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개방형 협업 창의발상 시스템 연구

        이지선,윤주현,이지선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테크놀로지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신사업 발굴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이에 대한 방법으로 디자인의 창의적 발상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제안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과 밀접한 발전관계를 가지고 있는 테크놀로지 분야의 아이디어 발상 프로세스의 변화와 디자인 프로세스의 변화를 비교하여 디자인 사고를 기반을 둔 창의 발상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자인 사고에 기반을 둔 이 방법론은 시각화 기법과, 다양한 협업 방법, 구체적인 프로세스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써 배우고, 영감하고,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선택하며, 협업을 통해서 비즈니스를 론칭 시키는 프로세스를 가진 방법론과 이를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론과 프로토타입 제안은 디자인사고의 기업 내 실질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As technology advances rapidly, demand for discovery of new businesses are increasing, and creative thinking methods of design are receiving attention. However, specific methods for such purposes are yet to be developed. The following studies annalize changes in thinking processes, by comparing design and technology driven methodologies. Through results, the studies suggest a detailed method for creative thinking based on design thinking. As a detailed method, a methodology for learning, inspiration, ideation, selection of ideas, and launching businesses based on collaboration, the studies will suggest a prototype applying the methodology. Based on creative thinking, the methodology includes visualization techniques, various methods for collaboration, and specific contents in processes. Recommendations for this methodology and prototype are expected to suggest actual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in businesses.

      • KCI등재

        The Evaluation of the Various Update Conditions on the Performance of Gravity Gradient Referenced Navigation

        이지선,권재현 한국측량학회 2015 한국측량학회지 Vol.33 No.6

        The navigation algorithm developed based on the extended Kalman filter (EKF) sometimes diverges when the linearity between the measurements and the states is not preserved. In this study, new update conditions together with two conditions from previous study for gravity gradient referenced navigation (GGRN) were deduced for the filter performance. Also, the effect of each update conditions was evaluated imposing the various magnitudes of the database (DB) and the sensor errors. In case the DB and the sensor errors were supposed to 0.1 Eo and 0.01 Eo, the naviga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in the eight trajectories by using part of gravity gradient components that independently estimate states located within trust boundary. When applying only the components showing larger variation, around 200% of improvement was found. Even the DB and sensor error were supposed to 3 Eo, six update conditions improved performance in at least seven trajectories. More than five trajectories generated better results with 5 Eo error of the DB and the sensor. Especially, two update conditions successfully control divergence, and bounded the navigation error to the 1/10 level. However, these update conditions could not be generalized for all trajectories so that it is recommended to apply update conditions at the stage of planning, or as an index of precision of GGRN when combine with various types of geophysical data and algorithm.

      • KCI등재

        Performance Analysis of a Gravity Gradient Referenced Navigation System

        이지선,권재현 한국측량학회 2014 한국측량학회지 Vol.32 No.3

        As an alternative way to overcome the weakness of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in hostilesituation, a gravity gradient referenced navigation (GGRN) has been developed. This paper analyzed theperformance of GGRN with respect to the initial errors, DB resolution as well as update rates. On the basisof simu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GGRN is getting worse when initial errors exist but thenavigation results are rapidly converged. Also, GGRN generates better results when DB resolution is higherand update rates are shorter than 20 second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duce the optimal parameters forthe navigation because some trajectories show better performance in case low-resolution DB is applied orlong update rate is supposed. Therefore, further analysis to derive specific update conditions to improve theperformance has been performed. Those update conditions would not be generalized for all cases althoughmaximum improvement rate is over 200% in certain case. In the future, some more developments and testson the combination of various geophysical data and/or algorithms are necessary to construct more stable andreliable navigation system.

      • KCI등재

        정밀 지오이드 구축을 위한 자료처리의 최적 변수 결정

        이지선,권재현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17 No.3

        To solve the problems of distribution and quality on land gravity data, airborne gravity survey was performed in 2008 obtaining the airborne gravity data with accuracy of 1.56mGal. Since airborne gravity data is the obtained at the flight height,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airborne gravity data to the surface to combine various gravity data and compute precision geoid. In addition, Stokes’ integral radius, Stokes’ kernel and the radius of terrain effect computation should be optimally determined to calculate precision geoid. In this study, we made an effort to decide the optimal parameters based on the distribu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gravity data. Then, two geoid models were calculated using the selected parameters and the difference of geoid was calculated with mean of -16.95cm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8.50cm. We consider that this difference is due to the distribution and errors on the gravity data. For future work, the study on the effect of geoid with newly obtained land gravity data ship-borne gravity data and GPS/Leveling data should be conducted. Furthermore, the study on the downward continuation and terran effect calculation should be studied in detail for better precision geoid construction. 기존의 우리나라 지상중력자료는 자료의 분포 및 정밀도에 있어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8년 항공중력측정을 통하여 정밀도 1.56mGal의 항공중력자료를 확보한 바 있다. 그러나 항공중력자료는 비행고도 상에서 획득된 값으로 기존의 지상중력자료 및 해상중력자료와 병합하기 위해서는 지표면 상의 값으로 환산되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자료를 융합하여 정밀한 지오이드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Stokes’ 적분반경, Stokes’ kernel 및 지형 효과 계산 반경 등의 많은 변수들을 최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 및 항공중력자료의 분포 및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정밀한 지오이드 결정을 위한 최적의 매개변수들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선정된 최적 변수들을 적용하여 지오이드를 계산한 결과, 항공중력 및 지상중력 기반의 두 지오이드는 평균 -16.95cm, 표준편차 ±8.50cm의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지상 및 항공중력자료의 분포와 지상중력자료에 포함된 오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 고려한 매개변수 외에도 다양한 하향연속 방법, 지형효과 계산 방법이 지오이드에 미치는 효과와 추가적으로 확보한 중력 및 GPS/Leveling 자료, 해상중력자료를 포함하였을 때의 효과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 실태 및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

        이지선,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교과 통합수업의 실태 및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와 두 집단 간 협력요구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전국 중학교 140개교의 과학교사 136명과 특수교사 140명의 질문지 응답 자료가 분석되었다. 과학교사들은 장애학생의 기초학업수준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가 30.1% 정도가 되었고, 별도의 과학수업목표를 세우지는 않았으며 특수교사에게 주로 교수 및 학습방법에 대한 조언을 구하였다. 과학교사는 일반수업 내용을 그대로 가르쳤으며, 수정할 경우 더 쉽고 간단하게 가르쳤다. 장애학생은 부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며, 과학교사는 잘 도와주는 친구 모둠에 장애학생을 배치하여 1명의 학생도우미를 정해주었다. 장애학생의 수업평가는 일반학생들과 같은 내용과 같은 방법으로 과학교사에 의해 행해졌다. 과학교사는 학급학생 수가 많아서 장애학생을 배려하는 것에서 어려움을 지적하였으며, 장애학생이 수업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일반학생과 사회적 관계가 증진되기를 기대하였다.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 정도는 높은 편이었다.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방법과 행동특성에 대한 정보 제공이 공통적으로 가장 필요한 협력요구로 나타났다. 장애학생의 과학수업 학습수준과 행동특성에 대한 정보제공은 특수교사의 협력요구가 과학교사의 협력요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우리나라 중등 통합교육 전반과 교과 통합수업의 질 제고와 관련해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공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science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llaboration needs among science and special class teachers in middle schools nationwide. The respondents were 136 science teachers and 140 special teachers from 140 inclusive middle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by performing t-tests to show group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teachers. The current status of inclusive science classes can be described as stagnating in the phases of physical and social inclusion. Curricular inclusion in inclusive science classes has not been achieved. There was a relatively high number of collaboration needs among teachers for 12 different collaboration items. In both groups, the highest collaboration needs were “how to mediat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having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For the two items of “having information about the academic level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ience class” and “having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inclusive science classes and collaboration need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lessons in many curricular areas and overall inclusive education practices in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만당 이혜구의 일본음악 연구 -연구 성과와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이지선 한국국악학회 2020 한국음악연구 Vol.68 No.-

        이 글에서는 만당 이혜구의 일본음악의 연구 성과와 교육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만당은 1953년부터 일본음악 관련 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하여 90세가 되던 1998년까지 45년간 총 16편의 논문을 집필했다. 연구 주제는 기악(伎樂), 삼국악(三國樂), 고마가쿠(高麗樂), 도가쿠(唐樂), 사이바라(催馬樂)로, 한일 관계 나 한중일 관계를 통해 전개된 일본음악이다. 그의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한 ‘음악사적 연구’와 악보 분석을 통한 ‘음악의 실체 연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양자 모두 일본음악 자체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한국․중국 음악과의 비교를 통해 상호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궁극적으로 한국음악의 특징을 찾아내는 작업이었다. 일본음악 연구 중 30%는 일본에서 일본어로 발표되었는데, 이는 일본음악계와의 학문적 소통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만당은 자신의 연구를 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의 일본음악 강의는 연구와 연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한국음악과의 비교 방법을 취하여 학생들에게 한일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분명하 게 인식시켜 주었다. 만당의 학술 행보에는 “최초”라는 수식어가 많이 붙는다. 그는 한국음악학은 물론 동양음악 연구라는 미지의 길을 열고 닦아주었다. 오늘날 한국의 음악학이 다양한 분야에서 학문적으로 성장하고 많은 음악학 자들과 음악인들이 활약하고 있는 것은 평생 한국음악학 발전과 후학 양성에 힘을 쏟은 만당의 열정이 만들어 낸 결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research achievements and teaching methods of Mandang Lee Hye-ku’s Japanese music. Mandang began researching Japanese music from 1953 and wrote a total of 16 papers for 45 years until 1998, when he turned 90 years ol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Gigaku, Three Kingdoms Music, Komagaku, Togaku, and Saibara. His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a study of the history of music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study of the substance of music through analysis of sheet music, and ultimately find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n and Chinese music rather than focusing on Japanese music itself. 30% of Mandang's Japanese music studies were published in Japanese in Japan, which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nables academic communication with the Japanese music world. Mandang actively utilized his research in education. His lectures on Japanese music were conducted in a way that was linked to research, and by taking a method of comparison with Korean music, he made the students clearly aware of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Japanese music. In Mandang’s academic progress, a lot of the modifier “first” is attached. He opened and paved the way for the study of oriental music as well as Korean musicolog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fact that today’s musicology in Korea has grown academically in various fields, and that many musicologists and musicians are active, is the result of Mandang’s pass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and fostering successors throughout hi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