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현수,박민경,김영석 한국식품과학회 2023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32 No.3
Hydrolyzed vegetable proteins (HVPs) are widely used food flavoring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latiles formed in thermally reacted model systems containing HVPs (made from defatted soy, corn gluten, and wheat gluten) and reducing sugars (glucose and fructose). Three types of HVPs, which had different free amino acid compositions, generat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different volatile compounds. In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each thermally reacted system could be distributed according to type of HVPs and sugars. Aldehydes and pyrazines highly correlated with glucose- and fructose-containing model systems, respectively. In particular, model systems containing soy HVPs showed higher contents of sugar-degraded compounds, such as maltol, furfuryl alcohol, and cyclotene. However, some Strecker aldehydes and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hose formation required amino acids, were more abundant in model systems containing corn and wheat HVP.
조현수 평택대학교 2002 論文集 Vol.16 No.-
한국경제는 1997년 12월 IMF외환위기 이후 다양한 부문에서의 신속한 구조조정을 단행하였고, 그 효과로 무역수지는 호전되어 경제적인 위기상황을 벗어나는 듯 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급증해온 정부 및 가계의 부채는 새로운 한국경제의 위기를 가져올 만큼 심각성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정부는 저금리정책을 통한 내수경기진작으로 국내경기를 호전시키려하였다. 그러나 그 결과는 단기외채의 급증과 함께 가계의 위험스러운 정도의 부동산대출증가라는 부작용을 유발하였다. 이로 인하여 한국경재의 위기는 현실로 다가온 느낌이다.
들뢰즈의 ‘존재의 일의성’의 두 구성요건인 ‘존재의 공통성’과 ‘존재=차이’는 어떻게 니체의 영원회귀에 의해 동시에 긍정될 수 있는가?
조현수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들뢰즈의 ‘존재의 일의성’ 이론에 따르면, 존재란 모든 존재자들에게 ‘같은 하나의 의미’로 언명되는 것이다. 존재가 이처럼 서로 다른 모든 존재자들에게 ‘같은 하나의 의미’로 언명될 수 있으려면, 존재란 이들 모든 존재자들에게 공통적인 어떤 것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그런데 ‘존재의 일의성’이 함축하는 듯이 보이는 이러한 ‘존재의 공통성’은 오직, 모든 존재자들이 서로 일말의 차이도 없이 모두들 똑같은 것을 가지게 되는 조건에서만 가능하게 되는 것이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우리는 ‘온주름운동’에 대한 들뢰즈의 주장이, 즉 존재하는 모든 것들 사이에는 ‘각자가 자기 자신 속에 다른 모든 것들을 함축하게 되는’ 보편적인 상호함축의 운동이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말하는 이 주장이, ‘존재의 공통성’에 대한 우리의 이 같은 이해가 정당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존재의 일의성’이 ‘존재의 공통성’을 함축하는 것이라는 우리의 주장에 대해, 또한, 더 나아가, 이러한 ‘존재의 공통성’을 ‘모든 존재자들이 서로 일말의 차이도 없이 모두들 똑같은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우리의 주장에 대해, 많은 반론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는 이 글에서 들뢰즈가 어떤 경위를 거쳐 이 같은 ‘온주름운동’에 대한 주장에 이르게 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의 이 같은 주장이 정당하다는 것을 옹호하려 한다. 그런데, 다른 한편, 존재의 일의성은 또한 ‘존재=차이’라는 것도, 즉 존재가 ‘같은 하나의 의미’로 언명되는 이들 모든 존재자들이 서로 다른 차이들이라는 것도, 주장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존재의 일의성’은 ‘존재의 공통성’과 ‘존재=차이’라는 서로 모순되는 듯이 보이는 이 두 가지를 어떻게 동시에 주장할 수 있는 것일까? 들뢰즈의 ‘존재의 일의성’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겪는 많은 어려움과 논란들은 이 두 가지 주장 사이에 극복할 수 없는 모순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우리는 생각한다. 그런데 들뢰즈는 니체의 영원회귀를 이러한 존재의 일의성을 완성시켜 주는 것으로 평가한다. 우리는 이러한 니체의 영원회귀가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를, 또한 그렇게 이해되는 이 영원회귀가 어떻게 해서 존재의 일의성이 요구하고 있는 듯이 보이는 저 두 가지 주장을 서로 모순 없이 동시에 긍정할 수 있게 해주는지를 살펴보려 한다. According to Deleuze, Univocity of Being affirms that Being is said in a single and same sense of everything of which it is said. This means that Being is something common to everything of which it is said. The first thing that we try to do in this paper is to show why this commonality of Being is possible only when all the existents (of which Being is said) have in common exactly the same things without any difference whatsoever between them. By the way, Univocity of Being affirms also that everything of which Being is said differs, which means that Being is said of difference itself. Then, this puzzling problem comes up : how these two seemingly contradictory meanings, which are both equally supposed to be implied by the Univocity of Being, can be both affirmed without any real contradiction between them ? To solve this problem, Deleuze himself makes appeal to Nietzsche’s Eternal Return. The principal subject of this paper is then to show in what consists this Eternal Return and how it can solve this problem so as to make possible what Univocity of Being affirms.
조현수 평택대학교 1999 論文集 Vol.12 No.-
세계의 각 국가들은 자유스러운 시장개방을 기조로 심화되어 가고있는 시장경제체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경제통합체의 창설준비와 함께 기존에 속해있는 경제통합체와 타 지역 경제통합체간의 제휴를 추진하고 있다. 21세기 세계경제는 이러한 경제통합체들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모습을 취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경제통합과정을 기초로 하여 21세기 세계 경제통합의 모습을 조망해보는데 있다.
슈만의 피아노작품「크라이스레리아나, op.16」과 E.T.A.호프만의 소설「카터 무어」에 나타난 구조적 연관성
조현수 명지대학교 예체능연구소 1999 藝體能論集 Vol.10 No.-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music implied in R.Schumann's Kreisleriana provides performers with specific clues to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music. It is thought that E.T.A. Hoffmann's novel, Kater Murr might have influenced Schumann when he wrote Kreisleriana. They share the similar structure and charact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Kreisleriana with Kater Murr in order (1) to understand how the music is structured as a unified cycle even though it is often fragmentary, and includes abrupt contrasts, and (2) to discover how Schumann associated particular compositional techniques with different kinds of emotional expression or character portrayal.
조현수,이유빈,김용현,허무룡 인간식물환경학회 2019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REBT) technique to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as a method of reducing irrational beliefs and job-seeking stress, and improving career maturity through the change of irrational beliefs. The subjects were 30 university students with irrational beliefs, 15 of them in the control group and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in total 10 sessions once a week for one and a half hours. For irrational belief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02) in the total score after the program,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an insignificant change (p=.529). Total job-seeking stress scor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p=.002) after the program, whereas it was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p=.023). For the career maturit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p=.008) in the total score, whereas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p=.028). Therefore, it can be found that REBT applied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are helpful for reducing irrational beliefs and job-seeking stress and improving career maturity for young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