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환경을 통한 긍정심리학 정신의 구현: 긍정 성격

        이승훈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2

        This overview article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we should think over the concrete way to realize the spirit of positive psychology. Among the three main topics of positive psychology, this article focuses on positive personalities and pays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natural environments on facilitating positive personalities. This review article is to show that we can realize the aim of positive psychology by fostering positive personalities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Specifically, it was supposed that among the twenty four character strengths, creativity, curiosity, self-regulation, persistence, vitality, social intelligence, citizenship,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spirituality would be particularly suitable to be developed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and therefor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Particularly, among the Ways to Use VIA Character Strengths proposed by Rashid & Anjum, this article put emphasis on those in relation to natural environments. Putting Lee(2014) and this review together, the suggestion is obtained that the facilitation of positive experience and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ersonality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are in the upward spiral relation.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the realization of the spirit of positive psychology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from the viewpoint of positive institution. 본 개관논문은 긍정심리학 정신을 구현할 구체적인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긍정심리학의 세 가지 근간 중 긍정 성격을 중점적으로 다루면서, 긍정 성격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자연환경의 영향력에 주목한다. 자연환경을 통해 긍정 성격을 함양함으로써 긍정심리학의 취지를 구현할 수 있음을 문헌 개관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긍정심리학의 24개 성격 강점 중 창의성, 호기심, 자기조절, 인내, 활력, 사회성, 시민의식, 심미안, 영성이 자연환경을 통해 개발하기에 특히 적합하다고 보았고, 이에 따라 관련 문헌들을 개관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Rashid와 Anjum이 제안한 성격 강점 증진 방안들 중 자연환경과 결부되는 것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하였다. 이승훈(2014)의 논문과 본 개관논문을 종합하면, 자연환경을 통한 긍정 경험의 촉진과 긍정 성격의 개발은 상향적 선순환 관계에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연환경을 통한 긍정심리학 정신의 구현을 긍정 기관의 관점에서 고찰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녹시율의 정서증진효과에 대한 맥락 분석: 집과 집 이외의 장소

        이승훈 한국건강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2 No.4

        This study is to test the restorative environment model (Lee, 2007a) of the emotion-improving effects of the Index of Greenness (IG) according to the context of “home" or “places other than home." During a day, cellular phone text messages were sent to South Korean undergraduates (n = 301) twelve times. On receiving each message, participants took a photograph of their surroundings, marked if they were either “at home" or “in places other than home", and then rated stress scale,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and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with reference to “here and now." Three samples were drawn through a series of data processing. These samples consisted of the data only in case that the participants saw the leaves of plants (1) at home or in places other than home (sample 1; n = 233); (2) at home (sample 2; n = 54); and (3) in places other than home (sample 3; n = 219). The restorative environment model was tested with sample 1, 2, and 3, and then compared. A series of path analyses showed that: (1) the fit indices were better for the data from the sample 3 than the sample 1 and 2; (2) the causal path from ‘IG' to ‘restorative environ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sample 3; and (3) the causal paths from ‘restorative environment' to ‘emo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three sampl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showed that stress × restorative environment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sample 2. In other words, the negative effect of stress on emotion was present only at high level of restorative environ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spite of the low level of IG, home is an important setting for psychological restoration, which enhances emotion. In contra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places other than home, higher IG is associated with higher psychological restoration, which enhances emotion. 본 연구에서는 녹시율(綠視率, Index of Greenness)의 정서증진효과에 대한 회복환경 모델(이승훈, 2007a)을 “집" 혹은 “집 이외의 장소"라는 맥락에 따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참여자들(301명)은 하루 동안 12회에 걸쳐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전송 받았다. 문자메시지를 받자마자 참여자들은 “지금 이 순간"을 기준으로 자신이 있는 곳의 사진을 한 장 촬영하였고, 자신이 있는 곳이 “집"인지 혹은 “집 이외의 장소"인지를 표시하였으며, 이어서 스트레스 척도, 회복환경지각척도,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를 평정하였다. 일련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 표본 1(n = 233; 집 혹은 집 이외의 장소에서 식물의 잎을 본 경우의 데이터들을 모두 포함시킨 표본), 표본 2(n = 54; 집에서 식물의 잎을 본 경우의 데이터들만 포함시킨 표본), 표본 3(n = 219; 집 이외의 장소에서 식물의 잎을 본 경우의 데이터들만 포함시킨 표본)을 만들었다. 회복환경 모델을 표본 1, 2, 3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비교해 보았다. 경로분석 결과 (1) 적합도 지수는 표본 3에서 가장 높았고, (2) ‘녹시율 → 회복환경' 경로는 표본 3에서만 유의하였으며, (3) ‘회복환경 → 정서' 경로는 세 표본 모두 유의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표본 2에서만 스트레스 × 회복환경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의 효과가 회복환경 지각이 높을 때에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녹시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집이 심리적 회복의 중요한 세팅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정서를 증진시킴을 보여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연구는 집 이외의 장소에서는 녹시율이 높을수록 심리적 에너지가 잘 회복되며, 이로 인해 정서가 증진됨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