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 하나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최 인 화 가출청소년쉼터의 운영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는 낮은 보수, 빈번한 야간숙직, 초과근무 등 열악한 업무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높은 이직률을 보이고 있음에도 그에 대한 우리 사회의 지원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에 따라 이직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소진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감정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결여,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 및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에 소재한 가출청소년쉼터 119개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65개의 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사자 1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특성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성별에 따른 이직의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지만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에 따른 이직의도는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혼여부에 따른 이직의도는 미혼보다 기혼이 더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급여가 ‘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인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가장 높았고, ‘20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인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급여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근무 중인 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는 중장기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이직의도가 일시쉼터와 단기쉼터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근무쉼터유형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성별, 연령, 결혼여부, 급여, 현재 근무 중인 쉼터유형을 통제하였을 때,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과 사회적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소진의 하위요인 중 감정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결여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소진의 하위요인 중 클라이언트에 대한 비인간화와 사회적지지는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감정적 고갈 수준이 높아지고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의 소진 중 감정적 고갈과 개인적 성취감 결여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들이 장기적으로 근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정책수립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가출청소년쉼터 종사자, 소진, 사회적지지, 이직의도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shelter workers Hanaro Cho Myo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dvisor: Professor In-Hwa Choi To run a runaway youth shelter successfully, the role of youth shelter workers is critical. However, employees providing services at youth centers tend to receive low pay and are exposed to poor work conditions such as frequent night shifts and overtime work. Despite the resulting high turnover rate, societal support to rectify this situation is extremely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worker characteristics, and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 of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differ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gender, age, marital status, pay, shelter type)?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burnout (emotional exhaustion,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depersonalization)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119 runaway youth shelters acorss Korea were reques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Of them, 65 shelters agreed to participate and a total of 113 workers completed the online surve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on the data collected via the SPSS 19.0 software program.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urnover intention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y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pay, and shelter type. Specifically, turnover intention appeared greater among male workers than female worker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seemed to increase according to age, but this, too,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ingle workers showed higher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than married workers,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was the greatest among workers who were paid ‘3,000,000 ~ 4,000,000 won’, and was the smallest among workers who were paid ‘2,000,000 ~ 3,000,000 won’. but the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pay was not significantly significant. Workers at medium- and long-term shelters expressed greater turnover intention than those at temporary shelters and short-term shelters, but this difference according to shelter type was also statistically insignificant. Second, the effect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burnout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was examin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of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were controlled for. As a result, two burnout subdomains,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However, another subdomain of burnout called depersonalization as well as social support appeared to have in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other words,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with high levels of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tend to have an increased turnover intention. Importantly, the study found that emotional exhaustion and lack of personal accomplishment experienced by runaway youth shelter workers affected their turnover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when formulating effective policies that promote long-term satisfactory work environment for workers at runaway youth shelters. keyword : burnout, social support, turnover intention, youthshelter workers

      •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 및 죄책감을 중심으로

        조하나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과 죄책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심리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K시에 위치한 H지원센터에서 단신으로 탈북한지 2년 이하의 20-40대의 북한이탈 기혼여성 1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8명씩 나누고 실험집단은 H지원센터에 마련된 상담실에서 주1회 9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는 비모수 통계인 맨 휘트니 U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고, 우울감과 죄책감의 사전-사후 검사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통계인 Wilcoxon의 짝을 이룬 부호 순위 검증(Wilcoxon Signed-Rank Test)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 기혼여성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가족상실로 인한 우울감과 죄책감을 완화시키는지 살펴 본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우울감과 죄책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마친 후 실험집단 북한이탈 기혼여성은 우울감과 죄책감이 완화되었으며, 문제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두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집-나무-사람 검사의 사전·사후 그림에서 자아상의 크기가 커지고 약하고 힘없던 필압이 강해졌으며, 그림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밝고 희망적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재료에 쉽게 접근하고 작업에 자신감을 가지고 점차 적극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부정적이었던 정서가 언젠가는 가족을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이라는 소망과 밝고 긍정적인 정서로 변화되었다. 셋째,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진행에 따라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응 및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이탈 기혼여성이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해주기도하고, 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내면의 갈등을 해소하고, 스스로를 전문가라고 느끼도록 도와주며 문제를 해결할 자원과 강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했다. 또한 집단원들 간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가 문제해결을 도와주는 치료팀이 되어주었으며 집단 활동을 통해 특수한 상황에 처한 비슷한 집단원들과 관계를 가지면서 서로 지지하고 격려해주는 긍정적인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탈북으로 가족을 상실한 북한이탈 기혼여성의 심리적응을 위해 해결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이는 시간적·경제적·심리적 부담으로 인해 상담을 받기 어려운 북한이탈 기혼여성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고 미술치료가 장기적인 프로그램으로 시행되지 않아도 긍정적인 효과성을 입증한데에 의의가 있고, 개인이 가진 장점을 찾아 문제를 해결할 능력과 자원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방식과 달리 ‘병리적인 것 대신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두는 이론을 적용함으로 내담자들의 방어를 감소할 수 있고 보다 편하게 참여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북한이탈 기혼여성 뿐 아니라 다양한 연령과 대상으로 확대하여 탈북 후 새로운 생활적응에 도움을 주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at organizing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centrated on solution to relieve depression and guilty feeling in North Korean married women defector due to losing their family, and presenting effective ways to support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the aim, a survey was conducted for 16 North Korean married women defector alone over the age of 20 to under the age of 40 and, it has been below two years when they escaped from North Korea.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lassified as each 8 people. Furthermore,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total ten session once a week for 90 minutes at counseling center in H support center. SPSS 18.0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tudy and Mann-Whitney U Test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lcoxon Signed-Rank test paring up with non-parametric statistics Wilcoxon was used to make a statistics for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 text in depression and guilty feeling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a result to examine if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centrated on solution for North Korean married women defector could relax their depression and guilty feelings due to losing their family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rt text for experimental group. That is, the depression and guilty feeling in North Korean married women defector of experimental group were relieved, and moreover, they focused on healthy issue rather than the problem. Second,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centrated on sol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comfort for married women. When they performed pre-test and post test do draw House-Tree-Person, the figure of themselves was larger, weak and helpless pressure of drawing was stronger, general atmosphere of the painting seemed to be bright, and it was changed as a hopeful way. As the session were made steady progress, they not only approached material easily but also expressed actively with confidence for the work, which showed a bright and positive emotion to see their family again. Third,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centrated on solution impacted on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married women defector positively, as the program was performed,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y could understand and sympathize each other through the program, overcome their inner conflicts through art, help each other to feel they were experts with a notion they had resources and strengths to resolve problems. They also played a role to help each other through interaction and support each other, while had a relation between group members having similar conditions through group activity. The study applied group art therapy program concentrated on solution for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married women defector without family. The study had a meaning to support North Korean married women defector and not able to get a counseling due to time, economical and psychological burden, show a positive effect without long-term program of art therapy, and lastly, they could disclose they had enough ability and resources to resolve the problem with their strengths. Furthermore, it helped to decrease defense of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comfortably by focusing on 'healthy things instead of ill things' unlike existing way. The study is expected to offer basic information to help not only North Korean married women defector but also various ages and subjects for their adaptation in new life.

      • 강원도 평창군에 서식하는 산골조개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의 개체군 동태에 관한 연구

        조하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에 서식하는 산골조개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를 2006년 6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매월 1회 채집을 하여 전반적인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서식지 수온의 범위는 9.0-18.2℃ 였다. 각장-각고의 관계식은 SH=0.9122SL - 0.179 (R²=0.993, P<0.0001)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산골조개의 각장 범위는 0.87-4.34 mm 였다. 계절적 성장을 고려한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VBGF)을 이용하여 성장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L..=4.95 mm SL, K=0.77 yr^(-1), C=0.2, WP=0.4). FiSAT Ⅱ 프로그램에 의해 얻어진 가입유형은 두 개의 정규분포 그룹으로 나타났다. 성장 비교 지수 ()는 1.28로 계산되었다. 전체 사망계수 (Z)는 1.41 yr-1이다. 유패 방출 시기는 6-7월이며, 최대 수명이 3-4년으로, 처음 생식에 참여하는 나이는 1세로 추정되었다. Population dynamics of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were investigated on the Mitan-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Korea, from June 2006 to June 2007. Habitat temperatures were 9.0-18.2℃.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wa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H=0.9122SL - 0.179 (R2=0.993, P<0.0001). Shell length range was 0.87-4.34 mm. Growth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the seasonaliz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model (=4.95 mm SL, K=0.77 yr-1, C=0.2, WP=0.4). The structure of recruitment patterns obtained by the FiSAT Ⅱ program indicated two normally distributed group. The growth performance index () was calculated with 1.28. The total mortality rate (Z) calculated 1.41 yr-1. The birth period estimated from June to July. The maximum longevity calculated 3.849. The pre-reproduction age estimated 12 month.

      •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국어·수학과를 중심으로

        조하나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습성취동기 및 시간관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습성취동기 및 시간관리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셋째,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으로 2개 학급이며, 남학생 24명, 여학생 24명으로 총 48명이다. 측정도구는 학습성취동기 및 시간관리에 대한 설문지와 국어, 수학과 성취도평가이다. 두 집단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 4주간 시간관리기록장을 적용하였다. 실험처치가 끝난 후 두 집단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관찰 및 면담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관리기록장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습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시간관리기록장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시간관리와 국어과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집단의 남녀간 학습성취동기 및 시간관리, 국어과와 수학과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험이 진행될수록, 학부모의 관심이 클수록 학생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엿볼 수 있었으나 성별과 학업성취도와는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시간관리기록장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습성취동기와 수학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성취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시간관리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시간관리기록장을 적용할 때는 수학과에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time management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 effect of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s there an effect of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on the Korean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Is there an effect of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on th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 groups were consisted of 5th-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unsan city. The subjects were 48 students from two 5th-grade classes. They were made of 24 boys and 24 girls. As measuring tools,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test and time management test and Korean, mathematics test were used. After testing the preliminary examinations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former group was asked to participate in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for 4 weeks. Then two groups had tests. Add to this,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performed concurrently.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PSS and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Second,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a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didn't have an effect on the time management and the Korea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Between boys and girl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didn't have an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and Korea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ifth, As going on this study, when parents had deep concern about their children there was a great change of students' attitudes. But gender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did no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se result are as follows.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of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gram which can cultivate the time management ability has to be developed. And when applying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it is desirable to apply it to the mathematics first of all.

      •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조하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an effect of family str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ain and buffer effects by supporter of social support which was checked as the main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stress and family adaption based on a Double ABCX model of McCubbin, Cauble, and Patterson. Subjects of inquiry can be divided into total 3 as follows: The first subject of inquiry is 'does family str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a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when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The second subject of inquiry is 'does social support have a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when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The third subject of inquiry is 'does social support moderate an effect of family str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family adaptation when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Subjects of the study are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under 19. And they were collected by convenient and snowball sampling. Total 6 institutions helped this study, which are M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W Social Welfare Center, and S Welfare Center in Seoul, K Family Support Center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abilities in Gyeonggi-do, I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Incheon, H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Chungcheongbuk-do, J Social Welfare Center and J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Cheongcheongnam-do, and M Accreditation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yeongsangbuk-do.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2018 to April 25, 2018. Total 2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the 174 copies were collected. The 154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 reliability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to verify the subjects of inquir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2.0 was used. The major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which conduct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first subject of inquiry has found that the higher family stress level is while socio-demographic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s of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the lower family adaptation level i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econd subject of inquiry. The study tried to check whether family support (Spouses /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y sub-dimensions of social support, relative support, friend support, self-help group support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ate support·community (Welfare centers) support have a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or not through the analysis. The result has found that family and relative suppor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while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However, it has found that friend support, self-help group support, and state support·community support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That is, it has found that the higher family support and relative support are, the higher the family adaptation leve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a method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was done to verify the third subject of inquiry. The result has found that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relative support, friend support, self-help group support, and state support·community support were not significant while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the summary, meaning, and limits of the results in the study and proposals for practicing social welfare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McCubbin과 Cauble, Patterson의 Double ABCX 모델을 근거로 하여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지지제공자별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총 3개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이고, 두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사회적 지지는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며, 세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사회적 지지는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만 19세 미만의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 또는 모이며, 조사대상자는 편의표집 및 눈덩이표집으로 모집하였다. 본 연구에 도움을 준 기관은 총 6곳이었으며, 서울 소재 M장애애인종합복지관, W종합사회복지관, S복지관, 경기도 소재 K장애인가족지원센터, 인천 소재 I장애인종합복지관, 충북 소재 H장애인종합복지관, 충남 소재 J장애인가족지원센터, J장애인종합복지관, 경남 소재 M 발달장애인인정시설 등이다. 설문조사는 2018년 3월 21일부터 4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210부이고, 이 중 174부가 수거되었으며,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154부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발달장애아 부모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적응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 별 가족(배우자/비장애자녀 등)지지, 친척지지, 친구지지, 자조집단지지(장애자녀를 둔 부모들), 국가지원·지역사회(복지관/전문가)지지가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지지와 친척지지는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구지지, 자조집단지지, 국가지원·지역사회지지는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가족지지와 친척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발달장애아 가족의 가족적응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세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안한 방법에 기초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지지, 친척지지, 친구지지, 자조집단지지, 국가지원·지역사회지지 중 어느 것도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연구결과 요약과 연구결과 의의 그리고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제언,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단간 불안, 조망수용, 연령주의의 관계 : 긍정적 접촉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While going through the COVID-19 pandemic, the perception that the elderly are weak and vulnerable has been strengthened, and hate expressions targeting the elderly have increased. In Korea, as the transition to a super-aged society is accelerating,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and as a result,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may increas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ageism, a problematic social phenomenon in an aging society, appears, and to contribute to reducing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argeting the young generation, who can recognize intergenerational conflict the mo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taking, which understands others through the other person's position and point of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which is an uncomfortable emotion felt in interaction with outgroups, and ageism which means negative emotions, thoughts, prejudices,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that appear due to biological grounds of ag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o verify whether this relationship varies according to the quality level of contact experience with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6 young adults aged 19-29.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fterwa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confirmed using PROCESS Macro v4.1,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esting the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ving experience with the elderly. Intergroup anxiety and ageism were higher in females, and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as higher in males. In addition,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as better when there was a residence experience with the elderly, and the intergroup anxiety was higher when there was no living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gender and residence experience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ageism and intergroup anxiet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egism and perspective-taking,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Perspective-taking and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spective-taking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and ageism. In other words, feeling anxiety in interactions with the elderly directly increased ageism attitudes, which also indirectly affected lowered perspective-taking. Third, the quality of contact experience reg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group anxiety, perspective-taking, and ageism. That is, the higher the quality of experience in contact with the elderly, the higher the effect of perspective-taking in reducing ageism. This means that ageism can be lowered due to high perspective-taking when the young generation who have previously had high-quality experiences of contact with the elderly experience intergroup anxiety.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tergroup anxiety was a factor influencing ageism in the young gener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lowered perspective-taking capacity in this relationship acts as the underlying mechanism.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to lower ageism increased only when the contact experience known to lower prejudice was positive or intimat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for education and intervention to reduce prejudice and discriminator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which is a problem in an aging society.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노인은 연약하고, 취약하다는 인식이 강화되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혐오표현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노인인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세대간 갈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간 갈등을 가장 크게 인식할 수 있는 청년세대를 대상으로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사회현상인 연령주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이해하고, 노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 태도를 줄이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집단과의 상호작용 상황에서 느끼는 불편한 정서인 집단간 불안과 나이라는 생물학적인 근거를 이유로 나타나는 부정적인 감정, 생각, 편견, 차별적 행동을 의미하는 연령주의의 관계를, 다른 사람의 입장과 관점으로 타인을 이해하는 조망수용이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노인과의 접촉경험의 긍정적인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29세의 젊은 성인기 356명(M=만 24.64세, SD=3.15)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차이검정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PROCESS Macro v4.1을 활용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검정 결과, 성별, 노인과의 거주 경험의 유무에 따라 주요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는 여성이 더 높았고, 접촉경험의 긍정적 수준은 남성이 더 높았다. 또한, 노인과의 거주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접촉경험이 더 긍정적이었고, 없는 경우에는 집단간 불안이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별과 거주경험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집단간 불안은 연령주의와 정적으로, 조망수용, 긍정적 접촉경험과는 부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조망수용과 긍정적 접촉경험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집단간 불안과 연령주의의 관계에서 조망수용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노인과의 상호작용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은 연령주의적 태도를 직접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낮아진 조망수용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간 불안, 조망수용, 연령주의의 관계를 긍정적 접촉경험이 조절하였다. 즉, 노인과 접촉한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조망수용이 연령주의를 낮추는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는 이전에 노인과 접촉한 경험이 긍정적이었던 청년세대는 집단간 불안을 느꼈을 때 높은 조망수용으로 인해 연령주의가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세대에서 나타나는 연령주의에 집단간 불안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 관계에서 낮아진 조망수용 능력이 기저의 기제로 작용하는 것을 밝혔다. 또한, 편견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진 접촉경험이 긍정적이거나 친밀했을 때에만 조망수용 능력이 연령주의를 낮추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고령화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 태도를 낮출 수 있는 교육 및 개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비전 및 레이더 센서 융합 기반 전방 차량 인식 성능 평가 지수 연구

        조하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 ADAS)이 기본적으로 장착된 차량의 출시가 늘고 있다.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은 운전자가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긴급하게 정차를 시켜주거나, 고속도로 주행과 같이 반복적인 환경에서 운전자의 피로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주변 환경을 보다 정확하게 인지하는 환경 인지 센서의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용되고 있는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위한 환경 인지 센서들은 자체 특성으로 인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개 이상의 환경 인지 센서들을 조합하여 각 센서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는 센서 융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복잡한 도로에서나 악천후의 주행상황에서도 센서 융합 기술이 강건할 수 있도록, 이를 평가하는 방법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센서 융합 성능 평가에 자주 사용되는 Root Mean Squared Error(RMSE) 뿐만 아니라 Kalman Filter의 자체 평가를 수행하는 지수 Average Normalized Estimation Error Squared(ANEES), Non-Credibility Index(NCI)를 소개함으로써 센서 융합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기존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RMSE는 실제 Object와 센서 융합으로 추정한 Object의 종/횡방향 위치에 대한 오차를 절대적으로 평가가 가능하다. 또한 ANEES와 NCI는 Kalman Filter를 적용한 센서 융합 알고리즘에서 산출되는 오차공분산을 이용하여 트랙 추정기의 신뢰도를 측정한다. ANEES는 실제 상태 변수와 추정 상태변수 간 상대적 비교가 가능하며, NCI는 추정한 오차공분산과 실제 Mean Squared Error(MSE) 공분산 사이의 관계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RMSE를 이용하면 실제 Object와 추정 Object간 매칭이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ANEES와 NCI를 이용하면 트랙 추정기의 편향을 확인하여 적절하게 설계되었는지 판단이 가능하다. 센서 융합 성능 평가를 위하여 Euro NCAP Car-to-Car AEB Test Protocol을 모사한 시험을 하였으며, 시험으로 얻어진 레이더와 비전의 센싱 데이터는 2가지 알고리즘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한 알고리즘은 Centralized Kalman Filter를 포함한 Global Nearest Neighbor(GNN)과 Probability Data Association Filter(PDAF)이다. 위 알고리즘을 통해 센서 융합된 트랙은 Reference 트랙(RT3000 데이터)과 앞서 설명한 3가지 평가 지수로 평가 되었다.

      • 정부 연구개발보조금과 민간 연구개발비 자산화에 대한 연구

        조하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39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연구개발보조금이 민간 연구개발비의 회계처리 방식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상장된 1,053개의 바이오 제약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보조금 수혜 여부가 기업 연구개발비 자산화 여부와 자산화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정부보조금 수혜 여부에 따른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방식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불균형(unbalanced) 동태적 패널 데이터(dynamic panel data)를 사용하여 통상최소자승법(OLS), 고정효과(Fixed Effect), 차분적적률법(Difference GMM) 및 시스템적률법(System GMM)을 통해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 추정 방식에 따라 결과에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나 전반적으로 정부보조금은 기업 연구개발비 자산화에 양(+)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정부보조금을 수혜한 기업과 비수혜 기업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보조금을 수혜한 기업들보다 수혜하지 않은 기업들에서 연구개발비 자산화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부(-)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 정부보조금이 기업의 연구개발비 자산화를 유도함과 동시에 이로 인한 기업의 성과 하락을 보완해주는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연구개발보조금이 민간 연구개발비의 회계처리 방식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상장된 1,053개의 바이오 제약 기업들을 대상으로 정부보조금 수혜 여부가 기업 연구개발비 자산화 여부와 자산화 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정부보조금 수혜 여부에 따른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방식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불균형(unbalanced) 동태적 패널 데이터(dynamic panel data)를 사용하여 통상최소자승법(OLS), 고정효과(Fixed Effect), 차분적적률법(Difference GMM) 및 시스템적률법(System GMM)을 통해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각 추정 방식에 따라 결과에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나 전반적으로 정부보조금은 기업 연구개발비 자산화에 대해 유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에 연구개발비를 자산화한 경험이 있는 기업들의 경우 정부보조금을 수혜했을 때 다시 연구개발비를 자산화 할 확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부보조금의 경우 기업가치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지는 않지만 기업의 연구개발비 자산화는 기업가치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R. Strauss의 가곡 『M?dchenblumen(소녀의 꽃)』Op.22 에 관한 연구

        조하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는 독일의 후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200여곡이 되는 가곡을 작곡하였다. 그의 가곡은 후기 낭만주의의 예술가곡에서 나타나는 경향들을 잘 보여주며 서정적인 선율, 반음계적 화성, 화려한 색채의 반주부 등 전체적으로 풍부한 짜임새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의 주제인『M?dchenblumen(소녀의 꽃)』Op.22은 시인 펠릭스 단(Felix Dahn, 1834~1912)의 시를 가지고 곡을 붙인 작품으로 슈트라우스의 초기 가곡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Kornblumen(수레국화), Mohnblumen(양귀비), Epheu(담쟁이덩쿨), Wasserrose(수련) 총 4곡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 작품은 네 가지 꽃의 사실적인 모습과 꽃을 의인화 시킨 소녀의 모습을 멜로디, 불협화음, 동명이음을 이용한 전조, 시의 운율에 따른 박자변화, 급격한 음의 도약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시, 반주, 화성, 선율의 분석을 통하여 『M?dchenblumen (소녀의꽃)』Op .22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 시와 음악의 완벽한 조화를 위해 사용된 표현기법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