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Kappa-factor 채널모델에 기반을 둔 최적의 코드북 기반 Opportunistic Beamformer 파라미터 디자인
강지원(Jiwon Kang),권동승(Dong Seung Kwon),이충용(Chungyong Lee),항영수(Young Soo Hwang) 대한전자공학회 2008 전자공학회논문지TC (Telecommunications) Vol.45 No.12
Codebook-based opportunistic beamforming (COBF) 기법은 파일럿을 적게 사용하면서 기존의 opportunistic beamforming 기법에 빔 선택 다이버시티를 추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의 상관도를 고려한 kappa-factor 채널 모델에 기반을 두어 COBF 기법에서 사용되는 랜덤 행렬과 코드북을 디자인 한다. 디자인한 COBF를 적용하면 최적의 빔과 유사한 빔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채널의 상관도가 높거나 낮음에 상관없이 항상 최적의 시스템 용량을 보인다. Codebook-based opportunistic beamforming (COBF) technique provides a beam selection diversity to the conventional opportunistic beamforming. In this paper, we design the random matrix and codebook for the COBF technique based on a kappa-factor channel model. Applying the proposed design to the COBF, nearly optimal beams are generated. Therefore, the COBF shows an outstanding performance without regard to the channel correlation related to the kappa-factor.
강지원(Kang, Jiw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1
회화에서 寫意란, 사물의 외형을 그대로 그리지 않고 사물의 의미나 화가의 내면의 감정과 의취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明代 吳派의 沈周가 개성을 드러내는 필묵과 담백한 담채의 사용, 자신의 흥을 풀어내었다고 표현한 제시를 통해 문인화의 기본사상인 詩書畵一致를 보여주어 사의화훼화의 기틀을 만들었다. 이러한 양상으로 미루어 보아 사의화훼화란, 문인들이 자신들의 자유로운 내면의 감성을 드러내면서 수묵이나 수묵담채를 통해 筆墨의 美를 구사하며 대상을 간결하게 그리고 여백의 효과를 드러내는 그림으로 정의할 수 있다. 조선전기부터 화훼에 대한 문인들의 관심이 높았으나 18세기에 사회경제적으로 안정되며 문인들 사이에 화훼원예취미와 화훼애호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청과의 왕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명·청대에 간행된 화보가 많이 유입되면서 『十竹齋書畫譜』와 『芥子園畵傳』 3집이 사의 화훼화의 제작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세기 사의화훼화를 주로 그린 화가들은 南宗畵家였던 沈師正·姜世晃·崔北 등으로 화보의 영향 속 산뜻한 담채와 간결한 형태의 筆墨의 미를 드러내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19세기에 이르면 화훼원예취미가 더욱 확산되고, 화훼에 대한 전문적인 서적 및 화훼시가 유행하였다. 또한 부를 갖게 된 중인계층들이 서화 감상 및 수장, 창작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며 문예의 중심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 시기 활발히 활동했던 화가들은 남종화풍의 그림을 그렸으며 사의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외에 金正喜 등이 사행 이후에도 청의 문사들과 지속적으로 교유하고 서화고동 취미로 인하여 揚州畵派의 화훼화 등 많은 중국의 서화가 유입되었다. 이러한 영향은 19세기 사의화훼화가 성행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 중 특히 모란과 연화는 조선 말기 혼란한 시대 속 부귀와 안정을 원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 다시 성행하게 되었다. 19세기의 사의화훼화 중 모란도와 연화도를 주로 제작했던 화가는 중인화가였던 許鍊과 金秀哲 그리고 田琦 등으로, 이들은 18세기 사의화훼화의 기반 위에 청대 양주화파 등의 영향을 받아 조선의 사의화훼화를 발전시켰다. 19세기 사의화훼화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우선, 18세기 화훼화보다 화훼의 형태와 기법이 다양해졌다. 18세기 화가들은 주로 화첩에 절지형태의 간략한 형태로 표현하였는데 비해 19세기에는 하나의 소재를 하나의 화첩이나 병풍에 다양한 형태로 그렸다. 대표적인 화가로 허련은 주로 먹으로 다양한 모습의 화훼를 그리고 어울리는 제시를 배치하여 시서화일치를 보여주었다. 둘째, 다양한 색채가 사용되었으며, 단순하고 추상적 형태의 현대적인 화훼화가 등장하였다. 대표적인 화가는 김수철과 전기로, 먼저 김수철은 다양한 소재 중 연화를 많이 그렸으며 18세기의 감각적인 색채를 발전시켜 묵과 담채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등 변화를 주었다. 더불어 한쪽으로 치우친 구도에 매우 평면적이고 간략한 형태의 화훼를 통해 사의를 드러냈다. 이에 반해 전기는 18세기 사의화훼화처럼 절지형태의 간략한 모습으로 그렸으나 극대화된 농담의 대비와 자유로운 필치로 추상적 형태의 새로운 사의화훼화를 그렸다. 마지막으로 화훼화에 길상적 의미의 소재를 추가한 점이다. 19세기에 들어면서 모란은 괴석과 함께 많이 등장하는데, 이는 전통 채색화조화에서도 볼 수 있는 조합이지만 문인화로서는 18세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혼란한 사회분위기 속 길상적인 의미를 드러내는 회화가 인기가 높아 부귀의 상징이었던 모란과 장수의 상징이었던 괴석이 함께 등장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연화의 경우에는 허련의 그림을 통해 연화가 어해와 함께 등장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어해는 부부금실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19세기에 유행하던 화목이었고 이러한 길상적 의미의 소재를 함께 그린 양상은 19세기 말기에 잡화병 등이 성행하는데 토대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Keras와 DNN을 이용한 자동차 MSRP 예측 시스템
강지원(Jiwon Kang),윤현빈(Hyonbin Yun),이상현(Sanghyun Lee),최현호(Hyunho Choi),문유진(Yoo-Jin Mo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본 논문에서는 Python 3의 Keras 모듈을 이용하여 특정 자동차에 대한 최적의 판매자권장소비자가격(MSRP)을 예측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2004년에 미국에서 시판된 428종류의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제조사, 차종, 생산지, 엔진 크기, 실린더 수, 시내 주행 시 연비, 고속도로 주행 시 연비, 마력, 차체무게, 차체 길이의 독립변수를 사용하여 자체적으로 딥러닝한 회귀모델을 통해 특정 지표가 주어진 차량에 대해 종속변수인 판매자권장소비자가격을 예측한다. Optimizer를 adam으로, 학습률을 0.005으로 설정한 경우의 검증 MAE 값이 3842.98로 가장 낮게 산출되었고, 해당 모델의 결과는 예측값과 실제값의 오차율이 ±15% 정도 내외로 예측된 표본의 비율이 약 80.14%로 측정되었다. 위 모델은 향후 신차 가격 결정 및 중고차 시장에서 구매, 판매 결정을 돕는 등 특정 시장 내에서 다양한 자동차의 가치를 판단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강지원 ( Jiwon Ka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保健社會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uster family policy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using OECD family database, and to analyse the policy on single-parent families in Korea. In terms of the explicit family policy, four clusters are separated; Scandinavian, Continental Europe, English- Liberal, English- Conservative. It is shown that Korea`s family ideology accepts a variety of family structures, but its policy is more conservative than the ideology. Although single-parent support programs began appearing since the 1960s, both income maintenance levels employment rates for the single- parent are still low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family policy clusters and singleparent support policies in Korea, I suggest some policy measures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xtend income maintenance programs to include low-income single parents. Secondly, to balance with family and work, it is time to make a care related holidays and school related holidays.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give single-parents prior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facilities.
강지원 ( Jiwon Kang ),이태공 ( Taegong Lee ),김흥빈 ( Henngbin Kim ) 한국로지스틱스학회 2016 로지스틱스연구 Vol.24 No.3
Focusing on the structure of army ammunition supply chain, this study simulates the stock, demandsupply underage and combat impossible days in the way of changing the location of stock; in limited amount of K-1A1 tank ammunition in war time after modeling the supply chain of ammunition.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war time safety stock of the terminal units in limited amount, this study compares the outputs of the cases, whether they have, or not have the war time safety stock considering effectiveness. After this study, we are able to finalize that every terminal units must have war time safety stock for combat, to the extent of capability of management. And the way of calculating safety stock must be not a Push-method of CSR, but a Pull-method based on the amount used of the terminal units. And the decoupling point should be near the battlefield unit in the army ammunition supply chain. Based on this study, maintaining the ammunition supply chain composed of appropriate decoupling point, stock management and calculating, we can expect the enhancing the power of terminal units in wartime.
강지원(Jiwon Kang),김주리(Juri Kim) 한국정책개발학회 2022 정책개발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노동시장 위기 상황에서 고용지위가 변화 한 집단의 소득감소 경험과 긴급지원 수급 실태 분석에 목적을 두고 있다. 코 로나19 전후로 종사상지위의 변화를 추적하였고, 내부노동시장에서 외부노동 시장으로 이동을 경험한 사람들을 고용지위가 하락한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동시에 고용지위가 상승한 집단과 외부노동시장에서 지위를 유지한 집단, 내 부노동시장에서 지위를 유지한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프로빗 분 석을 실시한 결과, 고용지위가 하락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소득감소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지위가 하락한 집단은 국가나 지방정부가 제공한 여러 형태의 긴급지원제도에서 수급 가능성이 다른 집단 에 비해 더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용지위가 악화된 집단이 긴급지 원의 사각지대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높음을 지적하며, 긴급지원제도의 개선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experience of income decrease and the entitlement of the Emergency Relief Packages for the group with occupational changes under the labour market crisis along with a social disaster in Korea. Individuals' job changes before and after COVID-19 were tracked, and those who experienced shift from the internal labour market to the external were classified as a group with occupational downgrading. At the same time, a group with occupational upgrading, a group maintaining their employment in the external labour market, and a group maintaining their employment in the internal labour market were also designated as comparative groups. A series of probit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group with downgrading was more likely to experience a loss of income than other groups. However, this fragile group was less likely to receive the emergency aids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an other comparative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t address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ose who occupationally downgraded might be placed in a blind spot for the emergency aids. This led to policy implications that the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emergency relief pack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