메이커 교육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의심층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진술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전문가들을 통해 검토 받았다. 이러한 진술문을 토대로 메이커교육 활용을 위한 구성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과 수업 및 창의적 체험학습에서활용할 수 있는 예시 틀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메이커 교육에서 메이커들은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협력하고, 다른 사람들과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향상시키려고 노력하며, 학습, 땜질, 디자인 사고, 메이커 활동, 공유 및 협력, 성찰 등의 자기 방향을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메이커 교육은 특정 활동을 필요에 따라 학생의 선택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실제겪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험 학습을 강조한다. 활동의 결과물보다는 학습자의 행동 과정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실패를용인하며 재도전을 촉진하는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향후 각 교과(커리큘럼 전문가, 교직 / 학습 전문가, 초 중학교교사, 부모, 지역 교육자 등) 및 학교 활동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 메이커 교육의 기초 연구로서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aker education started on the basis of the maker movement in which makers gathered in makerspace share their activitiesand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value pursued in maker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aradigm. The purposeof this study is to present maker education components to be used in school education,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values of maker education, and explore ways to use them.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grounds to re-conceptualizemaker education, drew statements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of teachers conducting maker education classes, and reviewedits validity through experts. Based on these statements, by deriving the components for the use of maker education, the directionof mak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was set, and an example framework that could be used in subject class and creativeexperiential learning was proposed. Research shows that in maker education, makers cooperate to carry out activities, share ideaswith others and try to improve them, and include self-direction such as learning, tinkering, design thinking, sharing and reflection. can see. In addition, maker education emphasizes experiential learning that can solve real problems that students face, ratherthan confining specific activities to student choices as needed. It emphasizes the learner s course of action rather than the outcomeof the activity, tolerates the learner s failure, and emphasizes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facilitator to promote re-challenge.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each subject (curriculum expert, teaching/learning expert, elementary and middleschool teachers, parents, local educators, etc.) and school activities, and it will contribute to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as a basic research for school maker education.

      • KCI등재

        문자의 빈도수를 고려한 Rank/Select 자료구조 구현 (pp.283-290)

        권유진(Yoojin Kwon),이선호(Sunho Lee),박근수(Kunsoo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6 No.4

        Rank/select 자료구조는 트리, 그래프, 문자열 인덱스 등의 다양한 자료구조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기본 도구이다. Rank/select 자료구조는 주어진 문자열에 어느 위치까지 나타난 문자 개수를 세는 연산을 처리한다. 효율적인 rank/select 자료구조를 위해 이론적인 압축 방식들이 제안되었으나, 실제 구현에 있어 연산 시간 및 저장 공간의 효율을 보장할 수 없었다. 본 논문은 간단한 방법으로 이론적인 압축 크기를 보장하면서 연산 시간도 효율적인 rank/select 자료구조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실험을 통해, 복잡한 인코딩 방법 없이도 이론적인 nH?+O(n) 비트 크기에 근접하면서 기존의 HSS 자료구조보다 빠른 rank/select 연산을 지원하는 구현 방법임을 보인다. The rank/select data structure is a basic tool of succinct representations for several data structures such as trees, graphs and text indexes. For a given string sequence, it is used to answer the occurrence of characters up to a certain position. In previous studies, theoretical rank/select data structures were proposed, but they didn’t support practical operational time and spa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mple solution for implementing rank/select data structures efficiently. According to experiments, our methods without complex encodings achieve nH?+O(n) bits of theoretical size and perform rank/select operations faster than the original HSS data structure.

      • KCI등재
      • KCI등재

        21세기 과정역량 모델 분석을 통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적용 연구

        권유진(Yoojin Kw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1

        21세기 필수 역량(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 2004)은 미국 교육에서 제공해야 할 핵심역량 (core competency)을 제시하였으며, Mosenson과 Fox(2011)는 21세기 역량을 가정교육에 적용하여 ‘21세기 과정역량 모델’로 제시하였다. 가정과 교육에 적용된 21세기 과정역량 모델은 가정과 교과역량 및 하위 요소로 제시하여 이를 수업의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2009 개정 교육과정부터 교과 교육과정에 핵심역량이 처음 적용하였고,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은 교과역량을 정의하고 그것을 교과 목표와의 연관성을 제시하는 수준으로 적용하였다. 따라서 가정과 수업에서 교수 · 학습 방법이나 평가에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부족하다고 분석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21세기과정역량 모델을 적용하여 향후 교육과정에서의 교과의 핵심역량의 역할과 구체적 하위요소들을 모색하고 그 시사점을 교과교육과정에 적용하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문서에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를 규정하고, 목표에 제시하는 것을 넘어서서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핵심역량의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 때 관련 요소들은 교육과정에 근거해야 하며, 성격, 목표는 물론 내용 체계, 성취기준, 평가 영역에 까지 교과의 핵심역량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안내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교과의 핵심역량을 발전 · 적용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것이다. The Partnership for the 21st Century Skills (2004) has presented core essential competencies for education. Mosenson and Fox (2011) published the 21st century process skills model which integrated the 21st century skills into the process frameworks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standards. The model has provided the areas of competencies and specific competencies which were the essence of national standards. Since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concepts of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each subject wer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Als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utilized core competencies as the title of subject competency. Even though there were some studies for subject competencies in the curriculum, we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petency in Home Economics subject research area. This study selected the 21st century process skills model to be applied to subject curriculum, because the model was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Through analyzing the 21st century process skills and deriving som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utcomes, we can contribute by providing a foundation for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related research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drawing some implications from the 21st century skills and the 21st century process skills model.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establish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national curriculum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subject through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e 21st century process skills model.

      • KCI등재

        중·고등학교 학교급 전환기 ‘가족 및 가정생활’ 내용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 차이 분석

        성미영(Miyoung Sung),권유진(Yoojin Kwon),류계라(Gyera Ry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교과 내용 흥미도는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학생보다는 교사 측면에서 연구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중·고 전환기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생활 연계 차원에서 매우 의미있는 가정과 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에서 배운 내용과 고등학교에서 배운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가정과 내용 17문항, 고등학교 가정과 내용 10문항으로 구성된 흥미도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성별 및 성취 수준별로 흥미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고 전환기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경우 청소년 발달 등 자신에 관한 관심은 가족의 요구나 가정생활에 관한 관심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취 수준에 따라 내용 흥미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발달과 학교급 전환기라는 학습자의 상황, 대학 입시 등 다양한 변인들을 함께 고려하여 내용 흥미도를 해석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육과정 개정, 교과서 개발 및 교과 수업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공하며, 학습자 중심 관점을 토대로 교과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 정도를 세심하게 분석하고 활용해야 할 것이다. Curriculum content interest has been studied in terms of teachers rather than students in ways that help revise curriculum and develop textbooks. In this study, 227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rested in what they learned in middle school and what they learned in high school, focusing on meaningful assumptions and content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 analyze this difference in interest by gender and achievement level.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ransition period, have relatively high interest in themselves, such as youth development, compared to family needs or interest in family life.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tent interest depending on the level of achievement. This means that the content interest should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learners, the situation of learners in the school-level transition period, and the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textbook development, and curriculum considerations, and will need to be carefully analyzed and utilized based on a learner-centered perspective.

      • An Effective Web Crawling Algorithm by Graph Search Techniques

        김진일(Jinil Kim),권유진(yoojin Kwon),김성렬(Sung-Ryul Kim),박근수(Kunsoo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Web crawlers ar fundamental software which iteratively downloads web pages by following links of web pages starting from a small set of initial URLs. Previously several web crawling orderings have been studied by [1,2]. In this paper we consider various graph search techniques and treat internal links and external links in different manners for effective crawling. For maximum cardinality search (MCS) and lexicographic breadth-first search (LexBFS), we present linear time algorithms based on the partition refinement method [3,4,5].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aximum cardinality search is preferable to other graph search techniques for web crawlers since it visits web pages with high PageRank earlier than oth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