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東文選」의 編刊上의 오류에 대한 고찰

        呂運弼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보 Vol.0 No.33

        「동문선」은 작품을 수록한 순서의 혼란, 작가․작품과 관련된 오류와 부주의가 심한 문헌이다. 시를 중심으로 대략 살피더라도 사소하지 않은 착오가 30여건 이상 발견되며, 그 가운데에는 배제하고자 한 문체의 작품을 싣고, 같은 작품을 중복 수록하며, 작가가 바뀌는 등 심각한 사례들이 포함되어 있다. 한문 문헌은 글자의 숫자와 유사자형이 많은 탓에 착오가 많게 마련이고, 필사와 판각과정의 실수도 생기기 쉽다. 그러나 이를 감안하더라도, 국가적인 사업으로 편간한 중요한 문헌으로서는 이러한 착오들이 심각한 결함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이 책 전반에 대한 텍스트비평이 더욱 자세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룬 텍스트의 착오의 검증은 보아 텍스트 비평의 일종으로서, 세심하고 번거로운 점검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결과가 크게 주목받기 어려운 한편으로, 불철저로 인한 오류를 범할 위험성은 크다. 이를 무릅쓰고서 모험을 감행함은 문헌의 중요성만 강조하고 기초적 작업은 등한시해 온 풍토에 대한 반성 때문이므로, 이를 계기로 이제라도 본격적인 텍스트 비평이 조속히 이루어지기를 요망한다. There are much disorders of arranging works and errors with writers and works in Tongmoonseon(「동문선」. Even if we make investigation into the text laying stress on poems, serious errors are more than thirty cases. Among them, a work which comes under excluded style and duplicate edited works are found, and changing the writers cases are frequent too. Such cases are clearly serious defect as a national important bibliography. Therefore a full textual criticism shall have to be carried into execution for this book early. This investigation into important errors in Tongmoonseon are able to regarded as a kind of textual criticism. This work requires an elaborate and complicate inspection. But the result is difficult to be estimated fine. On the other hand, It is easy to bring about a peril by the fallacy of inconclusive investigation. Despite of a risk, the reason why I attempted this study is derived from reflection on atmosphere neglecting to fundamental works at text. I hope this thought will give rise to some full-scale text criticism Tongmoonseon.

      • KCI등재

        『東文選』 시문의 출처에 대한 고찰

        운필 진단학회 2008 진단학보 Vol.- No.106

        이 논문은 『동문선』의 이해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 중 하나가 수록 시문의 출처 확인 작업이라고 보고, 그것을 산문과 시로 나누어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동문선』에 실린 산문의 초보적 자료는 『동국문감』이었지만, 이를 주된 텍스트로 하였을 것으로 보이는 『동인지문사륙』과 『동인지문천백』이 더 요긴하게 활용되었으며, 『선수집』·『동인문보』 또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30편 이상이 실린 작가 가운데 최치원 외 11인의 글은 문집에서 직접 선발되었다. 그리고 역시 30편 이상이 실린 이 중 문집이 현전하지 않는 이인로 등 3인은 문집이 활용되고, 김부식 등 3인은 참고되지 않은 듯하며, 무외 등 승려 3인의 문집도 참고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사서·잡서류 등도 자료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동문선』소수시의 기본적 출처는 선집이었으므로, 최초의 시선집인 『십초시』와 『동국문감』이 요긴하게 참고되었고, 특히 『동국문감』을 주로 활용한 『동인지문오칠』은 1/4 정도의 출처일 만큼 크게 활용되었다. 『선수집』·『동인문보』도 중요한 전거로 이용되었을 것이다. 선집 다음으로 이용된 선시자료는 『파한집』·『보한집』 등의 시화집과 『삼국사기』·『고려사』 등의 사서였다. 개인문집 가운데 임유정과 佛家 관련시 4건은 크게, 김부식 등 사대부 시인은 미미하게 활용된 듯하다. 그러나 『동문선』은 전반적으로 선집에서 먼저 뽑은 다음에 시화류·사서 등을 활용하여 선시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객관성을 유지시켜 주는 한편, 선집다운 독자성이 축소되게 하였다. This thesis is an investigation positively on the origin of materials in Tongmoonseon(『동문선』). The primary materials of Tongmoonseon is Tonggoogmoongam(『동국문감』). But Tonginjimoonsaryuk(『동인지문사륙』) and Tonginjimooncheonbaek(『동인지문천백』) which was reselected from Tonggoogmoongam were used more importantly. And Seonsoojip(『선수집』) and Donginmoonbo(『동인문보』) seemed to be used importantly. It was quite within the bounds of possibility that history books and miscellaneous books should been used as materials. The primary materials in it should be selected works books. Thus Sipchosi(『십초시』) as was first selected works and Tonggoogmoongam were used importantly. Especially Tonginjimoonochil(『동인지문오칠』) which was reselected from Tonggoogmoongam was used most importantly. And also Seonsoojip and Soktonginmoon(『속동인문』) were used importantly. Secondary important materials should be books about talks on poetry and history books for selecting poems. The collections of an individual works were used a little. Confucian scholars' poems should been selected mainly from books about talks on poetry and history books. But a few poets' poems were selected directly from their collections of an individual works. The objectivity of selecting works should be able to been supported, while the originality of a selected works book was reduced.

      • KCI등재

        일반논문 : 김이만(金履萬)의 <호성옹전(扈聖翁傳)> 연구(硏究)

        운필 ( Woon Pil Ye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이 논문은 鶴皐 金履萬의 <扈聖翁傳>이 지닌 몇 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큰 전공을 세운 바 있지도 않은 한 무인의 생애를 42개 삽화로 이루어진 4, 230餘字의 긴 분량으로 기술한 傳인 <호성옹전>에는 李時恒의 <孟山縣監金公行狀>보다 9개의 삽화가 더 많이 있으며, 공통적인 삽화의 경우에도 대체로 더 자세히 다루어져 있다. 특히 7개의 삽화를 1,600여자로 자세히 기술한 세자출정담은 그 차이가 현저하다. 이로써 보면 <호성옹전>은 전반적으로 허구화, 장면화 등에 의한 흥미성을 도모한 데 따른 外傳的 성격이 두드러진 가운데, 세자출정담의 경우 특히 소설적 면모가 강하게 나타나 있다. 세자출정담은 청군의 연경 점령을 큰 줄거리로 하고 세자의 動靜 및 호성옹의 활약을 핵심적 줄거리로 한 복합담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 대목은 주요한 내용을 史實에서 취하였으면서도 흥미의 유발을 위한 허구성이 크게 가미되어 있을 뿐 아니라 장면화에 의한 소설적 수법이 현저하게 사용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전은 전체적으로 正傳보다는 外傳으로 이해할 수 있고, 세자출정담을 독립시켜 볼 때에는 소설로 보아도 지나치지 않다고 할 것이다. 호성옹이 지었다는 시편들에는 전반적으로 무부다운 기상·충정·성정 등이 두드러지고, 심양에서 세자·대군을 시종할 때 차운한 시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볼 수 있으며, 두 작품 다 원운에 부합되도록 무난하게 지은 문재는 <호성옹전>의 작자가 주인공의 武幹보다 앞세우고자 한 藝人的 재능으로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a trial to study on several problems in <Hoseongongjeon(扈聖翁傳)> written by Hakko(鶴皐) Kim Yiman(金履萬). This jeon(傳) was described circumstantially than <Maengsanhyeongamkimgonghaengjang(孟山縣監金公行狀)> written by Yi Sihang(李時恒) on the whole. Especially the princely heir`s taking story(世子出征譚) which has seven episodes differs greatly. Therefore this jeon has woejeon character(外傳的 性格) generally, and also the princely heir`s taking story has features of a fictional story(小說的 面貌) prominently. The methods of fictionalization(虛構化) and putting into the scene(場面化) found in this story could be recognized as the most remarkable points of a fictional story. The poems which had been composed by Hoseongong has temperament, loyalty, and nature derived from just like a military man. Such fondness is found in poems of chawoonsi(次韻詩) toward the poems written by the princely heir and a Royal prince in Simyang. The literary talent that had been displayed in these poems should have been presented an artiste ability by the writer of this jeon.

      • KCI등재
      • KCI등재

        赤池를 읊은 七言古風 3편의 形象性

        운필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7

        “Jeokjiga” written by Samyeon Kim Chang-heup is a long piece seven letters archaistic poem which has an old fashioned and new style looks together. The stroke of the whole work is experienced and robust, but has a not excellent appearance requiring for its style and material. By the reason of several demerits it can not be regarded as an excellent piece. “Jeokjiga” written by Yaksan O Kwang-woon is also a long piece seven letters archaistic poem that has an older fashioned than Samyeon's and a new fashioned appearance at the same time. It has surpass looks not only in contents but also in sprit and rhetoric thoroughly. Its special merit is in the description by adjusting the focus on specific situation by leaving out narrative plots partly, and has excellent stroke with variation of spirit and tone of the work. “Saryongdae” written by Yigye Hong Yangho is also a long piece seven letters archaistic poem that is sought after a new style on the whole. The merits of this work are a excellent narration of body, variation of stroke and rhethoric magnificence. Yigye's work is slightly openhearted appearance than Yaksan's, has better variation of stroke and magnificence of literary embellishments than Samyeon's. 入聲陌韻의 一韻到底底格 장편 7언고풍인 김창흡의 <적지가>는 평측상으로는 예스런 고풍, 黏對․대장의 측면에서는 신식고풍의 면모를 지닌 작품이다. 몇 가지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老健한 미덕이 발휘되어 있으나, 필세의 완만함, 포서의 안이성, 結構의 느슨함, 특히 본단의 필세와 文彩가 보인 약점으로 인하여 7언고풍에 요구되는 미덕들을 잘 갖춘 작품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특이한 역사적 제재를 가장 먼저 편폭이 큰 고풍으로 형상화하면서 대가적 노련미를 발휘한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역시 입성맥운의 일운도저격 장편 7언고풍인 오광운의 <적지가>는 평측상 삼연보다는 예스런 고풍, 점대․대장의 측면에서는 삼연과 유사하게 신식고풍의 면모를 지닌 시편으로서, 내용적 측면뿐 아니라 기상․필세․수사 등에서 두루 빼어난 장점을 지닌 수작이다. 전설의 줄거리를 서술하기보다는 백룡․흑룡의 싸움에 초점을 맞추어 묘사하고 본단을 이원적 서술시각으로 포서한 점과 독자적 史實解釋을 동반한 점이 형상성을 크게 높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 호방․웅혼한 氣象․情調의 剛健․華靡함과 풍격의 典雅․重厚함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필세 또한 뛰어난 풍격을 지니게 하였다. 上平聲東韻 主韻, 冬韻을 從韻으로 한 主從通韻型 장편 7언고풍인 홍양호의 <사룡대>는 평측과 점대․대장 모두 예스러움보다는 새로움을 추구한 작품이다. 서술과 묘사 모두 창의성을 발휘한 본단의 포서가 적절할 뿐 아니라, 정조의 기복, 필세의 변화, 수사의 화려함 등도 장편가행에 요구되는 미덕을 대체로 지녔다. 호방과 전중이 조화된 기상․정조와 堅剛과 平直의 균형이 이루어진 필세 또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약산의 <적지가>보다는 호방․웅혼한 풍격이 미약하지만, 삼연의 <적지가>에 비해서는 필세․정조의 변화․기복과 文彩의 화려함이 앞선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 3편의 장시는 특성과 우열의 차이를 지녔지만, 7언고풍, 조선적 한시, 서사적 영사시로서 갖춘 우수한 형상성을 통해 18세기 한시사의 성취에 작게나마 기여한 점을 인정할 수 있다.

      • KCI등재

        白元恒의 생애와 시세계

        운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09 石堂論叢 Vol.0 No.44

        Despite of being selected sixteen poems in Tongmoonseon(『東文選』), Paek Weonhang's(白元恒) life became known simply, and his poems were neglected in historical evaluation and studying. Therefore we have to reconstruct his life and investigate his poetry world. By close scrutiny, his life was like below. He was born in circa A.D. 1260, and won the first place in Samasi(司馬試) in 1279. He also passed in Yeboosi(禮部試) since 1286. But he was loitering about petty positions for a long time. After successively holding various positions as Cheongyoryong(典校令), Chongboojeonseo(摠部典書), Miljiksa(密直使), he was promoted to be Cheomeuipyongri(僉議評理) in the 8th year of king Choongsookwang's reign(忠肅王朝), and Chanseongsa(贊成事) in some years after. It is estimated that he died in circa A.D. 1330. The poems by expressing his thoughts(述懷詩) have eminently mild tone and pregnant expression. There are courteous and affluent feature in his bureaucratic poems(館閣詩). The main stress of scenary poems(景物詩) generally was laying on depiction. On the whole, his poems formed the base by Song dynasty poetical style(宋詩風), and there are exquisite couplet depiction and moderate emotions and choice skill for poetic diction. His position in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between superior poets and future generations. 白元恒은 『東文選』에 시 16수가 선발된 중요한 시인임에도 불구하고, 개략적인 생애만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사적 평가나 연구에서 소외되었으므로, 생애를 자세히 재구하고, 시세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문인이다. 제반 기록을 자세히 검토한 결과 그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그는 1260년경에 출생하여 1279년에 감시에 장원급제한 데 이어, 1286년 이전에 예부시에 등제하였으나, 오래 말직에서 전전하다가 충렬왕조 말에 충선왕 부자를 시종하여 元에 다녀왔다. 그는 충선왕대에 典校令이 되고 충숙왕 4년에 摠部典書로 同考試官을 지냈으며, 5년에는 密直使에 올랐다. 충숙왕 8년에 僉議評理로 승진한 데 이어, 贊成事로 승진하는 등 충숙왕의 측근으로 크게 활약하다가, 1330년 무렵에 타계한 것으로 보인다. 완편 16제 16수와 연구 1편이 전해지는 그의 시는 술회시․관각시․경물시로 나누어 시세계와 특성을 살필 수 있다. 그의 술회시는 자신의 처지를 강하게 드러내지 않는 특성을 보여 주며, 전반적으로 온자한 풍격과 함축적인 표현기법이 두드러진다. 그가 군왕․은문․선배 등에게 올린 시들은 관각시의 제반요소를 두루 갖춘 가운데, 특히 전실하고 부렴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 경물시는 형사에 치중한 경향이 강하며, 정경의 융합에는 송시풍적 성향을 지니고 있다. 송시풍을 기반으로 하여 기교적 대우․묘사와 절제된 정서․시어선택을 장점으로 한 그의 시는 金坵․郭預․洪侃 등과 함께 李仁老․金克己․李奎報 등과 李齊賢․李穀․鄭誧 등 두 시인군의 교량적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시사적 위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