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포스트 펜데믹 시대 문화선교 전략 연구

        최유석(Choi, You-seok) 신학과 실천학회 2022 신학과 복음 Vol.12 No.-

        본 연구는 코로나 이후 지속될 포스트 펜데믹 시대의 선교 전략으로서 문화선교 방안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코로나 시대를 거쳐 위드 코로나 시대, 그리고 언젠가 코로나가 소멸되거나 국지화 될 수 있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문화적 변화가 가지는 복음전도의 장벽을 문화선교를 통해 극복해 보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을 위해 문화선교 방안을 위한 기초적 가치를 구축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우선 새로운 문화 흐름을 연구하였다. 코로나를 거치면서 경험하고 강화되었던 비대면 문화와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몇 가지 문화적 흐름이 형성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첫째는 인터넷과 유튜브, 그리고 더 나아가 OTT 서비스를 경험하며 형성된 자발적이며 주체적 선택의 문화가 사회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 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의 반 타의 반 경험하게 된 비대면 문화의 유익은 이를 취하면서 동시에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는 방안으로 선택적 개인주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는 선택적 개인주의 문화는 언제든 자신의 기준과 유익에 따라 대면과 비대면의 사회적 관계 방식을 오갈 수 있는 선택적 비대면 문화를 낳는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셋째는 이로 인하여 가속화되고 극단화 되는 포스트 모더니즘의 양태로서 변두리 문화를 선호하게 될 것을 주장하였다. 이로 인해 나타난 새로운 문화는 획일화 보다는 개별적이며 개인적이고, 불규칙한 기준들을 통해 개인의 이익을 증대하는 문화적 흐름이 강화될 것이다. 이러한 문화 흐름에도 멈출 수 없는 복음전도를 위해 절대적이며 거시적 관점을 담은 기독교 선교의 변화가 필요하며, 그 가교로서 문화선교의 변화가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개별성과 다양성에 기초한 사적영역에 접근하기 위하여 문화선교는 기존의 ‘소개’와 ‘보여줌’이 아닌 ‘선택받음’과 ‘관심받음’의 관점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보 제공자가 아닌 수신자의 경험이 상호작용되고 반영된 문화컨텐츠의 구축이 필요함을 밝혔다. 또한 공적영역에서의 사적영역으로 문화선교의 장이 이동하였음을 밝혔다. 사적영역에까지 파고들 수 있는 신뢰구축과 문화컨텐츠 구축은 이러한 변화에 필수적이라 전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하여수신자의 현실적 필요에 응답하는 문화컨텐츠의 구축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정서적 필요에 대한 응답이 가능한 컨텐츠 구축을 제안하였다. 컨텐츠의 내용 또한 비대면 상호교류에서 대면 상호교류로, 사적 관계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들이 필요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세워진 상호 신뢰를 통해 중점적이고 중심적인 복음전도의 내용이 아닌 변두리적 요소로서의 복음전도의 내용으로 구축된 문화컨텐츠와 관계 방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지상명령이후 한 번도 멈추지 않은 복음전도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되기 위해 문화선교의 방향전환이 본 연구를 통해 더욱 전진해 가는데 직간접적으로 기여되길 소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cultural missionary methods as a mission strategy in the post-Corona era. Meaning of this study is to build the fundamental value for cultural missionary works those make overcome the barriers of evangelism come, that we passing through Corona era and with-Corona era with cultural missionary methods. To this end, I first studied a new cultural flow. We emphasized that several cultural flows are being formed through ‘un-contact’ culture and social distancing, which were experienced and strengthened through the corona virus are.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culture of voluntary and choices formed by experiencing the Internet, YouTube, and even OTT services, is expanding into various areas of society. It was revealed that the benefits of un-contact culture, which were experienced through this process, are forming a selective individualistic culture as a way to satisfy social needs while taking it. Second, it was argued that the selective individualistic culture produces a selective un-contact culture that can switch betwee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social relationships at any time according to ones own standards and interests. Third, it was focused that the fringe culture would be preferred as a mode of post-modernism that was accelerated and polarized by this. As a result of the third, the new culture that emerged will strengthen which is cultural flow that increases individual interests through individual, and irregular standards rather than uniformity. For evangelism that cannot be stopped despite this cultural flow, a change in Christian mission with an absolute and in macro perspective is necessary, and the need for a change in cultural mission is emphasized as a bridge. In order to approach the private realm based on individuality and diversity, it was argued that cultural missionary work should be converted from the perspective of ‘selection’ and ‘interested’ rather than ‘introduction’ and ‘showing’. For this purpose, it wa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cultural contents that interact and reflect the experiences of the recipients, not the information providers. It also revealed that the field of cultural missionary work has moved from the public realm in to the personal boundary. It was predicted that building trust and cultural content that could penetrate into the private realm would be essential for this change. Lastly, I needs to construct cultural content that responds to the recipients Felt-Needs, and furthermore, suggests building contents those can respond to emotional needs. The contents also revealed the need for methods to change from non-face-to-face interaction to face-to-face interaction and in to a private relationship. Through the mutual trust establish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the cultural content and relationship method constructed with the content of evangelism as a marginal element rather than central content of evangelism is needed. In order for the evangelism that has never stopped after the Great Commission to continue even in the post-corona era. I hoped that this study will directly or indirectly contribute to the change of direction of cultural missionary progress.

      • KCI등재

        부모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놀이성, 자기조절능력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최유석 ( Youseok Choi ),임지영 ( Jiyoung Lim )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playfulness, self-regulation and happiness. In this Study, subjects were 274 children who were 4 through 5 years old. The participants included 274 preschoolers’ parents and their teachers in D city. The par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parent’s play participation with their children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garding preschoolers’ happiness and playfulness.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 Also, specific indirect effects were analyzed using AMOS user-defined estimand function.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had an influence upon children’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2) The children’s playfulness had an influence upon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happiness. 3) The children’s self-regulation had an influence upon children’s happiness. 4) Between the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happiness were mediated by the children’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playfulness and self-regulation need to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to explain the level of the children’s happiness. The results highligh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playfulness, self-regulation and happiness.

      • KCI등재

        한국사회의 질에 대한 인식과 생활만족

        최유석(Youseok Choi),최창용(Changyong Choi) 한국사회정책학회 2020 한국사회정책 Vol.2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질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사회의 질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과 어떠한 관련성을 맺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2월에 진행한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사회의 질과 관련 요인을 사회경제적 안전성, 사회적 포용성, 사회적 응집성, 사회적 역능성 등 4가지 조건요인 별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국민들은 한국 사회의 질을 구성하는 각 영역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내렸다. 한국사회가 위험에서 안전하지 않으며, 사회적 포용성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사회적 신뢰와 투명성, 공정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삶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응답은 절반이 채 안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사회의 질과 관련된 요인으로 결혼상태, 학력, 고용형태, 주관적 계층이 밀접한 관련성을 맺었다. 사회의 질에 대한 4가지 조건요인 중에서 사회경제적 안전성, 사회적 포용성, 사회적 역능성이 생활만족도와 관련성을 맺었다.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한국사회의 질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ublic"s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Korean society,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society, and to explore whether the perceptions of social quality a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 survey of 1,000 adults was conducted in December 2018 to examine the quality of society in four areas: socio-economic security, social inclusiveness, social cohesion, and social empowerment. Findings show that respondents evaluate that the overall quality of Korean society is not high. They answer that Korean society is not safe from dangers and Koreans live insecure lives. The public recognizes the level of social inclusiveness is low in Korean society. Regarding social cohesion, respondents answer that Korean society have low levels of social trust, transparency and fairness. With regard to social empowerment, less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re positive abou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important decisions that affect their live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employment types, and social clas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s on the quality of society. Among the four conditional factors of social quality, socio-economic security, social inclusiveness, social cohesion, and social empowerment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발달궤적, 자율성, 미디어기기 과다사용 및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최유석 ( Choi You-seok ),임지영 ( Lim Ji-yo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성장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이 자율성, 미디어기기 과다사용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9, 10, 11, 12차년도 자료 중 이상치나 4개 변인 모두 결측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1,07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25.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과 다변량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아존중감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달궤적에 따라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자율성을 매개로 행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율성과 미디어기기 과다사용의 이중 매개경로를 통해서도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의 발달을 통해 자율성의 확립과 미디어기기 과다사용을 예방하고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elf-estee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s of autonomy, overuse of media device and happiness on self-esteem.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9th, 10th, 11th, and 12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ith a total of 1,070 valid cases after excluding cases with missing data for any of the four variables. Latent growth modeling and multivariate structural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self-esteem increased over time and individual differenc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Second, both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in self-esteem indirectly influenced happiness through autonomy, as well as through the dual mediation pathway of autonomy and excessive media device 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moting positive self-esteem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n prevent excessive media device use and enhance happines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utonom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self-esteem and prevent excessive media device u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세대간 연대의식의 기반

        최유석(Youseok Choi)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이 연구에서는 2014년 전국 성인 1,214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세대간 연대의식의 정도는 어떠한지, 연령대별 세대간 연대의식의 차이는 어디에서 비롯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세대간 연대의식은 1) 청년세대와 노인세대와의 갈등, 2) 노인복지정책, 3) 노인의 기여에 대한 인식 등 3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세대의 정치적 영향력 감소에 대해서는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노인세대도 청년세대의 문제에 대해 일부 공감하는 태도를 보였다. 노인복지 예산지출, 청년세대 증세와 관련하여 30대와 60, 70세대 간에 의견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모든 세대가 봉사활동, 가족돌봄 활동을 통한 노인의 기여를 전반적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다. 회귀분석결과, 효의식이 세대간 연대의식의 변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성향과 사회적 신뢰의식은 주로 노인의 사회경제적 기여에 대한 평가에서 세대간 연대의식과 관련을 맺었다. 한국사회의 낮은 수준의 세대갈등은 효의식, 부모와의 친밀감 등 가족주의적 연대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간 연대의식에 관한 전망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Using national survey on 1,214 adults,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on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between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n Korea. It analyzes the levels of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by age groups and identifies factors associated with variations in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by age groups. Perceptions on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are examined in three areas: 1) generational conflicts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2)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3) elderly people’s contributions to society. Results show that level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s not higher than expected. While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area of politics such as elections, older generations are compassionated with younger generations’ concerns on job opportunities. Both generations highly evaluate the elderly’s contributions on family and society. However, both generations show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n opinions on welfare expenditures and tax policies for supporting the elderly.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filial piety and intimacy with parents are associated with the variations in the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three areas. Trust on society and political ideology are related to perceptions on the elderly’s contributions on society. This study suggests future research agenda on intergenerational solidarity in Korea.

      • 거리의 아이들을 위한 아동복지선교 필요성과 방안 모색

        최유석(Youseok Choi) 신학과 실천학회 2017 신학과 복음 Vol.3 No.-

        본 연구는 거리의 아이들에 대한 교회의 복지선교 필요성을 강조하고, 복지선교를 통한 거리의 아이들 사역을 위한 방향과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통계상 노숙 아동은 한국에서 사라졌지만 그에 상응하는 거리의 아이들은 분명히 존재한다. 코스그로브(Cosgrove)나 아시아 개발은행(Asian Development Bank, ADB)의 ‘거리의 아이들’에 대한 정의를 한국의 상황을 고려하여 재정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거리의 아이들’을 성인이나 교사, 또는 보호자의 보호 없이 방과 후 또는 일상에서 또래 집단이나 형제, 또는 홀로 머물거나 시간을 보내는 아동이라 정의한다. 본고에서 필자는 또한 아동의 범위를 UN과는 다르게 자가 방어능력이 떨어지는 초등학생 이하로 제한한다. 거리의 아이들 사역은 범죄한 자녀들에 대한 징계 속에서도 하나님의 보호하심과 구속하심에 기초한다. 또한 선교역사는 거리의 아동들에 대한 선교 사역을 지속해 왔다. 언더우드와 같은 한국 초기 교회의 선교사들은 거리의 아이들을 위한 사역을 통해 한국교회의 기초와 부흥의 기초를 세웠다. 한국교회의 복지선교는 한국교회 역사의 시작과 그 역사를 같이 한다. 그러나 거리의 아이들에 대한 한국교회의 관심 또는 사역은 매우 미진하다. 수익구조를 갖고 있는 선교원이나 어린이집을 제외한다면, 한국교회의 거리의 아이들에 대한 사역은 거리의 아이들의 개념상 존재여부를 밝혀내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복지기관들에 의해 밝혀진 통계를 통해서 아동들의 학업 중단과 방치 비율은 분명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교회는 이 아동들에 대한 복지선교가 요구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거리의 아이들 사역을 위해 넘어야 할 도전들이 있다. 첫째는 교회의 주일학교 운영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는 아동 선교를 전담하는 전임사역자가 필요하다. 셋째는 운영재정의 한계 극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어려움들은 있지만 희망적인 것은 신학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내 목회자들의 아동복지선교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우선 지역 아동들에 대한 실태조사를 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학습지원을 통해 거리의 아이들에게 기초적 교육 필요를 지원하고, 부모들의 양육도움의 실효적 측면인 탁아지원이 필요함을 밝힌다. 이와 함께 의료기관 방문 또는 협진 내지는 방진을 통한 의료지원의 필요가 있다. 필자는 한국교회가 수적 부흥을 통해 사회적 필요에 대한 복지적 선교에 대한 책임 또한 감당할 수 있기를 기도하며,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welfare mission of the church to the children in the street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and the plan for the children"s ministry of the street through welfare missions. Statistically, homeless children have disappeared in Korea, but there are obviously street kids. There is a need to redefine Cosgrove"s and the Asian Development Bank"s definition of "street kids" in light of Korea"s circumstances. I define "kids on the street" as children who spend their time or after school with peer groups, brothers, or alone, without the protection of any adults, teachers, or care-givers. In this article, I also limit the scope of childre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less self-defeating than the United Nations defines. The street kids ministry is based on the protection and redemption of God to children who sinned against to God. In addition, mission history has continued missionary work for kids on the streets. The missionaries of early Korean churches such as Underwood established foundation for the beginning and revival of the Korean churches through ministry for the street kids. The welfar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has began with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However, the interest or ministry of Korean churches to the street kids is very small. With the exception of such as day care centers of churches with a profit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approaches or ministry for the street kids. Nonetheless, the statistics revealed by the government and welfare agencies show that there is a definite proportion of children with dismissal and neglect. The Korean Church should recognize the needs that welfare missions for these street kids. But there are challenges to overcome for the street kids ministry. First, we need to change the Sunday School operation system of the church. Second, we need full-time workers dedicated to child mission. Third,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 of operational financial situation. Despite these difficulties, and the theological diversity, postors in Seoul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ministry for them. I emphasize that the Korean church needs to first conduct a survey on the local children. In addition, through the support of learning, it assists the street kids with basic educational needs and needs of day care support which is the effective aspect of parenting support.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medical support through visits to a medical institution. I pray and expect that the Korean Church will be able to bear responsibility for welfare missions to social needs through revival in number.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 행정교육의 발전방향

        최유석(Choi, You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 제공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복지 행정교육 강화의 필요성과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기관평가, 성과관리 등 서비스 제공의 효과성과 책임성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기관관리자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 연구 에서는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 2,479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한국사회복지사 기초실태 및 인식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사회복지사가 일상적으로 어떠한 직무를 수행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직무분석결과, 사회복지기관에서 행정 및 관리 업무는 전체 업무 중의 4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조직, 인적자원관리, 기획 및 재정관리 등의 기관운영 업무의 중요도와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복지학 교육과정에서 기관관 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관리자로서 대부분의 생애경력을 쌓아 나갈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행정교육의 목표는 실천가에 대한 지원활동을 넘어서, 관리자로서 기관관리 지식과 기술을 익히는 것으로 재정립되어야 한다. 기관관리자로서 조직환경과 조직내부 운영에 대한 폭넓은 안목을 기르고, 기관관리의 다양한 영역에 대 한 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교육, 전문대학원교육, 실습교육 등 각종 교육과 정에서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ncreasing needs for training students as manag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and to suggest ways to develop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gency evaluations and performance management has increased demands for effectiveness and accountability of social service agencies, which also has increased the roles of managers in social service agencies. Using ‘Korean Social Worker Survey’ conducted by Korean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this study examines job characteristics of 2,479 social workers. The results show that administration/management activities take about 40% of social workers’ daily activities. Community organiz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lanning/financial management are regarded as more important and difficult than other tasks. However, sufficient education for preparing students as social service managers is not provide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 of college education. In addition, social workers make their life long careers as managers. Thus, the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needs to refocus on the provision of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competent social service managers. This study suggests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education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 of college education including field practice.

      • KCI등재

        선교적 접근을 위한 이미지 상징의 활용 방안 모색

        최유석 ( Choi You Se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7 No.-

        본 연구는 선교현장에서 복음전도를 목적으로 한 의사소통에 있어 이미지 상징의 활용 방안을 연구함에 목적이 있다. 상징은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문학에서 시작하여 예술의 영역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상징은 사용된다. 본 연구는 상징의 광범위한 영역을 이미지 상징의 활용이라는 측면으로 제한하여 연구한다. 선교현장에서 복음전도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상징을 활용함에 있어 우선 상징의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상징의 제한된 의미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징의 제한된 의미는 해석의 다양성을 제한하여 이미지를 활용함에 있어 그 오용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징의 제의와(limited meaning) 함께 이를 해석하는 차원에서 이미지 상징 그 자체는 확장된 의미를(extended meaning) 갖는다. 이미지 상징이 그 자체로는 이교적 의미나 부정적 의미를 포함하나 복음에 의한 이미지 상징의 재해석은 지역적 의미의 신적 재해석(divine re-interpretation)을 통하여 이미지 상징이 가지는 의미가 확장된다. 따라서 선교현장에서 이미지 상징을 활용함에 있어 우선 그 제의(limited meaning)와 확의(extended meaning)는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이미지 상징은 이교적 혼용(mingle with paganism) 또는 도용(stole by paganism)을 억제하고 복음적 의사소통의 목적을 이루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지 상징을 선교현장에서 복음전도를 위한 의사소통에 활용함에는 극복해야 할 과제가 있다. 첫째는 성상논쟁(iconoclastic controversy)이다. 성상논쟁은 선교적 수단으로 이미지 활용의 목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숭배의 대상으로 활용되면서 일어나게 되었다. 성경이 예배와 개인의 경건생활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21세기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이미지 상징은 우상숭배가 아닌 성경을 기억하고 성경을 묵상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에 재평가 되어야한다. 둘째는 이미지 상징이 매스미디어시대에서 멀티미디어시대로 발전하였고, 더 나아가 유비쿼터스미디어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이미지 상징의 활용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미지 상징에 대한 숭배의 차원이 아닌 언어(linguistic sign)와 음성(verbal sound)을 동반한 심연(abyss)의 함의를 통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할 필요가 대두된 것이다. 따라서 복음전도의 차원에서 이미지 상징의 활용은 재평가되어야 한다. 오늘날 이미지 상징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 재평가를 넘어 고려 되어야할 사항이 있다. 첫째는 이미지 상징의 해석 차원에서의 알레고리적 해석을 제한함과 동시에 둘째는 상징과 본질을 연결하는 비유가 그 의도와 함께 전달되어야 한다. 알레고리적 해석이 시자(viewer)의 위치에서 일어난다면 비유는 화자(speaker)의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화자의 비유를 통한 이미지 상징의 전달에 있어 그 함의가 함께 전달되어야 하며, 시자는 그 해석에 있어 알레고리적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상징은 개별적 측면이 아닌 복음전도 의사소통의 현장에서만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미지 상징의 장소 제한을 고려한 기독교 선교적 접근에 있어 그 상징의 창의적 구축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문화 차이의 이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상징의 창의적 구축 이후 초문화적 상징의 구축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전제 하에 우리는 복음전도를 위한 창의적 접근을 위하여 현대 의사소통과학의 수단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복음전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이미지 상징의 선재적 활용을 통해 더 극대화된 선교의 접근이 세계 각지에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focused on how to utilize symbolic images in evangelism on the missionary field. Symbols can be used in many quite broad ways in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ways. This paper seeks to focus and restrict the broad use of such symbolic images. Use of symbolic images for evangelistic purposes on the mission field has limitations, and broad and general usage is not possible and needs to be restricted. Restrictive utilization of symbolic imagery means prevention of misuse of symbolic imagery. As well,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symbolic imagery entails knowing it`s extended meaning. Symbolic images themselves have pagan or negative meaning to Christians, but it`s meaning can be extended through a Christian perspective of the local cultures. Therefore, there must be balance between restricted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so that the symbolic images will be utilized effectively in gospel communication which is not corrupted by paganism. Nevertheless, there are problems that we need to overcome in using symbolic images for a missional approach. The first is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In spite of the missional purpose of the icons,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has become an issue in Christian history by icons being misappropriated as objects of faith. Second is that we are faced with rapid changes in this world with the advent of the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era. This era progresses through different stages starting from mass media through multi-media to the era of ubiquitous media. Accordingly we need to revaluate the symbolic images not as objects of pagan faith, by utilizing visually descriptive tags and verbal explanations to communicate the gospel with the deeper implicated and more exact meaning of the symbolic images. There are two aspects we need to consider beyond the revaluation for proactive use of images. The one is to confine the possibility of allegorical interpretation. And the other is to deliver an intent on a metaphor through interconnected symbols and substance of the gospel message.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takes part on the viewer`s side although the metaphor is provided by the speaker. For the effective deliverance of the meaning of symbolic images through the metaphor by the speaker, the clear intent of the metaphor also has to be provided along with it. And the viewer(receiver) has to be careful in reconstructing the allegorical meaning. As a result, the symbolic images have to be utilized not only for the individual point of application but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gospel message. This is the primary consideration for gospel communication with symbolic images. There needs to be creative Christian symbolic images specific for particular situations to guard against improper allegorical interpretation as in the problem of the iconic worship. However,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symbolic images, there needs to be symbolic imagery that transcultural constructs. If this is so, we can utilize communication science for creative gospel evangelism. The fulfillment of the great commission, rising up in respective regions, will be expected through the optimization of gospel communication by the anticipatory preparation of symbolic images.

      • KCI등재

        한국인의 사회복지에 대한 인식과 분산: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지식의 역할을 중심으로

        최유석 ( You Seok Choi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2006년에 조사된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정치적 성향과 정치적 지식이 정부의 사회복지 책임에 대한 지지도 및 지지도의 분산과 어떤 관련성을 맺는지를 분석하였다. 보건 의료, 노인생활보장, 실업자 생활보장, 소득격차 완화, 일자리 제공, 무주택자 주거제공 등 6가지 정책영역 별로 이분산 서열로짓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인들은 전반적으로 정부가 사회복지에 대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책임에 대한 지지도는 정책영역 별로 차이를 보였다. 정치적 성향과 관련하여, 진보적일수록 다양한 사회복지 영역에서 정부의 책임을 지지하는 인식을 보여준다. 또한 진보적일수록 보수층에 비해 동질적인 인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치적 지식은 사회복지에 대한 정부책임 지지도와 응답의 분산에서 일관된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회복지의 여러 영역에서 제도의 성숙단계, 정부의 정책실행능력에 대한 신뢰, 정치적 쟁점으로 표출되는 사안 등의 차이에서 비롯될 가능성이 있다. Using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2006,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olitical ideology and political knowledge are associated with the level and variance of support for government responsibility for social welfare in following six areas: health care, elderly income security, unemployed income support, reducing income inequality, job creation, and housing. Results show that Koreans respond that government should be highly responsible for social welfare with slight variation in the level of support in the six areas. The progressives support more positive roles for government in the provision of social welfare than do the conservatives. The progressives show more homogeneous recognition on social welfare than do the conservatives. In contrast, political knowledge show mixed results in terms both of the level and the variance of support for the government responsibility.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polices, trust for government capability, and political issues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inconsistent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