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상린관계에 관한 민법개정논의

        전경운 한국토지법학회 2012 土地法學 Vol.28 No.2

        i) Because real estate, particularly land, exists adjacent to each other unlike the movable property, the control of mutual use of the land adjacent to each other is required for smooth use of land. The legal relation with the purpose to control the mutual use of the land adjacent to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neighboring relation. It is regulated by Civil Code Article 215 through Article 244. ⅱ) The second subcommittee of civil code revision committee in Ministry of Justice in 2011 proposed the legislation of Article 217(prohibition of disturbance against adjoining land by soot, etc.), Articles 219 and 220(right of passing over surrounding land) and Article 242-2(construction over one’s boundary) as restrictions with duty to compensate for ownership to adjust the sentence of an interest between those who are in neighboring relations. ⅲ) The original meaning of Article 217 of the Civil Code regulates duty of patience at a certain level upon taking an action of injunction of property owner about environment infringement. However, since Article 217(2) regulates only duty of patience caused by conventional usage of land of infringing land, the ownership of owner of damaged land is excessively restricted. Therefore, duty of patience about environment infringement is regulated clearly. With regards to infringement caused by conventional usage of land, we would like to adjust the sentence of an interest between those who are in neighboring relations by recognizing the claims of prevention measures and compensation claims in which victims can expect the economical compensation. iv) With regards to right of passing over surrounding land of Civil Code Article 219, there is one position to regulate right of passing over surrounding land as the form of direct restriction of ownership of neighboring land owner by setting duty of patience, other positions of French Civil Code and Switzerland Civil Code considering right of passing over surrounding land as statutory servitude. Therefore, we would like to regulate the form of direct restriction of ownership of neighboring land owner by setting duty of patience by law of neighboring land owner. In addition, in case of partition and partial assignment in Article 220, we would like explicitly regulate the compensation obligation unlike the existing regulation. ⅴ) Construction over boundary of neighboring land is referred to the case in which buildings or protruding part of buildings infringes on neighboring land. Current Civil Code does not have special provisions to prevent the devastating demol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interest with the regard to this construction over one’s boundary. Accordingly, in amendments to Civil Code by Ministry of Justice in 2004, Civil Code Article 242-2(construction over one’s boundary) was newly established and the regulation to limit the demolition of construction on one’s boundary was made with reference to german civil law Article 912. In addition, the second subcommittee of civil code revision committee in Ministry of Justice in 2011 recognized a neighboring land owner’s duty of patience with the regard to construction over one’s boundary like german civil law Article 912, and therefore the legislation to directly limit ownership was established. 부동산 특히 토지는 동산과는 달리 서로 인접하여 존재하므로, 토지의 원만한 이용을 위해서는 인접하는 토지상호간의 이용의 조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토지 상호간의 이용을 서로 조절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관계를 상린관계라 하고, 민법은 제215조 내지 제244조에서 상린관계를 규정하고 있다. 법무부 2011년 민법개정위원회 제2분과위원회에서는 상린관계 규정중 제217조(매연 등에 대한 인지의 인용의무), 제219조․제220조(주위토지통행권) 및 제242조의2(경계침범 건축)를 소유권의 보상의무 있는 내용규정으로 입법안을 제시하여, 상린관계자 사이의 이해관계의 형량을 조정하고자 하였다. 민법 제217조는 환경침해에 대하여 제214조에 기한 부동산소유자의 유지청구권 행사시에 일정한 인용의무를 규정하는 것이 본래적 의미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제217조제2항에서 가해지의 토지 통상적 이용으로 인한 인용의무만을 규정하고 있어서, 피해지 소유자에게 과도한 소유권의 제한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환경침해에 대한 인용의무를 명확히 규정함과 아울러, 토지 통상적 이용으로 인한 침해에 대해서, 피해자에게 경제상 기대할 수 있는 방지조치의 청구와 보상청구를 인정함으로써 상린관계자 사이의 이해관계의 형량을 조절하고자 하였다. 민법 제219조의 주위토지통행권과 관련해서는, 주위토지통행권을 법정지역권으로 이해하는 프랑스민법, 스위스민법의 입장과 법률에 의한 인용의무를 설정함으로써, 물권이 아닌 이웃 토지소유자의 직접적인 소유권제한의 형식으로 규정하는 입장이 있다. 그러므로 제219조의 주위토지통행권을 물권이 아닌 이웃 토지소유자의 법률에 의한 인용의무를 설정함으로써, 토지소유권의 직접적인 제한의 형식으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제220조제1항에서 분할․일부양도의 경우에 현행규정과는 달리 보상의무 없는 무상통행권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보상의무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경계를 침범한 건축이란 토지상에 건축된 건물이나 돌출된 건물부분이 이웃 토지를 침범하여 건축된 경우를 말한다. 독일민법은 제912조 이하에서, 토지소유자가 건물을 건축함에 있어 고의 또는 중과실 없이 경계를 침범하여 건축한 경우에, 이웃 토지소유자가 즉시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이웃 토지소유자에게 보상청구권을 인정하고 또한 해당 토지부분의 매수청구권을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스위스 민법 제674조에서도 경계침범건축을 규정하고 있는데, 스위스민법에서는 법정지역권으로 경계침범건축을 인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4년 법무부 민법개정안에서는 민법 제242조의2(경계를 침범한 건축)를 신설하여, 독일민법 제912조를 참조하여 경계침범건축의 철거를 제한하는 규정을 두고자 하였다. 2011년 민법개정위원회 제2분과 위원회에서도 경계침범건축에 대해서 독일민법 제912조와 같이 이웃 토지소유자의 인용의무를 인정함으로써 소유권의 직접적인 제한의 형식으로 입법안을 마련하였다.

      • KCI등재

        주위토지통행권의 법적 성질 등에 관한 일고찰

        전경운 한국토지법학회 2014 土地法學 Vol.30 No.1

        ⅰ) If a land is surrounded by other land and cannot be connected to the public road without passing the surrounding land, the surrounded land loses its economic efficiency in its situation. Because the surrounded land loses its economic value because of its inaccessibility, the right of passing over the surrounding land is provided to remedy the economic loss of the surrounded land. ⅱ) Concerning the legal characteristic of the right of passing over the surrounding land, the civil law of Germany uses the right of passing over the surrounding land as a purpose to resolve the emergent status of land by imposing the duty of patiency on the owner of the surrounding land in a form of imposing a direct limitation on the surrounding land. However, the civil laws of Switzerland and France recognize the right of passing over the surrounding land and understand the legal characteristic of the right of passing over the surrounding land as statutory servitude. This shows that those laws recognize the indirect limitation on the right of the surrounding land. Korea and Japan claim that the legal characteristic of the right of passing over the surrounding land is not an independent reality right and understand it as a legal right of passing which naturally occurs under law. ⅲ) When dividing land and assigning it partially, the majority claim and preceeding judicial decisions of Korea, in principle, deny the success of the free right concerning whether the free right of passing is succeeded to the successor of the land. However, the civil laws of Germany and Switzerland do not recognize the free right of passing in the case of land division and partial assignment, but understand there should be a duty of compensation and the right of passing is succeeded to the successor. The civil law of Japan stipulates the free right of passing in the case of land division and partial assignment, and the preceeding judicial decisions say that the free right of passing is naturally succeeded to the successor. 어느 토지가 다른 토지에 의하여 포위되어 다른 토지를 이용하지 않고는 公路로 나갈 수 없는 경우에, 이를 그대로 둔다면 피포위지(surrounded land)의 경제적 효용을 상실한다. 이와 같이 피포위지의 이용이 불완전하게 되어 경제적 가치가 없는 토지로 전락하게 됨에 따라, 피포위지의 경제상 손실을 구제하기 위한 것이 주위토지통행권이다. 주위토지통행권의 법적 성질에 대해서, 독일민법은 주위토지통행권을 토지의 비상사태를 해소하려는 목적으로 포위지 토지소유자에게 인용의무를 부과시킴으로써, 포위지의 직접적인 소유권제한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스위스민법과 프랑스민법은 피포위지 토지소유자에게 주위토지통행권을 인정하면서, 주위토지통행권의 법적 성질을 법정지역권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를 보면, 포위지 토지소유권의 간접적인 제한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우리나라와 일본은 주위토지통행권의 법적 성질을 독립된 물권은 아니라고 하면서, 법률상 당연히 발생하는 법정통행권으로 이해하고 있다. 하지만 피포위지 소유자에게 법정통행권으로서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된다는 우리 민법의 입장은, 소유권의 간접적 제한의 형식을 취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스위스민법처럼 주위토지통행권을 법정지역권으로 이해할 여지를 남겨둔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민법 제219조의 주위토지통행권에 대한 규정을 독일민법 제917조처럼 이웃 토지소유자에게 인용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직접적인 소유권제한의 방식을 취하는 것도 입법론으로 한번 고려해 볼만하다고 생각한다. 토지의 분할과 일부양도시 무상통행권이 승계인에게 승계되느냐 여부를 두고, 우리나라의 다수설과 판례의 입장은 원칙적으로 이를 부정하는 입장에 있다. 그러나 독일민법과 스위스민법은 분할․일부양도 등의 경우에도 무상통행권이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연히 보상의무가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승계인에게 승계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민법에에서는 분할․일부양도시의 무상통행권을 규정하면서도, 일본의 판례는 무상통행권은 승계인에게 당연히 승계된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민법 제220조제1항 단서를 삭제하거나 보상의무가 있다는 규정을 명시적으로 두어 유상통행권으로 인정하는 것이 입법론으로 타당하지 않은가 한다. 유상통행권으로 전환한다고 하더라도 분할과 일부양도시 당사자 사이에서 보상합의가 이미 이루어 졌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으며, 만일 보상문제가 처리되지 않았다면 보상의무를 인정하는 것이 법률의 규정에 의한 소유권의 과도한 제한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우리 민법상 總有에 관한 一考察

        전경운 한국토지법학회 2010 土地法學 Vol.26 No.1

        ⅰ) When one goods is jointly owned by two or more persons, it can be called joint ownership. The past Civil Law only has regulations on co-ownership on matters related to joint ownership. However, with the enactment of the current Civil Law, co-ownership, partnership-ownership and collective ownership were defined in the form of joint ownership. ⅱ) Collective ownership is in the form of a person of an association without juridical personality owing something. There are no regulations on collective ownership besides those of the Korean Civil Law and Manchu civil laws, and German and Swiss civil laws prescribe only co-ownerships and partnership-ownerships in the form of joint ownership. Japanese civil laws also only prescribe co-ownerships. However, with the enactment of the current civil laws, regulations on collective ownership were adopted, and there are still many debates on the regulations of collective ownership, while also having many problems in case rulings in its application. ⅲ) Civil laws in Germany does not prescribe matters on collective ownership, and treats it as partnership-ownership in the form of ownership of association without juridical personality. Japanese civil laws prescribe co-ownership for joint ownership, and have no regulations on ownership type of association without juridical personality. ⅳ) Though the Korean Civil Law prescribes matters on collective ownership, in its actual management, the collective ownership regulations are unable to effectively regulate the legal relations of associations without juridical personality, and there are also many criticisms on collective ownership regulations. Currently in Korea, civil law reforms are underway, and there are plans to make overall changes for the legal regulations on associations without juridical personality. Though its contents have yet to be confirmed, it is worth very high interest on how civil law regulation reforms for collective ownership will be made. 하나의 물건을 2인 이상의 다수인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것을 共同所有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소유에 관하여 구민법은 공유에 관해서만 규정을 두고 있었는데(구민법 제249조~제263조), 현행민법이 제정되면서 공동소유의 형태로 공유(제260조~제270조)·합유(제271조~제274조)·총유(제275조~제277조)의 3가지 형태로 규정되게 되었다. 총유에 관한 규정은 한국민법과 만주민법을 제외하고는 총유에 관한 규정이 없으며, 독일민법과 스위스민법은 공동소유의 유형으로 공유 또는 공유와 합유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고, 일본민법도 공유에 대해서만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현행민법이 제정되면서 총유에 관한 규정이 도입되었고, 이러한 총유에 관한 규정의 當否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으며, 그 적용과정에서도 판례상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현행민법이 제정되기 이전에는 법인격 없는 사단의 재산귀속형태에 관하여 공유설, 합유설, 총유설의 대립이 있었으나, 현행민법이 제정되면서 법인격 없는 사단의 재산귀속에 관하여 제3장 소유권편에서 총유라고 규정하여 입법적으로 이를 해결하였다. 현행민법의 제정과정을 보면 초안에서는 총유에 관한 규정이 없었고, 민의원 법제사법위원회 민법안심의소위원회 때에도 총유에 관한 규정은 없었으나, 민사법연구회의 민법안의견서 중 공동소유부분을 집필한 金曾漢 교수의 견해를 수용하여, 본회의에서 수정안이 제시되면서 총유에 관한 규정이 도입되었다. 게르만법상의 총유제도를 한국민법에 도입하여 규정한 것에 대해서는 다양한 찬반론이 개진되고 있다. 먼저 민법안의견서를 통하여 총유제도를 입법하도록 앞장섰던 金曾漢 교수는, 근세법이 개인주의적 토대위에 서 있는 것은 큰 문제라고 하면서, 우리 민법이 공동소유의 3유형을 규정한 것은, 간접적으로 인적 결합체의 유형을 규정한 것으로써, 총유의 개념 없이는 단체의 소유관계를 적절히 규율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민법상 총유규정에 대해서 비판적인 견해를 취하는 학자들이 찬성하는 학자들보다 많은 것이 현실인데, 그 비판의 내용을 보면, 권리능력 없는 사단의 소유형태는 극히 다양성을 띠고 있어 민법의 간단한 총유규정만으로는 충분히 규율할 수 없으며, 게르만법학자들에 의하여 밝혀진 총유는 아무런 현대적 감각이 없다고 한다. 독일민법은 총유에 관한 규정을 두지 않으면서, 권리능력 없는 사단(nichtrechtsfähige Vereine)의 소유형태에 관하여 독일민법 제54조에서 규정하고 있다는데, 독일민법 제54조제1문은 “권리능력 없는 사단에 대하여는 조합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고 하여서, 권리능력 없는 사단의 소유형태를 합유로 하고 있다. 그러면서 독일민법 제54조 2문은 “사단의 이름으로 제3자에 대하여 행하여진 법률행위에 대하여 행위자는 개인적으로 책임을 진다. 다수가 행위한 때에는 이들은 연대채무자로서 책임을 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일본민법은 공동소유에 관하여 공유(일본민법 제249조-제264조)만을 규정하고 있고, 권리능력 없는 사단의 소유형태에 대해서는 명문의 규정이 없다. 일본에서는 권리능력 없는 사단의 재산의 소유형태에 대하여 총유설, 합유설, 신탁설 등의 이론이 주장되고 있지만, 일본의 최고재판소 판례는 “권리능력 없는 사단의 자산은 구성원에게 총유적으로 귀속되는 것으로 그 사원이 당연히 공유지분권·분할청구권을 갖는 ...

      • KCI등재

        생명공학의 위험성에 대한 적절한 규율

        전경운 한국환경법학회 2004 環境法 硏究 Vol.26 No.1

        Dieser Aufsatz befaβ sich snit dringenden rechtlichen Aufgaben, wie sich Gentechnologie heutzutage hierzulunde voranschreiten lassen, welche Gefahrenfaktoren damit entstenhen ko¨nnen und was das Recht im voraus zu leisten hat, tun gegen eventuelle Risiken Vorkehrungen zu treffen. Die Gentechnik als Teil der Biotechnologie hat international in den letzten Jab-en zunehmend an Bedeutung gewonnen. Ein wesentliches Merkmal der Gentechnik ist, da? mit der Gentechnik die Erbinfonnation gezielt vera¨ndert werden kann bzw, Erbinfortnationen gezielt miteinunder neu kombiniert werden ko¨nnen. Hierdurch unterscheidet sich die Gentechnik von Methode der Reproduktionstnedizin der U¨bertragung von Erbmaterial wie z. B. dem Transfer von Chromosonen oder der Verschrnelzung von vollsta¨ndigen Chromosomensa¨tzen durch Zellfusion. Bei diesen Methoden werden ungezielt alle Gene einer Zelle auf eine undere u¨bertragen. Die Entwicklung der Gentechnik war seit ihrer Einfu¨hrung von einer Risikodiskussion begleidet. Besonders auf dieser Konferenz -bekannt geworden als Asilornar Konferenz im 1975 - wurde das Gesundheitsgefa¨hrdungspotential, das mit rekombinanten Organismen verbunden ist, bewertet und vorgeschlagen, abgestufte Sicherheitsmaβhrnen bei der Durchfu¨hrung gentechnischer Experimente einzuhalten. Durch die jahrelange Diskussion in der BRD urn die Gefahren der Gentechnologie, am 1. Juli 1990 ist das Gesetz zur Regelung von Fragen der Gentechnik(Gentechnikgesetz -GenTG) vom 20. Juni 1990(BGB1. I S. 1080) in Kraft getreten. Zweck des GenTG ist es, Leben und Gesundheit von Menschen sowie die sonstige Umwelt in ihrern Wirkurgsgefu¨ge und Sachgu¨ter vor mo¨glichen Gefahren gentechnischer Verfahren und Produkte zu schu¨tzen und dem Entstehen solcher Gefahren vorzubeugen. Das GenTG regelt auch in den §§32-37 eine verschuldensunabha¨ngige, auf die im Zusarnmenhang rnit der Gentechnischen Vera¨nderung von Organismen auftretenden Risiken zugeschnittene Gefa¨hrdungshaftung. Durch die jahrelange Diskussion in der BRD u¨ber die Gefahren der menschlichen Reproduktionsmedizin, am 1. Januar 1991 ist das Gesetz zurn Schutz von Ernbry-onen(Embryonenschutzgesetz -ESchG) vom 13. Dezember 1990(BGB1. I S. 2746) in Kraft getreten. Dieses Gesetz reagiert auf die neuen Mo¨glichkeiten der Fortpflanzungsmedizin und der Humangentechnik, die mit ihrem medizinischen Zukunft zugleich auch bischer ungekannte Mi?rauch ero¨ffnet haben. Anfang des Jahr 2000 wurde in Montreal nach fu¨nfjahrigen Verhundlungen das Protokoll u¨ber die biologische Sicherheit als Zusatzprotokoll zur Biodiversityverabschiedet. In Korea wurde in den Feb. 2001 entsprechende Vorschriften erlassen. Aber Korea braucht jetzt das Gesetz zur Regelung von die Gefahren der Gentechnologie und die Gefahren der menschlichen Reproduktionsmedizin festzusetze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