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 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최 인 화 가출청소년쉼터의 운영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는 낮은 보수, 빈번한 야간숙직, 초과근무 등 열악한 업무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높은 이직률을 보이고 있음에도 그에 대한 우리 사회의 지원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에 따라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감정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결여,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소재한 가출청소년쉼터 119개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65개의 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1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 따른 이직의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지만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이직의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혼여부에 따른 이직의도는 미혼보다 기혼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급여가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인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고, ‘20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인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급여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는 중장기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일시쉼터와 단기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무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현재 근무 중인 쉼터유형을 통제하였을 때,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과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진의 하위요인 중 감정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결여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진의 하위요인 중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와 사회적지지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감정적 고갈 수준이 높아지고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중 감정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들이 장기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수립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 소진, 사회적지지, 이직의도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shelter workers Hanaro Cho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visor: Professor In-Hwa Choi To run a runaway youth shelter successfully, the role of youth shelter workers is critical. However, employees providing services at youth centers tend to receive low pay and are exposed to poor work conditions such as frequent night shifts and overtime work. Despite the resulting high turnover rate, societal support to rectify this situation is extremely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worker characteristics, and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differ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gender, age, marital status, pay, shelter type)?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depersonalization)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119 runaway youth shelters acorss Korea were reques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Of them, 65 shelters agreed to participate and a total of 113 worker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on the data collected via the SPSS 19.0 software program.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pay, and shelter type. Specifically, turnover intention appeared greater among male workers than female worker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seemed to increase according to age, but this, to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gle workers showed high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than married worker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was the greatest among workers who were paid ‘3,000,000 ~ 4,000,000 won’, and was the smallest among workers who were paid ‘2,000,000 ~ 3,000,000 won’. but the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pay was not significantly significant. Workers at medium- and long-term shelters expressed greater turnover intention than those at temporary shelters and short-term shelters, but this difference according to shelter type was also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was examin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were controlled for. As a result, two burnout subdomains,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However, another subdomain of burnout called depersonalization as well as social support appeared to have in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with high level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tend to have an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Importantly, the study found that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experienced by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when formulating effective policies that promote long-term satisfactory work environment for workers at runaway youth shelters. keyword : burnout, social support, turnover intention, youthshelter workers

      • 자연의 생명력을 통한 파라다이스 표현

        조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인간은 언어, 종교, 철학 과학, 산업, 예술과 같은 문명을 창조하고 발전시켰다. 또한 물질적이고 기술적인 발전으로 현대는 양적이고 질적인 풍요로움을 누리고 있다. 인간은 문명의 발전이라는 명목으로 자연을 정복하고 지구상의 많은 생태학적 존재들을 이용해왔다. 그로 인해 자연이 파괴되고 생태계의 균형이 깨지는 등의 현대사회의 심각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자연의 파괴는 인간의 내면에도 이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간은 도시 문명 속의 현세적 만족감에서 벗어나 생명력이 가득한 자연에서 지친 눈과 마음을 정화시킬 수 있는 파라다이스를 꿈꾸게 된다. 본인의 파라다이스는 태고의 원시성으로 가득 찬 야생의 정글이다. 특히 인간에 의한 인공성을 배재한 자연 속 식물과 동물들에서 오는 원초적 생명력에 주목하였다. 인간이 만든 질서와 법으로부터 자유로운 야생은 인간의 기준으로는 혼돈스럽고 위험해 보인다. 그러나 거기에는 인간의 세상보다 더 완전한 조화나 균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원초적인 자연은 현대인들을 위한 파라다이스라고 생각하였다. 본인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환경 위기에 대한 자각으로 인하여 생겨난 생태학적 관점에서 작품 속 인간-자연 사이의 순환 구조와 생태계의 파괴원인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또한 파라다이스의 철학적, 문화적 의미를 알아보고 본인이 생각하는 파라다이스와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부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파라다이스를 소재로 한 작가 중에서 자연의 아름다움과 동식물들이 현실세계에서 보여 지는 대상을 마치 비현실 세계에 존재하듯이 표현한 천경자와 자연으로부터 자신만의 기법을 만들어내었고 정글화 속에서 새롭고 신비로운 환상적 화풍으로 표현한 앙리루소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조형적인 방법에서는 열대 식물의 형태들을 평면적이고 장식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원색적이며 대비되는 색채를 사용하여 생명력을 강조하였다. 본인의 파라다이스 속에 나타나는 열대의 동식물들인 열대식물, 뱀, 개구리, 도마뱀의 상징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우리는 삭막한 도시문명을 벗어나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그 중에서도 원초적인 자연의 생명력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휴식과 에너지를 줄 수 있는 파라다이스를 연구하였다. 앞으로 이론적 바탕과 표현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구해 나감으로써 이전까지의 작업의 미흡했던 점을 보완하고 동시에 앞으로의 작업 방향에 있어서 보다 발전적인 모색을 기대한다. Humans have created and developed civilization including language, religion, philosophy, science, industry, and art. Also, with themateri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people enjo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bundant in this modern society. Despite people enjoy the benefit, they have treated nature with wrong conceit they can conquer nature and make use of ecological materials on the earth. As a result, people in the modern society are suffering from serious problems from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y and the off-balanced ecosystem. Also, they are losing not only nature but also the inner side of human beings. With this, people dream a paradise where they can escape from temporal satisfaction what the city civilization providesand take rest for their tired eyes and minds in tropical rain forest. The paradise that I imagine is a jungle in the wild with ancient primitiveness. I focus on primitive vitality from plants and animals in tropical rain forest without artificialness from human being. Tropical rain forest where has no relevance with order and law people have developed is looked confused and dangerous to human beings. But there is a harmony and balance better than them in human society, so I think tropical rain forest is a perfect paradise to modern people. To study the subject, I consider of circulation structure between human-nature-animal in the work and energy from nature with ecological aspect emerged with self-awareness of ecocrisisas a theoretical background. Also, I study philosophical and literal meanings of paradise and try to find out what corresponds with the paradise that I imagine concretely. And I study Cheon Kyungja who expresses an aspect of the beauty and animals and plants in nature from the view of reality as it is existed in a unreal world and Henri Rousseau who creates his own techniques from the nature and expresses newness and mystique with fantastic style in his jungle paints among artists who choose paradise as a subject. For formative methods, light images are used by emphasizing simplicity, harmony, balance, accent, and rhythm of leaves and petals of tropical plants flatly and decoratively. And bold, vivid, contrasting colors more than themwhat natural plants have are used to emphasize vitality. Symbolical animals and plants such as tropical plants, snakes, frogs, and lizards are appeared in my paradise. They mean circulation of vitality in tropical rain forest. They make a balance without participation of human beings. But human artificially break the balance and ruin the circulation. To remind the facts, animals are appeared in the jungle. People want to leave destructed nature with tyranny of human and rigid city and go back to nature. With basic vitality of nature, I study a paradise with exotic scenery where modern people can enjoy rest and receive energy. By studying theoretical backgrounds and expression methods with more detail, I will supplement insufficient aspects and find out development in further art works at the same time.

      • 효과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

        조하나 국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1839

        The multimedia is being utilized in our educational situation with a lot of advantages and the multimedia-utiliz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our education in the globalization age when the world is bound by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efficient the multimedia-utilizing English education is, when compared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Here are th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multimedia? Second, does the use of multimedia have an effect on the English ability? Third, does learning with the multimedia improve students' interests and motivati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en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could use computer and the Internet, whereas the second group could not. Both groups learned "Pinocchio" with a book, cassette tape, CD, and flash card. The analysis of results shows several findings. First, students who studied with multimedia performed better on the test than the other (especially at speaking and listening). Second, the practical use of multimedia computer in English classes improved the students' sense of interest and helped students' higher contentment and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led to the implication that more use of the Internet is recommended sin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y better with multimedia. English teachers should try to search for many learning materials through the Internet, and apply them to English classes.

      • 상담자의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의 순차적 매개효과

        조하나 한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상담자의 공감피로를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을 밝히고, 그것의 구체적인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상담자가 자신의 일차적 외상경험을 잘 처리하여 외상 후 성장을 이룬 경우, 공감피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외상 후 성장이 어떠한 기제를 통해 공감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을 매개 변인으로 상정한 후, 이들의 관계가 순차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를 파악하고, (2)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단순매개효과를 가지는지와 (3)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이 단순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상정하고 수정모형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상담 실무에 종사하는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2급 이상 자격증 소지자 또는 청소년 상담사 3급에 준하는 자격을 갖춘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중복응답과 이상치, 그리고 1년 미만의 경력자를 제외한 284명의 표본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상담자의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와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이 각각 단순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모형 모두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 간의 직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완전매개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 모형 선정을 위해, 연구모형과 연구모형에서 경로를 일부 삭제한 수정모형이 비교 평가되었으며, 적합도에서는 두 모형이 큰 차이가 없었지만,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결과를 보인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최종 모형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어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상담경력에 따라 모형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낮은 경력 집단과 중간 경력 집단에서 일부 경로계수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공감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자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tective factors that reduce compassion fatigue(CF), which is a negative effect that counselors can experience, and to explore the specific process. It was expected that compassion fatigue could be effectively reduced when the counselor deal with they primary traumatic experience well and achieved posttraumatic growth(PT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of posttraumatic growth to reduce compassion fatigu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meaning in life and self-care were assumed as mediating variables. Thus, in this study, (1)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2) verified whether the meaning in lif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and (3) verified whether self-car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ally, (4)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elf-c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Therefor,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nd was compared to the modified model. For this study, Counselors with 1 or more years of career in the counseling practice, holders of level 2 or higher certifications from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the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or youth counselors of grade 3 or higher participated in surveyed online. The analysis was finally performed with 284 counselors' data, excluding duplicate responses, outliers, and those with less than one year of career.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in life and self-care each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And it was verified that both variables fully mediate between PTG and CF. For the model selection, the modified model that partially deleted the path from research model and the research model was compared and evaluated. The fit was similar to the two models, but the modified model in which all paths were significant was selected. Lastly,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then indicating that the meaning in life and self-care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Additionally, a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del according to the care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ome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low-career group and the middle-career group.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process of PTG and CF was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implications on the processes of counselor education which might decrease CF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finally discussed.

      • 부모놀이치료(filial therapy)가 소아암 환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하나 남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The long-term survival rate of the childhood cancer is increased more than 70% due to constant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for which the interests not only in the medical treatment but also in the return and adaptation to daily life are being increased. The children with cancer hardly maintain normal life due to severe pain and invasive treatment process and come to have uncertainty for the future and the limitations. The children with cancer will have development and adaption problems through the damage to the self-respect, fear, anxiety, etc. Such development and adaptation problems in the children with cancer are associated with the sociality of the children with cancer and become important factor of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social adaptation. What have fundamental impact on the sociality are the parents, and mostly, the mother who takes the responsibility of rearing the childre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sociality of the child. However, since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cancer watched and felt the severe pain of the children with cancer together, they tend to overprotect their children and it become an main factor to make the children with cancer to have dependant and passive attitude. The appropriate interest and the 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which can cultivate the independent and active attitude in their children, are related to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makes the children to feel the happiness and stability, and has decisive impa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healthiness, through which the ability to express their emotion is increas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if the filial therapy can improve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who rears the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nd suffered from treatment in the past and are currently under the treatment, and enhance the sociality of the children with cancer. The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filial therapy program has effect to enhance the sociality of the child with cancer and particularly,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cooperation and autonomy out of the sub-level variables of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ity. Second, it was observed that the filial therapy program has the effect to improve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of the child with cancer and particularly, it has effect to improve the emotional empathic ability that taking the interest and the personal pain, out of the sub-level variables of the mother are belonged to.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ansition of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attended in the filial therapy program, their initial reactions for the filial therapy were that it seemed to interfere the children too much, the unfamiliarity with expressing the empathy, and the setting of limitation, but later phase of the filial therapy, they expressed the needs of expressing the empathy, the discovery of new image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 changes in the mother after familiarizing with the expression of empathy. This study has a meaning to prove that the filial therapy program has effect to improve the empathic Ability and the sociality and to pursue the diversity of the subjects. And it has a meaning in the aspect that it verified the usefulnes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hich is being made gradually, by examining the transition of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of children with cancer performing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at the same time. Keyword: Filial therapy, sociality of child, empathic ability of mother 소아암은 꾸준한 의료 발전으로 장기생존율이 70%를 넘겼고 이에 따른 의학적 치료 뿐 아니라 일상생활로 복귀와 적응에 관심이 높아졌다. 소아암 환아들은 극심한 통증과 침해적인 치료과정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삶의 유지가 어려우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제한을 가지게 된다. 소아암 환아는 자존감의 손상, 공포, 불안 등을 통해 발달 적응 상의 문제를 가져온다. 이러한 소아암 환아의 발달 적응상의 문제는 소아암 환아의 사회성과 관련되고 또래관계와 사회적 적응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사회성에 근본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유아의 부모인데, 대부분의 자녀 양육을 책임지는 어머니가 유아의 사회성에 큰 영향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아암 환아의 어머니들은 소아암 환아의 극심한 통증을 함께 지켜보고 느꼈기 때문에 과보호하는 경향이 있고 소아암 환아들은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태로도 만드는 요인이 된다. 자녀를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어머니의 적절한 관심과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관련이 있다.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자녀로 하여금 행복감과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사회·정서적 건강성에도 결정적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본 연구는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과거에 소아암 진단 및 치료를 겪은 환아와 현재 치료과정을 겪고 있는 환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에게 공감능력을 증진시키고 소아암 환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소아암 환아의 사회성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특히 유아사회성발달의 하위 변인 중 협동성과 자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둘째,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특히 어머니의 공감능력 하위 변인 중 관심 취하기와 개인적 고통, 정서적 공감을 증진시키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셋째,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에 참석한 소아암 환아의 어머니 공감능력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부모놀이치료 초기에 반응은 자녀에게 너무 간섭하는 것 같다와 공감표현에 대한 낯섦, 제한설정에 대한 어려움을 표현하였으나 부모놀이치료 후기에는 공감표현을 해야겠다는 공감표현의 필요성과 공감표현이 익숙해진 후 어머니의 변화를 통한 자녀들의 새로운 모습 발견에 대해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아암 환아 사회성 향상에 대한 지지가 필요함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부족한 실정에서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공감능력 증진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고, 대상자의 다양성을 추구한 부분에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양적연구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를 병행해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공감능력 변화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는 질적 연구의 유용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부모놀이치료, 유아 사회성, 어머니 공감능력

      • 성격특성이 기업가정신과 취․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GPA GEOPIA 도형심리검사를 중심으로

        조하나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When I graduate from college, I get out of the stereotypes of the past that I should get a job, and current college students are choosing to pursue career paths betwee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nate personality traits on entrepreneurship, employment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lue of each personality trait and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to work, and the will to start up. The study targets 92 boys, 82 girls and a total of 17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excluding the three sections of the test papers that have been answered in an unfaithful manner or that do not contain measurement items.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operational definitions and data of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echnical statistics and variables. In addition, a multi-retur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impact of personality traits on entrepreneurship, employment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tool for diagnosing personality traits, the GPA GEOPIA(Geomentry Psychological Assesment) test was used and four main scales (Round type, Triangle type, Box type, Curve type)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Round type is a relationship-oriented one, and is very considerate and optimistic about others. There are few conflicts in human relations to pursue amicable relations. Triangle type is highly motivated, has a strong spirit of challenge to set accurate goals. Box type is a diligent and thorough form that values law and rules and practices. Finally, the Curve type is free and full of personality, and the standard of values you think of is cl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PA GEOPIA has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with higher scores of Triangle type and Curve type. The higher the score of Triangle type and Curve type, the more positive the will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statistics show that the higher the Box type, the more likely it will have a political impact on the will of employment, and that the circle type, triangle type, and S type als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ill of employment. When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differed between entrepreneurship, employment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riangle type and Curve type. Although not all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are established as entrepreneurship and will to start a business, it shows that whatever direction is set is helpful if one realizes and compensates for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earch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career exploration in various ways, including forming an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mplement individual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future. Finally, GPA GEOPIA test developed in Korea rather than the majority of the used personality test tools (MBTI, NEO-PI-R, enneagram, etc.) in the previous prior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the place of work and creativity based on the questions and results most appropriate to Korean culture (Oh Mi-ra, 2018). 대학을 졸업하면 당연히 취업을 해야 한다는 과거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현재의 대학생들은 크게 취업과 창업 사이에서 진로를 탐색하며 선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고난 성격특성이 기업가정신과 취․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각 성격특성별 주된 가치와 기업가정신과의 상관관계, 취․창업의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95명, 여학생 82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측정항목이 누락된 검사지 3부를 제외 한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자료 등을 수집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치와 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격특성이 기업가정신과 취․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격특성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로는 GPA GEOPIA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하였으며 주 척도 4가지(동그라미, 세모, 네모, 에스)유형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동그라미(○)유형은 관계 지향적인 성향으로 타인에 대한 배려심이 강하고 낙천적이다. 원만한 관계 유지를 추구하기에 인간관계에서의 갈등이 적다. 세모(△)유형은 의지력이 높고 정확한 목표를 수립하는 도전정신이 강하며, 열정적이고 자신감이 넘친다. 네모(□)유형은 성실하고 부지런하며 빈틈이 없는 유형으로 법과 규칙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천한다. 끝으로 에스(S)유형은 자유롭고 개성이 넘치며 자신의 가치 기준이 분명하다. 연구결과, GPA GEOPIA도형심리검사에서 세모(△)유형과 에스(S)유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모(△)유형과 에스(S)유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모(□)유형이 높을수록 취업의지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결과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그라미(○)유형, 세모(△)유형, 에스(S)유형 또한 취업의지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성격특성 중 세모(△)유형과 에스(S)유형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취업의지는 네 가지 성격유형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가 높다고 하여 모두가 창업으로 진로를 설정하는 것은 아니나 개인의 성격특성의 강점과 약점을 깨닫고 보완한다면 어떤 진로방향을 설정할지라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향후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성격특성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로탐색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되리라 기대한다. 끝으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대다수 활용된 성격검사도구(MBTI, 성격5요인, 애니어그램 등)가 아닌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GPA GEOPIA 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문화에 가장 적합한 문항과 결과(오미라, 2018)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과 취․창업의지와의 관계를 검증해 내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조하나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유아교사가 받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에 관한연구를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수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는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수에 따라 교사 효능감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교사는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 교사의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 수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전체에서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스트레스의 몇몇 하위 요인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담당학급 요인에서는 만 4,5세 담당하는 교사들의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유아수 요인에서는 담당학급의 유아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아들의 활동과 업무과다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없다. 교사의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수에 따라 교사 효능감 전체에서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의 효능감이 교사의 외적인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내적인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교사 효능감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Do the educational career, academic attainments, class in charge and class size of preschool teacher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job stress? 2. Do the educational career, academic attainments, class in charge and class size of preschool teacher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teacher efficacy?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 teachers were different in job str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ir educational career, academic attainments, class in charge and class siz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overall job stress, but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several subfactors of job stress. As to the influence of class in charge, the teachers who were responsible for preschoolers at the Western age of 4 and 5 were under the most pressure. By class size, th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larger-sized classes felt more job stress. Specifically, activities with preschoolers and heavy workload put more strain on them. Seco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teacher efficacy. No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their overall teachers efficacy according to educational career, academic background, class in charge and class size. The teacher efficacy seemed to hinge on the intern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not on the external one. Third, the job stress of the preschool teacher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and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t could be said that stronger job stress led to lower teacher efficacy.

      •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미치는 효과

        조하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21세기에는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상을 요구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 이루어지고 있는 단순하고 획일적인 일반 수업 형태로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상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변화하는 환경과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과목들 중 정의적인 측면과 개성을 중요시 하는 음악교과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을 중학교 1학년에게 적용해보고,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장교육연구로 가설의 진위를 가리기 위한 실행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제작하여 음악극 창작 활동이 끝나고 평가하는 단계에서 직접 적용하여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외곽지역의 U중학교 1학년(114명)학생이며, 연구 기간은 2008년 3월부터 2008년 4월까지 2개월간이었고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사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극 창작 활동이 각 활동에 적합한 여러 가지 협동학습 모형에 적용되어, 협동학습을 활용한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음악극 창작 활동이 음악적인 표현력과 창의성 계발에 대한 검증에서 창의성에 대한 3가지 문항을 종합해 보면, 5점과 4점의 고득점을 획득한 학생이 83.33%로 분석되어,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음악적인 표현력과 창의성 계발에 긍정적인 영향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협동심 신장에 대한 검증에서 협동심에 대한 3가지 문항을 종합해 보면, 5점과 4점의 고득점을 획득한 학생이 85.08%로 나타나서,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협동심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을 음악 수업에 적용하면 창의성 계발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을 협동학습 모형에 적용하면 협동심 신장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음악극 창작 활동 수업은 음악, 연극, 무용, 미술, 문학 등을 종합한 종합예술로서 학생들의 음악적인 창의성 및 잠재력과 협동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방안이라고 생각된다.

      • 단간 불안, 조망수용, 연령주의의 관계 : 긍정적 접촉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While go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the perception that the elderly are weak and vulnerable has been strengthened, and hate expressions targeting the elderly have increased. In Korea, as the transition to a super-aged society is accelerating,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and as a result,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may increas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ageism, a problematic social phenomenon in an aging society, appears, and to contribute to redu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argeting the young generation, who can recogniz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mo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taking, which understands others through the other person's position and point of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which is an uncomfortable emotion felt in interaction with outgroups, and ageism which means negative emotions, thoughts, prejudices,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that appear due to biological grounds of ag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o verify whether this relationship varies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contact experience with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6 young adults aged 19-29.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confirmed using PROCESS Macro v4.1,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ving experience with the elderly. Intergroup anxiety and ageism were higher in females, and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as higher in males. In addition,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as better when there was a residence experience with the elderly, and the intergroup anxiety was higher when there was no living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gender and residence experience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ageism and intergroup anxie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egism and perspective-taking,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Perspective-taking and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taking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and ageism. In other words, feeling anxiety in interactions with the elderly directly increased ageism attitudes, which also indirectly affected lowered perspective-taking. Third,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reg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perspective-taking, and ageism. That is, the higher the quality of experience in contact with the elderly, the higher the effect of perspective-taking in reducing ageism. This means that ageism can be lowered due to high perspective-taking when the young generation who have previously had high-quality experiences of contact with the elderly experience intergroup anxiet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tergroup anxiety was a factor influencing ageism in the young gener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lowered perspective-taking capacity in this relationship acts as the underlying mechanis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to lower ageism increased only when the contact experience known to lower prejudice was positive or intimat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education and intervention to reduce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hich is a problem in an aging society.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노인은 연약하고, 취약하다는 인식이 강화되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혐오표현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노인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세대간 갈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간 갈등을 가장 크게 인식할 수 있는 청년세대를 대상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사회현상인 연령주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노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 태도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집단과의 상호작용 상황에서 느끼는 불편한 정서인 집단간 불안과 나이라는 생물학적인 근거를 이유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감정, 생각, 편견, 차별적 행동을 의미하는 연령주의의 관계를, 다른 사람의 입장과 관점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조망수용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노인과의 접촉경험의 긍정적인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29세의 젊은 성인기 356명(M=만 24.64세, SD=3.15)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차이검정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PROCESS Macro v4.1을 활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결과, 성별, 노인과의 거주 경험의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는 여성이 더 높았고, 접촉경험의 긍정적 수준은 남성이 더 높았다. 또한, 노인과의 거주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접촉경험이 더 긍정적이었고, 없는 경우에는 집단간 불안이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거주경험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집단간 불안은 연령주의와 정적으로, 조망수용, 긍정적 접촉경험과는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조망수용과 긍정적 접촉경험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의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노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은 연령주의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낮아진 조망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간 불안, 조망수용, 연령주의의 관계를 긍정적 접촉경험이 조절하였다. 즉, 노인과 접촉한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조망수용이 연령주의를 낮추는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는 이전에 노인과 접촉한 경험이 긍정적이었던 청년세대는 집단간 불안을 느꼈을 때 높은 조망수용으로 인해 연령주의가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세대에서 나타나는 연령주의에 집단간 불안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낮아진 조망수용 능력이 기저의 기제로 작용하는 것을 밝혔다. 또한, 편견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진 접촉경험이 긍정적이거나 친밀했을 때에만 조망수용 능력이 연령주의를 낮추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 태도를 낮출 수 있는 교육 및 개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