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성별에 따른 개인특성 및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

        장은주(Eun Joo Chang),박경규(Kyung Kyu Park) 한국경영학회 2005 經營學硏究 Vol.34 No.1

        In the past, career success has been defined by the number of promotions, annual compen-sation or position level. So studies on career success have been focussed on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objective career success. But as today’s organizations no longer offer lifelong employment, individuals put stress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his overall career and employability in the open labor market rather than rapid promotion or high compensation in an organization. That is, shift in employment contracts from relational to transactional infers a paradigm shift in career success. Therefore, in this study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measured in terms of two dimensions: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Through literature review, personal characteristics(growth needs,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social capital(supervisor support, informal network) were chosen as the predictors of dependent variable, which were not given much attention before. So the firs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se affect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seeing that highly-educated female workforc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women’s career is an important issue for female themselves and the organizations that employ women; therefore, gender was chosen as the moderating variable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in 21 American and European banks acting in Korea by questionnaire. Also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individuals with more than 5 year working experiences, for individuals need to look back over their career. In order to test hypotheses, actually 201 sample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s that growth needs,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supervisor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career satisfaction a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employability were growth needs,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and informal network. Furthermore it was analyzed if gende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s; supervisor support and career satisfaction, supervisor support and employability, informal network and employability. But gender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areer success was defined by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hich reflect the change of employment contract, people’s value, etc. Second, there was difference in factors that affect male’s and female’s career success; supervisor support and informal network did affect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differently between men and women. Therefore, organizations need to support women employees so that they can make the career succes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금융계 여성 근로자의 개인특성과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

        장은주(Chang Eun-Joo),지성구(Ji Seong-Goo) 한국비서학회 200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3 No.1

        조직 간의 자유로운 이동 및 조직 구성원이 추구하는 가치의 다양화 그리고 평생직장의 개념이 없어짐에 따라 오늘날의 경력성공은 한 조직에서의 높은 임금이나 빠른 승진보다는 노동시장에서의 고용가능성과 자신의 경력에서 느끼는 심리적 만족이 성공의 기준이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을 대상으로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을 주관적 경력성공으로 간주하고 개인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원에 따라 개인특성과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가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및 국내에서 영업하는 외국계 금융기관의 직장경력 5년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182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성장욕구와 정치적 행동성향은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지원에 따라 거의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의 경우 사회적 지원을 자신의 경력성공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는 경향이 낮은 것으로 인식된다.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최근의 고용관계 및 사람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하여 심리적인 성공, 즉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으로 경력성공을 측정하였다는 점과 대부분의 경력 연구가 남성대상이나 본 연구가 여성을 대상으로 한 경력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본 연구가 금융기관의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경력성공, 나아가 대표적인 여성 직종인 비서직의 경력 성공의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둔다. In the past, studies on career success have been focussed on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objective career succes. But as today's organizations no longer offer lifelong employment, individuals put stress 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with his overall career and employability in the open labor market rather than rapid promotion or high compensation in an organiz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subjective career success was measured in terms of two dimensions: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Also nowadays highly-educated female workforc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women's career is an important for female themselves and the organizations that employ wome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for the females in the banking industry. And social support was chosen as the moderating variable because it is believed social support is vital for the female's career success. The data of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from female workers in 8 Korean banks and 21 foreign banks acting in Korea by questionnaire. Also the sample was restricted to individuals with more than 5 year working experiences, for individuals need to look back over their career. In order to test hypotheses, actually 182 sample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needs and political behavior disposition had positive effects on female's subjective career satisfaction. But social suppor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may be that career success was defined by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which reflect the change of employment contract, people's value, etc, Furthermore, this study also discusses the female's career success and future research ideas related to secretarie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

        장은주 ( Eun Joo Chang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이 글은 우리 근대성의 ‘다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통상적 근대성 담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유럽적 근대성뿐만 아니라 우리의 고유한 근대성도 함께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근대성 개념을 가공해 보고자 하는 이론적 시도의 일부다. 이 시도에서 핵심적인 것은 유럽중심적 근대성 이해와 함께 동아시아적 근대성의 신비화도 함께 거부하면서 사회이론적으로나 규범적으로 좀 더 포괄적이고 설득력 있는 근대성 개념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런 접근법은 단지 서구만이 아닌 모든 문명권에 내재하는 공통된 도덕적 진보의 지향, 특히 ‘존엄의 평등’에 대한규범적 지향과 그 사회적 실현을 통해 근대성을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는 서구적 근대성에 정당한 자리를 매겨주면서도 근대성을 서구의 합리화된 자본주의적 근대성과 등치시키지 않고, 우리의 유교적 근대성과사회주의적 근대성을 포함하는, 그 다양한 양상 속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해 준다. 우리의 경우, 유교적 근대성이라는 특징적인 형식 속에서 매우 속물주의적인 양상을 띠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이 관철되었다. 문제는 이러한 근대성이 삶과 사회의 인간화를 향한 우리의 근대화 기획이 내세운 약속에 대한 자기배반 또는 역설의 형식으로 우리 사회가 발전시킨 근대적 삶의 양식의 정당성의 토대를 허무는 ‘정당성 위기’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 part of the theoretical attempt to develop a new concept of the modernity which can overcome limits of usual discourses on the modernity developed in the West. It starts from the `otherness` of Korean modernity and tries to grasp not only the European modernity, but also this peculiarity of Korean modernity. The point lies in the refusal of the mystification of East-Asian modernity as well as Eurocentric understanding of modernity, while making an attempt to develop a concept of the modernity which is, normatively as well as social-theoretically, more comprehensive and more plausible. This approach understands the modernity through the moral orientation which is immanent not only in the West but also in all societies of civilization, especially through the normative orientation for the `equality of human dignity` and its social realization. It can give u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modernity in its various modus including our confucian modernity and socialistic modernity, recognizing legitimate place of the western modernity, but refusing to equate the modernity itself with the rationalized capitalistic western modernity. In Korea the capitalistic modernity with its cultural orientation to snobbism has been realized in the peculiar form of confucian modernity. The problem is that this modernity has yielded the `legitimation crisis` which destroys the basis of the legitimacy of the form of life of Korean modern society. It is, one can say, a self-betrayal or a paradox of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Korea which has started with the promise of the humanization of life and society.

      • KCI등재

        메리토크라시와 존엄의 정치

        장은주(Chang, Eun-Joo)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2

        이 논문은 특히 청년 세대에게서 확인되는 우리 사회의 시민적 주체의 미성숙이라는 문제 상황과 관련하여 그것을 이해하는 나름의 인식틀을 제시하고 그 해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 사회에서 올바른 시민적 주체의 형성이 곤란을 겪는 것은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정당화하고 경쟁의 패자 등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부추기는 메리토크라시라는 생활 이데올로기가 구성원들에게 강요하는 ‘자존감’의 상실 문제와 깊숙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 출발점이다. 이 글은 이런 문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 메리토크라시라는 특별한 종류의 ‘인정의 질서’에 맞서 시민들의 존엄의 평등을 지켜내기 위한 ‘존엄의 정치’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존엄의 정치는 단순히 문화적인 수준의 개혁만이 아니라 분배제도를 포함한 사회의 기본 구조 전체에 대한 개혁을 지향하며, 특히 보편적인 기본권으로서의 사회권의 보장을 통해 모든 시민의 정치적 평등성을 확립할 것을 추구한다. 여기서 존엄의 정치는 시민적 주체의 형성을 위한 사회정치적 기획, 곧 ‘형성적 기획’을 내장해야 하는데, 그것은 단순히 어떤 시민적 덕성에 대한 호소에 그치기보다는 다양한 수준과 차원에서 민주적 상호인정 관계 공간의 확대와 시민의 ‘역능화’를 지향해야 한다. This article purpose to offer the proper epistemic frame for understanding the problem of immaturity of civic subject, especially in the youth, in Korean society and to search a way out of it. It argues that such a troublesome situation is deep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the loss of ‘self- respect’ of members which meritocracy ideology of everyday life has forced upon them. It justifies the soico-economic inequality and urge the exclusion of the looser at the social competition etc.. To find a way out of this problematic situation, we must activate ‘the politics of dignity’, the purpose of which is to protect the equality of all citizens against the specific meritocratic ‘order of recognition’. It aims not merely at the cultural reform, but also at the reform of the entire basic structure of society including redistributive institutions. Especially, it aim sat establishing the civic–political equality through ensuring the social rights as universal-fundamental rights. It must there include the socio-political project for the formation of civic subject, that is, ‘the formative project’ as a integral part. This project must not merely be confined to an appeal to the civic virtue, but orient to expanding the space of democratic mutual recognition at the various levels and dimensions and to ‘empowerment’ of citizens.

      • KCI등재후보

        사회권의 이념과 인권의 정치

        장은주(Chang Eun-jo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6 사회와 철학 Vol.0 No.12

        사회권은 인권의 본질적 구성요소다. 그러나 그것은 정치적으로나 법률적으로 많은 논란거리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대체 그것이 어떤 근거나 이념에 비추어 인권의 본질적 구성요소가 될 수 있는지, 곧 그것이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차원의 문제들도 충분한 해명이 되어 있지 않다. 이 글은 인권의 이념은 모든 사람들에 대한 ‘보편적 존중’이라는 도덕 원칙에서 도출될 수 있다는 데서 출발하여 사회권이 도덕적으로는 인간의 근원적 필요에 대한 존중의 요구로부터 정당화될 수 있으며, 나아가 자유권보다 더 근원적이거나 최소한 같은 수준으로 근원적인 인권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물론 법적 제도화의 맥락에서는 사회권은 절대적으로가 아니라 단지 상대적으로만 정당화될 수 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이 글은 하버마스에 기대어 그 사실이 사회권의 가치를 평가절하 시키거나 그것이 민주적 법치국가의 이념 그 자체와 개념적-내적으로 연관을 가진다는 점까지 부정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민주적인 인권의 정치가 사회권의 실현을 위한 관건이라는 하버마스의 논의를 소개하고 그 의미도 확인해 보고자 한다. Although social rights are constitutive elements of human rights, they are still politically and juridically controversial, and it's still not clear on what basis social rights are understood as constitutive human rights; their philosophical aspect on how they can be justified still awaits an explanation. Based on the idea that the concept of human rights can be derived from the moral principle of ‘the universal respect’ for all human beings, I argue that morally, social rights can be universally and rationally justified from the demand for the respect for basic human needs and attempt to show that social rights can be understood as more basic human rights than liberal rights, or at least as basic as those. Of course, one must admit that in the context of legal institutionalization, social rights can be justified only relatively, not absolutely. However, relying on the theory of J?rgen Habermas, I will show that this fact does not diminish the value of the social rights. I will also stress that social rights are conceptually and internally connected with the very idea of democratic Rechtsstaat. Finally, I will introduce the view of J?rgen Habermas that the democratic politics of human rights is the central key to the realization of social rights and discuss the consequences of this view.

      • KCI등재

        인권의 보편성과 인도적 개입의 정당성 : ‘북한 인권 문제’의 올바른 해법을 위한 철학적 토대의 모색과 관련하여

        장은주(Chang Eun-joo)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0 No.17

        이 글은 북한인권문제에 대한 인권적 관점에서의 올바른 접근법의 모색을 염두에 두면서 인권의 보편성과 인권적 개입, 특히 인도적 개입의 정당성 문제를 다루고 있다. 우선 이 글은 인도적 개입을 포함한 인권적 개입 일반이 의지하고 있는 인권 이념의 보편성과 관련하여, 우리가 인권 이념의 보편성을 자연법적이고 추상적인 보편주의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인정에 기초하는 ‘보편화 가능성’에 대한 규범적 기대와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토대로 인권의 보편주의는 그 본성상 평화주의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다음으로 인도적 개입을 정당화하고 있는 마이클 월쩌의 접근법을 살피면서 그 도덕주의적 한계를 살핀다. 특히 주권이 지닌 고유한 규범적 차원 때문에 ‘정당한 전쟁’이라는 차원에서 이해된 인도적 개입이 폭력적 도덕주의의 위험에 빠지게 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 지적된다.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국제 인권 정치를 ‘국제법의 입헌화’를 위한 기획의 틀 안에 위치 지우려는 하버마스의 시도가 지닌 의의를 살핀다. 그러나 이 글은 또한, 그 기획이 서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국제 질서의 실정성에 너무 많이 양보하는 것은 아닌지를 우려하면서, 특히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개입의 맥락에서, 인권의 보편주의가 오용 없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한 현실적인 전제들의 마련에 대한 필요를 강조한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s of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and legitimacy of interference for human rights, especially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the context of searching the proper human rights approach to ‘human rights crisis’ in North Korea. First, in relation to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which backs up the interference for human rights including humanitarian intervention, it stresses the pacifistic nature of the universalism of human rights on the ground that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must not be understood in the dimension of abstract and natural law like universalism, but in relation to the normative expectation of the ‘possibility of universalization’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between diverse areas of culture. Secondly, it discusses the moralistic limits of arguments of Michael Walzer about the legitimacy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especially, in confront with the peculiar normative dimension of the sovereignty, the danger of militant moralism of it if it is understood only in the frame of ‘just war’. It is in this context, it tries to show, that the attempt of J. Habermas to position international politics of human rights in the frame of the project of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s can have a meaning. But, because his project seems to be somewhat blind to the positivity of the today's international order which has been constituted mainly by the West, this article emphasizes at the same time substantial preconditions for the realization of the universalism of human rights without the possibility of misuses. This must be true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interference for human rights problem in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