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잔운동과 이슬람상황화 ―위클리프(Wycliffe) 성경번역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정흥호 ( Hung Ho Chong ),소윤정 ( Youn Jung S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5 복음과 선교 Vol.31 No.-

        한국로잔연구 교수회는 2013년과 2014년에 걸쳐 연구, 발표한 논문들을 이듬해인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로잔운동과 선교』, 『로잔운동과 선교신학』으로 출판한 바 있다. 2년 동안 발간된 두 권의 책에서 각각 소윤정은 “로잔운동과 현대 이슬람선교”라는 제목으로 이슬람 선교를 위한 전략적 측면에서 로잔운동과 이슬람 상황화 이슈를 다루었으며 정흥호는 “로잔운동과 상황화”라는 제목으로 로잔운동의 상황화 논의에 대하여 각시대 문건들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로잔운동의 상황화 신학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이에 2015년 로잔운동과 상황화신학에 관하여 연구자는 앞서서 논의되고 정리된 문건들을 토대로 2010년 이후 발간된 LOP(Lausanne Occasional Paper) 문건들과 LGA(Lausanne Global Analysis) 문건들을 살펴보고 특별히 2014년 7월 발간된 Lausanne Global Analysis, “Delivering Good News to Hindus”를 토대로 이를 이슬람권 선교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2012년 튀니지 성경번역 사역 중 제기된 위클리프(Wycliffe)의 아랍어판 성경번역 이슈에 대하여 WEA의 연구보고서를 근거로 고찰하였다. 2012년 튀니지 성경번역 중에 발생한 위클리프의 문제는 복음을 전하고 소통함에 있어서 혼합주의에 빠질 수 있는 위험성과 무슬림 선교를 위한 소통방법으로 복음을 전함에 있어서 이슬람의 신관과 문화적 배경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나머지 수신자 중심으로 단어를 번역한 입장이 대립한 것이다. WEA는 번역문제로 인해 내부적으로 갈등하고 있는 위클리프를 격려하고 문화적인 문제에 있어서 적합한 상황화를 도출하여 하나님의 진리가 훼손되지 않고 온전한 복음이 전달될 수 있는 성경번역에 계속적으로 힘써 주기를 독려하였다. 튀니지의 이슬람상황에서 벌어진 “하나님 아버지”와 “하나님의 아들”, 즉,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신적 관계(Divine Relation)는 성경번역에서 가장 우선시되어야만 하는 요소임에 틀림없다. 이슬람의 문화와 이슬람교의 신관을 전제로 한 무슬림들에게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유일신 관점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관계를 아버지와 아들로, 가족관계로 표현한 것이 부적절하고 복음전달에 장애가 된다고 주장하는 성경번역팀에게 WEA는 양보되어서는 안 되는 상황화의 원칙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2004년 파타야 포럼과 2010년 제3차 로잔 케이프타운 대회에서도 계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부분이다. 무엇보다도 1974년 제1차 스위스로잔대회가 있기까지 종교다원주의와 혼합주의의 만연으로 성경의 권위가 훼손되고 하나님의 말씀이 왜곡되고 있던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의 권위를 회복하고 온전한 복음을 증거하는 것을 강조한 점은, 1974년 제1차 대회 이후 2015년 현재까지 로잔에서 발표된 모든 문서에서도 동일하 게 드러나고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WEA의 지침은 로잔운동의 관점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로잔운동과 상황화신학 이슈에 대하여 로잔관련 문건들을 연구하고 특별히 이슬람선교를 위한 상황화 이슈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복음주의를 대변하는 로잔운동은 끊임없이 온전한 복음을 온 세계에 증거하기 위하여 논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위클리프 성경번역 이슈에 대해서도 이미 WEA가 보고서와 제안서를 발표한 바와 같이 로잔운동의 차원에서도 문제를 제기함이 마땅할 것이다. 이는 이슬람 상황화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온전한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을 포기해서는 안되기 때문이며, 이는 문화적 차이와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하여 전달방법에 대한 기능적 대처가 필요한 문제이다. 수신자의 문화를 필요 이상으로 고려한 나머지 기독교 계시의 핵심인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번역하기 주저한다면 이는 상황화로 인한 혼합주의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위클리프 성경번역 이슈에 관하여 로잔도 로잔신학에 근거한 심도 깊은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21세기는 그 어느 때보다도 지혜로운 비판적 상황화 전략이 복음선교에 절실하다. Korea Lausanne Research Professors’ Association published studies conducted in 2013 and 2014 as the books, The Lausanne Movement and Mission and The Lausanne Movement and Mission Theology, respectively in 2014 and 2015. In the two books published for two years, So, Youn Jung dealt with the issue of Lausanne movements and Islamic contextualization from a strategic aspect for the evangelization of Islam in the chapter titled, “The Lausanne Movements and Mission Work in Modern Islam,” and Chong, Hung Ho summarized the contextualization theology of Lausanne movement focusing on dealing with documents in each era in the chapter titled, “A Study on The Lausanne Movements and Contextualization,” concerning discussions about the contextualization of Lausanne movement. Thus, regarding the 2015 Lausanne movement and contextualization theology, the researcher looked into documents such as Lausanne Occasional Paper (LOP) and Lausanne Global Analysis (LGA) published after 2010 based on the documents summarized and especially, discussed how to apply this to the situation of the mission work, based on “Delivering Good News to Hindus” in Lausanne Global Analysis, published in July 2014 and discussed the issue of the Wycliffe’s Bible translation into Arabic raised during the ministry of the Bible translation in Tunisia in 2012, based on a Research Report of WEA. Wycliffe’s problems that occurred during the 2012 Bible translation in Tunisia, where the risk of falling into syncretism in the delivery and communication of the gospel and as a way of communic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Muslims in spreading the gospel as a method of delivery, the conflict of the position that translated words for the recipient because of considering the Islamic idea of God and the cultural background preferentially. WEA encouraged Wycliffe in an internal conflict due to the problem of translation, so that it could draw appropriate contextualization in cultural problems and continue to make efforts to translate the Bible so as to spread the whole gospel while God’s Truth would not be damaged. In the situation of Islam in Tunisia, “Father God” and “the Son of God,” in other words, the divine relation of Father and Son is definitely an element that should be prioritized in Bible translation. To the Bible Translation Team that argues that exp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Jesus Christ as that between Father and Son, a family from monotheist perspective is improper and becomes an obstacle to evangelization in order to spread the gospel to the Muslims presupposing Islamic culture and Islamic idea of God, WEA emphasizes the principle of contextualization which should not be conceded. This is a part that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in Pattaya Forum in 2004 and the third Lausanne Congress in Cape Town in 2010. Most of all, in the situations where the Bible’s authority had been damaged and the Word of God was distorted due to the diffusion of religious pluralism and syncretism till the first Lausanne Congress in Switzerland in 1974, the emphasis on the restoration of the Word of God, the Bible’s authority and the propagation of the whole gospel has been revealed in the same way in all the documents published by Lausanne since the first Congress in 1974 till the present in 2015. Thus, the guidelines of WEA like this agree with the perspective of the Lausanne movement. As a result of an inquiry into Lausanne-related documents regarding the issue of Lausanne movement and contextualization theology and, especially, the issue of contextualization for the evangelization of Islam, it is noted that the Lausanne movement that represents evangelism has discussions to constantly preach the whole gospel all over the world. In addition, for the issue of Wycliffe’s Bible translation, as WEA already published a report and proposal, it should be taken for granted that a question is brought forth on a dimension of the Lausanne movement. This is because the Divinity of Jesus Christ should not be given up, in order to spread the whole gospel in Islamic contextualization, and this is a problem that needs functional dealing with the method of delivery to calm cultural differences and misunderstandings. Hesitation to translate Jesus Chris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revelation as the Son of God, because of consideration of the recipient’s culture more than necessary, it would be difficult to avoid syncretism because of contextualization. Therefore, concerning the issue of Wycliffe’s bible translation, Lausanne expects that in-depth discussions based on the Lausanne theology will be made. In the 21st century, wise critical contextualization strategy is urgently necessary for the mission of the gospel more than ever.

      • KCI등재

        무슬림 선교전략 : “30일 역라마단 기도운동”

        정흥호 ( Chong Hung Ho ),노규석 ( Rho Kyu Su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8 복음과 선교 Vol.43 No.-

        전세계 13억의 무슬림들은 매년 30일 동안 라마단 단식에 참여한다. 최근 중동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슬람 종교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높아지고는 있지만, 무슬림들의 최대 종교 행사인 라마단 단식에 대한 연구자료는 국내에서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1992년부터 세계 복음주의 교회들과 선교단체들은, 라마단 단식 기간 동안 이슬람 세계를 이해하고 무슬림들을 위한 선교적 중보 기도운동의 일환으로, “30일 역라마단 기도운동”을 진행해오고 있다. 오늘날 이 중보기도 운동에 전세계 30개국 3,000만명 이상의 기독교인들이 동참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30여개국 3,000만명의 기독교인들이 참여하는 “30일 역라마단 기도운동”은 전세계적인 기도운동임에도 불구하고, 26년이라는 짧은 역사로 인해 아직까지 학문적 차원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국내 논문과 학술지에 이와 관련된 연구가 없다는 사실이 이러한 본 연구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의 라마단 단식과 기독교에서 실시하는 “30일 역라마단 기도운동”을 연구하면서, 이 두 종교의 기도 운동 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이슬람의 라마단에 이루어지는 종교적 행사들과 라마단 단식과 기도의 특징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어서, 기독교의 “30일 역라마단 기도운동”을 성경적 관점, 영적전쟁의 관점, 선교 전략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또한 지난 26년간의 이슬람 세계의 변화를 고찰해보면서, “30일 역라마단 기도운동”이 이슬람 세계의 영적 변화를 일으켰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중보 기도운동이 기독교인들로 하여금 이슬람 세계를 이해하고, 무슬림들을 위해 중보기도하도록 만든다는 점에서 무슬림들을 향한 선교 전략의 하나로 효과적인지 고찰해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이슬람의 라마단과 무슬림들을 이해하고 이들에게 복음을 전하려는 기독교인들의 “30일 역라마단 기도운동”의 선교적 중보기도 운동이 학문적으로 연구되는데 작은 도움이 되길 수 있길 희망한다. 1.3 billion Muslims around the world participate in Ramadan fasting for 30 days every year. As the interest about the Middle East has increased recently, understanding of Islamic religion and culture has increased, but research on the Ramadan fasting, the largest religious event of Muslims, is hardly done in Korea. Since 1992, evangelical churches around the world and mission organizations have been carrying out the “30 days of Prayer for the Muslim during Ramadan” as part of a missional intercessory prayer movement for Muslims and the effort to understand the Islamic world during Ramadan fasting. Today, more than 30 million Christians from 30 countries participate in this intercessory prayer movement.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30 days of Prayer for the Muslim during Ramadan” is a worldwide prayer movement, the result of its 26 years history has not been academically studied yet. The fact that there has never been a single paper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shows the need for such research.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d to understand the prayer movements of these two religions, Islam and Christianity by studying not only the Islam Ramadan fasting and the “30 days of Prayer for the Muslim during Ramadan” by Christian community but also the religious events in Ramadan of Islam and the features of Ramadan fasting and prayer. In addition, the author studied “30 days of Prayer for the Muslim during Ramadan”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viewpoint, spiritual warfare, and missional strategy. Also, while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Muslim world in the past 26 years, whether the “30 days of Prayer for the Muslim during Ramadan” has caused any spiritual changes in the Islamic world. Lastly it is studied whether this intercessory prayer movement has been effective as one of the mission strategies for Muslims in which Christians understand the Muslim world better and empower the intercession for Muslims. Through this study, Christians need to understand about the Ramadan as well as the movement of the “30 days of Prayer for the Muslim during Ramadan”

      • KCI등재

        성경의 리더십(모세, 느헤미야, 예수 그리스도)을 통한 선교적 리더십에 관한 고찰

        정흥호 ( Hung Ho Chong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ACTS 신학저널 Vol.18 No.-

        Mission is the task of the Great Commission. For the purpose, the role of Christian leaders is not to drive but to lead the people of God. Missionary leadership must be derived from biblical leadership.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what kind of leadership is needed for mission field as well as church ministry through the leadership in the Bible. Leadership should be attained through the Scripture and be learned to discern the will of God instead of trying to receive it through human thinking. Even if there are many role models as a leader in the Bible, the author wants to focus on Moses, Nehemiah and Jesus. That is why they have shown us a radical paradigm shift on leadership. Missionary role as a leader must be on human relationships as the heart of the missionary task. In order to persuade people, they must win people, and to that end leaders must build relationships based on love and trust: “just as 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Matt. 20:28). In conclusion, good leaders are not loners, but mix well with people. Leaders must be friendly and likable. They need to relate well with many different types of people, being inclusive in thought and action. Good leaders are not celebrities, but celebrators. Good leaders are not subversive, but submissive. Good leaders so notdo it all themselves, but involve others. Good leaders do not seek rewards, for they are satisfied with a job well done. They are customized by the Creator for ministry to their generation. They are fashioned through the faithful servant-leader``s emulation of the Son.

      • KCI등재

        방효원(方孝元)의 중국(中國) 기독교(基督敎) 본색화(本色化) 이해(理解)와 실천(實踐)

        정흥호 ( Chong Hung Ho ),김교철 ( Kim Kyo Chul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6 No.-

        방효원(1886-1953)은 조선 평북에서 태어났으며 부모님의 영향 아래 복음을 받아들여 기독교인이 되었다. 소년 시기에 한학을 공부했으며 평북 선천에서 신성학교를 졸업한 후에 평양에 위치한 조선예수교장로회신학교에서 공부했다. 1917년에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 선교사로 중국 산동에 파견되어 선교를 시작했다. 방효원 선교사 부부는 중국어를 공부하며 선교를 준비했다. 1922년에 중국 상해에서 개최된 중국 기독교 3개 대회에 참석했다. 1922년 중국 기독교 전국대회의 주제는 중국 교회와 교회의 본색화였다. 방효원은 1917년부터 1935년까지 산동에서 자립·자양·자전하는 중국 교회 건설을 위해 노력했고 조선 선교는 중화의 선교방침을 개혁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그러나 그의 중국 교회의 본색화 이해와 실천에는 한계가 있었고 성공적이라고 평가하기는 어렵 다. 방효원은 조선 교회 방식으로 선교했으며 중국 전도인들의 월봉을 지원했고 각종 교회 조직 방식은 조선식이었다. 방효원은 자립정신을 강조했으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현지 교회의 자립과 본색화는 어려움을 경험해야 했다. 방효원의 중국 산동 선교방식은 예유사와 유사한데 이 역시 중 국 교회의 자립·자양·자전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사실상 조선선교 방식은 바로 예유사가 전해 준 방식이다. 예를 들면, 예유사는 중국인 전도인에게 경비를 지불하는 것을 반대했으며 중국 교회의 경제독립을 견지했다. 한편, 방효원과 조선선교회는 18명의 중국인 조사를 고용하여 비용을 지불하였다. 방효원과 조선선교회의 산동 선교 공헌은 첫째로 중국 교회의 자립정신을 키운 것이고, 둘째로 래양화동 성경학교를 설립하여 교회 일꾼을 양성한 것이며, 마지 막으로 래양노회를 창설한 것이다. 하지만 중국 교회의 자립과 본색화 방면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Bang hyowon (1886-1953) was born in Pyonyangbukdo, North Korea and accepted the Gospel under the influence of his parents and became a Christian. After studying Korean Studies during his childhood, he graduated from Shinsung School in Pyongbuk, and studied at the Korean Christian Presbyterian Seminary in Pyongyang. In 1917, he was dispatched to Shandong, China as a missionary of Chosun Jesus Presbyterian Church. Bang missionary couple prepared for the Chinese mission while they studied the Chinese language. He participated in three Chinese Christian conferences held in Shanghai in 1922. At that time, the theme of the National Christian Church in China was the Indigenization of Church and the Chinese Churches. It wa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Bang hyowon made an effort to establish the Chinese churches of Self-supporting, Self-governing and Self-propagating as well as to reform the mission policy of the Chinese churches through the Korean mission in Shandong from 1917 to 1935. However, he had experienced many difficulties to do indigeniza tion and three self-formula even if he emphasized on and on the spirit of independence of native churches. Due to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hi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indigenization of the Chinese churches were not successful. In fact, his missionary method was similar to John Nevius`. Nevius insisted strongly on `three-self formula` as well. Meanwhile, Nevius opposed to pay wages to Chinese evangelists while missionary Bang and Chosun Missionary Agency paid wages to 18 Chinese assistants to be hired. The contribution of Bang hyowon and Chosun Missionary Agency for Shandong mission, the first, is to cultivate the self-reliance spirit of Chinese church. The second is to set up Lai Yang whadong School in order to train church workers. The third is to establish Lai Yang Presbytery. However, it needs to research more for the independence and indigenization of the Chinese churche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과 기독교의 중심 진리

        정흥호 ( Hung Ho Cho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0 생명과 말씀 Vol.1 No.-

        신학은 신앙이다. 올바론 신학을 갖지 못하면 그 신앙은 잘못될 수밖에 없으며 잘못된 신앙은 잘못된 신학으로부터 오게 된다. 신학과 신앙을 서로 분리된 것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궤변에 불과하다. 신학이든 신앙이든 기독교의 진리는 근본적으로 생명을 살리는 것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며 이 들은 불가분리(不可分離)의 관계이다. 그러나 서구의 지유주의 신학의 방법론은 신학과 신앙이 분려된 채 이성주의로부터 출발하여 하나님에 대한 바른 신앙에서 떠나 기독교를 단지 "신학적 종교"로 전락시켜버렸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장종현 박사의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전제도 이런 맥락에서 시작하는 것이며 신학 자체가 체험적 신앙이 되어야 한 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성경은 복음을 기록한 목적에 대하여 분명히 하고 있다: "오직 이것을 기록함은 너희로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또 너희로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생명을 얻게 하려 함이니라"(요 20:31). 믿음은 자신이 하나님 앞에서 죄인이라는 것을 자각하는데서 부터 온다. 복음의 핵심인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믿는 것은 "또 그의 이름으로 죄 사함을 얻게 하는 회개"(녹 24:47)가 먼저 있어야함을 분명히 하고 있다. 복음은 가장 먼저 모든 인류에게 하나님께 대하여 회개하라고 촉구하고 있으며 이는 곧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는 죄 사함의 은혜가 임하게 된다는 좋은 소식을 전하고 있다. 인류의 죄는 종족, 나이, 직업, 성별을 불문하고 모든 사람과 사회와 조직 속에 퍼져있다. 이 죄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면 결단코 인류의 평화와 정의를 실현할 수 없다. 복음은 본질적으로 죄인들이 하나님 앞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죄 사함을 얻게 되고 죄인이 변화되어 전국 백성이 된다는 단순한 진리이며 기쁜 소식인 것이다. 궁극적으로 죄로부터 자유함을 얻게 되는 것이다(요 8:32). 신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창조주되신 하나님을 연구하고 어떻게 죄인 된 인간을 구원하시는 가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그 하나님은 영이시기 때문에 인간의 학문적 접근만으로 알 길이 없다.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선학"도 "신학은 인간의 이성과 경험의 한계를 넘어 하나님께서 우리의 심령 안에 역사하셔서 우리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시는 구원의 사역이 그 중심"을 이룬다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가장 우선적으로 신학은 죽어가는 영혼에 대한 하나님의 구원의 열망(딤전 2:4)과 그 심각성을 인식하는데서 출발한다. 다시 말하자면,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의 지혜와 지식과 경험으로만 알 수 없고 영이신 하나님의 구속사를 알기 위해서 성령님의 인도함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만일 성령님의 인도함을 받지 못하는 신학이라면 결국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속역사를 이해할 수 없고 그 구원의 역사를 올바로 드러내지 못하는 잘못된 길로 나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하나님은 "피조된 세계를 주관하시며 자신의 목적에 따라 세계 안에서 행동하시는 주권적인 조물주요 주님이시라고 전제한다. 예언, 기적, 종말론, 그리고 성육신에 대한 성경적 개념은 이러한 확신이 실재적임을 보여 준다." "개혁주의생명선학"은 말 그대로 생명을 살리는 신학이다. 하나님의 진리가 상대화되어가는 이 시대에 생명신학은 분명하게 성경이 하나님의 말씀임을 믿고 이에 근거하여 생명을 선포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예수님을 이 땅에 보내주셔서 그 보혈로 말미암아 죄인틀이 구속받을 수 있는 길을 내어주었으며 죄사함의 기쁜 소식을 믿음으로 말미암아 죄로부터 우리를 구원해 주신다는 이 핵심진리는 기독교의 분명한 중심진리이며 이것이 곧 생명을 살리는 신학의 기호가 되는 것이다. Theology is faith itself. If you do not have the correct theology, the faith goes wrong way. For a wrong faith is bound to do a wrong theology. Secularization and other religions have been emerged very strongly in modern society as well. Secularization is the result of the Enlightenment and modern technology. It has shaken traditional theology with increases in urbanization and individualism. The world`s population in cities are growing rapidly. In religions, Islam has spread the sphere of its influence to western countries in particular. The New Age movement impacted young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Reformed Life Theology" is literally a theology for saving lives. In post modernity, the truth of God has been relativised according to cultural and religious relativism. "Reformed Life Theology". however, is proclaiming what the true life is, based on that the Bible is the Word of God. God sent His only Son Jesus to the world in order to redeem sinners. He died on the Cross, shedding blood for saving them. He became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to be able to come to the Father God. He gave the Good News of forgiveness of sins through faith in God as well as deliverance from sins in His name.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central core of Christian truth which is "a living faith." First, we can say that "Reformed Life Theology" is a theology not only to start from Jesus but also to finish in Jesus. The reason is that Jesus proclaimed for himself, "I am the bread of life"(Jn. 6:35) and "I am the resurrection and the life"(Jn. 11:25). Second, this theology must be a theology of God`s Word. Jesus himself is the Word of God. The eternal life is in only Jesus: "Salvation is found in no one else, for there is no other name under heaven given to men be which we must be saved" (Acts 4:12). Third, this theology is a theology of faith thoroughly. Without faith it is impossible to please God(Heb. 11:6). People must have faith in order to have eternal life: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Jn. 3:16). Fourth, this theology must be a theology of mission to reveal the true light to the world. The purpose of theological education is to help Christians be the disciples of Jesus Christ and to foster an evangelistic and missionary emphasis with a global and multi-cultural perspective in order to equip men and women to proclaim the Gospel of Jesus Christ at borne and abroad, what is called, "the Great Commission": "Therefore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 and teaching them to obey everything I have commanded you" (Matt. 28:19). "Reformed Life Theology" is on the same line with "Let God truly be God" of Martin Luther, "Coram Deo" of John Calvin, "a living faith" of John Wesley and "desire for holiness" of Jonathan Edward. In this age such a kind of post modernity, this theology should be the "Theological Synopsis" to which evangelicals must listen carefully.

      • KCI등재

        중국 조상숭배 문화에 대한 근대 서구 선교사의 커뮤니케이션과 대응

        정흥호 ( Hung Ho Chong ),김교철 ( Kyo Chul Kim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4 No.-

        아시아권에서 선교를 할 때 조상숭배의 문제는 피할 수 없는 주제이다. 본 연구는 아시아권 중에서 특히 중국을 중심으로 중국의 조상숭배문화의 연구를 통해 현지인들과 선교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저자는 조상숭배에 대해 선교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접근방식이 선교사들의 신학적 입장에 따라 다른 관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 조상숭배의 문제는 유교, 토착종교, 심지어 이단을 가리지 않고 등장하게 되는 유교권 문화에서 나타나는 것이며 서구 선교사들 사이에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서구문화에서 자란 서구 선교사들이 중국 현지인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만일 선교사가 현지 문화에 대해 전적으로 거부하거나 아니면 전적으로 받아들이려 한다면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있어서 혼합주의나 왜곡된 기독교로 보여질 위험성이 있다. 선교학자 폴 히버트에 따르면, 조상숭배의 문제에 있어서 현지인들이 언어의 함축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숭배”라는 단어 보다는 “공경”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그 후에 외부인의 관점에서 그 의례가 “숭배”인지 아니면 존경의 표시인지를 평가해야한다는 것이다. 우선, 효과적인 기독교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 저자는 한국이나 중국 기독교인들 모두 “가계의 전통” 가운데 조상들에 대한 존중을 보존하려는 계획 같은 것을 먼저 세워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둘째, 특히 조상들 가운데 믿는 자들이 있었다면 그 믿음의 조상들의 사진이나 유품들은 다음 세대의 신앙교육을 위한 자료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잘 보존해야 한다. 이것은 효도 차원에서 존경으로써 하나의 새로운 “기독교적인 조상의 문화”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선교사는 “조상에 대한 존경”의 관점에서 그런 것들을 활용하면서 현지인들과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루어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purposed to research the strategy of missionary communication through the study on the culture of Chinese ancestor worship. The authors can find out different views on understanding missionary communication methods according to one’s own theological positions. There have been a lot of debates among western missionaries on ancestor worship in terms of Confucian culture regardless Confucianism, indigeneous religions and even cults. It was not easy to communicate the natives with western missionaries grown up in the western culture. If a missionary has an attitude to reject the native cultures or to accept all of them, there is dangerous to be exposed to syncretism and distorted Christianity o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ancestor worship, according to Paul Hiebert, it is important to use a term “veneration” rather than “worship” until the natives can understand the connotation of the languages. Later outsiders will evaluate whether the ritual is “worship” or the expression of respect. First of all, for the effective Christian communication, the authors suggest that both Korean and Chinese Christians should set up a kind of plan to preserve the veneration of ancestor in a “family tradition.” Second, in particular, photos and relics of ancestors who have faith must be preserved in order to use them as the resources of religious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It would be a new “Christian’s ancestor culture” in terms of filial respect.

      • KCI등재

        로잔운동과 상황화에 관한 논의에 대한 연구

        정흥호 ( Hung Ho Cho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4 복음과 선교 Vol.26 No.-

        Even if the term “contextualization” came from the TEF of WCC, the evangelicals are interested with the trend of contextualization, particularly in Lausanne Movement. From 17-21 June 1997, fifty two evangelical missiologists, theologians and mission practitioners from twenty countries met in Haslev, Denmark to consider the issue, “Gospel Contextualisation Revisited.”This meeting was sponsored by the Theology and Strategy Working Group of the Lausanne Committee for World Evangelization and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Islam and Christianity. It began by looking back to the 1978 Lausanne meeting on Gospel and Culture which was held in Willowbank. The resulting Lausanne Occasional Paper, “The Willowbank Report - Gospel and Culture,” brought the challenge to accept contextualization and to become more adept in the use of its principles. We are grateful for this pioneering work and hope that our work adds value to this prior work. The purpose of our meeting was to review nineteen years experience of thought and practise and to identify issues that have emerges during this time. According to Patrick Sookhdeo, Contextualization may be understood as the expression of the gospel through appropriate forms within the culture of its recipients. While not an easy process, contextualization endeavours to distinguish between the content of the gospel and the forms which express it. The gospel is God-given and so is of universal application, while culture is relative to time and place. The process of contextualisation recognizes that all cultures contain elements which oppose or compromise the gospel. Contextualization is therefore committed to the gospel controlling its forms of expression. Syncretism reverses this priority. Patrick insists that J.H. Bavinck was right in urging that "Christians are to take legitimate possession of customs and cultures, give them new meaning and new contents, and enlist them in the service of Christ". But as he pointed out, "it is never easy to decide whether a custom can be retained or should be rejected" or, if I may add a further point, should be adapted.The assertion that every culture has something of God, something of the devil and something human raises serious implications for contextualization. The retention of cultural identity in relation both to conversion and to church life is a taxing issue and one which creates polarization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our stance on this issue is based not only on missiological principles but also on our family background, culture, theological and church tradition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Contextualization and Spiritual Power, Charles Kraft was in debate as questioning such as where are the discussions concerning biblically legitimate and culturally appropriate approaches to such areas of Christian experience as warfare prayer, deliverance from demons, healing, blessing and cursing, dedications, visions, dreams, concepts of the territoriality of spirits, angels, demons and the like? Shouldn`t we be discussing the contextualizing of spiritual warfare? What are the scriptural principles applicable to every cultural situation and what are the cultural variables in this important area? Something as important to nonwestern and, increasingly, to western Christians needs to be discussed and dealt with. With the critical issue on contextualization for muslims, Cody Lorance, the Global Diasporas Network of the Lausanne Movement, criticized that the C1-6 scale is fatally flawed in this regard as it seems to suggest that more and more contextualization leads inevitably to syncretism and secret believers. A new contextualization scale should be created that recognizes Christlikeness as the ultimate goal of all contextualization. On one extreme are those who simply are not pursuing Christ in this regard. On the other is full-blown, word-made-flesh incarnational ministry. In conclusion, Christian faith is not separated from cultural/historical facts. The faith must include realistic needs from one`s own culture. It comes from a shift toward integrated thinking. A contextualizer must try to find out a stimulus to give a challenge to the worldview of unbelievers, minimizing the internal conflicts among the Christian community through understanding socio-cultural-historical factors. Positively it needs to have a paradigm shift to be able to use the various kinds of cultures as the means to communicate the Gospel.

      • KCI등재

        “지역의 영(territorial spirits)”에 대한 선교 신학적 비평

        정흥호 ( Chong Hung Ho ),윤기철 ( Yoon Ki Chul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8 복음과 선교 Vol.42 No.-

        단기선교 기간 중에 진행되는 주요 프로그램은 현장 선교사의 사역 현장을 방문하여서 현지 교회에 필요한 것을 도와주는 방식이다. 또한, 선교지의 문화유적지나 종교 시설물을 방문한다. 방문을 통해서 선교문화인류학적인 이해를 가지며 "땅밟기 기도" 라는 시간을 통해서 선교 현장을 위한 기도를 한다. 여기서 "땅밟기 기도"의 전제가 단순하게 그 땅에 사는 민족을 위한 기도의 차원을 넘어서 지역 영과 대결을 전제로 한 것일 수 있다. 이는 특정 지역을 사로잡은 특정한 영이 있고, 기도를 통해서 그 영의 활동을 결박해야 한다는 주장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특히, 선교방문지가 직접적인 선교방식이 금지되거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지역일 경우에는 땅 밟기를 통한 기도사역이 가장 적합한 선교 전략이 된다. 이를 전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주변의 타종교 시설물이나 점집, 유흥가 등의 위치를 그려 놓은 영적 지도이다. 지도를 바탕으로 특별히 기도를 집중해야 할 곳을 기도하면서 지역을 영적으로 결박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영적 전쟁을 수행하는 것이다. 비록 직접적인 선교의 한계를 극복하는 전략으로서 성령의 능력과 기도를 통한 영적 전쟁이라는 강점도 있지만 여기에는 선교적 혼합주의라는 문제와 선교를 능력대결로만 볼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지역의 영을 주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이며, 지역의 영에 대한 성경적 타당성이 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소고에서는 피터 와그너의 저서를 중심으로 지역 영에 대한 입장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선교신학적 비평을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영적 전쟁에 대한 선교 신학적으로 균형적인 이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One of the major programs during short-term missions is to visit the ministry sites of missionaries and help them with the needs of the local church. In addition, they visit cultural sites or religious facilities in the mission field. Through the visit, they have an understanding of an anthropological insights for mission and pray for the mission field through, what is called, “Walking Prayer”. In this case, the premise of an walking prayer can be that it is not just a prayer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land but also a battle against territorial spirits of that area. This hypothesis is made by asserting that there is a particular spirit that captures a particular arthat it must bind its spiritual activity through prayer. In particular, if a mission field is an area where are prohibited direct methods of missionary work or it could pose a hazard, the prayer ministry through walking prayer is the most appropriate mission strategy. What is needed to do this strategically is a spiritual mapping that depicts the location of other religious facilities in the vicinity. With the map, a spiritual war is carried out with the premise that the region can be bound spiritually while praying for a place where prayers should be concentrated. Although there is a strength of spiritual warfare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nd prayer as a strategy to overcome the limits of direct missions, there is also a problem. It is the problem of missiological syncretism and the danger to see missions only as power encoun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background of claiming the territorial spirits and the biblical validity of it. In this paper, the author will examine the hypothesis of the territorial spirits through Peter Wagner's book, and make a theological criticism on i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paper has a purpose to present a balanced understanding of spiritual warfare in missions.ea and

      • KCI등재

        선교신학적 관점에서 세속화 극복을 위한 웨슬리의 “산 신앙” 연구

        정흥호 ( Chong Hung Ho ),윤기철 ( Yoon Ki Chul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9 No.-

        한국의 기독교는 1970년대 들어서 급속한 양적 성장과 더불어 세속화의 대표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물질주의, 현세기복주의를 표방하는 번영신학 및 인간의 자유의지나 우월성을 강조하는 인본주의 등등 신앙의 중심과 내용이 하나님의 나라와 뜻을 구하기보다는 눈에 보이는 양적 성장과 현상에 치우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는 한국교회가 세계선교의 선두 주자로서 역할을 감당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할 부분들이며 또한 이런 것들을 어떻게 선교신학적으로 정립하고 현장에 바르게 복음을 전해야할지를 심각하게 고려해 보아야할 긴박성이 있다할 것이다. 신앙의 세속화에 대한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마이클 호튼(Michael S. Horton)이 지적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외형적인 성장에 초점을 맞춘 소위 초대형 교회나 프로그램이나 목회자들이 복음주의를 대변하는 것 같은 시대적 흐름이 있게 되었고 바로 이런 점들이 진정한 복음주의를 위해 경계해야할 점들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경고들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 교회는 세속화 현상에 대한 바른 이해와 대처를 하고 있는지를 물어야할 필요가 있다. 교회는 분명히 양적으로 성장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신 제자의 삶이라는 질적인 성장을 함께 이루어 가야하며 바른 신학적 기틀 위에 말씀의 선포가 이루어져야 한다. 세속화는 인간을 중심에 둔 세계관이다. 여기에는 이성과 합리성을 기반으로 과학과 자본이라는 두 축이 인간의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로 자리 잡고 있다. 여기에는 신적인 영역은 신비적인 일로서 치부가 된다. 이는 결국 신 없는 세상, 구체적으로 하나님에 대한 부정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세속화 현상은 단지 현대화에 따른 현상이 아니다. 현대화에 따른 현상으로 보는 것은 사회학적 분석이다. 그러나 성경은 이미 타락으로 인하여 하나님을 제외시키려는 움직임들이 있어왔고 이로 인해 이 세상은 하나님을 부정하는 세상이 되었음을 말해 준다. 즉 세속화는 타락과 함께 시작이 된 것이다. 이러한 타락의 세상에서 선교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유일성을 중심으로 하여 세속화 이전의 세상의 회복인 오는 세상을 맞이하는 준비하는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세계선교의 중심세력이 된 한국교회가 18세기 영국교회가 직면했던 동일한 현상들을 겪고 있다. 18세기 영국은 계층화 사회였고, 상위 20%가 모든 부와 명예와 권력을 소유하고, 80%는 상대적 극빈 속에서 부와 명예와 권력의 피해자가 되었던 시대였다. 신학적으로는 이신론을 통해서 실제적인 신앙이 아닌 명목상의 신앙으로서 교회가 지향하는 윤리적인 삶에 머무는 신앙이었다. 이 신앙은 당시의 사회의 문제에 대해서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회조차도 세속화되어가는 단초를 제공하였다. 이제 서구사회의 잘못된 세계관으로부터 벗어나 다시금 `산 신앙`으로의 회복이 있어야 한다. 한국교회가 한 사람의 온전한 변화를 추구하고 실제적인 신앙을 가진 산 신앙을 담아내는 질적 변화의 성장을 통해서 세속화를 극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런 분명한 신학에 기초한 선교신학이 정립되어야 한다. Korean Christianity has achieved rapidly the quantitative growth since 1970s. At the same time, humanism has emerged which emphasizes prosperity theology and the supremacy of human freedom, not only that is a representative aspect of secularization but also that emphasizes on material blessings, rather than seeking Gods will and Kingdom. Now there is an urgency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ole as one of world mission leaders. And she must consider seriously how to establish a sound theology of missions in order to proclaim the gospel properly and effectively in mission fields.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e secularization of faith, as Michael S. Horton points out, in particular there is one thing to watch out, pastors who have focused on external growth, aiming for mega-church and programs. In spite of these warnings, the Korean church needs to ask whether it is properly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the phenomenon of secularization. Absolutely the church must grow in quantity as described in the Great Commission(Matthew 28:18-20; Mark 16:15; Acts 1:8)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life of the disciples as Jesus Christ taught must be done together and the proclamation of the Word must be done on the right theological framework. Secularization is a worldview centered on human beings. Based on reason and rationality, the two axes of science and capital are the keys to solve all human problems. Here, the divine realm becomes a mystery or superstition. This kind of woldview results in agnosticism and atheism. Secularization is not just a phenomenon of modernization. The Bible tells us that because of the Fall there have been moves to exclude God, and that this world has become a world denying God. The Korean church, which has become the central force of world mission, is undergoing the same phenomena that the British churches in the 18th century faced. Theologically, the british churches at that time were obsessed with a nominal faith influenced by deism. Such kind of faith had no impact on the problems of society, even providing a starting point for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At that time, the living faith of John Wesley gave a great challenge to the English church and awakened the mission of the church. Now, there must be a recovery from the wrong worldview and back to the living faith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as well as world missions. Not only must Korean churches overcome secularization through the growth of qualitative change which pursues the wholistic ministry based on living faith but also the mission theology should be based on this clear and right t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