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丙燾 韓國古代史 硏究의 '實證性' 檢證

        李道學(Lee, Do-Hack) 백산학회 2014 白山學報 Vol.- No.98

        한국 실증사학의 비조로 일컬어지고 있는 李丙燾 史學의 중심적인 論考를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이병도가 제기한 歷史地理 比定의 많은 부분은 후학의 呼應을 얻지 못하였다. 이병도가 得意에 찼던 三韓 중 辰韓의 위치비정은 말할 것도 없고, 風納洞土城=蛇城說 등 숱한 論考들이 現今에 와서 무너져 내리고 말았다. 이병도의 역사지리 비정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音相似에 의한 比定이었다. 傍證정도의 방법론을 핵심 근거로 삼은 결과 誤導된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병도는 音相似를 과도하게 사용한 관계로 논지의 핵심 要諦가 된 경우가 많았다. 그로 인해 훗날 고고학적 방법론과 같은 새로운 자극이 발생하면 의외로 쉽게 논지가 붕괴되고는 했다. 이병도 史學은 '堅固'해 보이지만 의외로 허술한 면이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두계의 漢四郡 비정만은 적어도 한국의 講壇 史學에서는 통설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점 奇異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해방 이전은 물론이고 해방 이후에도 적어도 남한 사학계에서는 한사군의 위치에 대한 새로운 비정은 거의 시도되지 못하였다. 대신 그 역할은 소위 在野史學者들의 몫이 되고 말았다. 가령 燕將 秦開가 고조선을 침공하여 진출한 界線을 박천강으로 설정했고, 평양에서 출토된 秦戈를 토대로 全燕시대에는 그 후 어느 때 대동강까지 진출한 것으로 간주한 이병도 설은 여전히 未檢證 상태라는 점이다. 필자는 이병도 史學 중 歷史地理분야에 대한 평가를 의뢰받고 집중적인 분석을 시도한 후 苦心 끝에 내린 결론은 李丙燾 史學에서 '實證'은 없다는 것이다. I've examined the central assertion of Byeongdo Lee's historical studies, which is called the father of The Korean Evidential History. In consequence, much of his estimation of geology history hasn't widely been accepted by youth. Not only highly elated Lee's estimation of Jinhan(辰韓) sites among the Three Hans(三韓) but also many other arguments, such as Poongnap earthen castle(風納洞土城)=a view that Poongnap earthen castle was the military (蛇城說) have camedown in now. One of his estimating location features was related to etymology studies, reviewing similar sounds. The conclusion was misled with a result of using circumstantial evidences as the core grounds. Because Lee applied etymology studies excessively, it often became the key point in arguments. Therefore this kind of thesis fell down easily when a new stimulation occurs like archeological methodology. Korean ancient history research of Lee seemed sturdy but actually they were fragile. In spite of that, estimated sites of Hansagun(漢四郡) has been the commonly accepted view in the mainstream. It is bizarre. New estimation of Hansagun location was hardly attempted in South Korean ancient history after liberation, not to mention before liberation. Instead, the roles fell to what we call unofficial historians. They set the boundary line where Yan general Jingae(燕將 秦開) had attacked Gojoseon(古朝鮮), to Bakcheongang (博川江). And even in Yan period(全燕), on the basis of Jin spear excavated from Pyeongyang(平壤), they considered that China advanced to Daedonggang(大同江) after that. Still these theories of Lee remain untested. I've received a request about geology history of Lee's historical studies and tried extensive analysis. I made the decision that there's no proof in his studies after thinking it over thoroughly.

      • KCI등재
      • KCI등재

        伴跛國 位置에 대한 論議

        이도학(Lee, Do-hack) 호서사학회 2019 역사와 담론 Vol.0 No.90

        지금까지의 가야사 연구에서는 伴跛의 정체를 加羅 즉 대가야로 지목해 왔다. 그렇게 본 근거는 『일본서기』 계체 7년~9년 조까지의 기사가 계체 23년 조에 가라가 등장하는 기사와 동일한 사건이라는데 착안하였다. 세부적인 근거로서는 양쪽 기사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연관성을 제시했다. 그리고 伴跛는 「梁職貢圖」에서 백제의 ‘旁小國’으로 등장하는 9國의 한 곳인 ‘叛波’와 동일하다고 보았다. 伴跛와 叛波는 모두 加羅에 대한 貶稱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伴跛와 半路와의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금석문이나 原史料 인용이나 당시 발언 등을 제외하고는 異稱이 아닌 貶稱이 사용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그러므로 伴跛를 加羅의 폄칭으로 간주하는 견해는 수긍하기 어려웠다.『일본서기』 계체기에 보이는 伴跛의 烽燧 설치 기사는 전라북도 장수 지역과의 연관성을 지녔다. 즉 加羅와의 관련성은 찾아 보기 어려웠다. 「양직공도」에 보이는 ‘旁小國’에 속한 叛波는 伴跛가 분명하였다. 그런데 叛波를 비롯한 이들 소국들은 중국으로부터 책봉된 바 없었다. 그러나 加羅王은 479년에 南齊로부터 ‘輔國將軍 · 本國王’을 제수받았다. 이처럼 중국 황제로부터 책봉된 加羅가 백제 ‘곁의 소국’이요, 백제에 ‘의지하는’, 그리고 附庸된 ‘旁小國’의 叛波일 수는 없다. In a study of Gaya history(加耶史) so far, the identity of small country Banpa(伴跛) has been pointed out as Kara(加羅) or Dae Gaya. The rationale for this is that the article from the 7th to 9th year of the book “Nihon Shoki(日本書紀)” a chronicle Geithai was the same as the article from the 23rd year of the Geithai. For detailed reasons, the two articles presented a link between the characters. And Banpa saw it as the same as Banfa(叛波), a place in nine countries that appeared as the” small country of Baekje” in “Liangzhigongtu(梁職貢圖)”. Banpa and Banfa are both disparaging about Kara. However, the link between Banpa and Banro(半路) has not been confirmed. It was difficult to find cases in which disparaging was used other than records on stones and metal materials or basic feed quotes or remarks made at the time. Thus the view to regard Banpa as the disparaging of Kara was hard to accept. In the Nihon Shoki Geithai section, an article that installed a device for Banpa to contact by raising a fire had a connection with Changsu(長水) area in Jeollabuk-do. In other words, it was hard to find any connection with Kara. Banfa, who belongs to a small country next to Baekje, was clearly Banpa. By the way, Banfa and these small countries were never appointed by the Chinese emperor. However, in 479, Kara King was expelled from Namje(南齊) for the ‘Bokuk-General·Bonkuk-king(輔國將軍 · 本國王)’. The Kara appointed by the Chinese emperor cannot be the Banfa of the small kingdom of the Baekje Kingdom, which is subordinate to the Baekje Kingdom.

      • KCI등재
      • KCI등재

        위만(衛滿)의 두발(頭髮)과 복장(服裝)을 실마리로 한 한국 고대문화의 정체성 탐색

        이도학 ( Lee Do-hac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6

        衛滿이 조선에 망명해 올 때 頭髮과 服裝을 『史記』에서는 ‘魋結蠻夷服’라고 하였다. 문맥을 놓고 볼 때 이는 조선의 복장과 두발을 따랐다는 게 된다. 복속 의례가 된다. 그런데 ‘魋結’는 南越王 趙陀 故事에서도 보인다. 조타의 ‘魋結’에 대해 『史記』 주석에서는 중국의 병사들 두발로 해석했다. 『史記』 조선전의 ‘魋結’를 『漢書』 조선전에서는 ‘椎結’로 적었다. 『삼국지』에서는 두발은 기록하지 않고 ‘蠻夷服’을 ‘胡服’으로만 적어 놓았다. 여러 문헌을 詳考한 결과 『漢書』의 ‘椎結’는 흉노로 투항한 漢將 李陵이 했던 辮髮로 밝혀졌다. 흉노의 두발인 ‘椎結’는 말할 나위없이 변발을 가리킨다. 따라서 조선의 두발은 剃頭를 한 辮髮로 드러났다. 이 사실은 중국과 구분되는 세계의 표지였다. ‘椎結’ 즉 辮髮이었던 한반도 서북 지역 주민들은 한사군 설치 이후 상투를 틀어 머리를 정수리로 올린 두발로 바뀐 것 같다. 급속히 밀려든 중국화에 따라 두발 역시 변모했던 것 같다. 이로 인해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는 상투 두발만 확인된다. 백제나 신라의 경우도 예외가 되지는 않았다. When Wiman came to exile in the Joseon(朝鮮) Dynasty, his hair and dress were called "魋結蠻夷服; The hair style and clothing of barbarian)" in "Shih chi(史記)". When we look at the context, it follows that we have followed the clothes and hair of Korea. It becomes a rite of submission. However, '魋結' is also seen in the history of South Zhou(南越王) Zhao(趙陀). About the "魋結" of the steering, it interpreted as the Chinese soldiers' hair in the comment of "history" "魋結" written in the "history" is written as "椎結" in the "Hanshu(漢書)". In the "Samkukji(三國志)", only the 蠻夷服is written as 胡夷服without writing the hai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ous documents, "椎結" of "kanji" was revealed as the which the general Han lieutenant who had sent to the Xiong-ni. The hair of the Xiongnu, '椎結', refers to the pigeon as a matter of course. Therefore, the hair of the Joseon Dynasty turned out to be the hair of the head. This fact was a sign of the world different from China. It seems that the residents of the nor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pigtail, changed into a pair of haircuts with a head turned to the top of the head after establish a Chinese colonial city. It seems that the hair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Chinese painting which was pushed rapidly. This makes it possible to find only two hair pieces in the Koguryo tomb murals. Baekje and Silla were no exception.

      • KCI등재

        후백제와 고려의 각축전과 상주(尙州)와 문경(聞慶) 지역 호족의 동향

        이도학 ( Lee¸ Do-hack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8

        본신라 멸망의 기폭제가 되었던 농민 난이 상주 지역에서 발생한 원종과 애노의 난이었다. 이 난을 신라 조정이 진압하지 못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자 신라 전역에서는 群小 세력들이 할거하거나 독립했다. 이 가운데 후백제를 건국한 진훤의 父인 아자개는 농민 난의 와중에 상주 지역을 석권하고 장군을 칭하며 호족으로 등장하였다. 그러한 아자개는 918년에 고려가 건국된 직후 왕건에게 歸附하였다. 아들인 진훤이 한반도 서남부 지역을 호령하는 시점에 아자개가 고려에 귀부했다는 것은 납득이 어려웠다. 이로 인해 同名異人說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아자개는 이전 906년에 상주지역으로 진출한 궁예의 부하 왕건과 遭遇한 바 있다. 이에 대응하여 후백제의 진훤은 상주 지역 확보차 출병했지만 거듭된 전투 끝에 물러나고 말았다. 이때 왕건은 궁예의 신라 시책과는 달리 아자개에 대해 유화적으로 나왔다. 이러한 선상에서 후계자 상속 문제가 발생하여 진훤과 이복형제들 간의 갈등 속에서 아자개는 고려로 귀부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아자개와 자제를 비롯한 친족들은 출신지인 가은현을 지배하였다. 가은현이 포함된 문경 지역은 소백산맥 남북을 잇는 兩大 교통로의 하나인 계립령로와 연결되어 있는 요충지였다. 게다가 문경은 남한강과 낙동강을 연결하는 지점에 소재하였다. 왕건은 문경을 전진 기지로 하여 낙동강을 이용해 康州 즉 지금의 경상남도 일원까지 일사천리로 진출하고자 했다. 왕건의 집요한 진출 시도로 인해 문경 일원의 후백제 호족들은 귀부하고 말았다. 진훤은 이러한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신라의 수도를 급습하였지만 결과적으로 패착이었다. 진훤의 패배는 父인 아자개의 유산을 물려받지 못한 것과 더불어, 문경을 비롯한 신라 지역에서의 거점 확보 실패와 신라 민심 이반에 기인한 바 컸다. The peasant revolt, which was the catalyst for the collapse of Silla, was a revolt of Wonjong and Anno in the Sangju area. As the Silla government failed to suppress the revolt, small forces were either forced to do it or independently throughout Silla. Among them, Azagae, the father of Jin Heon, who founded the Hu-Baekje Kingdom, emerged as a noble tribe, dominating the Sangju area during the peasant war and calling it a general. Such a son-in-law returned to Wang Geon shortly after Goryeo was founded in 918. It was hard to understand that Azagae returned to Goryeo at a time when his son, Jin Heon, commanded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led to claims that the names were identical but different. However, Azagae had previously met Wang Geon, a subordinate of Gungye, who entered the residential area in 906. In response, Jin Heon of Hu-Baekje was dispatched to secure the Sangju area, but he withdrew after several battles. At this time, Wang Geon appeared conciliatory toward Ahjagae, unlike Gungye's Silla policy. In this line, the succession problem occurred, and amid the conflict between Jin Heon and his half brothers, Ah-Ja-gae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returning to Goryeo. His relatives, including his son and brother, ruled Ga Eun-hyeon, where he was from. The Mungyeong area, which includes Ga Eun-hyeon, was an important point connected to Gyeryeong-ro, one of the two major transportation routes linking the north and south of the Sobaeksan Mountain Range. Furthermore, Mungyeong was located at the point where the Namhangang River and Nakdong River were connected. Wang Geon used the Nakdonggang River as the base of Mungyeong as the current location of Gangju, Gyeongsangnam-do. He wanted to go all the way to. Wang Geon's persistent attempt to enter the area resulted in the return of the descendants of the Hu-Baekje clans of Mungyeong. Jin Heon raided the capital of Silla to make up for this inferiority complex, but as a result, it was defeated. Jin Heon's defeat was largely due to his failure to inherit the legacy of his father, Azagae, and his failure to secure strongholds in the Silla region, including Mungyeong.

      • KCI등재

        世宗市 일원 佛碑像의 造像 목적과 百濟 姓氏

        李道學(Lee, Do-Hac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6 No.-

        충청남도 세종시 조치원읍에 소재한 비암사에서 발견된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국보 제106호)에는 명문이 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필자는 唐의 괴뢰정권인 웅진도독부가 축출된 672년 이듬 해인 673년(문무왕 13)의 시점에서 신라가 官位를 지닌 백제 유민들에게 신라의 京位를 부여한 사실을 주목했다. 바로 이 시점에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과 癸酉銘三尊千佛碑像이 함께 조성되었다. 673년에 조성된 계유명삼존천불비상에 보이는 彌次乃 香徒는 신라의 지원을 업고 결성되어 造像과 造寺를 통해 민심을 按撫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戰亂으로 황폐해진 백제 故土와 민심 수습 목적이었다. 그랬기에 戰亂의 산물인 魂靈들을 위한 追福 목적의 사찰과 불상을 조성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 명문에 따르면 寺刹까지 조성했던 것이다. 이러한 佛事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Jeon’s Family Amitabha Buddha Statue(癸酉銘全氏阿彌陀佛碑像:National Treasure No.106), which is located in Beeam Temple, Jochiwon-eup, Sejong-city, Chungcheongnam-do, has Gyeyu Year Inscription. In this context, I focused on the fact that Silla gave Silla Capital Class(京位) to Baekje drifting people who had government position in 673(13th year of King Moonmu). It was a year after when Ungjin-Dodokbu, a puppet regime of Tang(唐), had been expelled in 672. It was at this point that the two Buddha Statues I’ve mentioned were made. Michanae(彌次乃) Hyangdo(香徒) can be found in Gyeyumyung inscription on Buddhist Statue which was made in 673. From the inscription, it is estimated that Michanae played a role in studying public sentiment through building Buddha Statues and temples.

      • KCI등재후보

        高句麗의 內紛과 內戰

        李道學(Lee Do-hack) 고구려발해학회 2006 고구려발해연구 Vol.24 No.-

        The domestic discord and the civil war in Koguryo are related to succession to the throne. The representative civil war in Koguryo history was the conflict which was about succession to the throne after King Gogukcheon(故國川王) died. During that time, two governments were coexisting and confronting. It became international war which included Liao-dong(遙東) province. Around 470, King Jangsu(長壽王) purged the noble. It was not just because of opposition about transferring of the capital to Pyong-yang castle(平壤城) or strengthen the royal authority. It was the reason that King Jangsu set up the succession nomination by force, which caused the conflict. But,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in relation to enthronement of King Yangwon(陽原王), Palace-gate was the place that the bloodshed civil war broke out. Palace-gate was the symbolic place that King's will and public opinion were delivered the people. So, in front of the Palace-gate, the force showdown happened because of successor of King Anwon(安原王). That tradition made Palace-gate the place that Daedaero(大對盧 : the position that had the real power in Koguryo) was elected. The last military coup of Yeongaesomoon(淵蓋蘇文) in Koguryo history, which was related to profit. And it ceased the noble coalition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