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초론과 정합론

        한상기 범한철학회 2003 汎韓哲學 Vol.28 No.-

        문】인식적 정당화를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은 크게 보아 내재주의 이론과 외재주의 이론을 낳았다. 이중 내재주의 이론으로는 기초론과 정합론을 유력한 이론으로 들 수 있고, 두 이론의 옹호자들은 서로 자신의 입장을 옹호하고 상대방의 이론을 공격하면서 첨예한 논쟁을 벌여왔다. 이 글은 우선 기초론 대 정합론 논쟁의 핵심 쟁점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서로 이견을 보이는 쟁점들이 많이 있지만, 두 진영의 궁극적인 핵심 쟁점이 결국은 “비신념 수준 정당화(nondoxastic justification)의 가능성”에 모아진다는 것을 밝히려 한다. 그런 다음 이 핵심 쟁점에 대해 비신념 수준의 정당화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려는 유력한 논증으로 정합론자 반주어(L. BonJour)의 딜레마 논증을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반주어의 논증이 매우 강력한 논증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증은 기초론에 대한 결정적 반론이 못된다는 사실을 지적할 것이다. Foundationalism and Coherentism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한상기 에스케이텔레콤 (주) 2013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23 No.6

        SNS에 대한 연구 과제는 매우 넓은 스펙트럼을 갖고 있다. 컴퓨터 과학에서의 주요 주제는 주로 분산 처리나 실시간 메시징, 광대한 양의 데이터 처리 등에 주요 관점을 갖고 있으나, 학계나 산업계에서 필요한 또 다른 분야는 SNS가 갖고 있는 사회적 영향이나 사용자들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다. SNS의 구조 분석과 영향력자 확인, 사용자의 감성 분석 및 행동 변화, 사회적 이슈에 대한 집단 행동들은 이런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SNS에 관한 연구 방향의 주요 특징과 함께, 기술적 이슈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과학적 연구 주제와 지금까지의 연구 흐름을 소개하며 앞으로 주어질 수 있는 미래 연구 이슈들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구획 문제와 가족 유사성 접근방식

        한상기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7 No.2

        The question of how to distinguish between science and non-science, the so-called 'demarcation problem', is one of the most high-profile, perennial, and intractable issue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Demarcations of science from non-science can be made for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reasons. This paper introduces and defends G. Irzik & R. Nola's family resemblance approach for practical reasons. Several philosophers, including J. Dupré, M. Pigliucci, and M. Mahner, have offered basic ideas of family resemblance approach, but they didn't offer specifically practical solutions. Irzik & Nola have adopted family resemblance approach concerning practical areas, in particular, science education in public school. They criticize what is sometimes called "the consensus view" about the nature of science, whose goal is to teach students only those characteristics of science on which there is wide consensus. They present and defend an alternative approach based on the notion of family resemblance. I argue that their family resemblance approach is superior to the consensus view as well as the theoretical approach in several ways. 과학과 비과학을 어떻게 구별하지의 물음, 즉 이른바 “구획 문제”는 과학철학에서 사람들의 시선을 가장 많이 끌면서 끊임없이 반복해서 제기되는 문제다. 이 논문은 구획 문제에 대해 실용적 해결책의 일환으로 이어직과 놀라(G. Irzik & R. Nola)의 가족 유사성 접근방식을 소개하고 옹호할 것이다. 가족 유사성 접근방식에 대해서는 그 동안 뒤프레(J. Dupré)를 비롯하여 피글리우치(M. Pigliucci), 매너(M. Mahner) 등이 기본 구상이나 안을 제시했지만, 그들은 이 안을 구체화시키는 실용적 해결책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이어직과 놀라는 특히 공립학교의 과학교육과 관련하여 구획 문제에 대해 가족 유사성 접근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들은 학교 현장에서 실용적 해결책으로 통용되어온 “일반적 합의”(consensus) 견해의 난점을 지적하면서 과학의 서로 중복되고 교차하는 특성들을 네 가지 기본 범주, 즉 활동, 목적과 가치, 방법론과 방법론적 규칙, 산물로 나누고, 이 네 범주에 속하는 특성들을 통해 과학의 본성을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필자는 이론적 차원에서 적합한 구획 기준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어직과 놀라의 이러한 가족 유사성 접근방식이 기존의 이론적 해결책은 물론이고 “일반적 합의” 견해에 의거한 해결책이 제공하지 못했던 이해를 제공하고, 구획 문제에 대한 실용적 해결책으로서 훨씬 더 장점이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비판적 사고와 논술

        한상기 범한철학회 2007 汎韓哲學 Vol.46 No.3

        To write argumentatively is to critically read a given material, to set up a problem, to propose a creative solution to it, and to write logically. So argumentative writing is composed of three stages: critical reading, setting up a problem and proposing a creative solution to it, and logical writing. Critical thinking plays the key role in all the three stages. This paper introduces the movement of critical thinking, the foundation for argumentative writing. It also investigates the history and the definition of critical thinking. In doing these, it focuses on the movement of critical thinking, the first-wave that began in the early 1970s, and the second-wave that began in the mid 1980s. The two waves will be seen to have certain good results but limitations as well. There is a growing demand that we should take the strengths of the two waves and make up for the weaknesses. So I present reasons for the need of the third-wave, introduce R. Paul's work as an example of the third wave, and examines how his theory can be applied to the foundation for argumentative writing. 논술이란 주어진 자료나 글을 비판적으로 읽고 문제를 설정한 다음 그 문제에 대한 창의적 해결책을 끌어내어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논술은 비판적 읽기, 문제 설정과 창의적 해결, 논리적 서술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논술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비판적 사고다. 이 글은 논술의 토대로 인정되는 비판적 사고 운동을 소개하고, 그 동안의 비판적 사고의 역사와 정의 등을 살핀다. 이 과정에서 최근의 비판적 사고 운동에 초점을 모으고, 70년대 초반 무렵부터 시작된 제1물결, 80년대 중반 무렵부터 시작된 제2물결을 소개할 것이다. 두 물결은 일정한 성과도 있었으나 나름대로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두 물결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려는 제3물결 운동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제3물결 운동이 필요한 이유를 밝히고, 제3물결의 한 견본 사례로 폴(R. Paul)의 이론을 소개하고, 그의 이론이 논술의 토대로 어떻게 작용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 KCI등재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과 언어적 이론

        한상기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49 No.2

        There have been many views about the nature of a priori knowledge. The views about it by Plato, Descartes, Leibniz, and Kant can be called the traditional view. The traditional view holds that a proposition knowable a priori is necessary as opposed to contingent, that a cognitive agent’s grasping it or seeing it amounts to a justification for it, and that the justification is derived from reason, not from experience. The traditional view culminates in Kant’s assertion about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viz., we can grasp the truth about the world without observing it. But the traditional view received severe attacks, especially from logical positivists. For example, A. J. Ayer criticized Kant’s view on the basis of the linguistic theory.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ain points in the debate over the nature of a priori knowledg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raditional view and the linguistic view. In order to achieve the aim, I first explain and expose the connections among the three distinctions: a priori knowledge vs. a posteriori knowledge, necessary proposition vs. contingent proposition, and analytic proposition and synthetic proposition. Next, I discuss the content and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view, and move onto the linguistic view that was proposed as a replacement of the traditional view. Finally, I show that the linguistic view has its own problems. 선천적 지식의 본성에 대해서는 많은 견해가 있어 왔다. 플라톤으로부터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를 거쳐 칸트로 이어져 온 견해는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이라 부를 수 있다. 전통적 이론은 (1) 선천적으로 알려지는 모든 명제는 필연명제이어야 하고, (2) 어떤 명제의 필연성을 “파악하는 일”이나 “보는 일”이 어떤 사람에게 그 명제의 선천적 정당화를 제공하는 데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전통적 이론에 따르면, 선천적 정당화의 원천은 순수하게 이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래서 전통적 이론은 칸트의 선천적 종합명제에 대한 주장, 즉 감각의 도움 없이 세계에 관한 진리를 파악할 수 있다는 주장에서 정점을 이룬다. 하지만 전통적 이론은 나중에 심각한 공격의 표적이 되는데, 특히 논리 실증주의자들에 의해 집중 공격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에이어(A. J. Ayer)는 그의 언어적 이론에 기초를 두고 칸트의 견해를 비판했다. 이 논문은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과 현대의 언어적 이론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선천적 지식을 둘러싼 논쟁의 초점을 명료화하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세 종류의 구별, 즉 선천적 지식 대 후천적 지식, 필연명제와 우연명제, 분석명제와 종합명제의 구별을 설명하고, 각 구별 간의 연관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 세 종류의 구별을 통해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견해의 요점과 난점을 드러내고, 전통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제시된 언어적 이론을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어적 이론 역시 궁극적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 KCI등재

        자연주의적 오류와 자연화된 인식론

        한상기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9 No.4

        Can be naturalized epistemology conducted as a normative enterprise, or is it merely descriptive enterprise as traditional epistemologists maintain? This paper classify a broad spectrum of naturalized epistemologies into eliminativism, reductionism, and criterialism in terms of their attitudes toward naturalistic fallacy, and among them I seek to a strategy that can preserve normativity of epistemology. I maintain that first two strategies, viz., eliminativism and reductionism may have given the cause for the accusation of ruling out the normativity, and propose that the last strategy, viz., criterialism can preserve the normativity. Contrary to eliminativists and reductionists, criterialists may think normative concepts cannot be eliminated or defined by non-normative concepts but insist that there must be natural criteria for their application, i.e. the normative supervenes on the natural. Thus, I conclude that criterialists can have both the normativity and naturalistic element, so characteristic of epistemology. Finally, I discuss about what tasks criterialism must undertake in order to become satisfactory strategy. 자연화된 인식론은 규범적 기획인가, 아니면 단지 기술적 기획에 불과한가? 이 논문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자연화된 인식론들을 자연주의적 오류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그 중에서 인식론의 규범성을 보존할 수 있는 입장이 어떤 것인지를 모색한다. 그 과정에서 제거론과 환원론은 인식론의 규범성을 보존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인식론의 규범성을 보존할 수 있는 가능한 입장은 기준론이라고 주장한다. 제거론이나 환원론과 달리 기준론은 규범적 개념들을 자연적인 기술적 개념들로 정의하거나 환원시키지 않으면서도 규범성에 대해 자연주의적 기준을 제시하려 한다. 따라서 필자는 기준론이 “자연주의적” 이론이면서도 “규범성”을 보존할 수 있는 가능한 입장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준론이 좀 더 완성된 이론이 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에 대해서 전망해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